KR100421963B1 -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 Google Patents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963B1
KR100421963B1 KR10-2001-0032583A KR20010032583A KR100421963B1 KR 100421963 B1 KR100421963 B1 KR 100421963B1 KR 20010032583 A KR20010032583 A KR 20010032583A KR 100421963 B1 KR100421963 B1 KR 10042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fill
pipe
gas exhaust
pip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162A (ko
Inventor
유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Priority to KR10-2001-003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9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매립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수직가스배제관이 그 주변의 쓰레기가 침하된 깊이와 동일한 깊이만큼 하강하게 됨으로써, 매립지의 침하시에도 최종복토층 기능과 통기기능 및 가스 배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침출수의 재순환 및 우수의 원활한 배수에 의해 매립지의 안정화를 조속히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지 내부에 유공의 수직가스배제관이 다수개 설치되고, 매립이 완료된 쓰레기 상층부에 가스배제층이 덮이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스배제관은 상기 매립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가스배제층까지 연결되는 다수의 분할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배제층에는 외부까지 연장되는 가스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각 분할관은 그 하측의 분할관과 관경의 차이를 두어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고, 각 분할관의 외측에는 해당 분할관의 하강을 선택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지지다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Final Cover System of Vertical Movable LFG Drainage with Sink of Landf ill}
본 발명은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수직가스배제관이 그 주변의 쓰레기가 침하된 깊이와 동일한 깊이만큼 하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립지의 침하시에도 최종복토층 기능과 통기기능 및 가스배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매립지 내부로의 침출수 재순환을 통하여 매립지 안정화를 조기에 달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침출수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하며, 더불어, 우수배수층에서 우수를 원활히 집배수하여 매립지의 조속한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매립지에는 매립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매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매립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수직가스배제관을 설치되며 매립이 완료된 후 매립쓰레기 상부에 최종복토층이 덮이게 된다.
이러한 최종복토시스템에 구비되는 수직가스배제관(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1a)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매립지(L) 바닥으로부터 최상부까지 수직하게 고정 설치됨으로써 매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수직가스배제관(1)을 통한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이러한 수직가스배제관(1)으로는 유공 철근콘크리트관이나 고밀도 폴리프로필렌관 등이 이용된다.
즉, 상기 최종복토시스템은, 매립되는 쓰레기와 함께 다수의 관통공(1a)을 갖는 수직가스배제관(1)들이 매립지(L)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매설되고, 쓰레기 매립 완료 후 매립쓰레기층(2) 상부에, 최종복토층(F)의 구성요소인 가스배제층 (3), 우수차단층(4), 우수배수층(5), 식생대층(6)이 차례로 덮여지는데, 상기 수직가스배제관(1)이 식생대층(6)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매립지(L) 내부에서 발생된 매립가스가 수직가스배제관(1)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도면번호 7은 상기 수직가스배제관(1)을 상기 가스배제층(3) 내에서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수평가스배제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스배제층(3)은 각 수직가스배제관(1)들을 통하여 배출되는 매립가스의 배제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쇄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수차단층(4)은 우수가 매립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점토류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수배수층(5)은 상기 우수차단층(4)에 의해 차단된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층으로서 모래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생대층(6)은 식목을 위하여 흙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쓰레기의 매립이 완료되고 최종 복토를 실시한 후, 매립된 쓰레기의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매립지가 계속 침하되게 되는데, 종래 최종복토시스템은, 매립지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수직가스배제관들이 쓰레기의 침하와관계없이 소정의 높이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가 침하됨에 따라 우수차단층을 포함한 최종복토층이 파괴되어 우수가 매립지내부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스배제관이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매립지 내부의 가스를 정상적으로 포집, 배제하기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최종복토시스템은, 그 상부가 우수차단층에 의해 차단되어 우수를 포함한 일체의 수분이 매립지 내부로 침투할 수 없게 됨으로써, 매립 완료 후 매립쓰레기의 유기물질 분해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한 상태가 지속되어 오랜 기간이 지나도 매립 쓰레기가 분해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매립지의 안정화에 어려움을 주고, 지속적인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매립지 내로의 쓰레기 매립이 완료되고 최종복토층을 덮을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차단층(4) 상부의 우수배제층(5)에서 우수를 원활히 배제하기위하여 매립지의 가장자리 측면을 향하여 약 2%의 경사를 부여하나, 매립쓰레기의 분해로 인한 침하가 발생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의 중심부가 낮아져 우수가 제대로 배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매립지에 다수의 수직가스배제관을 설치하되, 각 수직가스배제관이 그 주변 쓰레기의 침하 깊이와 동일한 깊이만큼 하강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립지의 불규칙적인 침하시에도 최종복토층 기능과 통기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직가스배제관의 가스배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매립된 쓰레기의 안정화를조기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차단층을 포함한 최종 복토의 실시후, 매립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매립쓰레기의 분해에 필요한 수분으로 재사용토록 하는 침출수 재순환장치를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포함시킴으로써, 매립쓰레기의 분해를 촉진하여 매립지의 안정화를 조기에 달성함과 동시에 침출수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우수차단층 상부에 위치한 우수배수층에 우물을 설치하고 이 우물에 고인 우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를 구비시킴으로써, 우수배수층의 우수를 원활히 집배수하여 매립지의 조속한 안정화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수직가스배제관이 매립지 바닥으로부터 가스배제층까지 설치되고, 각 수직가스배제관이 가스배제층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수평가스배제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평가스배제관에 외부와 연통시키는 가스배출관을 결합함으로써, 최상층인 식생대층 상부로 소수의 가스배출관만 돌출되도록 하여 매립지의 토지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매립지가 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매립지가 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5중 수직가스배제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가스배제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가스배제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수직가스배제관, 15:분할관, 15a:파이프부재, 15b,33a,70a:관통공, 15c:클램프부재, 15d:지지다리, 20:매립쓰레기층, 30:가스배제층, 33:수평가스배제관, 35:가스배출관, 37:분사구, 40:우수차단층, 50:우수배수층, 52:우물, 54:배수용 호스, 60:식생대층, 70:주름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지 내부에 유공의 수직가스배제관을 다수개 설치하고, 매립이 완료된 쓰레기 상층부에 가스배제층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가스배제관은 다수의 분할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스배제층에는 외부까지 연장되는 가스배출관을 설치하며, 상기 각 분할관은 그 하측의 분할관과 관경의 차이를 두어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관의 외측면에는, 주변 쓰레기의 침하 깊이만큼 해당 분할관이 하강되도록, 버팀날개가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매립지에는 매립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침출수를 수집하여 쓰레기 내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침출수재순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배제층 내부에는 다수의 분사구를 갖는 침출수 이송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침출수재순환장치에 의해 수집된 침출수가 상기 이송파이프의 분사구와 상기 가스배제층을 경유하여 매립된 쓰레기 내부로 재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가스배제층의 상부에는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우수차단층과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우수배수층이 차례로 덮여지며; 상기 우수배수층 내부에는 우수를 수집하기 위한 우물이 설치되고, 상기 우물 내부에는 펌프를 갖는 배수용 호스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지 내부에 유공의 수직가스배제관을 다수개 설치하고, 매립이 완료된 쓰레기 상층부에 가스배제층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가스배제관은 다수의 분할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스배제층에는 외부까지 연장되는 가스배출관을 설치하며, 상기 각 분할관은 그 하측의 분할관과 관경의 차이를 두어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관은,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은 매립지(L)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가스배제관 (10)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수직가스배제관(10)은 다수의 관통공(15b)을 갖는 분할관(15)을 다수개 결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분할관(15)은, 그 하부가 하측에 위치한 다른 분할관(15)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또한 각 분할관(15) 외측에는 그 분할관 (1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15d)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각 분할관(1 5)이 그 하측의 분할관(15) 내부로 하향 슬라이딩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은, 매립이 완료된 후, 매립쓰레기층(20) 상부에 쇄석으로 구성된 가스배제층(30)이 덮이는데, 상기 수직가스배제관(10)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할관(15)들중 최상층 분할관(15)의 상단부가 상기 가스배제층(30)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배제층(30)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가스배출관(35)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분할관(15)을 통하여 가스배제층(30)으로 수집된 매립가스가 상기 가스배출관(3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매립지(L) 내부로 쓰레기 매립이 진행됨에 따라, 매립지(L) 바닥의 다수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할관(15)을 다단 설치하게 된다. 즉, 도 8에서 'A'지점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분할관(15)의 상부까지 쓰레기가 매립되면, 그 분할관(15)의 내측 상부에 다른 분할관(15)의 하부를 삽입시킨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측 분할관(15)의 양측 지지다리(15d)가 'A'지점까지 매립된 쓰레기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측 분할관(15)이 하측 분할관( 15) 내측으로 하향 슬라이딩되지 않고 설치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쓰레기 매립이 더 진행되어 상측 분할관(15)의 대략 중간지점(B)까지 쓰레기의 매립이 완료되면, 상측 분할관(15)의 지지다리(15d)를 그 분할관(15)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측 분할관(15)은 그 주변에 매립된 쓰레기들로부터 가해지는 횡압력에 의해 하측 분할관(15) 내측으로 하향 슬라이딩되지 않고 설치된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매립지(L)의 다수 지점에 각각 분할관(15)들을 다단 설치하면서 쓰레기 매립이 완료되면, 매립쓰레기층(20)의 상부에 가스배제층(30)을 포함한 최종복토층을 덮고, 상기 가스배제층(30)으로부터 외부까지 가스배출관(35)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의 설비가 완성되면, 매립지(L) 내의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수직가스배제관(10)을 구성하는 각 분할관(15)과 가스배제층(30) 및 가스배출관(35)을 차례로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쓰레기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매립지(L) 침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스배제관(10)을 구성하는 각 분할관( 15)들이 횡압력을 가하고 있는 주변 쓰레기에 밀착된 상태로 쓰레기의 침하깊이와 동일한 깊이만큼만 하향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매립지 침하에 따른 가스배제층(3 0)을 포함한 최종복토층의 파괴 및 기능상실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할관(1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부재(15a), 클램프부재(15c) 및 한 쌍의 지지다리(15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부재(15a)는 측벽면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15b)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부재(15c)는 일측부위가 분리된 링 형의 부재로서 분리된 양단부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파이프부재(15a) 외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5d)는 상기 클램프부재(15c) 외면의 양측 외면에서 각각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은 분할관(15)의 이용시, 매립지(L) 내부로의 쓰레기 매립이 진행됨에 따라, 분할관(15)을 설치할 때에는, 클램프부재(15c)를 볼트로 조여 파이프부재 (15a)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매립된 쓰레기 위에 지지된 지지다리(15d)에 의해 파이프부재(15a)가 설치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설치된 분할관(15)의 대략 중간부위까지 쓰레기가 매립되면, 상기 클램프부재(15c)에 결합된 볼트를 풀어서 클램프부재(15c)와 분할관(15)의 밀착 결합력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할관(15)은 하측의 다른 분할관(15) 내부로 하향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나, 그 주변 쓰레기의 횡압력에 의해 하향 슬라이딩이 방지되고, 최초 설치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의 분해에 따른 매립지 침하시, 각 분할관(15)이 주변 쓰레기가 침하되는 깊이만큼만 하향 슬라이딩됨으로써, 매립쓰레기층(20)과 가스배제층(3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매립지(L)의 침하에 따른 각 분할관(15)의 하향 슬라이딩 깊이를 더욱 정밀하게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각 분할관(15) 외측면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팀날개(15e)를 추가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시, 상기 버팀날개(15e) 상부에 위치한 쓰레기에 의해 해당 분할관(15)이 종압력을 받게됨으로써, 매립지 (L) 침하시, 각 분할관(15)의 하향 슬라이딩 깊이가 더욱 안정적으로 규제될 수 있게 된다.
도면 상에서는, 상기 버팀날개(15e)가 분할관(15)의 외주연을 따라 이격된 다수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상기 버팀날개를 분할관(15)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버팀날개를 상기 분할관(15) 외면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는 등 다양하게 구조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수직가스배제관(10)을 통하여 상기 가스배제층(30)으로 수집된 매립가스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벽면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 33a)을 갖는 수평가스배제관(33)을 상기 가스배제층(3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수직가스배제관(10)과 상기 가스배출관(35)이 상기 수평가스배제관( 33)을 통하여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수평가스배제관(33) 역시, 도 5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분할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매립지(L)의 침하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쓰레기 매립지(L)의 구성시, 그 상부 토지의 이용률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배제층(30) 상부에, 합성수지 또는 점토류로 구성된 우수차단층( 40), 모래 등으로 구성된 우수배수층(50) 및 흙으로 구성된 식생대층(60)이 차례로 덮이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시, 상기 우수차단층(40)에 의해 우수의 침투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매립된 쓰레기의 분해 및 안정화를 위해 필요한 수분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립지(L)에 공지의 침출수재순환장치를 설치하여 침출수를 수집하고, 그 침출수를, 도 5에서와 같이, 다시 매립된 쓰레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침출수의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수분 부족으로 인한 매립지 안정화 지연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다수의 분사구(37a)를 갖는 침출수 이송파이프(37)를 상기 가스배제층(30)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매립지 (L)로부터 수집된 침출수가 상기 이송파이프(37)를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립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매립가스가 침출수 재순환장치의 종단부에 결합된 이송파이프(37)의 분사구(37a)와 가스배제층(30)을 경유하여 매립쓰레기층(2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매립지(L)의 구성시, 매립지(L)로 내린 우수가 상기 우수차단층(40)에 의해 배수되지 못하고 그 상층부인 우수배수층(50)에 고이게 됨으로써, 매립지(L) 상부의 토지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매립지(L)의 침하현상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수배수층(50) 내에 집수용 우물(52)을 설치하고, 그 우물(52) 내부에 펌프(P)가 결합된 배수용 호스(54)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우수배수층(50)에 고인 우수가 우물(5 2)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용 호스(5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가스배제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가스배제관은,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 다수의 분할관(17)으로 구성됨으로써, 각 분할관(17)이 그 하측의 분할관(17)을 기준으로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분할관(17)이 그 측벽면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17b)을 갖는 파이프부재(17a)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시, 쓰레기가 하측 분할관(17)의 일정 부위(C)까지 매립되면, 그 하측 분할관(17)의 상단부에 다른 분할관(17)의 하단부를 결합시키면, 상측에 결합된 분할관(17)의 하단부가 매립된 쓰레기 상면에 의해 지지되게 됨으로써, 별도의 지지다리 없이도 다수의 분할관(17)을 수직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각 분할관(17)들은 매립된 쓰레기로부터 가해지는 횡압력에 의해 결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쓰레기의 분해에 따른 매립지 침하시, 각 분할관(17)은 외면에 밀착되어 횡압력을 전달하고 있는 주변의 쓰레기가 침하되는 깊이만큼, 하측 분할관(17)의 외벽면을 따라 하강 슬라이딩 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각 분할관(17)의 하단부 외면에 방사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버팀편(17c)을 형성시킴으로써, 각 분할관(17)의 초기 결합시에는 각 분할관(17)이 매립된 쓰레기 상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쓰레기의 분해에 따른 매립지 침하시에는 각 분할관(15)이 침하되는 쓰레기로부터 종압력을 받아 하향 슬라이딩 깊이가 안정적으로 규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가스배제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립지(L)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가스배제층(30)까지 연결되는 주름관(70)으로 수직가스배제관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주름관(70)의 벽면에 다수의 관통공(70a)이 천공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시, 매립지(L)의 침하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주름관(70)이 축소되면서 함께 하강하게 됨으로써, 매립지(L)의 침하시 가스배제층(30)을 포함한 최종복토층이 수직가스배제관과 어긋남에 따른 최종복토층의 파괴 및 그에 따른 기능상실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따르면,매립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수직가스배제관이 그 주변 쓰레기가 침하된 깊이와 동일한 깊이만큼 하강하게 됨으로써, 매립지의 침하시에도 최종복토층의 기능과 통기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수직가스배제관의 가스배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매립된 쓰레기의 안정화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차단층을 포함한 최종 복토의 실시후, 발생되는 침출수를 매립된 쓰레기 분해에 필요한 수분으로 재사용하게 됨으로써, 매립쓰레기의 분해를 촉진하여 매립지의 안정화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침출수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시켜 침출수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차단층의 상층부인 우수배수층에 고인 우수가 우물에 수집된 후, 배수용 호스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우수배수층의 우수를 원활히 집배수하여 매립지의 조속한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최상층인 식생대층 상부로 소수의 가스배출관만 돌출되게 됨으로써 매립지의 토지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쓰레기 매립지 내부에 유공의 수직가스배제관을 다수개 설치하고, 매립이 완료된 쓰레기 상층부에 가스배제층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가스배제관은 다수의 분할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스배제층에는 외부까지 연장되는 가스배출관을 설치하며, 상기 각 분할관은 그 하측의 분할관과 관경의 차이를 두어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관의 외측면에는, 주변 쓰레기의 침하 깊이만큼 해당 분할관이 하강되도록, 버팀날개가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관은, 측벽면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외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에는 매립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침출수를 수집하여 쓰레기 내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침출수재순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배제층 내부에는다수의 분사구를 갖는 침출수 이송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침출수재순환장치에 의해 수집된 침출수가 상기 이송파이프의 분사구와 상기 가스배제층을 경유하여 매립된 쓰레기 내부로 재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제층의 상부에는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우수차단층과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우수배수층이 차례로 덮여지며;
    상기 우수배수층 내부에는 우수를 수집하기 위한 우물이 설치되고, 상기 우물 내부에는 펌프를 갖는 배수용 호스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8. 쓰레기 매립지 내부에 유공의 수직가스배제관을 다수개 설치하고, 매립이 완료된 쓰레기 상층부에 가스배제층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가스배제관은 다수의 분할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스배제층에는 외부까지 연장되는 가스배출관을 설치하며, 상기 각 분할관은 그 하측의 분할관과 관경의 차이를 두어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관은,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하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측의 분할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관의 하단에는 버팀편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 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10. 삭제
KR10-2001-0032583A 2001-06-11 2001-06-11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KR10042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583A KR100421963B1 (ko) 2001-06-11 2001-06-11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583A KR100421963B1 (ko) 2001-06-11 2001-06-11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34U Division KR200247010Y1 (ko) 2001-06-11 2001-06-11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162A KR20020094162A (ko) 2002-12-18
KR100421963B1 true KR100421963B1 (ko) 2004-03-12

Family

ID=2770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583A KR100421963B1 (ko) 2001-06-11 2001-06-11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024A (ko) * 2017-09-29 2019-04-08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하이브리드 메탄 산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05B1 (ko) * 2011-03-07 2011-05-06 신길수 폐사 또는 살처분된 가축을 처리하기 위한 친환경 매몰통
WO2015122642A1 (ko) * 2014-02-14 2015-08-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몰지 안정화용 수직 웰 유닛 및 이를 사용한 생물반응 매몰지
CN107321752A (zh) * 2017-06-27 2017-11-07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污泥塘场地原位生态修复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320B1 (ko) * 1996-12-31 1999-06-15 임철웅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쓰레기 투기장의 시공법 및 그 장치
KR20000030515A (ko) * 2000-03-04 2000-06-05 이금용 폐기물 매립지의 최종복토 방법 및 그 최종복토 내에서의매립가스 재순환 시스템
KR20000063714A (ko) * 2000-07-31 2000-11-06 최종식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수직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320B1 (ko) * 1996-12-31 1999-06-15 임철웅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쓰레기 투기장의 시공법 및 그 장치
KR20000030515A (ko) * 2000-03-04 2000-06-05 이금용 폐기물 매립지의 최종복토 방법 및 그 최종복토 내에서의매립가스 재순환 시스템
KR20000063714A (ko) * 2000-07-31 2000-11-06 최종식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수직배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024A (ko) * 2017-09-29 2019-04-08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하이브리드 메탄 산화 시스템
KR102000586B1 (ko) 2017-09-29 2019-07-16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하이브리드 메탄 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162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2203C (en) Denitrifaction of septic tank effluent
KR100526394B1 (ko)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배출장치
US5480260A (en) Ground water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RU206713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сачивания загрязненной воды из хранилища отходов и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просочившейся воды из хранилища отходов
GB2276905A (en) Waste disposal structure
KR100421963B1 (ko)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JP4649657B2 (ja) 廃棄物の埋立処分方法、及び廃棄物埋立構造
KR200247010Y1 (ko)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KR100558152B1 (ko)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KR10101671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스 배제정 구조
KR100457995B1 (ko) 배수 및 지반보강을 겸한 대구경 강성억지말뚝장치와공법
JP7132104B2 (ja) 廃棄物処分場
KR20100012273A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구조
KR100531737B1 (ko) 차수매트를 이용한 우수배제용 토사측구 보강방법
JP2002239492A (ja) 廃棄物の埋立方法
US5820298A (en) Seamless landfill sump
JP2002219435A (ja) 埋立装置および方法
KR100218546B1 (ko) 침출수 재순환과 가스취출을 겸한 쓰레기 매립조성방법
JPH1157644A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雨水の排除方法
KR100582875B1 (ko) 준설토 표층 배수 건조 공법
CN220598645U (zh) 基坑边坡支护排水装置
JPH11128867A (ja) 廃棄物処分場
JP2004322018A (ja) 埋立て廃棄物の安定化促進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浸透水キャピラリーバリア層
CN218233688U (zh) 一种灰渣回填露天矿坑的渗滤液收集系统
KR200294407Y1 (ko) 폐기물 매립지의 우수 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03

Effective date: 200605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221

Effective date: 2006062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207

Effective date: 2006062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