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224B1 -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224B1
KR102353224B1 KR1020210098511A KR20210098511A KR102353224B1 KR 102353224 B1 KR102353224 B1 KR 102353224B1 KR 1020210098511 A KR1020210098511 A KR 1020210098511A KR 20210098511 A KR20210098511 A KR 20210098511A KR 102353224 B1 KR102353224 B1 KR 10235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mobility
point
delivery driv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용
Original Assignee
(주)고고에프앤디
하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고에프앤디, 하성용 filed Critical (주)고고에프앤디
Priority to KR102021009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22Gains, weighting coefficients or weigh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센서를 기반으로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하는 배달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배달 주문 요청을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모빌리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모빌리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IMATING DRIVING PROPENSITY OF DELIVERY MOBILITY BASED ON SENSOR}
본 발명은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모빌리티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추정하여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배달 서비스의 이용이 급증하면서, 배달물을 배달하는 배달기사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배달기사에게 기본으로 책정되어 있는 보험료가 비싸기 때문에, 대부분의 배달기사들이 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배달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험사 입장에서는 손해율을 올리지 않으면서 배달기사들을 보험에 가입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배달기사 입장에서는 할인된 금액으로 보험에 가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배달 업무를 진행하는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여,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적으로 책정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801호(2018.09.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7124호(2018.02.0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635호(2017.08.0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2644호(2013.07.22. 공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하고,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제1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모빌리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모빌리티를 확인하고,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하고,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면,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센서를 기반으로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하는 배달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배달 주문 요청을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모빌리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모빌리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작동되면,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해제되면, 상기 제1 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인 제3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상기 제1 모빌리티가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제1 운행 정보를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상기 제1 모빌리티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제2 운행 정보를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급가속, 급감속, 급회전 및 과속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횟수인 제1 위험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위험 횟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위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횟수인 제2 위험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위험 횟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보다 큰 값이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위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험 점수 및 상기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은,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험 점수가 0점 보다 크고 상기 제2 위험 점수가 0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상기 제1 위험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위험 점수가 0점이고 상기 제2 위험 점수가 0점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상기 제2 위험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위험 점수 및 상기 제2 위험 점수가 0점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상기 제1 위험 점수 및 상기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을 차감하여,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위험 점수 및 상기 제2 위험 점수가 0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한 배달 거리를 기반으로 제1 보상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 상기 제1 보상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갱신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은, 복수의 모빌리티를 보관하는 창고의 출입문에 스마트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와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이 관계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을 소지한 상기 제1 배달기사를 상기 창고의 관계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도어에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1명으로 산출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와 연결된 바닥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무게 측정으로 생성되는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값과 미리 등록된 제1 배달기사의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으로 산출되면, 상기 출입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 제2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하고,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제1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모빌리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모빌리티를 확인하고,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하고,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면,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배달 업무를 진행하는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여,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적으로 책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기반으로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을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 별로 위험 점수를 산출하여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기사의 현재 상태에 따라 스마트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의 수에 따라 개방 각도 및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및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배달을 주문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은 배달 업무를 수행하는 배달기사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 제2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제2 배달기사 단말(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1 사용자 단말(110) 등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하고, 제2 배달기사 단말(220) 등의 다른 배달기사 단말에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은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장치(30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에는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에는 주문자용 배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에는 배달기사용 배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주문자용 배달 애플리케이션 및 배달기사용 배달 애플리케이션은 장치(3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장치(300)는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배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배달물이 배달될 수 있도록, 배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배달 운전에 특화된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할 수 있으며, 운전 성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보험료를 차등하여 책정할 수 있다.
즉, 배달물을 배달하는데 있어, 배달 주문, 배달물 픽업, 배달물 운송 등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따라 배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므로, 장치(300)는 배달물을 배달하는 배달기사의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배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지표화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달기사들이 사용하는 모빌리티에는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장치(300)는 센서로부터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배달기사의 운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모빌리티는 배달 시 사용되는 다양한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동식 킥보드, 전기스쿠터, 호버보드, 전동휠 등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도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에 장착되는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빌리티가 움직이는 경우, 가속, 감속, 회전 등을 측정하여, 측정된 센싱값을 통해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운행 정보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운행 정보는 모빌리티의 가속, 감속, 회전 등의 운행 상태를 시간대 별로 나타내는 운행 정보이다.
센서는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고, 운행 정보를 주기적으로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치(300)는 모빌리티에 장착된 센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센서 기반으로 수집된 정보를 입력하여, 사고 발생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학습을 통해,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추론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만을 도시하고,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중 제1 배달기사 단말(210) 및 제2 배달기사 단말(22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기반으로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을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배달 주문 요청은 제1 배달물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해주는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제1 배달물의 품목, 제1 지점의 위치,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중인 배달 주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A 음식을 제1 사용자의 집까지 배달해주는 배달 주문이 요청된 경우, A 음식을 만드는 식당의 위치가 제1 지점으로 설정되고, 제1 사용자의 집의 위치가 제2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A 음식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하는 배달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중인 배달 주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배달물이 선택되고 배달 도착지인 제2 지점이 설정되면,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취급하는 식당을 확인하여, 확인된 식당의 위치를 제1 지점으로 자동 설정하고, 제1 배달물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하는 배달 주문이 요청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주문 요청을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의 화면에서는 제1 배달물의 품목, 제1 지점의 위치,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주문 요청이 표시될 수 있다.
장치(300)는 배달 주문 요청을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로 전송할 때, 제1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배달기사 단말에게만 배달 주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하는 배달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각각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중 제1 지점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내에 위치한 배달기사 단말들을 확인하여, 제1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배달기사 단말들을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반경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중 제1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배달기사 단말로 제1 배달기사 단말(210) 및 제2 배달기사 단말(220)가 선별되면, 장치(300)는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200) 중 제1 배달기사 단말(210) 및 제2 배달기사 단말(220)에게만 배달 주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기사 단말(210) 및 제2 배달기사 단말(220)로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주문 요청을 전송한 경우, 제1 배달기사 단말(210) 및 제2 배달기사 단말(220) 각각의 화면에는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주문 요청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배달기사 단말(210)에서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주문 요청이 가장 먼저 수락되면,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배달기사 단말(22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지 않도록 처리하기 위해, 제2 배달기사 단말(220)의 화면에서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주문 요청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에 로그인 되어 있는 제1 배달기사 계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배달기사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제1 배달기사 사용하는 모빌리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모빌리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빌리티는 제1 배달기사가 배달 시 사용하는 이동 수단으로,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뿐만 아니라, 전동식 킥보드, 전기스쿠터, 호버보드, 전동휠 등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배달기사 사용하는 제1 모빌리티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빌리티에는 제1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제1 모빌리티가 움직이는 경우, 가속, 감속, 회전 등을 측정하여, 측정된 센싱값을 통해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센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된 시점부터, 장치(300)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자세한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물이 제2 지점까지 배달되면, 제1 배달기사 단말(210)에서 실행중인 배달 주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가 요청된 경우,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이 완료되기 전까지, 제1 배달기사의 상태가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설정되어 있는데, 장치(300)는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이 완료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하여, 제1 배달기사의 상태를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가 해제되면,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3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2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배달물을 배달하는 동안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의 운행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기준 기간 동안 수신될 때까지, S203 단계부터 S209 단계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제1 모빌리의 운행 정보가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S2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배달물을 배달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배달물을 픽업하고 배달물은 운송하는 동안에 제1 배달기사의 운전 패턴을 파악하여,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자세한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기사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데,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기사의 상태를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변경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제어 신호를 제1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는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제1 센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센서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제1 센서가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제어 신호를 제1 센서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제1 센서가 작동된 것으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제1 배달기사가 해제되면, 제1 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제어 신호를 제1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센서의 작동이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1 센서가 아직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6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제어 신호를 제1 센서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1 센서의 작동이 정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를 대기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동안에만 제1 센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동안에만 제1 센서로부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8 단계 이후,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2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2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하는 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제1 모빌리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1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인 제3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에 부착된 GPS 기기를 통해 제1 모빌리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제1 모빌리티의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도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기사가 제1 배달물을 픽업하기 위해 제1 지점으로 이동하면,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제1 모빌리티가 제1 지점까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1 모빌리티가 제1 지점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다시 추적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1 모빌리티가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제1 운행 정보를 제1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운행 정보는 제1 모빌리티가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의 가속, 감속, 회전 등의 운행 상태를 시간대 별로 나타내는 운행 정보이다.
즉, 제1 배달물을 픽업하기 위해 제1 배송기사가 제1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경우, 제1 센서는 제1 모빌리티가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상태를 측정하여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모빌리티가 제1 지점에 도착하면, 장치(300)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기사가 제1 배달물을 픽업한 후 제1 배달물을 운송하기 위해 제2 지점으로 이동하면, 장치(300)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제1 모빌리티가 제2 지점까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1 모빌리티가 제2 지점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다시 추적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1 모빌리티가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제2 운행 정보를 제1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운행 정보는 제1 모빌리티가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의 가속, 감속, 회전 등의 운행 상태를 시간대 별로 나타내는 운행 정보이다.
즉, 제1 배달물을 픽업한 후 제1 배달물을 목적지까지 배달하기 위해 제1 배송기사가 제1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경우, 제1 센서는 제1 모빌리티가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상태를 측정하여 제2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모빌리티가 제2 지점에 도착하면, 장치(300)는 제1 센서로부터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 별로 위험 점수를 산출하여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운행 정보를 기초로,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급가속, 급감속, 급회전 및 과속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횟수인 제1 위험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험 횟수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급가속, 급감속, 급회전 및 과속으로 인해 위험하다고 판단된 위험 상황의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위험 횟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위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험 횟수가 2회로 확인되고 제1 가중치가 1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를 2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위험 상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S5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운행 정보를 기초로,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횟수인 제2 위험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험 횟수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급가속, 급감속, 급회전 및 과속으로 인해 위험하다고 판단된 위험 상황의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위험 횟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위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험 횟수가 2회로 확인되고 제2 가중치가 15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0)는 제2 위험 점수를 3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위험 상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5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위험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51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을 기반으로,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이 클수록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난폭 운전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이 작을수록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안전 운전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가 각각 산출되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제1 배달기사의 계정 정보를 통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제1 위험 점수가 0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위험 점수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2 위험 점수가 0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5 단계에서, 장치(300)는 S601 단계에서 획득된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을 차감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가 0점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을 차감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80점이고, 제1 위험 점수가 10점이고, 제2 위험 점수가 15점으로 확인된 경우,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55점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S603 단계에서 제2 위험 점수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300)는 S601 단계에서 획득된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제1 위험 점수를 차감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가 0점 보다 크고 제2 위험 점수가 0점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제1 위험 점수를 차감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S602 단계에서 제1 위험 점수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위험 점수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2 위험 점수가 0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300)는 S601 단계에서 획득된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제2 위험 점수를 차감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가 0점이고 제2 위험 점수가 0점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서 제2 위험 점수를 차감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S604 단계에서 제2 위험 점수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한 배달 거리를 기반으로 제1 보상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한 배달 거리가 1km인 경우, 제1 보상값을 10점으로 설정하고,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한 배달 거리가 2km인 경우, 제1 보상값을 20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장치(300)는 S601 단계에서 획득된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 제1 보상값을 가산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위험 점수 및 제2 점수가 0점으로 확인되면, 제3 지점에서 제1 지점까지 이동한 배달 거리를 기반으로 제1 보상값을 설정하고,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에 제1 보상값을 가산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갱신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기초로,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기사가 배달기사로 처음 등록될 때,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는 100점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위험 점수, 제2 위험 점수, 제1 보상값을 통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갱신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90점 이상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가장 높은 등급인 1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80점 이상이고 90점 미만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2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가 70점 이상이고 80점 미만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3등급으로 설정하여,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점수를 기초로,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을 이용하여, 제1 배달기사의 보험료를 차등하여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기사의 기본 보험료가 10,000원으로 책정된 경우,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이 1등급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보험료를 9,000원으로 할인하여 책정하고,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이 2등급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보험료를 10,000원으로 책정하고, 제1 배달기사의 안전 운전 등급이 3등급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의 보험료를 11,000원으로 초과하여 책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복수의 모빌리티를 보관하는 창고의 출입문에 스마트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도어는 배달기사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도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배달기사 단말이 인지되는지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등)을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배달기사 단말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배달기사 단말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면, 스마트 도어의 잠금 장치가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의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하였다는 인지 알림 신호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알림 신호는 스마트 도어가 새로운 단말을 인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장치(300)는 인지 알림 신호를 통해 스마트 도어가 새로운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지만, 어느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없다. 장치(300)는 추후 획득되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통해, 스마트 도어가 어느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인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로부터 인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로부터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도어에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로부터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로부터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제1 배달기사를 식별할 수 있는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관계자 단말로 등록된 배달기사 단말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기사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면, S7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한 제1 배달기사를 창고의 관계자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기사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면,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에 접근한 제1 배달기사를 관계자로 판단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로 판단되면,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어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시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로 판단되면,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감지 알림 신호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알림 신호를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를 통해 제1 배달기사가 스마트 도어 앞에 도착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한 제1 배달기사가 스마트 도어로부터 1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하여 인지 알림 신호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배달기사가 스마트 도어로부터 3m 떨어진 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알림 신호를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에서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배달기사가 비밀번호, 카드 키 등을 입력하지 않아도 스마트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706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는 배달기사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S7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7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기사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S704 단계에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가 아닌 경우,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710 단계에서, 장치(300)는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스마트 도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에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장치(300)는 관계자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관계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 도어에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어는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여, 스피커를 통해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는 배달기사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의 출력 이후, 스마트 도어에 구비된 입력부에 비밀번호 또는 카드 키가 입력되면, 스마트 도어는 비밀번호 또는 카드 키를 통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에서 수행한 추가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추가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추가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S710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스마트 도어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기사의 현재 상태에 따라 스마트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제1 배달기사가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면,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이 관계자 단말로 확인되면,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에 접근한 제1 배달기사를 관계자로 판단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는 제1 배달기사가 관계자로 판단되면,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도어가 제1 배달기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는 카메라를 구동하여 스마트 도어로 진입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로부터 카메라의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수가 몇 명인지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에서 사람들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얼굴의 수를 출입자의 수로 산출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출입자의 수가 1명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1명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로 진입하는 공간의 바닥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무게 측정으로 생성되는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장치(300)는 무게 감지 모듈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등록된 제1 배달기사의 무게를 비교하여,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 단말(210)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제1 배달기사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배달기사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게 감지 모듈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제1 배달기사의 무게를 비교하여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무게의 비교 결과,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무게의 비교 결과, 오차 범위를 벗어나 측정값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S8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속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각도도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S8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2 기준 속도를 통해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속도는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제1 기준 속도로 스마트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하고,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제2 기준 속도로 스마트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배달기사가 짐을 들고 있는 경우, 스마트 도어의 개폐 속도가 느려지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S806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으로 확인되면, S9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의 수에 따라 개방 각도 및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는 출입자의 수가 몇 명인지 확인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출입자의 수가 제1 기준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1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2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제1 각도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출입자의 수가 1명인 경우, 스마트 도어가 제1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스마트 도어가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출입자의 수가 많을수록 스마트 도어의 개방 각도 구간이 커지게 조절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S904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스마트 도어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9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경우, 스마트 도어의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제어하고,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경우, 스마트 도어의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출입자의 수가 많을수록 스마트 도어의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이 길어지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프로세서(301) 및 메모리(3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01)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3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센서를 기반으로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배달물을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배달하는 배달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배달 주문 요청을 복수의 배달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수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제1 배달기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사용하는 모빌리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모빌리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모빌리티에 장착된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달물에 대한 배달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인 제3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상기 제1 모빌리티가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제1 운행 정보를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상기 제1 모빌리티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제2 운행 정보를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급가속, 급감속, 급회전 및 과속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횟수인 제1 위험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위험 횟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위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횟수인 제2 위험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위험 횟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보다 큰 값이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위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험 점수 및 상기 제2 위험 점수를 합산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배달기사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작동되면,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이동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1 모빌리티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달물을 배달하는 업무의 담당자에서 상기 제1 배달기사가 해제되면, 상기 제1 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3. 삭제
KR1020210098511A 2021-07-27 2021-07-27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5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11A KR102353224B1 (ko) 2021-07-27 2021-07-27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11A KR102353224B1 (ko) 2021-07-27 2021-07-27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224B1 true KR102353224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11A KR102353224B1 (ko) 2021-07-27 2021-07-27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34B1 (ko) * 2022-08-12 2023-02-14 (주)고고에프앤디 인공지능 기반 배달기사 배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0813A (ja) * 2001-11-21 2005-04-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料金を決定しプライバシを保証するための安全な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82644A (ko) 2011-12-12 2013-07-22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운전자성향분석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성향분석방법
KR20130097905A (ko) * 2012-02-27 2013-09-04 김형식 고객통합 주문 배달 관리시스템
KR101765635B1 (ko) 2016-02-02 2017-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7266A (ko) * 2016-06-02 201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달영역을 고려한 배송차량 운전자의 위험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7124B1 (ko) 2016-06-13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주행 패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901801B1 (ko) 2016-12-29 2018-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운전 패턴 예측 방법
JP2020095315A (ja) * 2018-12-10 2020-06-1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配達計画評価システム、評価出力システムおよび配達計画評価プログラム
JP2020126512A (ja) * 2019-02-06 2020-08-20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0813A (ja) * 2001-11-21 2005-04-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料金を決定しプライバシを保証するための安全な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82644A (ko) 2011-12-12 2013-07-22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운전자성향분석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성향분석방법
KR20130097905A (ko) * 2012-02-27 2013-09-04 김형식 고객통합 주문 배달 관리시스템
KR101765635B1 (ko) 2016-02-02 2017-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7266A (ko) * 2016-06-02 201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달영역을 고려한 배송차량 운전자의 위험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7124B1 (ko) 2016-06-13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주행 패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901801B1 (ko) 2016-12-29 2018-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운전 패턴 예측 방법
JP2020095315A (ja) * 2018-12-10 2020-06-1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配達計画評価システム、評価出力システムおよび配達計画評価プログラム
JP2020126512A (ja) * 2019-02-06 2020-08-20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34B1 (ko) * 2022-08-12 2023-02-14 (주)고고에프앤디 인공지능 기반 배달기사 배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9528B2 (ja) 制御方法及び遠隔監視方法
JP5156818B2 (ja) 軌跡に基づいて機器の認証を行う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6874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220067689A1 (en) Automated shopping experience using cashier-less systems
US20150032418A1 (en) Aggregating and filtering data from mobile devices
US20140320121A1 (en) Measurements of earth's magnetic field indoors
KR102452504B1 (ko)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JP2021530029A (ja) ユーザの間のグループ関連付けを判定するシステム
US20200386568A1 (en) Augmented Reality Directions Utilizing Physical Reference Markers
CN111868762A (zh) 基于接近度的共享交通工具预约
KR102353224B1 (ko) 센서 기반 배달 모빌리티의 운전 성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1674565B (zh) 移动体和移动系统
JP6775707B2 (ja) 移動体端末及び現在位置補正システム
CN110400396B (zh) 使用移动电话来进行无缝进入和意图识别的系统和方法
EP3929125A1 (en) Travel-speed based predictive dispatching
US20190318624A1 (en)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11125573B2 (en) Picku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kup system
US20210152980A1 (en) Destination identification for frictionless building interaction
CN110400397B (zh) 用于进行轨迹预测以实现使用移动装置的无缝访问的系统和方法
CN113977597B (zh) 配送机器人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22472A (ko) 복합 물류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Yoon et al. Forward‐Backward Approach for 3D Event Localization Using Commodity Smartphones for Ubiquitous Context‐Aware Applications in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JP2013107507A (ja) 混雑度配信装置、混雑度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87831B1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位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