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764B1 -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6764B1 KR101876764B1 KR1020160123906A KR20160123906A KR101876764B1 KR 101876764 B1 KR101876764 B1 KR 101876764B1 KR 1020160123906 A KR1020160123906 A KR 1020160123906A KR 20160123906 A KR20160123906 A KR 20160123906A KR 101876764 B1 KR101876764 B1 KR 101876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supply
- pipe
- supply pipes
- gas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 C05F17/027—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 C05F17/0258—
-
- C05F17/0282—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93—Arrangements for measuring process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효조의 바닥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을 형성하고, 각 장 홈에는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공기 공급관이 놓여져 발효조 내로 공기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는 장 홈에 저장하고 있다가 공기 주입기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로 퇴적물로 뿌려지고 증발되어 발효조를 둘러싼 폐쇄공간에 구비된 악취저감장치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게 되어 침출수 배출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폐수 슬러지 등을 유기질 비료나 녹생토로 재활용하기 위한 발효조에 공기를 주입하기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폐수 슬러지 등 생활, 환경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을 발효시켜 유기질 비료나 녹생토로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활, 환경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 속에 들어있는 유기성 폐기물은 대부분 호기성 발효를 통해 유기질 비료나 녹생토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데, 호기성 발효를 위해서는 녹생토 등의 생산시설에 공기(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3428호에서는 발효처리시설의 콘크리트 바닥에 소정의 깊이로 급기관을 매립하고, 급기관의 상부에 복수 개의 급기구를 콘크리트 바닥에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복수 개의 급기구를 급기관에 맞추어 콘크리트 바닥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급기구가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중장비 등이 지나가거나 퇴적물 교반 작업시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퇴적물에 막힐 경우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급기구를 통해 급기관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돌출된 말단의 개폐캡을 통해 시설물 밖으로 배수하는 것이어서 이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발효조의 바닥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을 형성하고, 각 장 홈에는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공기 공급관이 놓여져 발효조 내로 공기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는 장 홈에 저장하고 있다가 공기 주입기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로 퇴적물로 뿌려지고 증발되어 발효조를 둘러싼 폐쇄공간을 갖는 시설에 구비된 악취저감장치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는 발효조의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 폭과 길이를 갖도록 파지고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기공이 노출되고 발효조의 일부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을 발효조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분배관; 및 상기 공기 분배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 홈의 깊이는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3.5/3~4/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폭은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4/3~5/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길이는 상기 발효조의 측벽 중 나란한 측벽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공기 분배관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보다 일정 높이로 높은 위치에서 연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 공기주입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는 각각 두께 1~2mm 인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장 홈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은 각각 상기 절곡된 금속판 안에 배치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 공기주입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조는 소정의 폐쇄공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폐쇄공간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이 연장된 곳에 측벽 및 지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붕에 악취저감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악취저감장치는 상기 지붕의 악취배출구에 체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 내측에 체결된 분사노즐을 통해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상기 가스배출관의 후방에 체결된 배기장치; 및 상기 가스배출관 내에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배기장치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라인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 공기주입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에는 내측으로 압력센서 또는 악취 감지센서가 가스 감지센서로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가스 감지센서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 공기주입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주입기는 상기 배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 공기주입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는 발효조의 바닥에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을 형성하고, 각 장 홈에는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공기 공급관이 놓여져 발효조 내로 공기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는 장 홈에 저장하고 있다가 공기 주입기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로 퇴적물로 뿌려지고 증발되어 발효조를 둘러싼 폐쇄공간에 구비된 악취저감장치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게 되어 침출수 배출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장 홈에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부착되어 장 홈을 통한 침출수 누수 문제는 물론 중장비 이동 등에 의한 장 홈이 파손되는 문제를 막을 수 있고, 지붕 내측에 구비된 가스 감지센서에 의하여 배기장치가 구동되도록 하고, 나아가 공기 주입기는 상기 배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자동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가 설치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발효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 배치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에서 장 홈의 깊이와 폭을 공기 공급관의 외경에 대비하기 위해 치수를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에서 장 홈에 침출수가 저장되어 있다가 공기 주입기로 공급받은 압축공기로 기공을 통해 퇴적물로 뿌려지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장 홈에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부착되고, 그 안에 공기 공급관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발효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 배치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에서 장 홈의 깊이와 폭을 공기 공급관의 외경에 대비하기 위해 치수를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에서 장 홈에 침출수가 저장되어 있다가 공기 주입기로 공급받은 압축공기로 기공을 통해 퇴적물로 뿌려지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장 홈에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부착되고, 그 안에 공기 공급관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효조(4)의 바닥(1)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h1), 폭(w)과 길이(L1)를 갖도록 파지고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10);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기공(26)이 노출되고 발효조의 일부 바닥(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을 발효조(4)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분배관(22); 및 상기 공기 분배관(22)의 일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장 홈(10)은 도랑(trench) 형상으로 시멘트 바닥(1)에 시멘트 양성시 형성할 수 있는데, 각각 발효조(4)의 측벽 중 나란한 측벽의 길이(L2)보다 작고, 도 7과 같이, 장 홈(10)의 깊이(h1)는 공기 공급관(24)의 외경(d)보다 3.5/3~4/3배 크고, 장 홈(10)의 폭(w)은 공기 공급관(24)의 외경(d)보다 4/3~5/3배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 및 도 8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퇴적물에서 생긴 침출수를 장 홈(10)에 저장하도록 하고, 공기 주입기(21)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장 홈(10) 및 공기 공급관(24) 내로 스며든 침출수(P)를 복수 개의 기공(26)을 통해 장 홈(10)에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며, 이때, 장 홈(10)에 들어온 왕겨와 같은 미세 퇴적물(S)도 침출수(P)와 함께 장 홈(10)에서 배출되어 퇴적물 하부로 뿌려지게 된다.
복수 개의 기공(26)은 공기 공급관(24)의 전 측면을 돌아가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고, 미세 퇴적물(S)이 기공(26)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1~3mm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장 홈(10)의 깊이(h1)가 공기 공급관(24)의 외경(d)보다 3.5/3배 미만이면 중장비 등이 지날 때 공기 공급관(24)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그렇다고 4/3배 초과하면 장 홈(10) 안으로 미세 퇴적물(S)이 많이 쌓이게 되어 공기 주입기(21)의 압축공기만으로 장 홈(10) 안으로 들어온 침출수(P)와 미세 퇴적물(S)을 장 홈(10) 밖으로 배출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 홈(10)의 폭(w)도 공기 공급관(24)의 외경(d)보다 4/3배 미만이면 장 홈(10)에 충분한 침출수(P)를 저장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 홈(10)의 측벽과 공기 공급관(24)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장 홈(10) 밑으로 들어온 미세 퇴적물(S)을 기공(26)을 통한 압축공기로 원활히 장 홈(10) 밖으로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장 홈(10)의 깊이(h1)는 8cm, 폭(w)은 10cm로 하고, 공기 공급관(24)의 외경(d)은 6cm로 하여, 공기 공급관(24)이 장 홈(10)의 바닥 가운데 위치한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24)의 위와 좌우로 각각 2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복수 개의 장 홈(10)에는, 도 9와 같이, 각각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두께 1~2mm 인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12)이 장 홈(10)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 부착되고, 절곡된 금속판(12) 안에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멘트 바닥(1)에 복수 개의 장 홈(10) 형성시 시멘트 양성 과정에서 'ㄷ' 형으로 절곡된 복수 개의 금속판(12)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며 삽입하면 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장 홈(10)을 통한 침출수 누수 문제는 물론 중장비 등의 이동에 의한 장 홈(10)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기 분배관(22)은, 도 3과 같이,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보다 일정 높이(h2)로 높은 위치에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 공급관(24) 내로 스며든 침출수(P)가 공기 분배관(22)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다음, 상기 발효조(4)는, 도 1과 같이, 소정의 폐쇄공간(100)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폐쇄공간(100)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1)이 연장된 곳에 측벽(2) 및 지붕(3)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붕(3)에는 악취저감장치(11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악취저감장치(110)를 통해 침출수를 증발시켜 악취가스와 함께 외부로 내보내게 되어 침출수 배출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악취저감장치(110)는 상기 지붕(3)의 악취배출구(3a)에 체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스배출관(40);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42) 내측에 체결된 분사노즐(54)을 통해 이산화염소(ClO2)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생성장치(50); 상기 가스배출관의 후방(46)에 체결된 배기장치(60); 및 상기 가스배출관 내에 상기 분사노즐(54)과 상기 배기장치(6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라인 믹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공간(100)의 지붕(3)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1과 같이, 가스배출관(40)의 전방 입구가 체결되는 악취배출구(3a)를 가운데 두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관(40)은 지붕(3)의 일측 기울기를 따라 설치되며 좌우 측면(2) 중 하나를 따라 바닥까지 내려오게 꺾여진 것으로 연결, 배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배기장치(60)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에 좌우 발효조(4, 5)에서 발효되면서 나오는 악취가스가 있어도 이로 인한 폐쇄공간(100)의 내부 압력이 바깥 대기압보다 높기 전에는 상기 악취가스가 대부분 지붕(3) 밑의 폐쇄공간(100) 상부에 머물러 있게 되므로, 악취가스가 가스배출관(40)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지붕(3)의 내측에는 가스 감지센서(3b)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60)는 상기 가스 감지센서(3b)에 의하여 감지되는 수치가 일정 이상일 경우에만 동작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스 감지센서(3b)는 압력센서 또는 악취 감지센서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장치(50)는, 도 1과 같이, 일 측벽(2)의 외측에 구비된 이산화염소 가스생성기(51), 이산화염소 공급관(52), 분사노즐(54) 및 노즐개폐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노즐개폐제어부는 사람이 직접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배기장치(60)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분사노즐(54)이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구체적 예들은, 노즐개폐제어부를 벤튜리관 구조로 하여 배기장치(60)가 동작 되어 가스배출관(40)으로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벤튜리관 내의 낮아진 압력을 감지하여 분사노즐(54)이 열리도록 하거나, 노즐개폐제어부를 솔레노이드 구조로 하여 배기장치(60)의 동작으로 가스배출관(40)에 이온화된 악취가스가 지날 때 이를 감지하여 분사노즐(54)이 열리도록 하거나, 노즐개폐제어부를 전기적 스위치로 구성하여 배기장치(60)의 동작시 배기장치(60)의 제어스위치와 함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인 믹서(70)는 직렬식 혼합기(inline mixer)로, 가스배출관(40)의 내에 복수 개의 180도 비틀린 꽈배기 판이 90도 틀어지며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라인 믹서(70)는 이산화염소와 악취가스의 혼합 가스가 각 꽈배기 판을 지나갈 때마다 1/2로 양분 및 교반되며 180도로 회전하면서 통과하게 되어, n번째 꽈배기 판을 지날 때에는 2n 개로 분할된 가스 흐름이 다시 양분되어 각 일 측을 180도로 회전(S자 회전)하며 교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인 믹서(70)를 가스배출관(40) 내에 분사노즐(54)과 배기장치(60) 사이에 구비할 경우에는, 각 꽈배기 판을 지날 때마다 이산화염소와 악취가스를 180도로 회전(S자 회전)시키며 분할과 혼합(교반)을 반복함으로써, 가스배출관(40)을 통과하는 도중에서 서로 충분히 교반 및 반응하게 되어 탈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인 믹서(70)는 복수 개의 180도 비틀린 꽈배기 판이 소정의 각도(예컨대, 90도)로 틀어지며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단순히 기계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보다 악취 저감을 위한 시설비 및 운영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 믹서(70)는, 도 1과 같이, 가스배출관(40)의 전방(42)에 분사노즐(54)이 체결된 이웃한 위치로 직선 관(44)으로 시작되는 부위에 내장되도록 함이 S자 회전되며 나온 혼합 가스가 나머지 가스배출관(40)을 지나며 계속 반응하게 되어 바람직하나, 2개 이상으로 나누어 가스배출관(4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60)는 가스배출관(40)의 후방(46)에 설치되어, 폐쇄공간(100) 내의 악취가스를 가스배출관(40)을 통하여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가스배출관(40)의 후방 내측에 구비된 배기용 팬(62)과 이를 구동하는 모터 및 제어부(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60)의 제어부(64)는 제어스위치 등으로 구비되어, 배기용 팬(62)의 모터가 수동은 물론 상술한 가스 감지센서(3b)에 의하여 감지된 제어신호로 자동으로 동작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주입기(21)는 일종의 압축기(compressor)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기장치(60)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스 감지센서(3b)로 감지된 신호로 배기장치(60), 분사노즐(54)의 개폐, 공기 주입기(21)를 전자동으로 동작시켜, 발효조(4, 5)에 공기 주입 및 악취가스를 저감 내지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 주입기(21)를 상기 배기장치(60)와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상기 배기장치(60)의 제어부(64)를 배기용 팬(62)의 모터가 상술한 공기 주입기(21)와 동시 또는 10분 이내로 더 작동되도록 하거나, 공기 주입기(21)로 공급되는 공기량과 동일하거나 10% 범위 내에서 초과하도록 제어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균적으로 공기 주입기(21)로 폐쇄공간(100)에 공급된 외기의 양만큼 배기장치(60)로 이산화염소로 탈취(중화)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용 팬(62)의 모터뿐만 아니라 공기 주입기(21)의 모터 부하를 줄여 이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를 응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10: 바닥의 장 홈 20: 공기주입수단
30: 발효액 주입관 40: 가스배출관
50: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60: 배기장치
70: 라인 믹서 80: 혼합 가스
30: 발효액 주입관 40: 가스배출관
50: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60: 배기장치
70: 라인 믹서 80: 혼합 가스
Claims (6)
- 삭제
- 발효조의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 폭과 길이를 갖도록 파지고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기공이 노출되고 발효조의 일부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을 발효조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분배관; 및
상기 공기 분배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 홈의 깊이는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3.5/3~4/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폭은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4/3~5/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길이는 상기 발효조의 측벽 중 나란한 측벽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공기 분배관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보다 일정 높이로 높은 위치에서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 내로 스며든 침출수가 상기 공기 분배관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은 각각 복수 개의 기공이 1~3mm의 크기로 전 측면을 돌아가며 불규칙하게 형성하되, 상기 공기 주입기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상기 장 홈 및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 내로 스며든 침출수를 상기 복수 개의 기공을 통해 상기 장 홈의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외경을 갖는 공기 공급관의 전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는 각각 두께 1~2mm 인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장 홈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은 각각 상기 절곡된 금속판 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는 소정의 폐쇄공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폐쇄공간은 상기 발효조의 바닥이 연장된 곳에 측벽 및 지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붕에 악취저감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악취저감장치는 상기 지붕의 악취배출구에 체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 내측에 체결된 분사노즐을 통해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상기 가스배출관의 후방에 체결된 배기장치; 및
상기 가스배출관 내에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배기장치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라인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에는 내측으로 압력센서 또는 악취 감지센서가 가스 감지센서로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가스 감지센서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기는 상기 배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3906A KR101876764B1 (ko) | 2016-09-27 | 2016-09-27 |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3906A KR101876764B1 (ko) | 2016-09-27 | 2016-09-27 |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3988A KR20180033988A (ko) | 2018-04-04 |
KR101876764B1 true KR101876764B1 (ko) | 2018-07-10 |
Family
ID=6197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3906A KR101876764B1 (ko) | 2016-09-27 | 2016-09-27 |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67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93283B (zh) * | 2018-03-29 | 2021-05-14 | 华南理工大学 | 用于气相色谱法测定磷化氢的自动进样预处理装置及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8911A (ja) * | 1997-12-11 | 1999-06-29 | Mamoru Amano | 堆肥製造プラントの消臭装置 |
KR200307532Y1 (ko) * | 2002-12-11 | 2003-03-20 | 상우바이오텍 주식회사 | 퇴비 발효조 구조 |
KR100949132B1 (ko) * | 2009-06-30 | 2010-03-25 | 백구엔지니어링(주) | 가축분뇨 등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화시설의 악취 배출시스템 |
KR20110035254A (ko) * | 2009-09-30 | 2011-04-06 | 최문태 | 무폐수, 무악취 유기질 퇴비화 설비시스템 |
KR101565708B1 (ko) * | 2014-09-15 | 2015-11-04 |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 자원순환형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시스템 |
-
2016
- 2016-09-27 KR KR1020160123906A patent/KR1018767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8911A (ja) * | 1997-12-11 | 1999-06-29 | Mamoru Amano | 堆肥製造プラントの消臭装置 |
KR200307532Y1 (ko) * | 2002-12-11 | 2003-03-20 | 상우바이오텍 주식회사 | 퇴비 발효조 구조 |
KR100949132B1 (ko) * | 2009-06-30 | 2010-03-25 | 백구엔지니어링(주) | 가축분뇨 등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화시설의 악취 배출시스템 |
KR20110035254A (ko) * | 2009-09-30 | 2011-04-06 | 최문태 | 무폐수, 무악취 유기질 퇴비화 설비시스템 |
KR101565708B1 (ko) * | 2014-09-15 | 2015-11-04 |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 자원순환형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3988A (ko) | 2018-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7008B1 (ko) | 슬러지 발효 감량장치 | |
KR101876764B1 (ko) | 발효조의 공기주입장치 | |
US20110250678A1 (en) | System for producing gas from organic waste | |
JP2017217575A (ja) | 廃棄物の前処理装置及び前処理方法 | |
KR101258691B1 (ko) | 밀폐형 액비제조장치 | |
CN206654797U (zh) | 一种脱硫废水处理三联箱 | |
RU18985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US796350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gesting sludge | |
KR101193052B1 (ko) | 음식쓰레기 처리시스템 | |
KR102470350B1 (ko) | 싸이클론식 퇴적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역순환형 혐기성 소화조 | |
KR100674671B1 (ko) |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 |
KR20140016711A (ko) | 양돈분뇨 속성 분해발효 방식을 이용하는 자연순환방식 양돈분뇨 처리 구조물 | |
KR101353428B1 (ko) | 유기성 폐기물 발효처리시설의 공기공급시스템 | |
JP3146693U (ja) | アルカリ廃水処理装置 | |
KR101753283B1 (ko) |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 |
KR101848053B1 (ko) | 악취저감장치 | |
KR20120116605A (ko) | 이동식 하, 폐수 고도처리시설 | |
KR101202766B1 (ko) | 축산분뇨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액비 생산장치 | |
KR0131846B1 (ko) | 복합분뇨 처리장치 | |
KR100220189B1 (ko) | 하.폐수 처리장치 | |
CN212954508U (zh) | 一种活性淤泥曝气处理装置 | |
KR100746298B1 (ko) | 플럭분리장치 | |
KR20090106969A (ko) | 폐기물 처리 방법 및 폐기물 처리 설비 | |
KR101157905B1 (ko) | 유기성 폐기물 입상형 다층 무교반 발효장치 | |
EP4000756A1 (en) | Device for the environmental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