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00B1 -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00B1
KR102498800B1 KR1020200103533A KR20200103533A KR102498800B1 KR 102498800 B1 KR102498800 B1 KR 102498800B1 KR 1020200103533 A KR1020200103533 A KR 1020200103533A KR 20200103533 A KR20200103533 A KR 20200103533A KR 102498800 B1 KR102498800 B1 KR 10249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ophanol
cells
ovarian cancer
breast cancer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849A (ko
Inventor
송권화
임화선
박선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2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화학적 합성물에 비해 체내 독성 내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의 증식력을 억제하고 용량 의존적으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주 내 사멸 세포의 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PI3K/AKT, MAPK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는 타겟 억제제와 병용 처리하는 경우 세포 사멸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생명과학, 의약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arian cancer or breast cancer comprising chrysophanol}
본 발명은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난소암은 조기 진단 기술의 부재와 화학요법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발병률 대비 사망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Kobayashi et al.,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014). 현재 종양감축술 치료 이후 백금계, 탁산계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치료가 난소암 치료의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말기 난소암 환자의 경우 재발률이 대략 70%에 달한다 (Capriglione et al., Medical Oncology, 2017).
유방암은 전 세계 여성에게서 발병하는 악성 종양 중 2위의 발병률을 보이며, 일생 동안 8명중 1명꼴로 발병하는 사망률 2위의 치명적인 질환이다 (Siegel et al., CA Cancer J., 2018, 68: p.7-30). BRC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방암 발병에 주요한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그 수치는 유방암 환자중 5-10%에 그친다. 또한, 수유를 하지 않거나 수유 기간이 짧은 여성이 유방암 발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 Lancet, 2002, 360: p.187-195.) 일반적으로 유방암에 대해서는 전체 종양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치료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까지 개선된 수술법이나 화학적 항암요법들은 병기가 진행된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이지 못하며 부작용만 심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Aghapour et al., Biochem. Biophy. Res. Commun, 2018, 500: p.860-865).
한편, 크리소파놀은 한약의 재료로 쓰이는 대황에 주로 함유된 안트라퀴논 계열의 천연물이다. 대표적인 안트라퀴논 계열 화합물인 에모딘, 레인 등은 다양한 암종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침습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 반면, 크리소파놀의 항암 효과 특히, 대표적인 부인과 질환인 난소암 및 유방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바 없다.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난소암 및 유방암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크리소파놀이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 유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소암 또는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소암 또는 유방암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소암 또는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소암 또는 유방암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화학적 합성물에 비해 체내 독성 내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의 증식력을 억제하고 용량 의존적으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주 내 사멸 세포의 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PI3K/AKT, MAPK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는 타겟 억제제와 병용 처리하는 경우 세포 사멸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생명과학, 의약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 증식력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 사멸 유도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유도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내 신호전달기전 조절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크리소파놀과 신호전달경로 억제제 처리에 따른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 증식력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세포 이주 능력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크리소파놀의 난소암에 대한 항암기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크라이소파놀의 유방암 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 기전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크리소파놀의 난소암 또는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 억제 및 세포 사멸 기전을 밝혔다(도 8, 도9).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및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 및 유방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산물뿐만 아니라, 특정 성분의 배합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의의 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소암 또는 유방암 세포는 포유동물 유래의 세포일 수 있으며, 상기 포유동물은 설치목(예를 들어, 생쥐, 쥐, 햄스터, 게르빌루스 및 기니피그), 우제목(예를 들어, 소, 양, 돼지, 염소, 사슴, 기린 및 영양), 기제목(예를 들어, 말, 당나귀, 코뿔소 및 맥), 식육목(예를 들어, 개, 고양이, 호랑이, 늑대, 여우, 사자, 치타, 표범, 너구리, 오소리, 퓨마, 재규어 및 삵쾡이), 토끼목(토끼 및 우는 토끼), 식충목(예를 들어, 고슴도치, 두더지 및 솔레노돈) 및 영장목(예를 들어,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 보노보노, 일본원숭이, 붉은털원숭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이온 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완충 물질, 물, 염, 전해질,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부 투여용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완충제, 항균성 보존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긴장성 조정제, 방부제, 증점제 및 점도 개질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에멀젼, 겔 및 분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증상의 경중도, 환자의 체중, 연령, 성, 투여 방식 및 투여시간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2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과립제, 정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껌, 차, 젤리, 각종 음료수,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인체를 비롯한 동물 신체에 투여하기 적합한 임의의 생약 형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에 통상적인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 식품 또는 사료의 첨가제 및 보조제, 강화된 식품 또는 사료, 정제, 환제, 과립, 캡슐 및 발포 배합물 등과 같은 고체 형태 또는 용액, 현탁액, 유화액, 음료, 페이스트 등과 같은 액체형태 일 수 있고,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감미제, 착색제, 유기산,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리소파놀은 PI3K/AKT 및 MAPK 신호전달기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I3K/AKT 및 MAPK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는 타겟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리소파놀은 산화스트레스 유도를 통해 난소암, 유방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리소파놀은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유도를 통해 난소암, 유방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플라틴 또는 파클리탁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난소암 또는 유방암 치료제로 사용되는 화학치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난소암 세포주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난소암 세포주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유방암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험방법
실험동물 및 세포배양
ES2, OVCAR3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세포의 단층배양을 위해서 ES2는 McCoy’s 5A 배지에, OVCAR3는 25mM HEPES가 포함된 RPMI-1640 배지에 10%의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인 BT-474, MCF-7는 한국세포주은행 (KCLB)에서 구입하였으며, 정상 유선 세포인 MCF-12A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유방암 세포의 단층배양을 위해서 RPMI1640 (+25mM HEPES) 배지에 10%의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추가한 배양용 배지에 배양하였으며, 정상 유선세포는 DMEM/F12 배지에 20ng/ml hEGF, 0.01mg/ml bovine insulin, 500ng/ml hydrocortisone 및 5% horse serum을 섞은 배양용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 재료
후보 조성물질인 크리소파놀은 Sigma-Aldrich, Inc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크라이신에 의한 신호전달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phospho-AKT (Ser473), ERK1/2 (Thr202/Tyr204), JNK (Thr183/Tyr185), P70S6K (Thr421/Ser424), P90RSK (Thr573), S6 (Ser235/236), P38 (Thr180/Tyr182) 단백질 및 total-AKT, ERK1/2, JNK, P70S6K, P90RSK, S6, P38에 대한 항체를 Cell Signaling Techonology사로부터 구매하였다. 또한 타겟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함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PI3K 억제제인 LY294002(2-Morpholin-4-yl-8-phenylchromen-4-one)를 Cell Signaling Technology사로부터, ERK1/2 억제제인 U0126(1,4-diamino-2,3-dicyano-1,4-bis[2-aminophenylthio]butadiene), P38 억제제인 SB203580(4-[4-(4-fluorophenyl)-2-(4-methylsulfinylphenyl)-1H-imidazol-5-yl]pyridine), 및 JNK 억제제인 SP600125(Anthra[1,9-cd]pyrazol-6(2H)-one)를 Enzo Life Science사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BrdU를 이용한 세포 증식 능력 분석
난소암 세포 및 유방암 세포의 증식 능력에 크리소파놀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FBS 기아 조건으로 배양한 5×103개의 세포와 배지 100 ㎕를 96 well에 분주하고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으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BrdU 키트 (Cat No: 1167229001, Roche)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48시간 인큐베이션 후, 10 μM BrdU를 각 well에 추가적으로 넣어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에 BrdU를 labeling 하고 세포를 고정하여 anti-BrdU-POD 용액을 상온에서 90분 인큐베이션 시킨 후 3차례 씻어주고, 마지막으로 100 μl의 3,3’,5,5’-tetramethylbenzidine substrate으로 세포를 반응시키고, ELISA 리더기를 사용하여 370 nm, 492 nm 내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능력을 분석하였다.
면역형광법을 이용한 세포 증식 마커 확인
3×104 개의 BT-474 및 MCF-7 세포를 confocal dish (catalog number: 100350, SPL Life Science, Republic of Korea)에 분주하여 배양한 뒤,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로 배양하여 크라이소파놀 100 μM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메탄올로 10분간 세포를 고정하고, 2 μg/ml의 PCNA 항체를 처리하여 4℃에서 16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이후, 0.1% BSA (bovine serum albumin)이 포함된 PBS로 2번의 워싱과정을 거쳐 2차 항체로는 goat anti-mouse IgG Alexa 488 (catalog number: A-11001,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antibody dilution buffer에 1:2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0.1% BSA-PBS로 워싱한 다음 DAPI 염색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핵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종료 후 LSM710 (Carl Zeiss, Thornwood, NY, USA)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 및 촬영하였다.
Annexin V와 propidium iodide 염색을 통한 세포사멸 분석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의 사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TC Annexin V 세포 사멸 진단 키트 I (BD Biosciences)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5×105 개의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70 ~ 8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으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PBS로 워싱을 진행하고 1 mL의 1× binding buffer를 사용하여 세포를 천천히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pellet을 얻은 다음, 200 μL의 1× binding buffer으로 세포현탁배양하여 브라운 1.5 mL 튜브에 100 μL 넣고 Annexin V 5 μL, PI 5 μL를 함께 혼합하여 세포를 15분 동안 실온에 두어 염색하였다. 이후, 1× binding buffer를 400 μL 추가하고, 5 mL FACS 튜브에 염색된 용액을 옮겨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여 사멸된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TUNEL assay를 통한 DNA 분절화 측정
3×104개의 BT-474 및 MCF-7 세포를 confocal dish (catalog number: 100350, SPL) 에 배양한 후, 24시간 serum 기아상태로 추가로 배양하여 크라이소파놀 100 μM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에어드라이 시키고 4% paraformaldehyde로 상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는 PBS로 한번 헹궈내고 0.1% sodium citrate에 0.1% Triton X-100가 함유된 용액을 사용하여 아이스 위에서 2분간 인큐베이션 시켰다. 다음으로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Kit, TMR red (Roche) 에 포함된 TUNEL staining mixture를 사용하여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PBS로 헹구고 DAPI를 염색한 후, LSM710 (Carl Zeiss, Thornwood, NY, USA)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 및 촬영하였다.
DCFH -DA을 이용한 활성산소 형성 분석
활성산소 형성 분석은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DCFH-DA, Sigma-Aldrich)을 통해 진행하였다. 100π 배양 접시에 70 ~ 80% 세포가 찼을 때,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PBS로 워싱을 진행하고 원심분리 하여 세포 pellet을 얻었다. 세포에 10 μM DCFH-DA을 처리해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PBS로 워싱을 진행한 뒤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으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다시 원심분리 하여 PBS로 워싱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지질과산화 분석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내 지질과산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Click-iT lipid peroxidation imaging kit (Invitrogen)을 사용하였다. 3×104개의 세포를 10% FBS가 포함 된 배지 300 μl와 함께 confocal dish 에 분주하여 배양한 뒤, 크리소파놀 100 μM과 함께 37℃ 인큐베이터 내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3.7% formaldehyde로 세포를 고정하고 0.5% Triton X-100을 이용하여 premeablization한 후 Alexa Fluor 488 Azide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형광염색하였다. 마지막으로 PBS로 헹구고 DAPI를 염색한 후, LSM710 (Carl Zeiss, Thornwood, NY, USA)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 및 촬영하였다.
Fluo -4와 Rhod -2를 이용한 세포내 Ca 2 + 농도 측정
세포 내 Ca2 + 농도에 크리소파놀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5×105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70 ~ 8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크리소파놀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Fluo-4 AM (Invitrogen)을 37℃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PBS로 한 번 워싱하고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Ca2 + 농도 측정을 위해 Rhod-2 AM (Invitrogen)을 HBSS에 희석한 후 4℃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HBSS로 워싱하고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JC -1 염색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측정
JC-1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MMP) 변화는 mitochondria staining kit (Cat No: CS0390, Sigma-Aldric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105개의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70 ~ 8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으로 (0, 20, 50, 100 μM)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원심분리 하여 세포 pellet을 얻었다. 세포를 JC-1 staining solution 에 풀어준 후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 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1x JC-1 staining buffer로 워싱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단백질 발현 분석 ( 웨스턴블롯 )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에 크리소파놀을 처리한 다음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여 Bradford protein assay (Bio-Rad, Hercules, CA, USA)로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이 후, 추출한 단백질을 95℃에서 5분간 변성하였으며 10% SDS/PAGE 젤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수행한 뒤,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겨주고, 1차 항체와 2차 항체를 차례로 인큐베이션 시킨 다음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uperSignal West Pico, Pierce, Rockford, IL, USA) 시약 및 ChemiDoc EQ system과 Quantity One software (Bio-Rad) 기기를 사용하여 타겟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세포 침습성 분석
난소암 세포의 세포 침습성에 있어 크리소파놀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Migration culture dish에 Matrigel을 코팅한 후 FBS 기아 조건으로 배양한 1×105개의 난소암 세포를 8-mm transwell inserts (Corning, Inc., Corning, NY, USA)에 분주하고 크리소파놀을 처리하여 12시간 (ES2) 또는 16시간 (OVCAR3) 동안 배양한 다음, 메탄올로 10분간 trans-membrane을 이동한 세포를 고정하여, 건조 및 헤마톡실린 (Sigma Aldrich, Inc.) 염색을 30분간 수행하고, 씻어주었다. 슬라이드 글라스에 막을 올려주고 퍼마운트 용액(Permount solution)으로 고정하여 세포 이주 능력을 광학현미경 DM3000 (Leica)로 관찰, 촬영 및 계산하였다. 또한 Ibidi migration inserts를 통해 세포의 이주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2×105개/ml의 난소암 세포가 포함된 배지 70 μl를 inserts에 배양한 후 24시간 동안 기아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후 inserts를 제거하고 크리소파놀을 처리한 후 세포군 간의 평균 길이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본 실험결과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의 증식 억제 및 사멸 유도 효과
난소암 세포주인 ES2 세포와 OVCAR3 세포의 증식력에 크리소파놀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0, 5, 10, 20, 50, 100 μM)으로 처리한 후 BrdU ELISA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크리소파놀을 처리한 실험군은 DMSO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용량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1A). 100 μM의 크리소파놀은 ES2 세포와 OVCAR3 세포의 증식력을 각각 52% (p < 0.001), 55% (p < 0.001) 감소시켰다. 또한 크리소파놀이 유방암 세포주 BT-474 및 MCF-7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으로 (0, 5, 10, 20, 50, 100 μM) 처리한 배양액에서 48시간 배양하였으며, 이후 BrdU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주에서 모두 20 μM부터 세포 증식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B). 반면에 정상 유선 세포주인 MCF-12A에는 동일한 농도의 크리소파놀을 처리하여도 세포 증식 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1C). 이러한 결과에 따라 100 μM 농도의 크리소파놀을 처리하여 핵 내 증식 마커인 PCNA의 발현률을 유방암 세포주에서 확인하였으며, 용매만 처리한 세포주에 비해 크리소파놀을 처리한 세포주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D).
다음으로, 크리소파놀이 난소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ES2 세포 및 OVCAR3 세포에 FITC가 결합된 Annexin V 및 PI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크리소파놀은 용량의존적으로 ES2와 OVCAR3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였다 (도 2A). ES2 세포에 100 μM의 크리소파놀 처리시 Annexin V와 PI가 모두 염색된 세포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약 8배 (p < 0.001) 증가하였다. 마찬가지로 100 μM의 크리소파놀은 OVACR3 세포의 사멸을 약 11배 (p < 0.001)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크리소파놀이 난소암 세포의 증식력을 억제하며 항암효과를 지닐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크리소파놀이 유방암 세포주 BT-474 및 MCF-7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크리소파놀을 용량 의존적으로 (0, 10, 20, 50, 100 μM) 처리한 배양액을 48시간 처리한 후 Annexin V & PI 염색을 통해 사멸한 세포의 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주에서 모두 크리소파놀에 의해 세포 사멸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도 2B). 반면, 정상 유선 세포주인 MCF-12A세포 에서는 최고 농도의 크리소파놀 (100 μM) 처리시에만 유의적인 세포 사멸을 보였으며, 최저 농도의 크리소파놀 (10 μM)을 처리하였을때는 오히려 세포 사멸이 감소하였다 (도 2C). 이는 크리소파놀이 유방암 세포주의 DNA에 분절화를 유도하여 일어나는 것임을 TUNEL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2D).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 유도 효과
크리소파놀이 난소암 세포 내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DCF 녹색 형광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3A). ES2와 OVCAR3 세포는 크리소파놀 (0, 20, 50, 100 μM)이 포함된 배지에서 2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는 0.03% 과산화수소가 사용되었다. ES2 세포 내 ROS의 생성은 크리소파놀에 의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최고 농도에서 약 24배 (p < 0.001)까지 증가하였다. 하지만 OVCAR3 세포에서는 크리소파놀에 의해 ROS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세포 내 ROS 생성에 의한 하위 생리학적 현상인 지질과산화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도 3B). 크리소파놀은 OVCAR3 세포에서는 지질과산화 정도를 변화시키지 못했지만 ES2 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약 12배 (p < 0.001) 가량 지질과산화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크리소파놀에 의해 BT-474 및 MCF-7에서 모두 활성산소가 증가하였으며 (도 3C) 특히 세포질에서의 지질 인산화가 관찰되었다 (도 3D).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유도 효과
미토콘드리아로의 과도한 칼슘 이온 유입에 따른 기능 장애는 세포 사멸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생리학적 기전이다. 따라서 크리소파놀에 의해 난소암 세포 안과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칼슘 이온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fluo-4와 rhod-2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크리소파놀 (0, 20, 50, 100 μM)은 ES2 세포와 OVCAR3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A). 하지만 rhod-2로 염색된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칼슘 이온의 농도는 크리소파놀 처리에 따라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도 4B). 100 μM의 크리소파놀에 의해 ES2 세포와 OVCAR3 세포 내에서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칼슘 이온은 각각 8.5배 (p < 0.001), 2.5배 (p < 0.001)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크리소파놀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크리소파놀을 용량의존적 (0, 20, 50, 100 μM)으로 처리한 후 JC-1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크리소파놀에 의해 난소암 세포주 내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C). 100 μM의 크리소파놀은 ES2와 OVCAR3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대조군에 비해 각각 4.2배 (p < 0.001), 2.7배 (p < 0.001)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크리소파놀은 난소암 세포 내에서 미토콘드리아 내 칼슘 이온 유입 증가에 따른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뿐만 아니라, JC-1 염색을 통해 유방암 세포주 내 크리소파놀 처리에 의해, 마이토콘드리아 막 전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4D). 또한, BT-474, MCF-7 세포에서 모두 크리소파놀의 용량의존적 처리에 따라 세포질 내 칼슘 이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E). 이러한 크라이소파놀의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작용은 미토콘드리아 의존성 세포 사멸 단백질인 Bax, Bak, cytochrome c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F).
크리소파놀과 신호전달기전 억제제를 통한 난소암 세포의 증식 변화 양상 분석
크리소파놀이 난소암 세포의 생존 및 증식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경로인 MAPK 및 PI3K/AKT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크리소파놀은 시간의존적(0, 5, 15, 30, 60분)으로 처리한 후 신호전달경로 단백질의 인산화를 웨스턴블롯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5A-5F). 그 결과, MAPK 신호전달 단백질인 ERK1/2의 경우 크리소파놀을 5분 처리 시 인산화가 증가하며 이후 시간이 지나며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ERK1/2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인 P90RSK는 이보다 느린 15분(ES2) 또는 60분(OVCAR3)에서 가장 인산화 정도가 높았다. 또다른 MAPK 단백질인 JNK와 그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인 c-Jun의 난소암 세포 내 인산화 역시 5분 또는 60분의 크리소파놀 처리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AKT의 인산화도 크리소파놀 5분 처리시 가장 높게 나타나며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AKT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인 P70S6K 역시 ES2에서는 크리소파놀 5분 처리시 가장 인산화 정도가 높았으며 OVCAR3에서는 60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방암 세포주 BT-474 및 MCF-7에서도 크리소파놀 처리에 의한 세포 내 신호전달기전 단백질의 활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롯을 통해 MAPK 및 PI3K/AKT 경로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도 5G-5L). 그 결과, 크리소파놀에 의해 두 세포주에서 ERK1/2의 인산화가 감소하였으며, P38 및 JNK의 인산화는 BT-474에서 감소한 반면 MCF-7에서는 증가하였고, 크리소파놀의 용량 의존적 처리는 AKT, P70S6K, S6의 인산화를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크리소파놀이 유방암 세포주에서도 세포 신호전달 단백질의 인산화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PI3K/AKT 및 MAPK 경로 단백질에 대한 활성 억제제와 크리소파놀을 병용 처리하였을 시 난소암 세포 증식력 변화를 야기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크리소파놀 (100 μM)과 LY294002 (AKT 억제제, 20 μM), U0126 (ERK1/2 억제제, 20 μM), SP600125 (JNK 억제제, 20 μM), SB203580 (P38 억제제, 20 μM)를 병용처리하였다 (도 6A). 그 결과, ES2 세포에서는 크리소파놀에 의한 항증식 효과가 U0126 처리에 의해서는 더욱 강화되었으며 (p < 0.05) SB203580 처리에 의해서는 완화되었다 (p < 0.05). OVCAR3 세포에서는 크리소파놀에 의해 감소한 증식력이 모든 억제제와의 병용처리에서 더욱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유방암 세포주 내 크리소파놀 처리에 의해 조절되는 신호 전달 매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하여 크리소파놀과 LY294002, U0126, SB203580, SP600125를 병용 처리하여 세포주들의 증식력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6B), BT-474와 MCF-7 유방암 세포주 모두 LY294002를 크리소파놀과 병용처리 하였을 때, 세포 증식이 추가적으로 억제되었던 반면 SP600125와 SB203580을 병용처리 하였을 때, 세포 증식이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난소암 및 유방암 세포 내에서 크리소파놀에 의해 조절받는 신호전달경로가 실제로 세포 증식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세포의 이주 능력 억제 효과
난소암 세포의 이주 및 침습 능력은 난소암의 전이 정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특성이다. 따라서, 크리소파놀에 의한 난소암 세포의 이주 능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transwell 과 Ibidi 배양 접시에 ES2 세포와 OVCAR3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결과, 크리소파놀 100 μM 처리 시 transwell을 통과하는 ES2 및 OVCAR3 세포의 수가 각각 69% (p < 0.001), 52% (p < 0.001) 감소하였다 (도 7A). 또한 크리소파놀에 의해 ibidi plate 내 세포 군집 간의 넓이는 ES2 세포에서 약 2배 (p < 0.01), OVCAR3 세포에서 약 1.5배 (p < 0.05) 만큼 차이를 보였다 (도 7B). 이러한 결과는 크리소파놀이 난소암 세포의 이주 능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크리소파놀; 및
    PI3K/AKT 억제제 및 ERK1/2 억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타겟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PI3K/AKT 억제제는 LY294002(2-Morpholin-4-yl-8-phenylchromen-4-one)이고, 상기 ERK1/2 억제제는 U0126(1,4-diamino-2,3-dicyano-1,4-bis[2-aminophenylthio]butadi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및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소파놀은 PI3K/AKT 및 MAPK 신호전달기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및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크리소파놀; 및
    PI3K/AKT 억제제 및 ERK1/2 억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타겟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PI3K/AKT 억제제는 LY294002(2-Morpholin-4-yl-8-phenylchromen-4-one)이고, 상기 ERK1/2 억제제는 U0126(1,4-diamino-2,3-dicyano-1,4-bis[2-aminophenylthio]butadi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및 유방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난소암 세포주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
  6. 제1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난소암 세포주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유방암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200103533A 2019-08-16 2020-08-18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98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0559 2019-08-16
KR1020190100559 2019-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849A KR20210020849A (ko) 2021-02-24
KR102498800B1 true KR102498800B1 (ko) 2023-02-10

Family

ID=7468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33A KR102498800B1 (ko) 2019-08-16 2020-08-18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918B1 (ko) * 2021-05-28 2023-09-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Biol. Med., 12, 342-354, 2015.*
Chinese Journal of Cancer, 34(1), 4-16, 2015.*
Molecular Endocrinology, 18(10), 2570-2582, 2004.*
Molecular Medicine Reports, 17, 4376-4382, 2018.*
Molecules, 17(1), 843-850, 2012.*
Oncology Reports, 35, 2113-2120, 2016.*
Pharmacy and Pharmacology, 71, 1476-1487, 20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849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800B1 (ko)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4593B1 (ko)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상피성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79311A (ko) 젠티실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피성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41451B1 (ko) 4-mbc, 아보벤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신성 영양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99402A (ko) 펜벤다졸, 옥시벤다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 세포 또는 영양막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38840B1 (ko) 데칸산을 포함하는 임신성 영양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1231B1 (ko) 부틸파라벤을 포함하는 임신성 영양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e et al. Isolinderalactone inhibits glioblastoma cell supernatant‑induced angiogenesis
KR102675587B1 (ko) 펜벤다졸, 옥시벤다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 세포 또는 영양막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69534A (ko) 델피니딘을 포함하는 상피성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4236B1 (ko) 미리세틴을 포함하는 골육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34348B1 (ko) 케르세틴, 루테올린, 델피니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27291B1 (ko)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융모막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28695A (ko) 캄페스테롤을 포함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61107B1 (ko) 크리신, 실리비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36679A (ko) 루테올린을 포함하는 융모막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38964A (ko) 프로필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임신성 영양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71992B1 (ko)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4351B1 (ko)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45079A (ko) 루테올린을 포함하는 골육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80918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8616B1 (ko) 알파-솔라닌을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5014B1 (ko) 에프린 a1을 포함하는 산유량 증가용 조성물, 및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0386B1 (ko) 15-케토 프로스타글란딘 e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57900A (ko) 폴펫을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