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246B1 - 분뇨 분해 촉진장치 - Google Patents

분뇨 분해 촉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246B1
KR102535246B1 KR1020220096073A KR20220096073A KR102535246B1 KR 102535246 B1 KR102535246 B1 KR 102535246B1 KR 1020220096073 A KR1020220096073 A KR 1020220096073A KR 20220096073 A KR20220096073 A KR 20220096073A KR 102535246 B1 KR102535246 B1 KR 102535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manure
evacu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22009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93Arrangements for measuring process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여 분뇨를 교반하고, 분뇨에서 발생되게 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뇨 내부의 미생물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는,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공기를 공급하여 교반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공기공급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뇨 분해 촉진장치{PROMOTING ARRARATUS FOR MANURE DECOMPOSITION}
본 발명은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여 분뇨를 교반하고, 분뇨에서 발생되게 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뇨 내부의 미생물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분뇨는 무단방류가 엄격히 금지되므로 대부분은 정화처리를 거친 후에 배출하거나 액비, 퇴비 등의 자원으로 재생되고 있으며, 일부는 처리설비의 부족으로 인해 허가업체를 통해 해양에 투기되고 있다.
그런데 2012년부터는 축산분뇨의 해양투기가 금지되기 때문에 이후부터는 반드시 자원화하거나 정화처리 후 배출해야 하며, 이로 인해 축산분뇨의 자원화설비나 정화설비를 확충하는 것이 최근 정부, 지방자치단체, 축산농가 등의 중대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축산분뇨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고액분리장치나 응집제를 이용하여 액체성분과 고형성분을 분리한 후에, 액체성분에 대해서는 숙성 및 발효과정을 거쳐 액비로 변환하거나 약품을 이용한 탈취 및 정화처리를 거 쳐 배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고형성분에 대해서는 톱밥 등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퇴비를 만드는 방법이 사용 되고 있다.
그런데 고액분리된 액체성분을 액비로 만들기 위해서는 폭기조에서 탈취숙성과정을 거친 후에 발효조에서 미생물 발효를 시켜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만 액체성분에 포함된 악취성분이 분해되어 농가에서 액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액체성분을 탈취 및 발효하여 액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통상 수십 일 내지 수 개월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그 생산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대량의 축산분뇨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처리설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량의 축산분뇨를 처리해야 하는 축산농가의 경우에는 액비생산설비를 구비하는데 상당한 비용을 부담 해야 하고 정화처리를 하려고 해도 설비 및 약품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액비생산설비나 정화처리설비의 설치를 주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간소화 된 구성으로 저렴하게 분료를 분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591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여 분뇨를 교반하고,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뇨 내부의 미생물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분뇨 분해 촉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는,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공기를 공급하여 교반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공급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저장조를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용하며, 일측과 타측에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부에 작업자가 이동하는 복도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스부; 상기 하우스부의 복도 일측에 시공된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출입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서 상기 제1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화재발생 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출입구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경사안내면을 포함하는 제1 대피안내부; 상기 하우스부의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출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화재발생 시 작업자에게 상기 제2 출입구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경사안내면을 포함하는 제2 대피안내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대피안내부를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1 인출입부;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대피안내부를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2 인출입부; 상기 하우스부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화재신호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가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인출입부와 상기 제2 인출입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벽체에 설치되고,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려주는 제1 물리적 알림수단; 상기 제1 물리적 알림수단에 설치되며,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의 위치를 소리로 알려주는 청각적 알림수단; 및 상기 청각적 알림수단에 설치되고,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려주는 제2 물리적 알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물리적 알림수단은,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소화수 또는 알갱이탄으로 형성되는 위치알림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로부터 위치알림부재를 각각 공급받아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각적알림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왕복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및 양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개구부가 복도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왕복이동가이드; 상기 왕복이동공간에 배치되며, 내부공간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리발생유닛이 수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소리발생부; 상기 왕복이동가이드의 양측면 개구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소리발생부를 서로 교번되게 타격하여 상기 왕복이동공간을 따라 양방향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왕복이동공간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리발생부의 충돌에 의해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부; 상기 왕복이동간의 천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끈; 및 상기 고정끈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소리발생부의 충돌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가 소리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리적 알림수단은,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제1 출입구를 가르키는 방향 또는 제2 출입구를 가르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복도측에 위치한 작업자를 타격하는 타격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타격형가이드부가 화재지점의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축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상기 분뇨에 온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온기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는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는 수중펌프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부에는 직선형 공기분사관과 곡선형 공기분사관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공기공급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공기분사관 및 곡선형 공기분사관은 상기 공기공급부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는,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여 분뇨를 교반하고, 분뇨에서 발생되게 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뇨 내부의 미생물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가 저장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직선형 공기분사관과, 곡선형 공기분사관과, 승강구동부 및 온기공급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하우스부와, 케이스와, 대피안내부와, 화재감지센서와, 물리적 알림수단 및 청각적 알림수단을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1 케이스와, 제1 대피안내부 및 제1 인출입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2 케이스와, 제2 대피안내부 및 제2 인출입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1 물리적 알림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1 인출입부와, 제2 인출입부와, 화재감지센서와, 제어부와, 펌프와, 솔레노이드 및 모터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가 저장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직선형 공기분사관과, 곡선형 공기분사관과, 승강구동부 및 온기공급부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1)는, 공기공급부(10) 및 승강구동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는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시켜 교반하는 구성이다.
공기공급부(10)는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중펌프(132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공급부(10)는 수중펌프(1321)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세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수중펌프(1321)의 미세공기 분출압력을 이용하여 분뇨에 공급함으로써, 분뇨의 경화 및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중펌프(1321)에서 생성되는 공기는 미세입자로 분뇨에 공급되어 용해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공급부(10)가 분출작동에 의해 미세공기를 분뇨에 공급하는 경우, 수중펌프(1321)의 분출압에 의해 분뇨를 교반기로 교반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어, 분뇨에서 발생되게 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공기공급부(10)인 수중펌프(1321)를 이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별도의 도움 없이 수중펌프(1321)의 흡입 토출력만을 이용하여 미세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고, 수중펌프(1321)가 미세공기를 분사할 때 작은 알갱이 형태의 버블이 형성되어 분뇨 내부의 미생물을 촉진시켜 분뇨를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공기공급부(10)는 저장조(2) 내의 분뇨에 미세공기를 고루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중펌프(1321)에는 미세공기를 분뇨에 분사하는 분사관(11)이 형성된다.
분사관(11)의 끝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바, 이 플랜지에는 직선형 공기분사관(12) 또는 곡선형 공기분사관(13)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직선형 공기분사관(12) 또는 곡선형 공기분사관(13)에는 분사관(11)의 플랜지와 볼팅 결합되는 플랜지(P)가 형성된다.
직선형 공기분사관(12)은 내부에 직선형의 분사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직선형 공기분사관(12)는 원심 교반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곡선형 공기분사관(13)는 내부에 곡선형의 분사통로가 형성된다.
곡선형 공기분사관(13)는 상,하,좌,우 30도 내지 40도 각도에 맞춰 미세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b)의 곡선형 공기분사관(13)는 배출구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분사관(11)에 결합된 것으로, 곡선형 공기분사관(13)는 분사관(11)에 플랜지(P)를 통해 결합됨으로, 배출구가 상 방향, 좌 방향, 우 방향을 향하도록 분사관(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건이나 용도에 따라 분사관(11)에 직선형 공기분사관(12) 또는 곡선형 공기분사관(13)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미세공기의 분사방향을 조절하거나 미세공기의 분사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저장조(2)의 외벽에는 제어판넬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판넬에는 수중펌프(1321)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버튼을 통해 수중펌프(1321)를 작동시켜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면 된다.
이러한 수중펌프(1321)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그 작동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판넬에는 수중펌프(1321)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설정 프로그램 등이 설치되고, 더하여 설정 프로그램과 연결되는 조작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조작수단은 번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분뇨의 양이나 기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조작수단을 통해 수중펌프(1321)의 작동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공기공급부(10)는 승강구동부(20)에 의해 승강되고, 그 과정에서 분뇨에 잠기게 됨으로, 방수커버나 방수 케이스에 씌워진 상태로 분뇨에 공기공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1)는 이러한 공기공급부(10)를 통해 별도의 교반기를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분뇨를 교반할 수 있어, 종래 저장조(2)에서 필수로 갖춰야 했던 교반기 및 에어콤프레셔를 마련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로 인해 분뇨 분해 촉진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 하고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20)는 공기공급부(10)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구동부(20)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신축 작동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나 로드레스 실린더와 같은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승강구동부(20)가 유압실린더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승강구동부(20)는 피스톤은 저장조(2)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저장조(2)에 설치된다.
승강구동부(20)의 피스톤이 점진적으로 하강되면 공기공급부(10)도 점진적으로 하강되어 분뇨에 잠기게 되고, 승강구동부(20)의 피스톤이 점진적으로 상승되면 공기공급부(10)도 점진적으로 상승되어 결국, 분뇨에서 인출된다.
나아가, 제어판넬에는 승강구동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버튼을 통해 공기공급부(10)를 작동시킨 다음, 승강구동부(20)를 작동시켜 공기공급부(10)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면, 공기공급부(10)가 분뇨 상에서 승강되면서 미세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공기공급부(10)의 미세공기를 분뇨에 보다 고루게 공급할 수 있어, 분뇨 분해와 교반율을 향상시키고, 미생물 증식 촉진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1)는 분사관(11)에 가열된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공급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기공급부(30)는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기공급부(30)는 연결관(31)을 매개로 분사관(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온기공급부(30)의 온풍은 분사관(11)을 거쳐 분사관(11)으로 공급된 후, 직선형 공기분사관(12) 또는 곡선형 공기분사관(13)를 통해 배출되어 분뇨에 공급된다.
이때, 제어판넬에는 온기공급부(30)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과 같이 추운 날씨에 온기공급부(30)도 작동시켜 분뇨에 온풍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분뇨 분해와 교반율을 향상시키고, 미생물 증식 촉진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1)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하우스부와, 케이스와, 대피안내부와, 화재감지센서와, 물리적 알림수단 및 청각적 알림수단을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1 케이스와, 제1 대피안내부 및 제1 인출입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2 케이스와, 제2 대피안내부 및 제2 인출입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1 물리적 알림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뇨 분해 촉진장치에 적용된 제1 인출입부와, 제2 인출입부와, 화재감지센서와, 제어부와, 펌프와, 솔레노이드 및 모터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공기공급부(10)와, 승강구동부(20)와, 온기공급부(30) 이외에도 하우스부(40)와, 제1 케이스(50)와, 제1 대피안내부(60)와, 제2 케이스(70)와, 제2 대피안내부(80)와, 제1 인출입부(90)와, 제2 인출입부(100)와, 화재감지센서(110)와, 제어부(120)와, 제1 물리적 알림수단(130)과, 청각적 알림수단(140) 및 제2 물리적 알림수단(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출입부(90)와, 제2 인출입부(100)와, 화재감지센서(110)와, 제어부(120)와, 제1 물리적 알림수단(130)과, 청각적 알림수단(140) 및 제2 물리적 알림수단(150)은 화재시 정전될 경우에도 작동하도록 비상전원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태양광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기는 하우스부(40)의 옥상 또는 하우스부(40)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스부(4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제1 출입구(40a)와 제2 출입구(40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스부(40)의 내부에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복도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하우스부(40)의 내부에는 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스부(4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조(2)가 수용된다.
저장조(2)는 하우스부(40)의 내부에 복수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나열배치 된다.
이러한 하우스부(40)는 창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스부(40)는 조립식 판넬을 창고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거나 벽돌을 창고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스부(40)에는 창문 및 환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스부(40)를 통해 저장조(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조(2)를 관리하는 작업자가 실내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케이스(50)는 하우스부(40)의 복도 일측에 시공되어 있는 벽체에 설치된다.
제1 케이스(50)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출입홀(5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대피안내부(60)는 제1 케이스(5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제1 대피안내부(60)는 제1 출입홀(50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제1 대피안내부(60)는 제1 출입홀(50a)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대피안내부(60)는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제1 경사안내면(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피안내부(60)는 일 예로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안내면(61)에는 화재나 지진 등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됨으로 인해, 조명이 소등되어 복도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야광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경사안내면(61)을 통해 시력이 좋지 않은 작업자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제2 케이스(70)는 하우스부(40)의 벽체에 설치되고 제1 케이스(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케이스(70)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출입홀(7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2 대피안내부(80)는 제2 케이스(7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제2 대피안내부(80)는 제2 출입홀(70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제2 대피안내부(80)는 제2 출입홀(70a)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대피안내부(80)는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제2 출입구(40b) 방향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제2 경사안내면(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피안내부(80)는 일 예로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안내면(81)에는 화재나 지진 등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됨으로 인해, 조명이 소등되어 복도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야광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경사안내면(81)을 통해 시력이 좋지 않은 작업자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제1 인출입부(90)는 제1 대피안내부(60)를 제1 케이스(5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출입 시키는 구성이다.
제1 인출입부(90)는 제1 케이스(50)의 내부 벽면에 결합된다.
제1 인출입부(9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출입부(90)는 제1 대피안내부(6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따라서, 제1 인출입부(90)와 제1 대피안내부(60)는 서로 1:1 결합된다.
제1 인출입부(90)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제1 대피안내부(60)가 제1 출입홀(50a)을 통해 복도로 인출되어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대피를 안내한다.
제2 인출입부(100)는 제2 대피안내부(80)를 제2 케이스(7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출입 시키는 구성이다.
제2 인출입부(100)는 제2 케이스(70)의 내부 벽면에 결합된다.
제2 인출입부(10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출입부(100)는 제2 대피안내부(8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따라서, 제2 인출입부(100)와 제1 대피안내부(60)는 서로 1:1 결합된다.
제2 인출입부(100)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제2 대피안내부(80)가 제2 출입홀(70a)을 통해 복도로 인출되어 제2 출입구(40b) 방향으로 대피를 안내한다.
화재감지센서(11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복도의 벽체 또는 천장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감지하여 제1 인출입부(90) 또는 제2 인출입부(100)에 작동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화재감지센서(110)는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120)에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20)는 작업자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제1 인출입부(90) 또는 제2 인출입부(1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1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가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안내하도록 제1 인출입부(90)와 제2 인출입부(1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출입구(40b) 측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2 출입구(40b) 측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제2 출입구(40b) 측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구(40a) 측으로 대피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2 출입구(40b) 측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제2 출입구(40b)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1 인출입부(90)들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제1 인출입부(90)들은 제1 대피안내부(60)를 각각 전진시켜 복도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피안내부(60)들의 모든 제1 경사안내면(61)도 복도측으로 돌출되며, 제1 경사안내면(61)은 제2 출입구(40b)방향에서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대피안내부(60)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가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의 신체부위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 제1 경사안내면(6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원활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복도의 제1 출입구(40a)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1 출입구(40a) 방향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복도의 제1 출입구(40a)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구(40b)로 대피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1 출입구(40a) 방향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2 인출입부(100)들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제2 인출입부(100)들은 제2 대피안내부(80)를 각각 전진시켜 복도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피안내부(80)들의 모든 제2 경사안내면(81)도 복도측으로 돌출되며, 제2 경사안내면(81)은 제1 출입구(40a) 방향에서 제2 출입구(40b)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대피안내부(80)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구(40b)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가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의 신체부위로 경사진 상태로 셋팅된 제2 경사안내면(8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구(40b)로 원활하게 대파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하우스부(40)의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들이 화재지점으로 잘못 대피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짧은 시간 안에 대피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자가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물리적 알림수단(130)은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려주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부(131)와, 공급부(132) 및 분사관(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31)는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부(131)는 제1 케이스(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31)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3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부(131)는 제1 출입구(40a)와 제2 출입구(40b)의 사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공급부(13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본체부(131)의 빈 공간 바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공급부(132)는 펌프(1321) 및 소화수 또는 알갱이탄으로 형성되는 위치알림부재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알갱이탄은 작업자에게 발사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관(133)은 본체부(131)의 빈 공간 바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공급부(132)로부터 위치알림부재를 각각 공급받아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전술한 제1 인출입부(90) 또는 제2 인출입부(100)를 작동시키면서 펌프(1321)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정전으로 인해 하우스부(40)의 복도가 어둡거나 시력이 좋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다.
그러나, 화재발생시 펌프(1321)가 위치알림부재를 복도측으로 발사시키면 작업자가 위치알림부재가 발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에 신속하게 도달한 후,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청각적 알림수단(140)은 제1 물리적 알림수단(130)에 설치되며,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의 위치를 소리로 알려주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청각적 알림수단(140)은 왕복이동가이드(141)와, 소리발생부(142)와, 솔레노이드(143)와, 스파크 발생부(144)와, 고정끈(145) 및 부가 소리발생부(1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왕복이동가이드(141)는 본체부(131) 상면에 설치된다.
왕복이동가이드(141)는 내부에 왕복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전면과, 우측면 및 좌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의 개구부가 복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소리발생부(142)는 왕복이동공간에 배치된다.
소리발생부(142)는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리발생유닛(1421)이 수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솔레노이드(143)는 왕복이동가이드(141)의 우측면 개구부 및 좌측면 개구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전술한 제1 인출입부(90) 또는 제2 인출입부(100)를 작동시키면서 펌프(1321) 및 솔레노이드(143)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43)는 소리발생부(142)를 서로 교번되게 타격하여 왕복이동공간을 따라 양방향 이동시킨다.
우측에 위치된 솔레노이드(143)가 소리발생부(142)를 타격하여 왕복이동공간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측에 위치된 솔레노이드(143)가 소리발생부(142)를 타격하여 왕복이동간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소리발생부(142)는 화재발생시 작동되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143)를 통해 왕복이동공간의 우측에서 좌측, 좌측에서 우측으로 반복적으로 구름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소리발생부(142)와 왕복이동가이드(141)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 소리발생부(142)가 왕복이동가이드(141)를 따라 구름이동할 때 발생되는 마찰음 및 소리발생부(142)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소리발생유닛(1421)들 간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스파크 발생부(144)는 왕복이동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스파크 발생부(144)는 소리발생부(142)가 충돌할 시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즉, 소리발생부(142)는 솔레노이드(143)에 의해 왕복이동공간의 일측과 타측으로 왕복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스파크 발생부(144)와의 마찰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켜, 정전이 발생되더라도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가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끈(145)은 왕복이동간의 천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부가 소리발생부(146)는 고정끈(145)에 각각 결합되며 왕복이동간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소리발생부(142)의 충돌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즉, 소리발생부(142)가 왕복이동공간을 왕복이동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고, 그 과정에서 소리발생유닛(1421)이 추가 적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며, 소리발생부(142)가 왕복이동공간을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부가 소리발생부(146)와 일정간격으로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1 대피안내부(60) 및 제2 대피안내부(80)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물리적 안내수단은 청각적 알림수단(140)에 설치되고,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제1 대피안내부(60) 또는 제2 대피안내부(80)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려주는 구성이다.
모터(151)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왕복이동가이드(141)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모터(151)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잇다.
타격형가이드(152)부는 모터(151)에 의해 제1 출입구(40a)를 가르키는 방향 또는 제2 출입구(40b)를 가르키는 방향으로 각각 제자리 회전되면서 복도에서 전방으로 이동해온 작업자를 타격한다.
타격부는 헝겊이나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151)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타격형가이드(152)부는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그리고, 모터(151)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타격형가이드(152)부는 제2 출입구(40b)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타격형가이드(152)부가 화재지점의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모터축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즉, 제2 출입구(40b) 측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제2 출입구(40b)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151)의 모터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타격형가이드(152)부는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작업자를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타격형가이드(152)부의 타격 반대 방향인 제1 출입구(40a) 방향으로 대피하면 된다.
그리고, 제1 출입구(40a) 측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제1 출입구(40a)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151)의 모터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타격형가이드(152)부는 제2 출입구(40b)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작업자를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타격형가이드(152)부의 타격 반대 방향인 제2 출입구(40b) 방향으로 대피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분뇨 분해 촉진장치 10 : 공기공급부
11 : 분사관 12 : 직선형 공기분사관
13 : 곡선형 공기분사관 20 : 승강구동부
30 : 온기공급부 31 : 연결관
40 : 하우스부 40a : 제1 출입구
40b : 제2 출입구 50 : 제1 케이스
50a : 제1 출입홀 60 : 제1 대피안내부
61 : 제1 경사안내면 70 : 제2 케이스
70a : 제2 출입홀 80 : 제2 대피안내부
81 : 제2 경사안내면 90 : 제1 인출입부
100 : 제2 인출입부 110 : 화재감지센서
120 : 제어부 130 : 제1 물리적 알림수단
131 : 본체부 132 : 공급부
1321 : 펌프 1322 : 저장탱크
133 : 분사관 140 : 청각적 알림수단
141 : 왕복이동가이드 142 : 소리발생부
1421 : 소리발생유닛 143 : 솔레노이드
144 : 스파크 발생부 145 : 고정끈
146 : 부가 소리발생부 150 : 제2 물리적 알림수단
151 : 모터 152 : 타격형가이드

Claims (4)

  1.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공기를 공급하여 교반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공급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저장조를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용하며, 일측과 타측에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부에 작업자가 이동하는 복도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스부;
    상기 하우스부의 복도 일측에 시공된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출입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서 상기 제1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화재발생 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출입구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경사안내면을 포함하는 제1 대피안내부;
    상기 하우스부의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출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화재발생 시 작업자에게 상기 제2 출입구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경사안내면을 포함하는 제2 대피안내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대피안내부를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1 인출입부;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대피안내부를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2 인출입부;
    상기 하우스부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화재신호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가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인출입부와 상기 제2 인출입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벽체에 설치되고,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려주는 제1 물리적 알림수단;
    상기 제1 물리적 알림수단에 설치되며,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의 위치를 소리로 알려주는 청각적 알림수단; 및
    상기 청각적 알림수단에 설치되고,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대피안내부 또는 제2 대피안내부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려주는 제2 물리적 알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물리적 알림수단은,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소화수 또는 알갱이탄으로 형성되는 위치알림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로부터 위치알림부재를 각각 공급받아 복도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각적알림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왕복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및 양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개구부가 복도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왕복이동가이드;
    상기 왕복이동공간에 배치되며, 내부공간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리발생유닛이 수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소리발생부;
    상기 왕복이동가이드의 양측면 개구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소리발생부를 서로 교번되게 타격하여 상기 왕복이동공간을 따라 양방향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왕복이동공간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리발생부의 충돌에 의해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부;
    상기 왕복이동간의 천장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끈; 및
    상기 고정끈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소리발생부의 충돌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가 소리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리적 알림수단은,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제1 출입구를 가르키는 방향 또는 제2 출입구를 가르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복도측에 위치한 작업자를 타격하는 타격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타격형가이드부가 화재지점의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축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분뇨 분해 촉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에 온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온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분뇨 분해 촉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분뇨에 미세공기를 공급하는 수중펌프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부에는 직선형 공기분사관과 곡선형 공기분사관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공기공급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공기분사관 및 곡선형 공기분사관은 상기 공기공급부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 분뇨 분해 촉진장치.
  4. 삭제
KR1020220096073A 2022-08-02 2022-08-02 분뇨 분해 촉진장치 KR102535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073A KR102535246B1 (ko) 2022-08-02 2022-08-02 분뇨 분해 촉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073A KR102535246B1 (ko) 2022-08-02 2022-08-02 분뇨 분해 촉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246B1 true KR102535246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073A KR102535246B1 (ko) 2022-08-02 2022-08-02 분뇨 분해 촉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24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198U (ja) * 1983-10-12 1985-05-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ポスト用熱交換型二重管散気装置
KR950033242U (ko) * 1994-05-14 1995-12-16 최영숙 분뇨 급속 발효 장치
KR20050080811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축산분뇨 및 축산분뇨 액비 탱크의 악취를 저감하고부숙을 촉진하는 방법
KR100759114B1 (ko) 2006-09-04 2007-09-19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에 의한 분뇨처리장치
KR101911321B1 (ko) * 2017-05-18 2019-01-04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호기성 매립지의 수분 재순환 시스템
KR20190011161A (ko) * 2017-07-24 2019-02-01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KR101955553B1 (ko) * 2018-06-22 2019-03-07 주식회사 한조 가스공급용 이중관 구조의 파이프라인 및 그의 제작방법
KR20190044193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해창 유기성 폐기물 발효 장치
KR20190056774A (ko) * 2017-11-17 2019-05-27 유한회사 축산냄새연구소 사카로미세스, 바실러스, 및 락토바실러스를 포함하는 악취 제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KR102318901B1 (ko) * 2021-04-29 2021-10-28 정종균 퇴비 발효 종균 분배기
KR102320412B1 (ko) * 2020-08-05 2021-11-02 안병태 축산분뇨 발효장치
KR102411039B1 (ko) * 2022-03-23 2022-06-22 원정희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198U (ja) * 1983-10-12 1985-05-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ポスト用熱交換型二重管散気装置
KR950033242U (ko) * 1994-05-14 1995-12-16 최영숙 분뇨 급속 발효 장치
KR20050080811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축산분뇨 및 축산분뇨 액비 탱크의 악취를 저감하고부숙을 촉진하는 방법
KR100759114B1 (ko) 2006-09-04 2007-09-19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에 의한 분뇨처리장치
KR101911321B1 (ko) * 2017-05-18 2019-01-04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호기성 매립지의 수분 재순환 시스템
KR20190011161A (ko) * 2017-07-24 2019-02-01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KR20190044193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해창 유기성 폐기물 발효 장치
KR20190056774A (ko) * 2017-11-17 2019-05-27 유한회사 축산냄새연구소 사카로미세스, 바실러스, 및 락토바실러스를 포함하는 악취 제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KR101955553B1 (ko) * 2018-06-22 2019-03-07 주식회사 한조 가스공급용 이중관 구조의 파이프라인 및 그의 제작방법
KR102320412B1 (ko) * 2020-08-05 2021-11-02 안병태 축산분뇨 발효장치
KR102318901B1 (ko) * 2021-04-29 2021-10-28 정종균 퇴비 발효 종균 분배기
KR102411039B1 (ko) * 2022-03-23 2022-06-22 원정희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218B2 (en) Gas inj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204265656U (zh) 智能高温环保制肥一体机
US10570026B2 (en) Leachate treatment and redu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535246B1 (ko) 분뇨 분해 촉진장치
KR101219728B1 (ko) 톱밥 탈취기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567525B1 (ko)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의 숙성조
CN208791446U (zh) 一种用于含油固废微生物降解处理的撬装设备
CN109959010B (zh) 一种垃圾矿化处理方法
KR100490287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실 구조
KR100823604B1 (ko) 토착미생물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액비생산장치 및 방법
JP5215524B2 (ja) 堆肥発酵処理システム及び排気方法
KR20120116605A (ko) 이동식 하, 폐수 고도처리시설
CN108025991A (zh) 有机废料的堆肥化中的通气系统
KR101876764B1 (ko)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KR102037960B1 (ko) 오염공기 정화장치
CN218025803U (zh) 养殖场固液混合粪污处理系统
WO2019237134A1 (en) Aerobic composting chamber and method of treating waste using such a chamber
JP7437233B2 (ja)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方法
JPS5855118B2 (ja) 堆肥化装置
CN207628212U (zh) 生物除臭反应器
CN113105279A (zh) 一种多级即时返混的好氧堆肥反应装置及其工作方法
CN218982673U (zh) 一种生物堆系统
CN220317420U (zh) 一种智能一体式污水处理机
JP7408483B2 (ja) 換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