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81B1 -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 Google Patents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81B1
KR102498881B1 KR1020200121156A KR20200121156A KR102498881B1 KR 102498881 B1 KR102498881 B1 KR 102498881B1 KR 1020200121156 A KR1020200121156 A KR 1020200121156A KR 20200121156 A KR20200121156 A KR 20200121156A KR 102498881 B1 KR102498881 B1 KR 10249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evacuation
block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850A (ko
Inventor
이명순
Original Assignee
(주)해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밀 filed Critical (주)해밀
Priority to KR102020012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의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를 조립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도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이 일측으로 진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상기 도어를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시킨 후 상기 베어링을 내삽부재에 끼움결합시켜 조립하도록 구성하여, 손쉽게 상기 도어를 베어링을 기준으로 스윙운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ESCAPE DOOR}
본 발명은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의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를 조립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도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이 일측으로 진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상기 도어를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시킨 후 상기 베어링을 내삽부재에 끼움결합시켜 조립하도록 구성하여, 손쉽게 상기 도어를 베어링을 기준으로 스윙운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과 같은 인공 시설에는 붕괴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사고발생시, 상기 터널에 위치한 사람들이 대피하거나 의료진 또는 소방관 등과 같은 응급복구반 등이 사고 현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통로(대피로)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비상 통로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갱문(차단문)이 보조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7898호 "피난갱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을 들 수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1은 미닫이 구조를 이루는 피난갱문에 관한 것이다.
즉, 비상 통로를 통해 탈출을 시도하는 대피자는 갱문을 미닫이 방식으로 열어야만 상기 비상 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터널과 같이 어두운 곳에 화재가 발생해서 조명시설이 훼손되고, 화재연기 등으로 인해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급박한 상황이 되면, 비상 통로로 집중된 수많은 대피자는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이므로 미닫이 방식의 갱문을 여는데 주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종래 갱문은 쉽게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흥분한 대피자가 상기 갱문을 훼손하는 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었고, 이는 곧 유해가스가 상기 갱문의 반대편인 안전지대로까지 유입되는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미닫이 방식의 출입구조에서는 비상 통로의 단면적 일부가 갱문에 의해 막힐 수밖에 없으므로, 비상 통로로 집중된 대피자는 갱문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병목현상으로 인해 대피에 지연이 발생하거나 문을 제때 열지 못해 압사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윙 방식의 도어가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18205호 "비상 통로의 피난용 갱문"(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2011384호 "자폐식 회전문을 구비한 피난용 갱문"(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779108호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이하 '종래기술4'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도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스윙도어; 상기 스윙도어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도어축과 동축을 이루며 연동하되, 일정한 회전각 범위에서는 상기 도어축에 공회전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 및 상기 스윙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자동폐쇄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래기술3은 터널이나 건물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패널을 포함하는 피난용 갱문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회전형 도어유닛을 구비하여, 위급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갱문의 개방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회전형 도어유닛을 통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형 도어유닛에 자동폐쇄장치를 더 구비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회전도어를 닫힘상태로 회전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연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자폐식 회전문을 구비한 피난용 갱문에 관한 것이며,
상기 종래기술4는 회전 도어의 도어축 상부에 마련되는 회전 드럼과 도어 폐쇄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도어 폐쇄수단은 회전 드럼의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공에 감김 로터에 연결되는 작동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작동 와이어 선단의 걸림구가 와이어 당김 방향으로 걸리도록 하여 상기 회전 도어를 밀어 개방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 와이어를 당겨 자동 폐쇄하고 설정 시간 이전에 수동 폐쇄하는 경우에 동력을 단절시켜 회전 드럼의 와이어 삽입공이 작동 와이어에 걸리지 않고 이동하면서 수동 폐쇄가 가능한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과 관련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난용 갱문은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형 보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운동이 가능한 스윙방식의 갱문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이러한 스윙방식의 갱문은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피난통로의 일부를 침범해야 하기 때문에, 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어를 경사지게 진입시켜 회전축에 결합시켜야 하며, 일반적으로 도어는 방염, 방화 성능이 우수한 고중량의 부재로 도어를 경사지게 진입시키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다.
또한 도어 하부에 회전축을 정확하게 끼우거나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어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공중에 들어 올린 후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성도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터널의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스윙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부재가 일측에서 내삽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재를 통하여 도어를 띄우지 않고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피난통로에 진입시킨 후, 상기 베어링부재가 안착부재에 내삽되도록 도어를 움직임으로서 도어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축부재와, 상기 고정축부재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도어의 스윙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은
터널에 형성된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피난갱문에 있어서,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부재가 일방향에서 내삽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내삽부가 형성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도어를 상기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난통로에 진입시키고, 상기 베어링부재가 상기 안착부재에 내삽되도록 도어를 움직여 프레임에 상기 베어링부재를 중심축으로 스윙운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은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와, 이 베어링부재가 일방향에서 내삽되며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도어를 프레임에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를 설치함에 있어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피난통로에 진입시킨 후 베어링부재를 안착부재에 내삽시키면 상기 도어가 베어링부재를 축으로 스윙동작 가능하게 조립됨에 따라 도어를 공중에 띄워서 베어링부재에 정위치 시키도록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작업 안정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를 고정축부재와 상기 고정축부재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부재로 구성하여 도어의 스윙동작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원활하게 하여 빠른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 또한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의 결합수단의 상세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의 결합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A)은 터널내에 구비되는 피난통로(L)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스윙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를 프레임(10)에 설치함에 있어 편의성을 높이도록 베어링부재(31) 및 안착부재(32) 그리고 커버(33)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1참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의 양차선 사이에 구비되어 위급상황 발생 시 차량 또는 보행자가 대피를 하거나 구급대원 또는 구조대원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피난통로(L)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난통로(L)에는 도어(20) 설치를 위한 프레임(10)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10)에 도어(20)가 상기 피난통로(L)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20) 설치를 위해 상하프레임(10) 및 상기 상하프레임(10)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10)들의 길이는 상기 도어(20)와 피난통로(L)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도어(20)는 상기 프레임(10)(본 명세서에서의 프레임(10)은 피난통로(L)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0)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에 후술하는 베어링부재(31)를 스윙축(29)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피자가 어느 한 방향의 도어(20)를 밀어 손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상기 스윙축(29)이 도어(2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스윙축(29)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도어(20)의 회전방향 및 대피로임을 안내하는 안내표시부(21)가 더 구비되고, 별도의 손잡이(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20)에는 후술하는 고정블록유닛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랜턴(24)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비상랜턴(24)이 상기 도어(20)(보다 정확하게는 랜턴하우징(25)을 의미한다.)로부터 분리되면 자동으로 경보신호를 인근 소방서, 터널 관리소 등의 구조시설에 전달하여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20)에는 구조시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랜턴하우징(25)이 구비되고, 이 랜턴하우징(25)에 상기 랜턴이 상기 고정블록유닛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은 이러한 도어(20)를 프레임(10)에 설치함에 있어 설치(조립)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이고자 결합수단(30)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하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31)와, 상기 베어링부재(31)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도어(20), 보다 정확하게는 도어(20) 하단에 구비되는 안착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재(32)의 삽입을 위해 상기 도어(20)의 하단에는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22)에 상기 안착부재(32)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착부재(32)가 도어(20) 하부면보다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우선 상기 베어링부재(31)는 상기 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부재(31)는 상기 프레임(10)에 부분 매립되어 고정되는 고정축부재(311)와, 상기 고정축부재(311)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축부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회전축부재(312)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축부재(311)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부재(312)의 공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링볼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볼은 상기 고정축부재(311)에 구비되는 끼움공(311a)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1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부재(312)는 상기 끼움공(311a)에 끼워지는 기둥(312a)과, 상기 기둥(312a)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재(32)의 내측면이 밀착되는 원판 형상의 밀착판(3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312a) 외면에 상기 베어링공이 밀착되어 회전축부재(312)의 공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20) 하부에는 안착부재(32)가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부재(31)가 내삽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착부재(32)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 상기 도어 하단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321)와, 상기 고정부(321) 일면에 외벽(322a)을 갖는 내삽부(3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내삽부(322)는 하부 및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내삽부(322)는 상기 베어링부재(31)가 인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내삽부(322)의 하면(내측면)(상기 도어(20) 하부에 안착부재(32)가 설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에는 상기 베어링부재(31) 중 회전축부재(312)의 밀착판(312b) 상면이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삽부(322)를 형성하는 외벽(322a)은 상기 회전축부재(312)의 밀착판(312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타측에 곡선부(322ab)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벽(322a), 보다 정확하게는 내삽부(322)의 타측에는 상기 에어홀(322b)을 더 구비하여 상기 도어(20)를 움직여 내삽부(322)에 베어링부재(31)를 끼울 때, 내삽부(322)에 있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베어링부재(31)의 진입방향 반대에 형성함에 따라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지 않고 보다 수월하게 베어링부재(3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기나 불씨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도어(20) 하부는 상기 프레임(10)에 밀착되거나, 별도의 패킹 등을 통하여 프레임(10)과 밀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도어(20)를 밀어 베어링부재(31)를 안착부재(32)에 인입시키는 경우 내삽부(322) 내에 있던 공기가 빠져나갈 공간이 마련되지 않으면 결합 시 많은 힘이 필요하거나 결합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에어홀(322b)을 더 구비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다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는 도어(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에 스토퍼(11)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 스토퍼(11)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일부 또는 후면 일부에 구비되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어링부재(31)를 기준으로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에 구비되고, 안착부재(32)의 삽입을 위한 도어(20)의 하단 결합홈(22)의 일부를 가리는 길이를 갖는 바타입 스토퍼이고, 결합된 도어(2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복수개의 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수단(30)에는 상기 안착부재(32)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삽부(322)의 측방향을 폐쇄하는 커버(3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커버(33)는 상기 도어(20)를 결합한 후에 베어링부재(31)가 안착부재(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볼트를 이용하여 안착부재(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20)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20)를 기 설정시간이 지나면 닫힘 상태로 회전시키는 별도의 자동폐쇄장치(4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20)가 일정시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열림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도어(20)를 강제로 회전시켜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 연기나 불씨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20)를 조립할 때 공중에 띄워 도어(20) 하부에 베어링부재(31)를 정위치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조립 편의성을 높이는 것으로, 이하 도어(20) 조립 공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 시공 전, 상기 피난통로(L)에 도어(20)의 크기에 맞는 프레임(10)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도어(20)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스토퍼(11)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설치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는 베어링부재(31)를 미리 고정시켜 작업 편의성을 높이며, 상기 베어링부재(31)의 고정축부재(311)만 프레임(10)에 고정한 후 회전축부재(312)를 추후에 끼워넣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부재(31)가 구비된 프레임(10)이 피난통로(L)에 설치되면 미리 제작된 도어(20)를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도어(20)는 하부에 안착부재(32)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베어링부재 및 바타입 스토퍼는 프레임에 미리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하단 결합홈에는 안착부재가 미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를 피해 안착부재(32)가 구비된 도어(20)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이송되고, 상기 프레임(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20)를 피난통로(L)에 진입시키게 된다. 이 때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도어(20)는 공중에 부양된 상태가 아닌 바닥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하며,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10)과 교차된 방향으로 배열된 도어(20)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안착부재(32)의 내삽부(322) 일측으로 베어링부재(31)를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부재(31)가 인입되면, 다시 도어(20)를 베어링부재(31)를 회전축으로 회전시켜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 전에 앞서 언급한 복귀장치를 도어(20) 상부에 결합시켜 도어(20)가 복귀장치 및 베어링부재(31)를 스윙축(29)으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33)를 도어에 결합하여 결합홈을 막아 베어링부재(31)와 결합된 안착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여 도어(20)의 조립을 완료함으로서 작업 편의성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20)에는 비상랜턴(24)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비상랜턴(24)은 평상시에는 견고하게 도어(20)(보다 정확하게는 도어(20)에 구비되는 랜턴하우징(25))에 고정되고, 위급시에는 손쉽게 도어(20)로부터 분리되어 대피자가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랜턴과 도어(20)를 고정블록유닛(B)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유닛(B)은 랜턴 측면에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상기 랜턴하우징(25)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 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도5a의 [A]는 상기 고정블록유닛(B)이 설치되는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5a의 [B], [C], 도5b의 [D], [E], [F]는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결합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명세서 보기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부호는 도5a에만 도시하였으며, 이하 나머지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도면부호는 도5a를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블록(B2)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5a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랜턴하우징(25)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하 개방된 인입홀(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홀(B21)에는 양측으로 끼움홈(B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이 내삽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B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봉돌(B13)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부(B11)가 상기 제1블록(B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공간부(B11)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승하강공간부(B126)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분체 및 하분체의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이동공간부(B11)는 승하강봉돌(B13)이 승하강하는 공간이고,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는 후술하는 풀업부재(B12)가 승하강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멈춤턱(B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복귀부재(B16)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성에 영향을 받는 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에는 진입뾰족부(B1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을 벌리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뾰족부(B131)의 양측에는 상기 진입뾰족부(B131)보다 경사가 완만한 완만경사부(B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의 인입 동작 시 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팔(B14)은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고정팔(B14)의 양측에는 스프링지지날개(B141)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날개(B141)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B143)이 구비되어 도5a[B]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팔(B14)의 내측 상부에는 진입안내경사부(B142)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블록(B1) 상부에는 풀업부재(B1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풀업부재(B12)는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그넷몸체(B121)와, 상기 마그넷몸체(B1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는 풀업손잡이(B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 상부에는 제1스프링(B123)이 구비되어, 상기 풀업부재(B12)가 아랫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풀업손잡이(B122)에는 후술하는 풀업라인(B124)이 결합되는 라인결합부(B12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11)(B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토퍼(11)(B15)는 상기 제1블록(B1) 내부 양측에 제1탄성힌지부(B154)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몸체(B151)와, 상기 스토핑몸체(B151)에 제2탄성힌지부(B15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핑다리(B15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상기 스토핑몸체(B151)를 기준으로 아랫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제한적 회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힌지부(B155)와 상기 풀업부재(B12)의 풀업손잡이(B122)를 연결하는 풀업라인(B12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풀업라인(B124)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록(B1)의 내측에는 라인공간부(B1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풀업부재(B12) 및 풀업라인(B1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탄성힌지부(B154) 또한 도5a[B]의 형상과 같이 상기 풀업부재(B12)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에는 복귀부재(B16)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귀부재(B16)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진입뾰족부(B131)가 내삽 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뾰족부수용홈(B161a)이 형성된 복귀몸체(B161)와,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복귀핸들(B162) 및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서 상기 복귀핸들(B162)을 외삽 하도록 구비되는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핸들(B162)의 하부에는 직경이 넓은 핸들홀딩부(B162a)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홀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블록유닛(B)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5a[B]와 같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이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풀업부재(B12)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제1블록(B1)을 인입홀(B21)에 끼워 넣은 후, 도5a[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풀업손잡이(B122)를 잡고 풀업부재(B1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멈춤턱(B111)에 의해 상승이 불허되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와 승하강블록이 멀어져 자성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스토퍼(11)(B15)는 풀업라인(B124)이 당겨지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다리(B152)가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게 되나,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도5a[C]와 같은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승하강봉돌(B13)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진입뾰족부(B131)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진입안내경사부(B14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제1블록(B1) 양측으로 전진시켜 도5b[D]와 같이,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2블록(B2)에 끼움홈(B22)에 내삽 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승하강봉돌(B13)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후퇴를 불허하여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면 도5b의 [D]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조금 하강시킨 후, 상기 도5b의 [E]와 같이 중력가속도에 의한 힘이 없어지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에 상기 회전스토퍼(11)(B15)의 스토핑다리(B152)가 밀착되어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도5b의 [D]와 같은 상태를 통하여 상기 도5a의 [C]와 같이 접혀진 스토핑다리(B152)가 다시 펼쳐지는 공간이 확보되고, 도5b의 [E]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5b의 [F]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몸체(B161) 하단이 하부단턱부(B112)에 밀착될 때 까지 상기 복귀핸들(B162)을 잡고 당기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함께 하강하고, 이 때 사용자가 복귀부재(B16)를 놓으면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위로 타격시키며, 승하강봉돌(B13)이 상승하다가 상기 풀업부재(B12)의 마그넷몸체(B121)와 자력에 의해 붙어 앞서 도5a의 [B]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 되어 제1블록(B1)을 손쉽게 제2블록(B2)으로부터 빼 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보다 손쉽게 결합, 고정유지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피난갱문 L : 피난통로
10 : 프레임 11 : 스토퍼
20 : 도어 21 : 안내표시부
22 : 결합홈 23 : 손잡이
24 : 비상랜턴 25 : 랜턴하우징
29 : 스윙축
30 : 결합수단 31 : 베어링부재
311 : 고정축부재 311a : 끼움공
312 : 회전축부재 312a : 기둥
312b : 밀착판 32 : 안착부재
321 : 고정부 322 : 내삽부
322a : 외벽 322ab : 곡선부
322b : 에어홀 33 : 커버
40 : 자동폐쇄장치

Claims (4)

  1. 터널에 형성된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피난갱문에 있어서,
    상기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도어의 하단 결합홈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부재가 일방향에서 내삽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내삽부가 형성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부분 매립되어 고정결합되는 고정축부재와, 상기 고정축부재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축부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회전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스토퍼는 상기 베어링부재를 기준으로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에 구비되고 안착부재의 삽입을 위한 도어의 하단 결합홈의 일부를 가리는 길이를 갖는 바타입 스토퍼이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도어 하단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일면에 외벽을 갖는 내삽부로 이루어지고, 이 내삽부는 하부 및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안착부재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부재가 내삽부에 인입되면, 상기 내삽부를 닫아 베어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재 및 바타입 스토퍼는 프레임에 미리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하단 결합홈에는 안착부재가 미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를 피해 상기 도어를 상기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난통로에 진입시키고, 상기 베어링부재가 상기 안착부재의 내삽부 일측으로 인입되도록 도어를 움직여 조립하면 상기 베어링부재 중 회전축부재의 밀착판 상면이 내삽부 하면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를 도어에 결합하여 결합홈을 마감하여 프레임에 상기 베어링부재를 중심축으로 스윙운동 가능하게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내삽부의 타측에 에어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비상랜턴이 도어에 구비된 랜턴하우징의 고정블록유닛을 통하여 탈락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 고정블록유닛은 랜턴 측면에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랜턴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 및 상기 제1블록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4. 삭제
KR1020200121156A 2020-09-21 2020-09-21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KR10249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56A KR102498881B1 (ko) 2020-09-21 2020-09-21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56A KR102498881B1 (ko) 2020-09-21 2020-09-21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50A KR20220038850A (ko) 2022-03-29
KR102498881B1 true KR102498881B1 (ko) 2023-02-13

Family

ID=8099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156A KR102498881B1 (ko) 2020-09-21 2020-09-21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108B1 (ko) * 2017-02-16 2017-09-18 에스텍이앤지(주)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972B1 (ko) * 1995-10-25 1998-11-16 김광호 도어의 좌우개폐장치
KR102366950B1 (ko) * 2018-10-12 2022-02-25 한국도로공사 차량 및 보행자 사용이 가능한 터널용 차단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108B1 (ko) * 2017-02-16 2017-09-18 에스텍이앤지(주)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50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US3968856A (en) Spiral slide fire escape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WO1986003131A1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2498881B1 (ko) 조립 편의성을 높인 터널용 피난갱문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CN1970114A (zh) 一种楼宇走火救生方法及其设施
KR20110087572A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JP2021192891A (ja) 消火器箱
KR102039521B1 (ko) 공공안전사다리 및 그 동작 방법
JP2003117011A (ja) 避難具
JP6854149B2 (ja) トンネル内消火器箱
KR101011239B1 (ko)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 장치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JP6956220B2 (ja) 消火器箱
JP2829835B2 (ja) 防火シャッター装置
KR101151032B1 (ko)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KR102639113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CN109372397A (zh) 具有平衡控制装置的防火门
CN219764330U (zh) 一种具有逃生功能的护栏
JP2009281130A (ja) 避難用両袖扉の同時連動シャッター閉鎖装置
CN110801583B (zh) 一种消防工程使用的高楼火灾逃生装置
KR102288765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