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255B1 -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255B1
KR102498255B1 KR1020220088009A KR20220088009A KR102498255B1 KR 102498255 B1 KR102498255 B1 KR 102498255B1 KR 1020220088009 A KR1020220088009 A KR 1020220088009A KR 20220088009 A KR20220088009 A KR 20220088009A KR 102498255 B1 KR102498255 B1 KR 10249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control device
tim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다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8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6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changes in electrical capac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05D3/125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discrete position sens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정류장의 PSD(Platform Screen Door)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류장의 PSD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버스 정류장의 PSD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 차량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되는 복수의 도어; 및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를 기초로, 상기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복수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버스 정류장 내의 제1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버스 정류장 내의 제2 지점-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후방으로 제1 기준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제1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전방에 있는 구역인 제1 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간의 구역인 제2 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에 걸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분석하여,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제2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SYSTEM FOR CONTROLLING PLATFORM SCREEN DOOR OF BUS STOP}
아래 실시예들은 버스 정류장의 PSD(Platform Screen Door)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또는 철도의 역사 내에는 전동차 또는 철도 차량의 선로와 승강장을 격리하는 스크린 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 위에 선로와 격리되는 고정벽과 가동문을 설치하여 열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스크린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는 평상시, 즉, 철도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때와 철도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할 때 또는 승강장을 출발한 후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완전히 진입하여 정차한 후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개방된다.
지하철 및 철도의 승강장에서 사용되는 스크린 도어를 버스 정류장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버스 정류장을 대상으로 하는 전용 PSD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77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523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6624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8815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와 감지 신호를 기초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도어 오픈 신호를 통해 개방되는 제1 도어, 제2 도어 및 제3 도어를 포함하는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정류장의 PSD(Platform Screen Door)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와 상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통해 개폐되는 제1 도어, 제2 도어 및 제3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1 센서에서 출력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2 센서에서 출력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이 감지 유지 시간인 제1 기준 시간(예를 들어, 4초)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센서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어 개방되는,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진입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을 상기 제1 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으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거나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하차를 완료 후 차량이 출발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는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시간(예를 들어, 2초) 경과 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기초로,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분석되면,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통해 복수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버스 정류장의 PSD를 제어하여,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 차량의 승하차 시에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하였는지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 대기자의 수에 따라 도어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 대기자가 많은 시간대를 구분하여 도어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호스트 방화벽의 정책 설정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을 감지하여, 공격 횟수에 따라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규칙(Rule)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규칙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심층 학습(Deep Learning)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심층 학습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계 학습의 기본 방법론의 특성상 Trial and Error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심층 학습의 경우 수십만 번의 반복 실행을 필요로 한다. 이를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에서 실행하기는 불가능하여 대신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을 컴퓨터상에서 가상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 정류장에는 PSD(Platform Screen Door)가 설치되어 있으며, PSD에는 복수의 차량센서, 비상 스위치, 콘트롤러 등이 구비되어 있다.
버스 정류장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A와 게이트 B로 구분되어, 게이트 A 및 게이트 B 각각에 차량이 정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정류장은 게이트 A로만 구성되어 차량이 1대만 정차할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될 수 있고, 게이트 A 및 게이트 B로 구성되어 차량이 2대 동시에 정차할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 영역별로 PSD에 복수의 근접센서, 비상 스위치, 콘트롤러 등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A에 설치된 PSD에는 차량센서 A-1, 차량센서 A-2, 차량센서 A-3, 콘트롤러 A 등이 구비되어 있고, 게이트 B에 설치된 PSD에는 차량센서 B-1, 차량센서 B-2, 차량센서 B-3, 콘트롤러 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센서 A-1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전방에 있는 자동문을 도어 A-1로 칭하고, 차량센서 A-1과 차량센서 A-2 사이에 있는 자동문을 도어 A-2로 칭하고, 차량센서 A-2와 차량센서 A-3 사이에 있는 자동문을 도어 A-3으로 칭하고, 차량센서 A-1와 인접한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를 1번 스위치로 칭하고, 차량센서 A-2와 인접한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를 2번 스위치로 칭하고, 차량센서 A-3와 인접한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를 3번 스위치로 칭한다.
게이트 A에 차량이 진입하기 전인 경우, 차량센서 A-1, 차량센서 A-2 및 차량센서 A-3는 모두 차량을 미감지할 수 있으며, 도어 A-1, 도어 A-2 및 도어 A-3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이 진입하기 전에 비상 스위치가 1회 눌린 경우, 1번 스위치 또는 2번 스위치가 1회 눌리면, 도어 A-1 및 도어 A-2가 열리고, 3번 스위치가 1회 눌리면, 도어 A-3이 열릴 수 있다. 이때, 도어가 열릴 때,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열렸다가 닫힐 수 있고, 비상 스위치가 다시 눌리면 도어가 다시 열렸다가 닫힐 수 있다. 도어가 열린 상태는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초일 수 있다.
문 2개의 차량이 진입하여 정차한 경우, 차량센서 A-1 및 차량센서 A-2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센서 A-3는 차량을 미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센서 A-1 및 차량센서 A-2에서 동시에 차량을 감지한 경우, 문 2개를 구비한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어 A-1 및 도어 A-2는 차량이 지정된 위치에 정차한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예를 들면, 2초) 이후 열리고,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문 2개의 차량이 진입한 후에 비상 스위치가 1회 눌린 경우, 1번 스위치 또는 2번 스위치가 1회 눌리면, 도어 A-1 및 도어 A-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3번 스위치가 1회 눌리면, 도어 A-3이 열렸다가 닫힐 수 있다.
문 3개의 차량이 진입하여 정차한 경우, 차량센서 A-1, 차량센서 A-2 및 차량센서 A-3은 차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센서 A-1, 차량센서 A-2 및 차량센서 A-3에서 동시에 차량을 감지한 경우, 문 3개를 구비한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어 A-1, 도어 A-2 및 도어 A-3은 차량이 지정된 위치에 정차한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예를 들면, 2초) 이후 열리고,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문 3개의 차량이 진입한 후에 비상 스위치가 1회 눌린 경우, 어느 스위치가 눌리더라도, 도어 A-1, 도어 A-2 및 도어 A-3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정차된 차량이 출발한 경우, 차량센서 A-1, 차량센서 A-2 및 차량센서 A-3는 모두 차량을 미감지할 수 있으며, 도어 A-1, 도어 A-2 및 도어 A-3은 열린 상태이면 차량 출발 후 타이머 설정 시간 경과 후 닫힐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PSD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근접센서 A-1, 근접센서 A-2 및 근접센서 A-3은 자기장 근접센서로, 차량이 버스 정류장에 진입하면 자기장을 센싱하여, 근접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근접센서는 차량의 철제 부분을 센싱하여 차량이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철제 부분이 없는 인체, 사물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감지할 수 없다.
센서 콘트롤러는 근접센서가 센싱한 신호를 보내면, RELAY 스위칭을 통해 COM 단자와 NO 단자를 SHORT 시킬 수 있다. 이때, SHORT는 두 단자를 하나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PLCC 콘트롤러는 PSD 콘트롤러로, 근접센서 A-1와 근접센서 A-2가 모두 센싱되어, 근접센서 A-1 및 근접센서 A-2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센서 콘트롤러에서 COM 단자와 NO 단자가 모두 SHORT된 후, 미리 설정되어 있는 SKIP TIME이 경과해야만, RELAY SHORT 출력을 내보낼 수 있다.
자동문 각각에는 자동문 콘트롤러가 연결되어 있고, 자동문 콘트롤러는 슬라이딩 자동문 콘트롤러의 단자대 센서접점 +와 -단자가 SHORT되면, 구동부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자동문을 개방하고, SHORT가 해제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슬라이딩 자동문을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PSD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근접센서 A-1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전방에 있는 도어를 자동문 A-1로 칭하고, 근접센서 A-1과 근접센서 A-2 사이에 있는 도어를 자동문 A-2로 칭하고, 근접센서 A-2와 근접센서 A-3 사이에 있는 도어를 자동문 A-3으로 칭한다.
근접센서 A-1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근접센서 A-1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는 PLCC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를 SHORT 시키고, 근접센서 A-2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근접센서 A-2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는 PLCC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를 SHORT 시킬 수 있다.
PLCC 콘트롤러는 2개의 센서 콘트롤러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가 모두 SHORT 상태로 확인되면, 모두 SHORT 상태로 확인되는 시간이 얼마나 길게 유지되는지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RELAY SHORT 출력을 내보낼 수 있다.
RELAY SHORT 출력을 내보낼 때, PLCC 콘트롤러는 자동문 A-1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를 SHORT 시키고, 자동문 A-1은 PLCC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가 SHORT 상태로 확인되면, 개방될 수 있다.
RELAY SHORT 출력을 내보낼 때, PLCC 콘트롤러는 자동문 A-2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를 SHORT 시키고, 자동문 A-2는 PLCC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가 SHORT 상태로 확인되면, 개방될 수 있다.
RELAY SHORT 출력을 내보낼 때, PLCC 콘트롤러는 근접센서 A-3와 연결되어 있는 센서 콘트롤러에 입력을 보낼 수 있고, 근접센서 A-3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는 PLCC 콘트롤러로부터 입력이 들어오면서, 근접센서 A-3에서 차량이 감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자동문 A-3로 출력을 보낼 수 있고, 자동문 A-3로 출력이 보내지게 되면, PLCC 콘트롤러는 자동문 A-3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를 SHORT 시키고, 자동문 A-3는 PLCC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자가 SHORT 상태로 확인되면, 개방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차량센서는 버스 정류장의 PSD에 부착되어,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진입하여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센서는 바닥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바닥에서 80cm 떨어져 설치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타이어 보다 높은 지점에 센서가 설치되도록, 설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 복수의 도어 및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는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도어는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센서와 대응되며, 도 4에 도시된 영역이 게이트 A인 경우, 제1 센서(110)는 차량센서 A-1과 대응되고, 제2 센서(120)는 차량센서 A-2와 대응되고, 제3 센서(130)는 차량센서 A-3과 대응되며, 도 4에 도시된 영역이 게이트 B인 경우, 제1 센서(110)는 차량센서 B-1과 대응되고, 제2 센서(120)는 차량센서 B-2와 대응되고, 제3 센서(130)는 차량센서 B-3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근접센서와 대응되며, 제1 센서(110)는 근접센서 A-1과 대응되고, 제2 센서(120)는 근접센서 A-2와 대응되고, 제3 센서(130)는 근접센서 A-3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센서(110)는 버스 정류장 내의 제1 지점에 부착되어,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차량의 앞쪽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으로, 버스 정류장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버스 정류장 내의 제2 지점에 부착되어,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점은 문 2개를 구비한 차량의 뒤쪽 부분을 감지하거나 문 3개를 구비한 차량의 중간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으로, 제1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후방으로 제1 기준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지점이고, 제1 기준 거리는 버스 정류장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센서(130)는 버스 정류장 내의 제3 지점에 부착되어,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점은 문 3개를 구비한 차량의 뒤쪽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으로, 제2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후방으로 제2 기준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지점이고, 제2 기준 거리는 버스 정류장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는 버스 정류장의 PSD에 구역 별로 설치되어,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 차량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도어는 도 2에 도시된 자동문과 대응되며, 제1 도어(210)는 자동문 A-1과 대응되고, 제2 도어(220)는 자동문 A-2와 대응되고, 제3 도어(230)는 자동문 A-3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도어(210)는 제1 구역에 설치되어, 제1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역은 제1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 버스 정류장의 앞쪽 부분까지 포함하는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도어(220)는 제2 구역에 설치되어, 제2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역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간의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도어(230)는 제3 구역에 설치되어, 제3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역은 제2 지점과 제3 지점 간의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에 대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도어에 대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도어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3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PSD 콘트롤러와 대응되며, 도 4에 도시된 영역이 게이트 A인 경우, 제어 장치(300)는 PSD 콘트롤러 A와 대응되고, 도 4에 도시된 영역이 게이트 B인 경우, 제어 장치(300)는 PAD 콘트롤러 B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PLCC 콘트롤러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하나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3개의 센서와 3개의 도어만을 도시하였으나, 버스 정류장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센서 및 도어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제어 장치(3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센서 및 도어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감지 신호를 기초로,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고,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분석되면, 복수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복수의 도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는 철제만 센싱하여 감지할 수 있고, 인체, 플라스틱, 기타 고체 등을 감지할 수 없다.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는 차량의 정확한 센싱을 위해, 정차된 차량의 철제 넓은 평면부에 센싱할 수 있도록, 부착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차된 차량의 유리와 타이어를 피해 철제 부분만 센싱할 수 있도록, 부착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 각각은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신호는 차량이 감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10)가 제1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제1 센서(110)는 제1 지점에서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20)가 제2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제2 센서(120)는 제2 지점에서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센서(130)가 제3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제3 센서(130)는 제3 지점에서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10)는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0)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1 센서(11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는 제1 센서(11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서(120)는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120)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2 센서(12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는 제2 센서(12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센서(130)는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3 도어(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센서(130)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3 센서(130)에서 출력된 출력된 감지 신호는 제3 센서(13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11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 스위치는 제1 센서(11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연결 상태로 설정되고 제1 센서(11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연결 해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2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스위치는 제2 센서(12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연결 상태로 설정되고 제2 센서(12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연결 해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센서(13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3 스위치는 제3 센서(13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서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가 출력되면 연결 상태로 설정되고 제3 센서(13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연결 해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3 스위치는 제3 센서(13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와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에 대한 AND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연결 상태로 설정되고, AND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연결 해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오픈 신호는 도어의 개방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각각의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1 센서(11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센서(120)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2 센서(12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을 측정하고,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시간은 감지 유지 시간으로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초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3 도어(230)와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 경우, 도어 오픈 신호는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로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제3 도어(23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3 도어(2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가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때,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로 도어 오픈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데, 제3 센서(130)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 제3 도어(230)에 도어 오픈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어 오픈 신호가 제3 도어(230)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제3 센서(13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와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에 대한 AND 조건을 충족해야만 하며, AND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도어 오픈 신호가 제3 도어(2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3 센서(13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서 동시에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만, 도어 오픈 신호가 제3 도어(230)와 연결된 센서 콘트롤러를 통해 제3 도어(2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는 도어 오픈 신호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는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도어(230)는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때, 제3 센서(130)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면서, 동시에 제3 센서(130)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3 도어(230)는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면, 폐상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만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만 개방될 수 있고,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가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보면, 먼저,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에서 차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을 측정하여,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는 도어 오픈 신호가 출력되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센서(130)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3 도어(230)까지 도어 오픈 신호가 전달되어, 제3 도어(230)도 개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300)는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센서(110)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제2 센서(120)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는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만 개방 상태인 경우,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는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가 모두 개방 상태인 경우,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는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도어가 폐쇄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보면, 먼저, 버스 정류장에 정차된 차량이 출발하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량을 감지하지 못해 감지 신호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지 않으므로,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면, 개방 상태인 도어가 전부 폐쇄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하였는지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0)는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철제를 센싱하여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센서(120)로부터 센서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120)는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철제를 센싱하여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센서(130)로부터 센서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3 센서(130)는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철제를 센싱하여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신호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센서(110)로부터 정상적인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감지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센서(1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신호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센서(120)로부터 정상적인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제3 센서(130)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신호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센서(130)로부터 정상적인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3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3 센서(130)로부터 감지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S505 단계에서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중 어느 하나에서만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 및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진입하여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초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S5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진입하여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 2개의 차량이 진입하여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걸쳐 정차한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동시에 차량이 존재하는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걸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분석하고,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510 단계 이후, S511 단계에서,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는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여,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는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어 개방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하차를 완료 후 차량이 출발하여,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는 개방된 상태인 경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초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S510 단계 이후, S506 단계에서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512 단계에서, 제3 도어(230)는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3 도어(230)는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가 개방될 때 같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때,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3 도어(230)에 도어 오픈 신호가 전달되지 않고,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3 도어(230)에 도어 오픈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제3 도어(230)는 제어 장치(300)에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 때,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210) 및 제2 도어(220)도 제3 도어(230)와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하차를 완료 후 차량이 출발하여,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는 개방된 상태인 경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오픈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초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 대기자의 수에 따라 도어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제1 카메라로부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는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으며, 제어 장치(300)는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카메라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 여부, 촬영 각도, 촬영 방향, 영상 저장 여부 등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가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고, 제2 카메라가 제2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고, 제3 카메라가 제3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와 연결되어,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제1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1 대기자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에서 사람들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얼굴의 수를 제1 대기자의 수로 산출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210)가 개방될 때, 제1 도어(210)가 제2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도어(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가 10명~20명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대기자의 수가 15명으로 확인되고 제2 기준 시간이 2초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제1 도어(210)가 개방될 때, 제1 도어(210)가 2초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도어(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210)가 개방될 때, 제1 도어(210)가 제3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도어(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 시간은 제2 기준 시간 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가 10명~20명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대기자의 수가 5명으로 확인되고 제3 기준 시간이 1초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하여, 제1 도어(210)가 개방될 때, 제1 도어(210)가 1초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도어(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210)가 개방될 때, 제1 도어(210)가 제4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도어(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기준 시간은 제2 기준 시간 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가 10명~20명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대기자의 수가 25명으로 확인되고 제4 기준 시간이 3초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하여, 제1 도어(210)가 개방될 때, 제1 도어(210)가 3초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도어(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1 대기자의 수에 따라, 제1 도어(210)의 개방 시간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제2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2 대기자의 수에 따라, 제2 도어(220)의 개방 시간이 제어되고, 제3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3 대기자의 수에 따라, 제3 도어(230)의 개방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 대기자가 많은 시간대를 구분하여 도어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특정 기간 동안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기간은 월, 분기, 연도 등 다양한 기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특정 기간 동안 제1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제1 구역에 사람이 몇 명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구역에서 차량의 탑승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한달 동안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특정 기간 동안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시간대 별로 제1 대기자의 평균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한달 동안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오전 8시부터 오전 9시까지 제1 대기자의 평균치를 30명으로 산출하고, 오전 9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제1 대기자의 평균치를 20명으로 산출하고, 오전 10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제1 대기자의 평균치를 10명으로 산출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시간대 별로 제1 대기자의 평균치를 산출한 결과,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를 혼잡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1 기준치 보다 적은 시간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1 기준치 보다 적지만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를 보통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시간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시간대를 여유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치가 20명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치가 10명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오전 8시부터 오전 9시까지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25명으로 산출되고, 오전 9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15명으로 산출되고, 오전 10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5명으로 산출된 경우, 제어 장치(300)는 오전 8시부터 오전 9시까지의 시간대를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오전 9시부터 오전 10시까지의 시간대를 보통 시간대로 설정하고, 오전 10시부터 오전 11시까지의 시간대를 여유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하루 24시간에서 각각의 시간대를 구분하고, 각각의 시간대를 혼잡 시간대, 보통 시간대 및 여유 시간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현재 시간이 혼잡 시간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혼잡 시간대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혼잡 시간대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현재 시간이 보통 시간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보통 시간대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1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정값은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보통 시간대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간이 여유 시간대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현재 시간이 여유 시간대로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1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3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설정값은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혼잡 시간대에서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보통 시간대에서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여유 시간대에서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제3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설정값이 3이고 제2 설정값이 2이고 제3 설정값이 3인 경우, 제어 장치(300)는 혼잡 시간대에서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3초로 설정하고, 보통 시간대에서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2초로 설정하고, 여유 시간대에서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1초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1 대기자가 많은 시간대를 구분하여 제1 도어(210)의 개방 시간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제2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2 대기자가 많은 시간대를 구분하여 제2 도어(220)의 개방 시간이 제어되고, 제3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3 대기자가 많은 시간대를 구분하여 제3 도어(230)의 개방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PSD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PSD를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가 운영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서버에 대한 보안 설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랜섬웨어, 해킹, DDOS 등의 공격으로 좀비 서버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방화벽이 활용되고 있으며, 방화벽은 네트워크 방화벽, 호스트 방화벽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방화벽은 메인 스위치 상단에 메인 방화벽을 구성하여,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방식 또는 브릿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방화벽 장비를 기준으로 내부망과 외부망이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방화벽을 사용하는데 있어, 네트워크 방화벽을 기준으로 내부망에는 복수의 서버들이 내부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서버 간의 통신은 방화벽을 거치지 않으므로, 별도로 차단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내부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서버 간의 통신에 대한 방화벽을 위해서는 호스트 방화벽의 구성이 필요하다.
호스트 방화벽은 각 운영체제에서 로컬 PC 또는 서버로 접속하여 개별 설정을 진행해야만 하며, 호스트 방화벽의 구성은 각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방화벽 기능을 통해 설정되기 때문에, 통합 관리가 불가능하여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호스트 방화벽을 사용하는데 있어, 운영하는 복수의 서버가 수백대인 경우, 일일이 수백대의 방화벽 정책을 관리하기는 불가능하며, 방화벽 정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여야만 방화벽의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눅스 또는 유닉스의 경우, 서버 방화벽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의 구조가 복잡하여, 전문 지식을 습득한 고급 엔지니어만 방화벽의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개별로 정책 관리가 불가능하여 운영체제의 방화벽을 제거 또는 서비스를 정지하여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하에서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호스트 방화벽의 정책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호스트 방화벽을 능동적이고 편리하게 설정하여, 통합 호스트 방화벽 매니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호스트 방화벽의 정책 설정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 장치(300)는 버스 정류장의 PSD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버는 제1 서버, 제2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버 각각은 내부망을 통해 제어 장치(300)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로, 내부망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8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는 제1 서버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운영체제의 종류, 버전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기초로,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하여,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는 제1 서버가 어느 운영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제1 서버가 어느 네트워크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어 장치(300) 내에서 미리 학습된 제1 인공 신경망에 적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기초로,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1 인공 신경망에 적용하여,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확인한 결과, 출력값이 “0”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제1 정책으로 선정하고, 출력값이 “1”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제2 정책으로 선정할 수 있다.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제1 인공 신경망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방법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여 출력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S804 단계에서 선정된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제1 정책이 선정되면, 제어 장치(300)는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서버 각각에 설정되어 있는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가 서버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는 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방화벽 정책에 따라 수가 상이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서버에 복수의 방화벽 정책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방화벽 정책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선정된 제1 정책이 제1 서버에 이미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6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S805 단계에서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선정된 제1 정책이 제1 서버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선정된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제1 정책이 선정되면,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2 정책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이 추가로 등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복수의 정책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정책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하는 과정은 제어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갱신하는 것으로,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은 S809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S8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이 추가로 등록되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을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은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고, 제1 서버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을 통해, 제1 정책을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으로 추가하여 설정할 수 있다.
S809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을 감지하여, 공격 횟수에 따라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는 제1 서버에서 어느 포트로 접속이 이루어져 트래픽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제1 서버에 접속한 IP 주소 별로 시간당 얼마만큼의 트래픽을 발생시켰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어 장치(300) 내에서 미리 학습된 제2 인공 신경망에 적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여기서, 공격은 서버에 대한 공격으로, 랜섬웨어, 해킹, DDO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기초로,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2 인공 신경망에 적용하여, 제2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확인한 결과, 출력값이 “0”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하고, 출력값이 “1”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2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분석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제2 인공 신경망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방법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변동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출력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기준 기간 동안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몇 번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제1 서버가 기준 기간 동안 공격받은 횟수인 제1 공격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 기간 동안 S901 단계부터 S903 단계까지의 과정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장치(300)는 기준 기간 동안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몇 번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제1 공격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공격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횟수는 기준 기간의 길이에 비례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907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S9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제1 공격 횟수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공격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횟수는 제1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상태를 경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9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상태가 경고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서버의 공격을 경고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리자 단말은 제1 서버의 관리자로 등록되어 있는 제1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제어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관리자 단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제어 장치(300)는 제1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91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서버의 상태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정책을 통해 연결이 허용되어 있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1 서버에서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서버에는 제1 정책이 방화벽 정책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정책은 제1 포트를 통해 연결을 허용하는 설정을 포함하고 있어,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을 허용하고 있는 상태로, 제1 포트를 통해 트래픽이 발생되고 있는데, 제1 포트를 통한 공격받은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1 서버에서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통해 제1 포트의 연결을 차단시켜, 제1 포트를 통해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은 제1 인공 신경망 및 제2 인공 신경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알고리즘이고, 제2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 장치는 제어 장치(300)와 동일한 장치일 수도 있고, 별개의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공 신경망이 학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S1001 단계에서, 학습 장치는 인공 신경망에 입력할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장치는 제1 인공 신경망에 입력하기 위해,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입력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인공 신경망에 입력하기 위해,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해 전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가 수행된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1 인공 신경망의 입력으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통상의 처리를 거쳐 제1 인공 신경망의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전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가 수행된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2 인공 신경망의 입력으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통상의 처리를 거쳐 제2 인공 신경망의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학습 장치는 인공 신경망에 입력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장치는 제1 인공 신경망의 입력을 생성한 경우, 제1 인공 신경망에 입력을 적용하고, 제2 인공 신경망의 입력을 생성한 경우, 제2 인공 신경망에 입력을 적용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에 따라 학습되는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강화 학습을 통해 추상적 추론을 출력하는데 적합한 Q-Network, DQN(Depp Q-Network), 또는 관계형 네트워크(relation network, RL) 구조일 수 있다.
강화 학습에 따라 학습되는 인공 신경망은 다양한 보상에 평가를 반영하여 갱신 및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공 신경망은 제1 보상 및 제2 보상을 통해 갱신 및 최적화되고, 제2 인공 신경망은 제3 보상 및 제4 보상을 통해 갱신 및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상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할수록 높아질 수 있으며, 제2 보상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하지 않은 방화벽 정책을 선정하지 않을수록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3 보상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다하게 발생할수록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된 것으로 검출하면 보상값이 높아질 수 있으며, 제4 보상은 동일한 IP 주소로 과다한 접속이 이루어질수록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된 것으로 검출하면 보상값이 높아질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학습 장치는 인공 신경망으로부터 출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은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하여, 서버에게 가장 적합한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인공 신경망의 출력은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이다. 이때, 제2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분석하여,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S1004 단계에서, 학습 장치는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평가하여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에 대한 평가는 제1 보상 및 제2 보상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할수록 제1 보상을 많이 수여하고,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하지 않은 방화벽 정책을 선정하지 않을수록 제2 보상을 많이 수여할 수 있다.
제2 인공 신경망의 출력에 대한 평가는 제3 보상 및 제4 보상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다하게 발생할수록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된 것으로 검출하면 제3 보상을 많이 수여하고, 동일한 IP 주소로 과다한 접속이 이루어질수록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된 것으로 검출하면 제4 보상을 많이 수여할 수 있다.
S1005 단계에서, 학습 장치는 평가를 기초로 인공 신경망을 갱신할 수 있다.
학습 장치는 제1 인공 신경망이 서버에게 가장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는 환경(environment)에서, 보상값(reward)들의 합의 기대값(expectation)이 최대화되도록, 특정한 상태(state)들에서 취할 행동(action)들을 결정하는 정책(policy)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통해 제1 인공 신경망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장치는 제2 인공 신경망이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환경(environment)에서, 보상값(reward)들의 합의 기대값(expectation)이 최대화되도록, 특정한 상태(state)들에서 취할 행동(action)들을 결정하는 정책(policy)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통해 제2 인공 신경망을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정책을 최적화하는 과정은 보상들의 합의 기대값의 최대값 또는 Q-함수의 최대값을 추정하거나, Q-함수의 손실 함수(loss function)의 최소값을 추정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손실함수의 최소값의 추정은 확률적 경사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 SGD)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정책을 최적화하는 과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강화 학습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최적화 알고리즘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학습 장치는 상기와 같은 인공 신경망의 학습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인공 신경망을 점진적으로 갱신시킬 수 있다.
학습 장치는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하는데 있어, 포워딩 타입, 프로토콜, 외부 허용 IP 주소, 외부 차단 IP 주소, 가상 포트, 운영 포트 등의 항목을 모두 고려하여, 서버에게 가장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한 후, 선정된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제1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즉,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할 때, 제1 보상, 제2 보상 등을 통한 강화 학습을 반영하여, 분석 기준을 조정함으로써, 제1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제2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즉, 학습 장치는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분석할 때, 제3 보상, 제4 보상 등을 통한 강화 학습을 반영하여, 분석 기준을 조정함으로써, 제2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0)는 프로세서(310) 및 메모리(3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거나,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학습 중인 또는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제어 장치(300)와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300)는 동일할 수도 있고 개별적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버스 정류장의 PSD(Platform Screen Door)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을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와
    상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통해 개폐되는 제1 도어, 제2 도어 및 제3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1 센서에서 출력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2 센서에서 출력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이 감지 유지 시간인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센서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어 개방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진입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시간을 상기 제1 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보다 길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버스 정류장에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으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거나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하차를 완료 후 차량이 출발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및 상기 제3 도어는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도어 오픈 신호의 출력이 중지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오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어 폐쇄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버스 정류장 내의 제1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버스 정류장 내의 제2 지점-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후방으로 제1 기준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버스 정류장 내의 제3 지점-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제2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후방으로 제2 기준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3 지점에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지점의 위치에서 차량 이동 방향의 전방에 있는 구역인 제1 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간의 구역인 제2 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되고,
    상기 제3 도어는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간의 구역인 제3 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구역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제1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1 대기자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대기자의 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2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제1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대기자의 수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 상기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2 기준 시간 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된 제3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제1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대기자의 수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 상기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2 기준 시간 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 제4 기준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제1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하고,
    상기 제1 대기자의 수를 시간대 별로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를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적지만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시간대를 보통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대기자의 평균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시간대를 여유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서 상기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보통 시간대에서 상기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여유 시간대에서 상기 제2 기준 시간의 길이를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제3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88009A 2022-07-18 2022-07-18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KR10249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09A KR102498255B1 (ko) 2022-07-18 2022-07-18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09A KR102498255B1 (ko) 2022-07-18 2022-07-18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55B1 true KR102498255B1 (ko) 2023-02-09

Family

ID=8522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009A KR102498255B1 (ko) 2022-07-18 2022-07-18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520A (ko) * 2014-06-06 2015-12-16 한국교통연구원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제어방법
KR101766241B1 (ko) 2015-12-15 2017-08-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1776167B1 (ko) * 2016-12-09 2017-09-08 제주특별자치도 승하차 안전 게이트 시스템
KR20180078815A (ko)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버스 도어 제어 장치
KR101952372B1 (ko) 2017-07-11 2019-02-26 이인영 전철 승강장 안전장치
KR101937791B1 (ko) 2018-06-26 2019-04-11 김기철 스크린 도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280652B1 (ko) * 2020-11-04 2021-07-22 (주)동우자동도어 차량 정위치 정차감지 및 승강장 안전문 연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520A (ko) * 2014-06-06 2015-12-16 한국교통연구원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제어방법
KR101766241B1 (ko) 2015-12-15 2017-08-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1776167B1 (ko) * 2016-12-09 2017-09-08 제주특별자치도 승하차 안전 게이트 시스템
KR20180078815A (ko)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버스 도어 제어 장치
KR101952372B1 (ko) 2017-07-11 2019-02-26 이인영 전철 승강장 안전장치
KR101937791B1 (ko) 2018-06-26 2019-04-11 김기철 스크린 도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280652B1 (ko) * 2020-11-04 2021-07-22 (주)동우자동도어 차량 정위치 정차감지 및 승강장 안전문 연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6253B (zh) 一种机器人路线规划方法、装置、机器人及安全管理
WO2018012044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かご呼び推定方法
US20100299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ccupancy estimation
WO2009038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ccupancy estimation
Witwicki et al. Autonomous surveillance robots: A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networked muiltiagent systems
KR102166283B1 (ko) 교통 신호기 제어 장치
WO2019015691A1 (zh) 电梯乘客的异常移动的自动检测
KR102531879B1 (ko) 인공지능 기반 기업용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를 위한 이벤트 발생 예측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109338A (ko) 로봇 제어 방법 및 로봇
Fooladi Mahani et al. A bayesian trust inference model for human-multi-robot teams
KR20190090738A (ko) 사용자 행동 예측 방법 및 사용자 행동 예측 장치
KR102246462B1 (ko) 지능형 엣지 기반 도로교통 상황인지 방법
US11748993B2 (en) Anomalous path detection within cameras' fields of view
KR102498255B1 (ko)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Tan et al. Targeted adversarial attacks against neural network trajectory predictors
KR102485471B1 (ko)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 제어 시스템
CN116862740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监狱管控系统
KR102455049B1 (ko) 무선 통신 기반 작업자 상태 파악 시스템
KR102353224B1 (ko)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172391A1 (ja) 情報処理装置、顔認証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256714B1 (ko) 횡단보도 보조 신호 시스템
Mokhtari et al. Don’t go that way! risk-aware decision mak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508648B1 (ko) 전기 및 소방 설비의 오동작 판단을 기반으로 한 비상상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678706B2 (ja) 種別判定プログラム、種別判定装置及び種別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