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039B1 -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039B1
KR102411039B1 KR1020220035707A KR20220035707A KR102411039B1 KR 102411039 B1 KR102411039 B1 KR 102411039B1 KR 1020220035707 A KR1020220035707 A KR 1020220035707A KR 20220035707 A KR20220035707 A KR 20220035707A KR 102411039 B1 KR102411039 B1 KR 10241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ir
elevating
treated water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정희
Original Assignee
원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희 filed Critical 원정희
Priority to KR102022003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7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8Combined use of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being added in the same treatment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고액분리기와 폭기조를 통해 가축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Livestock manure treatment facility system}
본 발명은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고액분리기와 폭기조를 통해 가축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가축분뇨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로서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류를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미처리 상태로 수계에 방류되면 하천, 호수 등의 부영양화를 가속화시켜 상수원수로서 가치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결국 수중생태계를 파괴하게 된다. 또한, 고농도의 난분해성 물질, 악취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생물학적 처리방식에 의하여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처리수를 얻기 힘들다.
위와 같은 어려움 때문에 가축분뇨의 처리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가축분뇨의 처리 방식으로는 크게 생물학적 처리방식과 물리화학적 처리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처리방식은 공기의 주입유무에 따라 호기성 소화법, 혐기성 소화법으로 구분되는데, 단시간에 대용량의 원수처리를 원하면 호기성으로 처리하고, 장시간에 걸쳐 원수의 희석 없이 전처리를 하면서 부수적으로 유용한 가스를 얻고자 한다면 혐기성 처리를 한다.
상기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에는 스크린, 탈수기, 원심분리기, 응집부상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원수의 성상, 제거율에 따라 단독 처리하거나 2~3개를 조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가축분뇨가 정화 처리된 처리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갈색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상기의 생물학적 처리방식 및 물리화학적 처리방식과 병행하여 질소화합물(NH3-N, organic-N), 난분해성 유기물질(persistent organic substances) 그리고 색도(color)를 처리하는 전기화학적 처리방식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가축분뇨를 정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상기 전기분해를 이용한 가축분뇨 처리 기술 중의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593497호에 반류수 전기분해를 이용한 고도 하폐수처리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에 따른 하폐수처리시스템은 유입하수 내의 고형물질을 침전/분리시키는 부유물질 제거조와; 상기 부유물질 제거조의 유출수와 전기분해 처리된 반류수와 고액분리된 반송슬러지로부터 유기물질 및 영양소를 제거하는 생물반응조와; 상기 생물반응조 내의 혼합 부유물질로부터 미생물을 고액분리하여 최종 처리수를 얻어내는 막 혹은 침전지 등의 고액분리조와; 상기 부유물질 제거조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와 생물반응조 혹은 고액분리조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하여 슬러지케익과 반류수를 배출하는 슬러지처리조와; 상기 슬러지 처리조에서 발생하는 반류수를 전기분해 처리하여 상기 생물 반응조로 보내는 전기분해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유기물의 분해 및 질산화를 위해서는 생물반응조에 산소와 수소가 적절히 공급되어야 하며, 고농도 유기물에서 활동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육 조건을 만족해야 하고, 질산화에 따른 처리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93497호
본 발명은 원심고액분리기와 폭기조의 구성을 이용하여 가축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은, 폴리머용해액을 교반시키기 위해 폴리머저장조 내부로 형성되는 폴리머용해교반기와, 외부로부터 처리수와 폴리머용해액이 교반되어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폴리머저장조와, 외부에서 FeCl3탱크로리로부터 FeCl3용액을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FeCl3탱크와, FeCl3탱크에 저장된 FeCl3용액을 원수저장조 측으로 주입하기 위해 FeCl3탱크 일측으로 형성되는 주입펌프와, 축사에서 발생되는 가축의 분뇨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FeCl3탱크로부터 제공되는 FeCl3용액과 고압펌프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어 FeCl3용액과 혼합되도록 형성되는 원수저장조와, 원수저장조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분뇨와 FeCl3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이 투입되어 고형물과 분리액으로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원심고액분리기와, 원심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되는 고형물이 배출되도록 원심고액분리기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형물배출구와, 원심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되는 분리액이 배출되도록 원심고액분리기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분리액배출구와, 고형물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물을 타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고형물배출구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형물컨베어와, 분리액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리액을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유량저장조와, 유량조정조 내에 저장되는 분리액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유량조고압블로어와, 유량조정조 내에 저장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분리액을 전탈질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량조정조 내부에 형성되는 조정조이송펌프와, 유량조정조로부터 이동되는 분리액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전탈질조와, 전탈질조 내부에서 분리액이 공기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탈질조 내부에 형성도는 분리액교반모터와, 전탈질조에서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 분리액에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로 산소의 양을 증가시켜 혼합시킴으로 정화시키기 위해 전탈질조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폭기조와, 폭기조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폭기조고압블로어와, 처리수를 흡입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재낙수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폭기조 중 후탈질조와 맞닿는 측의 폭기조 내부에 형성되는 소포펌프와, 처리수에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메탄올과 혼합시키기 위해 폭기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후탈질조와, 주입되는 메탄올과 폭기조에서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 처리수를 교반시키기 위해 후탈질조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처리수교반모터와, 후탈질조 내에서 메탄올과 혼합된 처리수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양을 증폭시켜 정화처리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재폭기조와, 재폭기조를 통해 정화처리되는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원수저장조 측으로 분류배출시키기 위해 재폭기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막분리조와, 정화처리가 완료된 처리수를 막분리조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처리수조와, 처리수조로부터 처리수를 제공받아 필터링하기 위해 형성되는 분뇨처리수백필터와, 상기 분뇨처리수백필터를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를 필터링하기 위해 마이크로입자의 크기로 형성되는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분뇨처리수백필터와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를 고압으로 당겨 처리수가 필터링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고압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은, 폭기조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공기가 폭기조 내부에서 원활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폭기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폭기승하강수단은, 승하강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폭기조 내부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대와, 승하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승하강대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홈과, 승하강홈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부재와,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승하강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승하강실린더의 작동시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부재 상면에 연결 형성되는 연결대와,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제공받는 공기가 폭기조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승하강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관지지대와,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제공받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관지지대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유동관과,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제공받는 공기를 주름관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폭기조고압블로어에 연결되고, 타측이 주름관에 연결 형성되는 블로어관과,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시 이완과 수축이 될 수 있도록 일측이 블로어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기주입관에 연결 형성되는 주름관과, 공기유동관 측으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주름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기유동관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공기주입관과, 공기유동관으로부터 와류부재측으로 공기를 제공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와류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공기유동관 외면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부재체결부재와, 와류부재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부재체결부재 내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체결홈과, 부재체결부재 중앙으로 관통된 홀으로부터 공기유동관에 제공된 공기가 배출시 와류를 발생시켜 폭기조 내의 처리수로 분사되는 공기가 처리수와 혼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부재체결부재 상부로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와류부재와, 돌기체결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와류부재 하부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심고액분리기와 폭기조를 사용하여 가축분뇨를 탈수슬러지와 농업용수 및 산업용수로 분리하여 재사용하도록 하여 토양 및 수질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와 도 1b와 도 1c는 본 발명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에 대한 시스템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에인 폭기승하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고형블럭제조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대한 필터링하기 위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와 도 1c는 본 발명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100)에 대한 시스템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100)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100)은 폴리머용해교반기(110), 폴리머저장조(111), FeCl3탱크(120)(염화제이철용액), 주입펌프(121), 원수저장조(130), 원심고액분리기(140), 고형물배출구(141), 분리액배출구(142), 고형물컨베어(143), 유량조장조(152), 유량조고압블로어(151), 조정조이송펌프(152), 전탈질조(160), 분리액교반모터(161), 폭기조(170), 폭기조고압블로어(171), 소포펌프(172), 후탈질조(180), 처리수교반모터(181), 재폭기조(190), 막분리조(200), 처리수조(210), 분뇨처리수백필터(220),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230), 분뇨고압펌프(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성 간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폴리머용해교반기(110)는 폴리머용해를 교반시기 위해 형성되며, 폴리머용해교반기(110)를 통해 교반된 폴리머용해가 펌프를 통해 폴리머용해조 측으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FeCl3탱크(120)는 FeCl3탱크(120)로리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되도록 형성되며, FeCl3는 염화제이철용액이다.
상기 주입펌프(121)는 FeCl3탱크(120)에 저장되는 FeCl3용액을 원수저장조(130) 측으로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원수저장조(130)는 축사에서 발생되는 가축의 분뇨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수저장조(130)에 FeCl3탱크(120)로부터 FeCl3용액을 제공받으며, 고압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분뇨와 FeCl3 용액이 혼합되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심고액분리기(140)는 원수저장조(130)로부터 펌프를 통해 분뇨와 FeCl3용액의 혼합된 혼합물의 투입시 고형물과 분리액으로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심고액분리기(140) 일측으로는 분리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형성되며,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고형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으로 고형물배출구(141)가 형성되며, 하부 타측으로 분리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분리액배출구(1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심고액분리기(140)는 외부로 탱크형태의 챔버가 형성되며, 내부의 분리관이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 고형물과 분리액을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고형물배출구(141)는 원심고액분리기(140)에서 분리되는 고형물이 배출되도록 원심고액분리기(140)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형물배출구(141)에서 배출되는 고형물이 고형물컨베어(143) 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액배출구(142)는 원심고액분리기(140)에서 분리되는 분리액이 배출되도록 원심고액분리기(140) 타측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액배출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분리액은 유량조정조(150)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고형물컨베어(143)는 고형물배출구(141)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물을 타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형물컨베어(143)는 고형물배출구(141) 하부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유량조정조(150)는 분리액배출구(142)로부터 배출되는 분리액을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량조고압블로어(151)는 유량조정조(150) 내에 저장되는 분리액 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정조이송펌프(152)는 유량조정조(150) 내에 저장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분리액을 전탈질조(16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량조정조(15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탈질조(160)에서 막분리조(200)까지는 조와 조 사이가 격벽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격벽 상부로 형성되는 홈으로 넘쳐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전탈질조(160)는 유량조정조(150)로부터 이동된 분리액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탈질조(160) 내부로 분리액교반모터(161)가 형성되어 분리액교반모터(161)의 구동으로, 분리액과 같이 이동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고르게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폭기조(170)는 공기, 즉, 산소의 양을 증가시켜 분리액과 혼합시킴으로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폭기조(170)는 전탈질조(160)에서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 분리액을 저장하여 제공받는 공기와 혼합시켜 정화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폭기조(170)는 전탈질조(16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폭기조고압블로어(171)는 폭기조(17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여 미세 공기방울이 발생되도록 함으로, 공기, 즉, 산소양을 증폭시켜 분리액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극대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폭기조(170)를 거쳐 이동되는 분리액은 후탈질조(180) 측으로 이동시 처리수로 명기한다.
상기 소포펌프(172)는 복수개의 폭기조(170) 중 후탈질조(180)와 맞닿는 측의 폭기조(17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폭기조(170) 내의 처리수를 흡입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재낙수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후탈질조(180)는 처리수에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메탄올을 혼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탈질조(180)는 폭기조(17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수교반모터(181)는 후탈질조(18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주입되는 메탄올과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 처리수를 교반시켜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폭기조(190)는 후탈질조(180) 내에서 메탄올가 혼합된 처리수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한번더 산소양을 증폭시켜 정화처리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후탈질조(180) 타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막분리조(200)는 재폭기조(190)를 통해 정화처리되는 처리수를 처리수조(210)와 원수저장조(130) 측으로 분류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막분리조(200)는 재폭기조(19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조(210)는 정화처리가 완료된 처리수를 막분리조(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수조(210) 내부에는 고압블로어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계속해서 제공받도록 하여 처리수의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뇨처리수백필터(220)는 처리수조(210)로부터 처리수를 제공받아 필터링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필터링된 처리수는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230) 측으로 제공한다.
상기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230)는 상기 분뇨처리수백필터(220)를 통해 필터링된 처리수를 마이크로입자의 필터를 통해 필터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230)에서 필터링된 처리수는 분뇨고압펌프(240)에 의해 방류관을 통해 방류시키거나, 재사용관을 통해 농업용수 또는 산업용수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뇨고압펌프(240)는 분뇨처리수백필터(220)와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230)를 고압으로 당겨 처리수가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된 처리수를 방류관과 재사용관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에인 폭기승하강수단(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가이, 상기 폭기승하강수단(300)은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폭기승하강수단(300)은 폭기조(170)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공기가 폭기조(170) 내부에서 원활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기승하강수단(300)은 승하강대(310), 승하강홈(311), 승하강부재(312), 승하강실린더(313), 연결대(314), 관지지대(315), 공기유동관(316), 블로어관(317), 주름관(318), 공기주입관(319), 부재체결부재(320), 돌기체결홈(321), 와류부재(322), 체결돌기(3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대(310)는 승하강부재(31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대(310)는 폭기조(170) 내부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홈(311)은 승하강부재(3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홈(311)은 승하강대(310)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312)는 승하강홈(311)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313)는 승하강부재(312)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실린더(313)는 승하강대(3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314)는 승하강실린더(313)의 작동시 승하강부재(312)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대(314)는 일측이 승하강실린더(313)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부재(312) 상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지지대(315)는 폭기조고압블로어(171)로부터 제공받는 공기가 폭기조(170)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지지대(315)는 승하강부재(312)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동관(316)은 폭기조고압블로어(171)로부터 제공받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유동관(316)은 관지지대(315)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어관(317)은 폭기조고압블로어(171)로부터 제공받는 공기를 주름관(3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블로어관(317)은 일측이 폭기조고압블로어(171)에 연결되고, 타측이 주름관(318)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관(318)은 승하강부재(312)의 승하강시 이완과 수축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름관(318)은 일측이 블로어관(317)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기주입관(319)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주입관(319)은 공기유동관(316) 측으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주입관(319)은 일측이 주름관(318)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기유동관(316)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체결부재(320)는 공기유동관(316)으로부터 와류부재(322)측으로 공기를 제공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와류부재(322)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체결부재(320)는 공기유동관(316) 외면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체결홈(321)은 와류부재(322)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체결돌기(323)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체결홈(321)은 부재체결부재(320) 내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부재(322)는 부재체결부재(320) 중앙으로 관통된 홀으로부터 공기유동관(316)에 제공된 공기가 배출시 와류를 발생시켜 폭기조(170) 내의 처리수로 분사되는 공기가 처리수와 혼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류부재(322)는 부재체결부재(320) 상부로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323)는 돌기체결홈(32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돌기(323)는 와류부재(322) 하부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고형블럭제조수단(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가이, 상기 고형블럭제조수단(400)은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형블럭제조수단(400)은 고형물컨베어(143)를 통해 배출되는 고형물을 압축시켜 블럭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형블럭제조수단(400)은 압착고정판(410), 판지지대(411), 스프링부재(412), 하중스프링(413), 압착케이스(414), 액배출홀(415), 고형물안착판(416), 압착스프링(417), 압착부재(418), 압력센서(419), 밀착부재(420), 압축홀(421), 압착바(422), 홀가이드부재(423), 개폐모터(425), 개폐힌지(426), 개폐덮개(427), 밀착실린더(428), 압착판(4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고정판(410)은 압착판(429)의 압착시 압착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고정판(410)은 판지지대(4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지지대(411)는 압착고정판(4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지지대(411)는 일측이 압착고정판(410) 하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면에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부재(412)는 하중스프링(413)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부재(412)는 압착고정판(410) 상면과 압착케이스(414) 하면에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케이스(414)는 압착고정판(4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하중스프링(413)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배출홀(415)은 고형물의 압축시 고형물에 함유되어 있는 분리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액배출홀(415)은 압착케이스(414) 전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형물안착판(416)은 고형물컨베어(143)에서 배출되는 고형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형물안착판(416)은 압착케이스(414) 내부에서승하강되도록 압착스프링(417)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스프링(417)은 고형물의 압착시 고형물안착판(416)을 지지하며, 압착이후 고형물안착판(416)이 초기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스프링(417)은 압착케이스(414) 내부바닥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부재(418)는 고형물안착판(416)의 하강시 하중스프링(413)이 압착되어 밀착부재(420)와 접촉됨으로 압력센서(419)가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부재(418)는 고형물안착판(416)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419)는 압착부재(418)가 밀착부재(420)에 접촉시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밀착실린더(428)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력센서(419)는 압착부재(418)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420)는 압착부재(418)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420)는 압착고정판(410)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홀(421)은 홀가이드부대가 삽입되어 고형물안착판(416)의 하강시 압착고정판(410)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홀(421)은 압착고정판(410)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바(422)는 압착고정판(410)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바(422)는 압착부재(418)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가이드부재(423)는 압축홀(421)을 따라 슬라이드 승하강되는 압착바(422)가 흔들림없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홀가이드부재(423)는 압착바(422)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모터(425)는 개폐덮개(427)를 압착케이스(414)로부터 자동 개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모터(425)는 개폐힌지(42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힌지(426)는 개폐덮개(427) 일측과 압착케이스(414)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힌지(426)는 개폐모터(425)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덮개(427)는 개폐힌지(426)에 의해 압착케이스(414)와 개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428)는 압착판(429)을 고형물안착판(416) 측으로 밀착시켜 고형물을 블럭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428)는 개폐덮개(427)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판(429)은 밀착실린더(428)의 구동시 고형물안착판(416) 측으로 하강되어 고형물을 압착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판(429)은 밀착실린더(428)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
110 : 폴리머용해교반기 111 : 폴리머저장조
120 : FeCl3탱크 121 : 주입펌프
130 : 원수저장조 140 : 원심고액분리기
141 : 고형물배출구 142 : 분리액배출구
143 : 고형물컨베어 150 : 유량조정조
151 : 유량조고압블로어 152 : 조정조이송펌프
160 : 전탈질조 161 : 분리액교반모터
170 : 폭기조 171 : 폭기조고압블로어
172 : 소포펌프 180 : 후탈질조
181 : 처리수교반모터 190 : 재폭기조
200 : 막분리조 210 : 처리수조
220 : 분뇨처리수백필터 230 :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
240 : 분뇨고압펌프
300 : 폭기승하강수단 310 : 승하강대
311 : 승하강홈 312 : 승하강부재
313 : 승하강실린더 314 : 연결대
315 : 관지지대 316 : 공기유동관
317 : 블로어관 318 : 주름관
319 : 공기주입관 320 : 부재체결부재
321 : 돌기체결홈 322 : 와류부재
323 : 체결돌기
400 : 고형블럭제조수단 410 : 압착고정판
411 : 판지지대 412 : 스프링부재
413 : 하중스프링 414 : 압착케이스
415 : 액배출홀 416 : 고형물안착판
417 : 압착스프링 418 : 압착부재
419 : 압력센서 420 : 밀착부재
421 : 압축홀 422 : 압착바
423 : 홀가이드부재
425 : 개폐모터 426 : 개폐힌지
427 : 개폐덮개 428 : 밀착실린더
429 : 압착판

Claims (3)

  1.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정화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은,
    폴리머용해액을 교반시키기 위해 폴리머저장조 내부로 형성되는 폴리머용해교반기와,
    외부로부터 처리수와 폴리머용해액이 교반되어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폴리머저장조와,
    외부에서 FeCl3탱크로리로부터 FeCl3용액을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FeCl3탱크와,
    FeCl3탱크에 저장된 FeCl3용액을 원수저장조 측으로 주입하기 위해 FeCl3탱크 일측으로 형성되는 주입펌프와,
    축사에서 발생되는 가축의 분뇨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FeCl3탱크로부터 제공되는 FeCl3용액과 고압펌프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어 FeCl3용액과 혼합되도록 형성되는 원수저장조와,
    원수저장조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분뇨와 FeCl3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이 투입되어 고형물과 분리액으로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원심고액분리기와,
    원심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되는 고형물이 배출되도록 원심고액분리기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형물배출구와,
    원심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되는 분리액이 배출되도록 원심고액분리기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분리액배출구와,
    고형물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물을 타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고형물배출구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형물컨베어와,
    분리액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리액을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유량저장조와,
    유량조정조 내에 저장되는 분리액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유량조고압블로어와,
    유량조정조 내에 저장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분리액을 전탈질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량조정조 내부에 형성되는 조정조이송펌프와,
    유량조정조로부터 이동되는 분리액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전탈질조와,
    전탈질조 내부에서 분리액이 공기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탈질조 내부에 형성도는 분리액교반모터와,
    전탈질조에서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 분리액에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로 산소의 양을 증가시켜 혼합시킴으로 정화시키기 위해 전탈질조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폭기조와,
    폭기조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폭기조고압블로어와,
    처리수를 흡입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재낙수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폭기조 중 후탈질조와 맞닿는 측의 폭기조 내부에 형성되는 소포펌프와,
    처리수에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메탄올과 혼합시키기 위해 폭기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후탈질조와,
    주입되는 메탄올과 폭기조에서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 처리수를 교반시키기 위해 후탈질조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처리수교반모터와,
    후탈질조 내에서 메탄올과 혼합된 처리수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양을 증폭시켜 정화처리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재폭기조와,
    재폭기조를 통해 정화처리되는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원수저장조 측으로 분류배출시키기 위해 재폭기조 일측으로 형성되는 막분리조와,
    정화처리가 완료된 처리수를 막분리조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처리수조와,
    처리수조로부터 처리수를 제공받아 필터링하기 위해 형성되는 분뇨처리수백필터와,
    상기 분뇨처리수백필터를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를 필터링하기 위해 마이크로입자의 크기로 형성되는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분뇨처리수백필터와 분뇨처리수마이크로필터를 고압으로 당겨 처리수가 필터링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고압펌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은,
    폭기조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공기가 폭기조 내부에서 원활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폭기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폭기승하강수단은,
    승하강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폭기조 내부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대와,
    승하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승하강대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홈과,
    승하강홈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부재와,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승하강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승하강실린더의 작동시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부재 상면에 연결 형성되는 연결대와,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제공받는 공기가 폭기조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승하강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관지지대와,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제공받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관지지대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유동관과,
    폭기조고압블로어로부터 제공받는 공기를 주름관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폭기조고압블로어에 연결되고, 타측이 주름관에 연결 형성되는 블로어관과,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시 이완과 수축이 될 수 있도록 일측이 블로어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기주입관에 연결 형성되는 주름관과,
    공기유동관 측으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주름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기유동관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공기주입관과,
    공기유동관으로부터 와류부재측으로 공기를 제공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와류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공기유동관 외면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부재체결부재와,
    와류부재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부재체결부재 내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체결홈과,
    부재체결부재 중앙으로 관통된 홀으로부터 공기유동관에 제공된 공기가 배출시 와류를 발생시켜 폭기조 내의 처리수로 분사되는 공기가 처리수와 혼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부재체결부재 상부로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와류부재와,
    돌기체결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와류부재 하부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처리시설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35707A 2022-03-23 2022-03-23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KR10241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07A KR102411039B1 (ko) 2022-03-23 2022-03-23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07A KR102411039B1 (ko) 2022-03-23 2022-03-23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039B1 true KR102411039B1 (ko) 2022-06-22

Family

ID=8221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707A KR102411039B1 (ko) 2022-03-23 2022-03-23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246B1 (ko) * 2022-08-02 2023-05-26 이상현 분뇨 분해 촉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97B1 (ko) 2004-04-09 2006-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류수 전기분해를 이용한 고도 하폐수처리시스템
KR100906395B1 (ko) * 2007-07-18 2009-07-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폐수처리를 위한 고효율 축산 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035942B1 (ko) * 2010-11-24 2011-05-23 최일성 축산분뇨의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97B1 (ko) 2004-04-09 2006-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류수 전기분해를 이용한 고도 하폐수처리시스템
KR100906395B1 (ko) * 2007-07-18 2009-07-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폐수처리를 위한 고효율 축산 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035942B1 (ko) * 2010-11-24 2011-05-23 최일성 축산분뇨의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246B1 (ko) * 2022-08-02 2023-05-26 이상현 분뇨 분해 촉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529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7553418B2 (en) Method for water filtration
US5227051A (en) System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liquid
US5227136A (en) Bioslurry reactor for treatment of slurries containing minerals, soils and sludges
US6413427B2 (en) Nitrogen reduc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6663782B2 (en) System and method to treat livestock waste
KR101632325B1 (ko) 약품 혼합식 디켄터와 호기성 그래뉼 슬러지 선별장치가 결합된 하수처리장치
US5217617A (en) Multi-cell transportable bioslurry reactor
US200400748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fluid treatment
KR102411039B1 (ko) 가축분뇨 처리시설시스템
KR101417277B1 (ko) 폐수 응집 처리장치
KR20000034519A (ko)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2007001297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20090049671A (ko) 축산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처리장치
KR100871651B1 (ko)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장치
KR101994789B1 (ko) 이동형 중수도 정화장치
KR100457383B1 (ko) 호수 및 저수지의 수질 정화를 위한 퇴적물 처리방법 및 시스템
US4069156A (en) Sewage treatment system
CN208776398U (zh) 一种撬装式mbr污水处理装置
US20220227652A1 (en) Phosphorous extraction and recovery system
TW201819314A (zh) 微生物反應槽以及排水處理方法
KR100574672B1 (ko)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장치
DK201970806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olid organics from a flow of an effluent of partly digested biomass
US20070170113A1 (en) Insitu Grease/Biosolid Bioremediation Apparatus and Method
NO813255L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behandling av avvan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