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073B1 -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3073B1 KR101553073B1 KR1020150023826A KR20150023826A KR101553073B1 KR 101553073 B1 KR101553073 B1 KR 101553073B1 KR 1020150023826 A KR1020150023826 A KR 1020150023826A KR 20150023826 A KR20150023826 A KR 20150023826A KR 101553073 B1 KR101553073 B1 KR 101553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ure
- day
- morning
- strain
- deposi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CM11562P로 기탁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The first morning A 균주, 기탁번호 KCCM11563P로 기탁된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The first morning B 균주, 기탁번호 KCCM11564P로 기탁된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The first morning C 균주, 기탁번호 KCCM11565P로 기탁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The first morning D 균주, 기탁번호 KCCM11566P로 기탁된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The first morning E 균주 및 기탁번호 KCCM11567P로 기탁된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The first morning F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배양물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할 수 있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생활 수준도 향상되면서, 인간이 생활하면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의 처리 문제가 큰 관심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 하·폐수의 슬러지, 농·축산물의 가공 폐기물, 식품 폐기물, 도축 폐기물, 축산 분뇨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물 폐기물은 오염된 폐수와 함께 유기성 슬러지를 발생시킨다.
특히, 유기성 슬러지는 악취가 심하고 부패하면서 지속적으로 오염수를 방출하기 때문에 처리가 더 곤란해왔다. 따라서 이를 퇴비화하여 더 이상 부패가 진행되지 않아 악취 및 오염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발효시켜 퇴비화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029764호가 있다. 이는, 축산분뇨, 하수 슬러지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퇴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과 하수 슬러지의 혼합으로 조성된 발효퇴비원료를 투입하는 호퍼와, 발효퇴비 원료를 건조하기 위해 열풍을 발효장치 내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열풍분사장치와, 상기 열풍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열풍과 함께 발효퇴비원료와 토양미생물을 교반 혼합하는 교반장치와, 상기 교반장치의 저부에 건조처리된 발효퇴비원료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 반출장치와, 상기 발효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와 분진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배기통으로 이루어진 발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교반날개가 일정사이클을 이루는 스크루형태를 갖는 것으로, 일정 회전속도를 유지하여 교반하는 축산분뇨, 하수 슬러지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장치 및 이의 장치를 이용한 발효퇴비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게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는 미생물 제제로, 기탁번호 KCCM11562P로 기탁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The first morning A 균주, 기탁번호 KCCM11563P로 기탁된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The first morning B 균주, 기탁번호 KCCM11564P로 기탁된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The first morning C 균주, 기탁번호 KCCM11565P로 기탁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The first morning D 균주, 기탁번호 KCCM11566P로 기탁된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The first morning E 균주 및 기탁번호 KCCM11567P로 기탁된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The first morning F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생물 제제는 균사로 형성되어 고형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탁번호 KCCM11562P로 기탁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The first morning A 균주, 기탁번호 KCCM11563P로 기탁된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The first morning B 균주, 기탁번호 KCCM11564P로 기탁된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The first morning C 균주, 기탁번호 KCCM11565P로 기탁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The first morning D 균주, 기탁번호 KCCM11566P로 기탁된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The first morning E 균주 및 기탁번호 KCCM11567P로 기탁된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The first morning F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배양한 배양물과 유기성 슬러지와 혼합하고 발효시켜,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양물은, 제1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1 공정, 제2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배양물과 상기 제2 배양물을 혼합하여 혼합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혼합 배양물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넣고 발효시켜 상기 배양물을 얻는 제4 공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양물은 삼나무,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 및 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양물은 현미,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 및 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배양물 및 상기 제2 배양물 중 하나 이상은, 대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삼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개미집이 분포하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및 소사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은 고형화 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성 슬러지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및 우유슬러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어, 유기성 슬러지로 인한 환경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4)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5)에 따라, 하수슬러지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6)에 따라, 우유슬러지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5)에 따라, 하수슬러지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6)에 따라, 우유슬러지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슬러지"라 함은, 음식물 쓰레기, 하·폐수의 슬러지, 우유슬러지와 같은 농·축산물의 가공 폐기물, 식품 폐기물, 도축 폐기물, 축산 분뇨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물 폐기물을 뜻한다.
또한 "퇴비화"라 함은, 반 건조 고형 유기물을 호기성 조건 하에서 다양한 호기성 미생물의 생물학적 자용으로 안정한 형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퇴비화는 고온에서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유기물 제거속도가 빠르고, 유기물 부하에 대한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나타내며, 고온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나지 않아 공급된 산소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안정된 처리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퇴비화는 발효장치 및 공정효율을 높이기 위한 운용기술 개발과 그에 따른 미생물과 퇴비화에 필요한 주요인자 및 분해 담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효소활성이 높은 미생물의 분리 등에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를 동정 분리하여 기탁한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다.
기탁균주명 | 기탁번호 | 분석 결과 |
The first morning A | KCCM11562P |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
The first morning B | KCCM11563P |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
The first morning C | KCCM11564P |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
The first morning D | KCCM11565P |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
The first morning E | KCCM11566P |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
The first morning F | KCCM11567P |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The first morning A (기탁번호: KCCM11562P)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균으로, 살충 및 살균이 가능하며, 유기성 슬러지의 부패를 방지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기성 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능력을 갖춘 미생물이다. 한편,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균은, 볏짚, 산야초, 곡물류(일 예로, 쌀 등), 밀가루, 옥수수를 좋아하고, 토양중에서 논흙과 황토흙을 좋아해서 상술한 재료를 섞고 유기성 슬러지를 혼합하면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면서 발열온도를 유도하여 분해시간을 단축한다. 또 분해되는 과정에서 약 74˚c의 고온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살균효과도 얻을 수 있다.
The first morning B (기탁번호: KCCM11563P)는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균으로, 염분을 제거하는데 우수한 능력을 갖춘 미생물이다. 또한,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균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균은 혼합 시, 동맹균이 될 수 있다. 유기성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채소류 또는 곡물류와 혼합이 되면 활동이 왕성하고 발열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된다.
The first morning C (기탁번호: KCCM11564P)는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Lysinibacillus xylanilyticus) 균으로, 지방질을 분해하는데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균주와 유기성 슬러지를 혼합하면, 유기성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육류 또는 생선류와 같은 동물성 성분 중 지방을 분해하는데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지방질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균에 의해 수분이 포함된 유기성 슬러지의 지방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균과 탄수화물을 혼합하면 온도가 급격이 상승하여 약 74˚c의 온도에서 분해(발효)됨을 알 수 있다.
The first morning D (기탁번호: KCCM11565P)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균으로,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슬러지의 분해 과정에서 분출되는 암모니아 가스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균은 다당류인 포도당이나 자연에서 얻은 사탕수수인 당밀 또는 볏짚이나 건초에서도 소량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재료를 혼합하며 분해하면 악취를 방지하고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하며 분해(발효) 속도를 높일 수 있다.
The first morning E (기탁번호: KCCM11566P)는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균으로, 음식물쓰레기, 축산 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유기성 슬러지에 포함된 염분을 제거할 수 있다. 염분제거의 극대화를 위해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균에 다당류를 첨가하여 미생물의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균은 유기성 슬러지에 들어있는 수분증발을 유도하므로 분해(발효)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first morning F (기탁번호: KCCM11567P)는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균으로, 유기성 슬러지에 혼합되는 경우, 유기성 슬러지가 분해되는 동안 부패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리, 모기와 같은 해충들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를 방지하므로 분해(발효) 과정에서 공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균의 왕성한 활동을 위해, 버섯류와 같은 균사류를 분쇄기에 갈아서 첨가해주고, 황토, 흑설탕이나 당밀을 첨가해주면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균의 번식이 원활해짐은 물론,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균이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발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의 동정분리 결과 및 동정분리에 따른 각 균주의 특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전술한 균들을 모두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미생물 제제에 의해 유기성 슬러지가 빠른 시간 내에 악취 없이 분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균주를 모두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는 액상으로 배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성된 미생물 제제가 균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형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 1]에 기재된 미생물 제제를 배양한 배양물은, 제1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1 공정, 제2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2 공정, 제1 배양물과 제2 배양물을 혼합하여 혼합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3 공정 및 혼합 배양물에 미생물 제제를 넣고 발효시켜 배양물을 얻는 제4 공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양물은 삼나무,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 및 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삼나무" 및 "산야초"라 함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각각 "삼나무" 및 "산야초"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삼나무와 같이 테르펜유 및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하는 나무를 포함하는 실시에까지 본 발명의 권리가 미칠 수 있다.
한편, 설탕은 미생물 제제의 배양 시에 필요한 양분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설탕으로 제제할 필요는 없으며, 당밀 등과 같은 당 성분으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변형에까지 본 발명의 실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삼나무 10kg, 산야초 5kg, 설탕 10kg 및 물 18L를 혼합하여 제1 배양물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수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온도, 습도 등과 같은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으며, 원활한 배양을 위해 상기 재료들 이외의 다른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배양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큰 항아리나 큰 통을 준비하고 용기를 깨끗하게 세척을 하고 위의 재료들을 넣는다. 이때, 원활한 배양을 위하여 삼나무는 도구를 이용해 잘게 썰어 넣을 수 있으며, 산야초 역시 위의 방법대로 잘게 썰어 넣을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설탕을 추가하여 고루 섞어 버무리고, 삼나무, 산야초, 설탕의 혼합물에 물을 용기에 넣고 골고루 잘 저어준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생수, 지하수 등과 같이 미생물 제제의 배양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라면 다양한 종류의 물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발효기간은 1개월 이상이며, 원활하고 신속한 발효를 위하여 1 내지 3일에 한번씩 내용물을 교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중 1차 거품이 발생하였다가 다시 사라지게 되면 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회의 발효 과정을 거칠 수 있을 것이다.
앞서와 같이, 삼나무,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하여 완전히 발효가 마쳐져 미생물이 배양된 상태의 배양물을 제1 배양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배양물은 현미,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 및 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현미"라 함은, 겉껍질을 벗겨낸 쌀을 뜻하는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현미"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산야초" 및 "설탕"에 관한 내용은 이미 제1 배양물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현미 2kg, 산야초 2kg, 설탕 2kg 및 물 5L를 혼합하여 제2 배양물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수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온도, 습도 등과 같은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으며, 원활한 배양을 위해 상기 재료들 이외의 다른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배양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미를 3시간이상 물에 불린 다음 건져내고, 산야초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잘게 썰어 준비한다. 물에 불린 현미는 솥에 넣고 쪄서 고두밥을 만들고, 잘게 썬 산야초를 현미밥과 골고루 섞은 다음 설탕과 버무린다. 그 다음에는 현미밥, 산야초 및 설탕의 혼합물에 물을 부어 섞은 다음 항아리 또는 통에 넣고 숙성시킨다.
발효기간은 1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월 이상이며, 원활하고 신속한 발효를 위하여 1 내지 3일에 한번씩 내용물을 교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양물과 마찬가지로, 발효 중 1차 거품이 발생하였다가 다시 사라지게 되면 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3회의 발효 과정을 거칠 수 있을 것이다.
앞서와 같이, 현미,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하여 완전히 발효가 마쳐져 미생물이 배양된 상태의 배양물을 제2 배양물로 정의한다.
혼합 배양물은 상기 제1 배양물과 상기 제2 배양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배양물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를 넣고 발효시키면 배양물이 완성된다.
한편, 최종적인 배양물의 완성을 위해, 상기 혼합 배양물에는 삼나무 추출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나무 추출물은, 깨끗하게 씻은 뒤 잘게 자른 삼나무 10kg을 물 18L와 함께 섞어 2시간 정도 끓인 뒤, 다시 잘게 썬 산야초 5kg를 추가하여 2시간 정도 더 끓여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삼나무 추출물 500ml, 제1 배양물 300ml, 제2 배양물 300ml 및 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 1000ml를 혼합 및 발효시켜 최종적인 배양물을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재료들을 준비한 다음, 깨끗한 용기를 준비한 다음 용기를 볏짚이나 낙엽을 태워 소독을 한다. 상기 재료들을 용기에 넣는 뒤, 막대로 교반한다. 발효되는 동안 미생물의 영양원이 될 수 있도록 설탕 또는 당밀을 공급한다. 혼합을 마친 미생물은 냉장 보관하거나, 햇빛을 피해 그늘진 곳에서 보관하여 발효시키며, 발효를 마치면 배양물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배양물 및 상기 제2 배양물 중 하나 이상은 아래의 배양물 중 어느 하나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은 대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을 채취하고 이를 다양한 재료들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는 구체적인 품종에는 구속 받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대나무"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대나무가 자라고 있는 대나무 군락지에서 곡괭이를 이용해 토양을 채취한다. 채취된 토양 2kg을, 입자가 가늘고 균일해지도록 체에 거른 후, 현미쌀밥 2kg, 쌀겨 1kg, 흑설탕 500g과 골고루 섞어 용기에 담는다. 전열기구를 이용해 35℃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적으로 발효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2차 발효를 시작한다. 1차 발효를 마친 대나무 발효균 4.5kg과 빵 가루 500g, 억새풀 500g, 갈대 500g, 더덕 500g, 도라지 500g, 객쌀풀 500g, 미나리잎 500g, 인동초 500g, 민들레 500g을 분쇄기로 분쇄한다. 이후 분쇄물과 황토 1kg, 쌀겨 1kg 및 흑설탕 1kg을 혼합하여 다시 발효시키면서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의 온도를 측정한다.
1차 발효 과정 및 2차 발효 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에 기재된 [표 2]와 같다.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5℃ | 발효 시작 |
2 일차 | 49℃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55℃ | 백색 미생물이 관찰됨 |
4 일차 | 56℃ |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5 일차 | 30℃ | 1차 발효 완료 |
6 일차 | 30℃ | 2차 발효 시작 |
7 일차 | 55℃ | 온도가 급격히 상승됨 |
8 일차 | 56℃ | 온도 약간 상승 |
9 일차 | 58℃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10 일차 | 35℃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 |
11 일차 | 20℃ | 2차 발효 완료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개미와 개미집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에서 토양을 채취하고 이를 다양한 재료들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미"는 구체적인 종류에는 구속 받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개미"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미리 준비한 용기에 3kg의 개미와 개미집 흙을 채취한다. 이후, 쌀겨 1kg, 고두밥 2kg 및 설탕 1kg을 혼합하고, 용기 입구를 밀봉한다. 이후 전열기구를 이용해 35℃의 온도까지 온도를 높여준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적으로 발효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2차 발효를 시작한다. 1차 발효를 마친 배양물에 보리잎 1kg, 밀잎 1kg, 미나리잎 1kg, 쑥잎 1kg, 민들레 1kg, 쑥갓 1kg을 혼합한다. 혼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재료를 분쇄기에 분쇄하고, 흑설탕 1kg 및 쌀겨 1kg을 추가적으로 혼합한 뒤, 전열기구를 이용해 온도를 35℃까지 상승시킨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 발효 과정 및 2차 발효 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에 기재된 [표 3]과 같다.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5℃ | 발효 시작 |
2 일차 | 40-45℃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49℃ | 백색 미생물이 관찰됨 |
4 일차 | 55℃ | 계속하여 온도 상승 |
5 일차 | 55℃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6 일차 | 45℃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 |
7 일차 | 25℃ | 1차 발효 완료 |
8 일차 | 25℃ | 2차 발효 시작 |
9 일차 | 53℃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10 일차 | 56℃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 |
11 일차 | 57℃ | 발효 완료 |
12 일차 | 20℃ | 2차 발효 완료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소사나무가 자라는 지역에서 토양을 채취하고 이를 다양한 재료들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는 구체적인 품종에는 구속 받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소사나무"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소사나무가 자라는 지역에서 굵은 모래가 혼합되어 있는 토양을 미리 준비한 용기에 2kg을 담고, 체로 거른다. 여기에 현미쌀밥 1kg, 쌀겨 1kg 및 흑설탕 500g을 추가로 혼합한다. 이후, 전열기구를 이용하여 온도를 35℃까지 상승시킨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적으로 발효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2차 발효를 시작한다. 1차 발효를 마친 배양물에 나도겹풀 1kg, 냉이 1kg, 달래 1kg, 객싹풀 1kg, 인동초 1kg, 개뇨 1kg 및 쌀겨 1kg을 혼합한다. 혼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재료를 분쇄기에 분쇄하고, 흑설탕 1kg 및 쌀겨 1kg을 추가적으로 혼합한 뒤, 전열기구를 이용해 온도를 35℃까지 상승시킨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 발효 과정 및 2차 발효 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에 기재된 [표 4]와 같다.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5℃ | 발효 시작 |
2 일차 | 50℃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55℃ | 백색 미생물이 관찰됨 |
4 일차 | 57℃ |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5 일차 | 35℃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6 일차 | 35℃ | 1차 발효 완료 |
7 일차 | 45℃ | 2차 발효 시작 |
8 일차 | 55℃ |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9 일차 | 57℃ |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10 일차 | 55℃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 |
11 일차 | 40℃ | 온도가 급격히 하강 |
12 일차 | 20℃ | 2차 발효 완료, 백색 미생물과 청색 미생물이 단단하게 뭉쳐져 있음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삼나무가 자라는 지역에서 토양을 채취하고 이를 다양한 재료들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삼나무"는 구체적인 품종에는 구속 받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삼나무"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삼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을 미리 준비한 용기에 1kg을 담고, 체로 거른다. 여기에 현미쌀밥 1kg, 흑설탕 500g을 추가로 혼합한다. 이후, 수분함량이 70%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다. 전열기구를 이용하여 온도를 35℃로 상승시킨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이때, 온도는 35℃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환경에 따라 25℃ 내지 40℃의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1차적으로 발효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2차 발효를 시작한다. 1차 발효를 마친 배양물에 억새풀 1kg, 객쌀풀 1kg을 분쇄기로 분쇄한 뒤, 쌀겨 1kg 및 흑설탕 500g을 혼합한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 발효 과정 및 2차 발효 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에 기재된 [표 5]와 같다.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5℃ | 발효 시작 |
2 일차 | 50℃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55℃ | 백색 미생물이 관찰됨 |
4 일차 | 45℃ | 백색 미생물이 증가함 |
5 일차 | 28℃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6 일차 | 35℃ | 1차 발효 완료 |
7 일차 | 45℃ | 2차 발효 시작 |
8 일차 | 56℃ |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9 일차 | 51℃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 |
10 일차 | 30℃ |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11 일차 | 28℃ | 온도가 급격히 하강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배양물들을 혼합하여 재배양한 혼합 배양물을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고형화 된 대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1kg, 고형화 된 삼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1kg, 고형화 된 개미집이 분포하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1kg, 고형화 된 소사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1kg을 모두 분쇄한다.
각각의 배양물들은 배양 시, 발효로 인해 버섯 균사와 유사한 형태로 단단하게 응집된다. 이와 같이 고형화 된 각각의 배양물을 추가적인 발효를 위하여 분쇄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분쇄된 각각의 배양물을 보조재료인 빵 가루 0.5kg, 억새풀 0.5kg, 갈대 0.5kg, 더덕 0.5kg, 도라지 0.5kg, 객쌀풀 0.5kg, 쌀겨 0.5kg, 삼나무 추출액 500ml, 삼나무 배양물 500ml, 보리잎 0.5kg, 밀잎 0.5kg, 미나리잎 0.5kg, 쑥잎 0.5kg, 민들레 0.5kg, 쑥갓 0.5kg, 나도겹풀 0.5kg, 냉이 0.5kg, 인동초 0.5kg 및 개뇨 0.5kg와 혼합하여 분쇄기에 분쇄한다. 분쇄된 혼합물에 쌀겨를 500g 더 첨가하여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발효 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에 기재된 [표 6]과 같다.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 | 준비된 배양물 및 보조재료를 혼합함 |
2 일차 | 35℃ | 전열기구로 열을 가하고 발효 시작 |
3 일차 | 49℃ | 온도 상승,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4 일차 | 55℃ | 청색 미생물이 증가함 |
5 일차 | 57℃ | 청색 미생물 및 백색 미생물이 증가함 |
6 일차 | 35℃ | 1차 발효 완료 |
7 일차 | 35℃ | 2차 발효 시작 |
8 일차 | 55℃ |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9 일차 | 58℃ | 계속하여 온도 상승 |
10 일차 | 60℃ | 청색 미생물 및 백색 미생물이 증가함 |
11 일차 | 55℃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 |
12 일차 | 45℃ | 온도가 급격히 하강 |
13 일차 | 35℃ | 청색 미생물 및 백색 미생물이 증가함 |
14 일차 | 30℃ | 2차 발효 완료 |
전술한 배양물들을 배양은 액체 상태로 발효가 진행된다. 다만, 이와 같이 액체 상태의 배양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게 되면, 수분이 많은 유기성 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보다 증가시키게 되어, 분해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고형화 된 배양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고형화 된 배양물을 얻기 위하여, 전술한 혼합 배양물 1kg, 삼나무 추출물 500mg, 상기 제1 배양물 500mg, 상기 제2 배양물 500mg, 쌀겨 1kg, 우드칩 1kg, 황토 1kg, 현미쌀밥 1kg, 빵 가루 1kg, 흑설탕 1kg, 억새풀 1kg 및 갈대 1kg을 혼합하고, 전열기구를 이용해 35℃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뒤,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관찰한다.
1차 발효가 완료되면, 완료된 1차 배양물 7kg, 삼나무 추출물 500mg, 상기 제1 배양물 500mg, 상기 제2 배양물 500mg, 흑설탕 1kg, 쌀겨 1kg, 현미쌀밥 1kg 및 황 토 1kg를 혼합하고, 전열기구를 이용해 35℃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뒤, 다시 발효시키면서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의 온도를 측정한다.
1차 발효 과정 및 2차 발효 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에 기재된 [표 7]과 같다.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5-45℃ | 발효 시작 |
2 일차 | 50-55℃ | 백색 미생물이 관찰됨 |
3 일차 | 36℃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4 일차 | 25℃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증가됨 |
5 일차 | 20℃ | 1차 발효 완료 |
6 일차 | 35℃ | 2차 발효 시작 |
7 일차 | 45℃ |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8 일차 | 52℃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관찰됨 |
9 일차 | 56℃ |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증가됨 |
10 일차 | 45℃ |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함 |
11 일차 | 25℃ | 온도가 급격히 하강 |
12 일차 | 20℃ | 2차 발효 완료 |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형화 된 배양물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수분 함량이 적어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발효되어 배양된 배양물은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미생물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를 배양한 배양물과 유기성 슬러지와 혼합하고 발효시켜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유기성 슬러지를 퇴비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는,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및 우유슬러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및 우유슬러지를 예를 들어 이들을 분해시키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농·축산물의 가공 폐기물, 식품 폐기물, 도축 폐기물, 축산 분뇨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물 폐기물 역시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분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50kg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 5kg을, 제1 배양물 삼나무 추출물 500ml, 버섯 폐 배지 6kg, 부엽토 5kg, 왕겨 25kg, 톱밥 5kg, 콩 비지 1kg, 숯가루 0.5kg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발효를 시키면서 경과를 기록하였다. ([표 8] 참조)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23℃ | 발효 시작 |
2 일차 | 30℃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50-53℃ | 오전에는 50℃였다가 오후에는 53℃까지 온도 상승 |
4 일차 | 47℃ | 1차 교반 후,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5 일차 | 55-60℃ | 발효되는 냄새가 나기 시작 |
6 일차 | 55℃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함 |
7 일차 | 35℃ | 90% 가량 발효 완료, 추가로 2차 교반함 |
8 일차 | 28℃ | 발효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100% 완료됨 |
상술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의 일종인 음식물 쓰레기 50kg가 8일 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에 의하여 분해가 완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200kg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 20kg을, 삼나무 추출물 2kg, 버섯 폐 배지 24kg, 부엽토 20kg, 왕겨100kg, 톱밥 20kg, 콩 비지 4kg 및 숯가루 2kg와 혼합하여 발효를 시키면서 경과를 기록하였다. ([표 9] 참조)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0℃ | 발효 시작 |
2 일차 | 35℃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48℃ | 계속하여 온도 상승 |
4 일차 | 50℃ | 계속하여 온도 상승 |
5 일차 | 55℃ | 1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6 일차 | 60℃ | 계속하여 온도 상승 |
7 일차 | 58℃ | 온도가 약간 하강되기 시작 |
8 일차 | 48℃ | 2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9 일차 | 60℃ | 다시 온도 상승됨 |
10 일차 | 50℃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함 |
11 일차 | 35℃ | 온도가 급격히 하강되고, 하얀 균이 외부에 발견됨 |
12 일차 | 28℃ | 발효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100% 완료됨 |
상술한 [실시예 2]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의 일종인 음식물 쓰레기 200kg가 12일 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에 의하여 분해가 완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500kg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 50kg을, 삼나무 추출물 3kg, 산야초 10kg, 버섯 폐 배지 60kg, 부엽토 50kg, 왕겨 250kg, 우드칩 50kg, 콩 비지 10kg 및 숯가루 5kg와 혼합하여 발효를 시키면서 경과를 기록하였다. ([표 10] 참조)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48℃ | 발효 시작 |
2 일차 | 60℃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
3 일차 | 60℃ | 온도 유지 |
4 일차 | 63℃ | 온도가 약간 상승 |
5 일차 | 56℃ | 온도가 약간 하강되어, 1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6 일차 | 61℃ | 온도가 다시 상승되기 시작 |
7 일차 | 72℃ | 온도가 급상승됨 |
8 일차 | 70℃ | 온도가 다시 약간 하강되기 시작 |
9 일차 | 65℃ | 계속하여 온도 하강 |
10 일차 | 69℃ | 온도가 다시 상승됨 |
11 일차 | 67℃ | 온도가 하강되어, 2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12 일차 | 67℃ | 온도 유지 |
13 일차 | 57℃ | 온도 하강 |
14 일차 | 55℃ | 온도가 하강되어, 3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15 일차 | 70℃ | 온도는 다시 급상승되나, 발효되는 냄새가 나기 시작 |
16 일차 | 53℃ |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가 육안으로 확인됨 |
17 일차 | 35℃ | 발효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100% 완료됨 |
상술한 [실시예 3]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의 일종인 음식물 쓰레기 500kg가 17일 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에 의하여 분해가 완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2t과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 200kg을, 삼나무 추출물 20kg, 산야초 10kg, 버섯 폐 배지 240kg, 부엽토 200kg, 왕겨 1000kg, 톱밥 200kg, 콩 비지 40kg 및 숯가루 20kg와 혼합하여 발효를 시키면서 경과를 기록하였다. ([표 11] 및 도 1 내지 도 8 참조)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4℃ | 발효 시작 (도 1 참조) |
2 일차 | 61℃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도 2 참조) |
3 일차 | 61℃ | 온도 유지 |
4 일차 | 60℃ | 온도 약간 하강 |
5 일차 | 65℃ | 온도 다시 상승 (도 3 참조) |
6 일차 | 65℃ | 온도 유지 |
7 일차 | 63℃ | 온도 다시 하강 |
8 일차 | 67℃ | 온도 다시 상승 (도 4 참조) |
9 일차 | 55℃ | 온도가 다시 하강되어, 1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
10 일차 | 65℃ | 온도 다시 상승 |
11 일차 | 69℃ | 계속해서 온도 상승 |
12 일차 | 70℃ | 계속해서 온도 상승 |
13 일차 | 72℃ | 계속해서 온도 상승 |
14 일차 | 74℃ | 계속해서 온도 상승 (도 5 및 도 6 참조) |
15 일차 | 74℃ | 온도 유지 |
16 일차 | 70℃ | 온도 다시 하강 |
17 일차 | 65℃ | 온도가 다시 하강되어, 2차 교반 및 본 실시예의 배양물을 첨가 (도 7 참조) |
18 일차 | 72℃ | 온도 다시 상승 |
19 일차 | 72℃ | 온도 유지 |
20 일차 | 50℃ | 온도 다시 급격히 하강 |
21 일차 | 40℃ | 온도가 하강되고, 하얀 균이 외부에 발견됨 |
22 일차 | 28℃ | 발효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100% 완료됨 (도 8 참조) |
상술한 [실시예 4]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의 일종인 음식물 쓰레기 2t이 22일 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에 의하여 분해가 완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수슬러지 2t과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 200kg을, 버섯폐배지 240kg, 부엽토 200kg, 왕겨 10kg, 톱밥 320kg, 콩 비지 40kg, 숯가루 20kg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발효를 시키면서 경과를 기록하였다. ([표 12] 및 도 9 내지 도 18 참조)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1 일차 | 32℃ | 재료 혼합 및 발효 시작 (도 9 및 도 10 참조) |
2 일차 | 35℃ |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기 시작함 (도 11 참조) |
3 일차 | 40℃ | 온도 상승 |
4 일차 | 50℃ | 온도 상승 |
5 일차 | 55℃ | 온도 상승 (도 12 참조) |
6 일차 | - | 1차 교반 |
7 일차 | 60℃ | 온도 상승 (도 13 및 도 14 참조) |
8 일차 | 55℃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 |
9 일차 | 50℃ | 온도가 계속해서 하강됨 (도 15 참조) |
10 일차 | 50℃ | 온도 유지 |
11 일차 | 43℃ | 2차 교반 (도 16 참조) |
12 일차 | 45℃ | 온도 약간 상승 |
13 일차 | 45℃ | 온도 유지 |
14 일차 | 45℃ | 온도 유지 |
15 일차 | 40℃ | 온도 하강 |
16 일차 | - | 3차 교반, 버섯폐배지 및 톱밥 추가 혼합 (도 17 참조) |
17 일차 | 45℃ | 온도 다시 상승 |
18 일차 | 50℃ | 온도 상승 |
19 일차 | 48℃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 |
20 일차 | 40℃ | 온도가 계속해서 하강 |
21 일차 | 30℃ | 발효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분해가 100% 완료,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육안으로 관찰됨 (도 18 참조) |
상술한 [실시예 5]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의 일종인 하수슬러지 2t이 21일 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에 의하여 분해가 완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유슬러지 1t과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 10kg을, 버섯폐배지 12kg, 부엽토 10kg, 왕겨 50kg, 톱밥 16kg, 콩 비지 2kg 및 숯가루 1kg을 혼합하여 발효를 시키면서 경과를 기록하였다. ([표 13] 및 도 19 내지 도 31참조)
경과 | 온도 변화 | 내용 |
0 일차 | - | 재료 혼합 및 발효 시작 (도 19 내지 도 21 참조) |
1 일차 | 65℃ | 발효에 의해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기 시작함 |
2 일차 | 65℃ | 온도 유지 |
3 일차 | 60℃ | 온도가 약간 하강됨 (도 22 참조) |
4 일차 | - | 1차 교반 |
5 일차 | 63℃ | 온도 상승 (도 23 참조) |
6 일차 | 65℃ | 온도 상승 |
7 일차 | 60℃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함 (도 24 및 도 25 참조) |
8 일차 | 63℃ | 온도가 다시 상승 |
9 일차 | 65℃ | 계속하여 온도 상승 |
10 일차 | - | 2차 교반 (도 26 참조) |
11 일차 | 55℃ | - |
12 일차 | 64℃ | 온도 다시 상승 (도 27 참조) |
13 일차 | 65℃ | 온도가 약간 상승 |
14 일차 | - | 3차 교반 |
15 일차 | 55℃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함 (도 28 참조) |
16 일차 | 55℃ | 온도 유지 |
17 일차 | 50℃ | 온도가 하강되기 시작함 (도 29 참조) |
18 일차 | 45℃ | 온도 하강,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육안으로 관찰됨 (도 30 참조) |
19 일차 | - | 발효에 따른 우유슬러지의 분해가 100% 완료됨, 백색 미생물 및 청색 미생물이 육안으로 관찰됨 (도 31 참조) |
상술한 [실시예 6]에 따르면, 유기성 슬러지의 일종인 우유슬러지 1t이 19일 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양물에 의하여 분해가 완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검토한 것과 같이, 50kg의 경우에는 수 일에 걸쳐, 또한 1t 및 2t과 같은 대량의 유기성 슬러지 역시도 19일 내지 22일만에 완전히 퇴비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양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슬러지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어, 유기성 슬러지로 인한 환경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하는 미생물 제제로,
기탁번호 KCCM11562P로 기탁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The first morning A 균주, 기탁번호 KCCM11563P로 기탁된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The first morning B 균주, 기탁번호 KCCM11564P로 기탁된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The first morning C 균주, 기탁번호 KCCM11565P로 기탁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The first morning D 균주, 기탁번호 KCCM11566P로 기탁된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The first morning E 균주 및 기탁번호 KCCM11567P로 기탁된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The first morning F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균사로 형성되어 고형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 기탁번호 KCCM11562P로 기탁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The first morning A 균주, 기탁번호 KCCM11563P로 기탁된 바실러스 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The first morning B 균주, 기탁번호 KCCM11564P로 기탁된 리시니바실러스 자일라니라이쿠스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The first morning C 균주, 기탁번호 KCCM11565P로 기탁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Bacillus methylotrophicus) The first morning D 균주, 기탁번호 KCCM11566P로 기탁된 데바리오마이시스 폴리모푸스 (Debaryomyces polymorphus) The first morning E 균주 및 기탁번호 KCCM11567P로 기탁된 뮤코 설시넬로이데스 (Mucor cirinelloides) The first morning F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배양한 배양물과 유기성 슬러지와 혼합하고 발효시켜,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은,
제1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1 공정;
제2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배양물과 상기 제2 배양물을 혼합하여 혼합 배양물을 생성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혼합 배양물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넣고 발효시켜 상기 배양물을 얻는 제4 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양물은,
삼나무,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 및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양물은,
현미, 산야초, 설탕 및 물을 혼합 및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양물 및 상기 제2 배양물 중 하나 이상은,
대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삼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개미집이 분포하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및 소사나무가 자라는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배양된 배양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은,
고형화 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슬러지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및 우유슬러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3826A KR101553073B1 (ko) | 2015-02-17 | 2015-02-17 |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3826A KR101553073B1 (ko) | 2015-02-17 | 2015-02-17 |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3073B1 true KR101553073B1 (ko) | 2015-09-14 |
Family
ID=5424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3826A KR101553073B1 (ko) | 2015-02-17 | 2015-02-17 |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307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4933B1 (ko) * | 2016-03-10 | 2016-11-22 | 주식회사 케이엔씨 | 막 분리를 이용한 우수 처리시스템 |
CN109762765A (zh) * | 2019-01-30 | 2019-05-17 | 新疆农业科学院微生物应用研究所(中国新疆-亚美尼亚生物工程研究开发中心) | 一种腐熟固体发酵菌剂及其在农业废弃物中的应用 |
KR102231778B1 (ko) | 2020-08-31 | 2021-03-24 | (주)화이브앤식스 | Smr 공법을 적용한 하수 슬러지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424401B1 (ko) * | 2022-02-16 | 2022-07-22 | 주식회사 바이오숨 | 수처리장 협잡물 악취저감 및 유기물 감량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장 협잡물 악취저감 및 유기물 감량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 협잡물 처리방법 |
KR102431347B1 (ko) | 2021-11-24 | 2022-08-11 | (주)윈텍글로비스 | 슬러지 건조처리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879B1 (ko) | 2008-10-31 | 2009-11-06 | 주식회사 세정바이오텍 | 오ㆍ폐수 처리용 복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오ㆍ폐수의 유기물과 질소를 처리하는 방법 |
-
2015
- 2015-02-17 KR KR1020150023826A patent/KR1015530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879B1 (ko) | 2008-10-31 | 2009-11-06 | 주식회사 세정바이오텍 | 오ㆍ폐수 처리용 복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오ㆍ폐수의 유기물과 질소를 처리하는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4933B1 (ko) * | 2016-03-10 | 2016-11-22 | 주식회사 케이엔씨 | 막 분리를 이용한 우수 처리시스템 |
CN109762765A (zh) * | 2019-01-30 | 2019-05-17 | 新疆农业科学院微生物应用研究所(中国新疆-亚美尼亚生物工程研究开发中心) | 一种腐熟固体发酵菌剂及其在农业废弃物中的应用 |
KR102231778B1 (ko) | 2020-08-31 | 2021-03-24 | (주)화이브앤식스 | Smr 공법을 적용한 하수 슬러지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431347B1 (ko) | 2021-11-24 | 2022-08-11 | (주)윈텍글로비스 | 슬러지 건조처리 시스템 |
KR102424401B1 (ko) * | 2022-02-16 | 2022-07-22 | 주식회사 바이오숨 | 수처리장 협잡물 악취저감 및 유기물 감량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장 협잡물 악취저감 및 유기물 감량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 협잡물 처리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87551C (zh) | 一种以陈旧生活垃圾为原料生产活性营养肥的方法 | |
KR101553073B1 (ko) |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
CN101734960B (zh) | 叶菜类有机蔬菜专用有机肥及其制备方法 | |
CN1680218B (zh) | 发酵肥料的制造方法和发酵肥料 | |
CN111254079B (zh) | 一种复合发酵菌剂及其在制备柑橘果肉生物有机肥中的应用 | |
KR20120041377A (ko) | 음식물 쓰레기의 호기적 소멸발효처리용 미생물 제제,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호기적 소멸발효처리 방법 및 그 발효처리 산물의 용도 | |
CN105294267A (zh) | 一种糠醛渣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 |
CN105060944A (zh) | 一种鱼溶浆制备蛋白肥的方法 | |
CN105272408A (zh) | 水稻育秧基质快速培育工艺及快速发酵菌剂、腐熟菌剂 | |
KR20170127182A (ko) | 유기물이 풍부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 |
CN100387555C (zh) | 活性有机肥料的生产方法 | |
JPH02160684A (ja) | コンポストの製造方法 | |
CN103880544A (zh) | 一种天然有机农作物肥料及其制备方法 | |
KR20140007640A (ko) | 유기성 슬러지 분해능을 갖는 배양물의 배양방법 및 그 배양물 | |
CN112552088A (zh) | 一种厨余垃圾处理方法 | |
CN102524520A (zh) | 餐厨垃圾及废弃动植物转化为饲料的方法 | |
CN107500995A (zh) | 有效预防大蒜坐蔸的生态肥及其制备方法 | |
JP3514504B2 (ja) | 植物性廃棄物の微生物処理及びその生成物の有効利用法 | |
KR970027028A (ko) | 음식물 쓰레기와 유효 미생물균군을 주재로 유기질사료, 유기질비료, 유기질 오·폐수정화제를 제조하는 방법 | |
JP3753627B2 (ja) |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 |
TWI728262B (zh) | 快速醱酵有機質的方法 | |
KR102066474B1 (ko) | 복합미생물 배양체 제조방법 및 복합미생물 배양체를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 |
KR102499322B1 (ko)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
JP2003199434A (ja) | 微生物応用資材 | |
CN117902926A (zh) | 一种植物源肥料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