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79B1 -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79B1
KR102500079B1 KR1020210189929A KR20210189929A KR102500079B1 KR 102500079 B1 KR102500079 B1 KR 102500079B1 KR 1020210189929 A KR1020210189929 A KR 1020210189929A KR 20210189929 A KR20210189929 A KR 20210189929A KR 102500079 B1 KR102500079 B1 KR 10250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age box
smart storage
compart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요망진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요망진컴패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요망진컴패니
Priority to KR102021018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보관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보관함과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어느 칸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칸을 개폐하는 제1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LOCKER}
아래 실시예들은 스마트 보관함에 구비된 칸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인 택배, 중고 거래 등의 증가로 인해 물품 보관함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물품 보관함은 열쇠를 사용하거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물품이 보관되는 칸의 개폐를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열쇠를 사용하는 경우, 열쇠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과 열쇠의 분실과 같은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물품 보관함에 있는 물품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찾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4738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1006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7854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20254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보관함과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하고, 제1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의 어느 칸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의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1 칸을 개폐하는 제1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보관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보관함과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어느 칸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칸을 개폐하는 제1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이용자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1 QR 코드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상기 제1 QR 코드와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제2 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2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칸을 개폐하는 제2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2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방문한 물품 보관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칸을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칸과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크린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을 통해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 중 제3 칸이 선택되면, 상기 제3 칸을 개폐하는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 상기 제3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3 도어가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3 칸 보관료 결제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 상기 제3 칸의 보관료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제3 칸과 대응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QR 코드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2 QR 코드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상기 제2 QR 코드와 대응하는 상기 제3 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3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에 접근한 것만으로,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제1 칸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1 도어 앞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1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비밀번호, 카드 등을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제1 칸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스마트 보관함에 있는 물품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에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 확인으로 보관된 물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확인으로 보관된 물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중고 거래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에 물품을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중고 거래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된 물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보안 레벨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스마트 보관함(200) 및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보관함(200)을 통해 물품을 보관하거나 물품을 찾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일부는 이용자 단말로 사전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 단말은 서비스 이용자로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의 회원 단말로 인식되고,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단말은 서비스 이용자로 가입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마트 보관함(200)을 이용하기 위해 방문한 사용자의 비회원 단말로 인식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보관함(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0)와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스마트 보관함(200)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함으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복수의 칸으로 구분되어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보관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등)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지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200)에는 스캐너, 리더기, 스크린, 스피커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키오스크가 설치되어 있어, 스캐너를 통해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리더기를 통해 RF 카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스크린의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고 스크린의 터치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를 통해, 무인 택배 서비스, 비대면 중고 거래 서비스, 실시간 자원 공유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보관함(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크린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하고,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피커를 통해 어느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하고, 스마트 보관함(200)의 어느 칸이 개방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3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에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보관함(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인지되는지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2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였다는 인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알림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200)이 새로운 단말을 인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300)는 인지 알림 신호를 통해 스마트 보관함(200)이 새로운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지만, 어느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없다. 제어 장치(300)는 추후 획득되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통해, 스마트 보관함(200)이 어느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인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인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보관함(200)과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게 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는 스마트 보관함(200)을 정기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자로 가입하여 등록한 상태이고, 제어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서비스 이용자의 가입 시 등록된 제1 사용자의 회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획득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면, S2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접근하면, 스마트 보관함(2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접근한 제1 사용자를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으면, S2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스마트 보관함(200)을 이용하기 위해 접근한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접근하면, 스마트 보관함(2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300)는 서비스 이용자로 가입되어 있지 않지만 스마트 보관함(200)에 접근한 제1 사용자를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S202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키오스크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마트 보관함(200)은 키오스크에 설치되어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접근하게 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감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알림 신호를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 앞에 도착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의 키오스크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인 제1 사용자를 스마트 보관함(200)을 이용하기 위해 접근한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 확인으로 보관된 물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보관될 때,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별도로 입력되거나, 제1 사용자의 물품에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코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복수의 칸 중 어느 칸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보관될 때, 스마트 보관함(200)의 어느 칸에 보관되는지를 파악하여, 제1 사용자의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칸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의 회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복수의 칸 중 제1 칸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면,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1 칸에는 제1 칸을 개폐하는 제1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도어에는 제1 도어 앞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1 도어 앞에 있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감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알림 신호를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제1 도어 앞에 도착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3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1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에 접근한 것만으로,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제1 칸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1 도어 앞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1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비밀번호, 카드 등을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제1 칸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305 단계로 되돌아가, 제1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S302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확인으로 보관된 물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거나,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인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감지되면, 제1 사용자를 스마트 보관함(200)을 이용하기 위해 접근한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스캐너에 QR 코드를 입력할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는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은 인식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QR 코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는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된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택배 서비스를 통해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2 칸에 입고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제2 칸에 입고되면, 제어 장치(300)는 제2 칸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초로, 제2 칸에 대응하는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제1 QR 코드를 무인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QR 코드를 포함하는 물품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에 방문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된 제1 QR 코드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된 제1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획득한 제1 QR 코드를 분석하여, 제1 QR 코드와 대응하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2 칸을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2 칸에는 물품 보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2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S402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2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이미 찾아간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 후,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2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2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칸 보관 알림 메시지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복수의 칸 중 제2 칸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제2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면,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2 칸에는 제2 칸을 개폐하는 제2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도어에는 제2 도어 앞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2 도어 앞에 있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감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알림 신호를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제2 도어 앞에 도착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4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2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가 아닌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된 제1 QR 코드의 확인으로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2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제2 칸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2 도어 앞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2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QR 코드 인증을 통해 제2 칸이 개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물품 도착 알림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는 인증번호의 확인으로 제2 칸이 개방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8 단계로 되돌아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중고 거래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에 물품을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에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방문한 물품 보관자로 판단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칸을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칸과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복수의 칸 각각에는 물품 보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크린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칸이 제1 색으로 표시되고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이 제2 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크린에 제2 색만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크린을 통해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 중 제3 칸이 선택되면,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3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3 칸에는 제3 칸을 개폐하는 제3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S5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 제3 도어가 폐쇄되면, 제3 도어가 잠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3 칸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감지 센서를 통해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S503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크린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만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물품을 다른 칸에 보관하고 싶은 경우, 제3 칸에 물품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제3 도어가 폐쇄될 수 있으며, 물품을 보관하고자 하는 칸이 다시 선택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3 칸 보관료 결제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칸 보관료 결제 안내 메시지는 제3 칸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결제할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칸의 보관료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에는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인식 모듈에 제1 사용자의 결제 수단이 인식되면,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 제3 칸의 보관료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제3 칸의 보관료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3 칸 보관료 결제 안내 메시지가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제3 칸의 보관료에 대한 결제가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칸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초로, 제3 칸에 대응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QR 코드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중고 거래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된 물품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2 QR 코드가 전송된 이후,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제2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에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사용자를 스마트 보관함(200)을 이용하기 위해 접근한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2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이용자로 판단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스캐너에 QR 코드를 입력할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는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은 인식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QR 코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3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는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QR 코드가 인식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된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제2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에 방문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된 제2 QR 코드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된 제2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으로부터 획득한 제2 QR 코드를 분석하여, 제2 QR 코드와 대응하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3 칸을 확인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3 칸에는 물품 보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S602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3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이미 찾아간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 후,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3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칸 보관 알림 메시지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구비된 복수의 칸 중 제3 칸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제3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면, 제3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3 칸에는 제3 칸을 개폐하는 제3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 도어에는 제3 도어 앞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3 움직임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3 도어 앞에 있는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감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알림 신호를 제3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300)는 감지 알림 신호를 통해 제2 사용자가 제3 도어 앞에 도착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3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제3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제3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제3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6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3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제3 칸에 물품을 보관한 이후,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된 제2 QR 코드의 확인으로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3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가 제3 칸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3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3 도어 앞에서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3 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스마트 보관함(200)을 이용하여 중고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제3 움직임 감지 센서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로 되돌아가, 제3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보관함(200)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보안 레벨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스마트 보관함(200)의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은 1레벨부터 4레벨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보안이 가장 약한 것으로 설정된 레벨은 1레벨이고, 보안이 가장 강한 것으로 설정된 레벨은 4레벨일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1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1레벨로 확인되면, S71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찾아갈 자격이 제1 사용자에게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1레벨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로 확인되면, S7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확인되더라도,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로 설정되어 있어,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71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크린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7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3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3레벨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10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 보관함(200)에서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확인되더라도,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3레벨로 설정되어 있어,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스마트 보관함(20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S71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스마트 보관함(200)의 리더기에 RF 카드 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RF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705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3레벨로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300)는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은 4레벨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4레벨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QR 코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QR 코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확인용인 제3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일정 기간 동안에만 제1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3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71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3 QR 코드를 제1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기초로, 제1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71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QR 코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제1 웨어러블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제3 QR 코드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인식된 제3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 내지 4레벨 중 어느 하나인 경우, S713 단계, S714 단계 및 S714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S71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찾아갈 자격이 제1 사용자에게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CCTV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CCTV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 여부, 촬영 각도, 촬영 방향, 영상 저장 여부 등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CCTV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주변에 배치되어, 스마트 보관함(200)이 배치된 위치의 주변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CCTV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정보는 복수의 CCTV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 촬영된 시점, 복수의 CCTV 각각의 위치정보, 복수의 CCTV 각각에 대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인공 지능 모듈을 통하여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태그 정보는 영상 정보에 나타나는 객체 정보(예를 들면, 남자 2명, 자동차 1대, 건물 2개 등), 객체의 상태 정보(예를 들면, 이동중, 정지중, 돌발상황발생 등), 환경 정보(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지능 모듈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에서 객체에 대한 정보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망 모델로 패턴 인식 등에 잘 활용되는 SVM(Supported Vector Machine) 신경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SVM 즉, 서포트 벡터 머신은 기계학습의 분야 중 하나로 패턴인식, 자료분석을 위한 지도 학습 모델이며, 주로 분류와 회귀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두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데이터의 집합이 주어졌을 때, SVM 알고리즘은 주어진 데이터 집합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할지 판단하는 비확률적 이진 선형 분류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공 지능 모듈은 보다 정확하게 영상 정보에서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영상 정보 및 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제어 장치(3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제1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요청 정보는 제1 객체 정보, 제1 시간 정보 및 제1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관리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상응하여 관리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여,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제1 요청 정보는 관리자가 원하는 객체, 객체의 상태에 대한 제1 객체 정보, 특정 시간을 선택하는 제1 시간 정보, 특정 장소를 선택하는 제1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A라는 장소에 지나가는 남자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제1 객체 정보로써, 남자, 이동중이라는 정보와 제1 장소 정보로써, A라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제어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 정보는 특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는 모든 시간을 검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정보 중에서 제1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태그 정보와 제1 요청 정보가 완벽히 매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300)는 태그 정보에 포함된 단어와 제1 요청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워드임베딩(Word-Embedding) 기반으로 단어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워드임베딩(Word-Embedding)이란, 단어 간 유사도 및 중요도 파악을 위해 단어를 저차원의 실수 벡터로 맵핑하여 의미적으로 비슷한 단어를 가깝게 배치하는 자연어 처리 모델링 기술로써, 딥러닝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결과 영상 정보는 제1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영상 정보일 수 있으나, 이 경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데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많이 사용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관리자로 하여금 또 다시 직접 검색을 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영상 정보를 제1 요청 정보와 태그 정보와의 매칭 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고, 상위 10개 내외만을 제1 결과 영상 정보로 추출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1 결과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요청 정보는 제2 객체 정보, 제2 시간 정보 및 제2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과 영상 정보는 관리자의 제1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것인데,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가 제1 요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 원하는 영상이 검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을 보다 정확하고 면밀하게 검색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300)는 관리자의 제1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제1 결과 영상 정보의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객체 정보, 제2 시간 정보 및 제2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장소에 지나가는 파란옷을 입은 여자를 찾고 싶은데, 관리자는 검은 옷을 입은 남자라고 착각하여, 제1 요청 정보로써 A, 검은옷, 남자, 이동중을 제어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요청 정보와 100% 매칭되는 영상이 있기도 하겠지만, 일부만이 매칭되는 영상도 제1 결과 영상 정보로써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일부만이 매칭되는 제1 결과 영상 정보에는 태그 정보로써, A, 파란옷, 여자, 이동중이라고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요청 정보는 A, 파란옷, 여자, 이동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리자는 착각으로 제1 요청 정보를 전달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촬영한 제1 CCTV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2 CCTV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객체의 이동에 따라 전후 사정이 담긴 영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임계 거리 범위는 객체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사람일 때의 임계 거리 범위는 객체가 자동차일 때의 임계 거리 범위 보다 좁을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2 CCTV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 중에서 제2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제2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영상 정보에서 제2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는 의미없는 자료의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CCTV와의 거리로 1차적으로 필터링한 후 제2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300)는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객체의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장치(300)는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제2 CCTV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객체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제1 CCTV와 제2 CCTV의 위치를 비교하여, 제2 CCTV가 객체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제1 CCTV의 이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가 원하는 객체가 촬영된 영상만을 집중적으로 추출하기 위함이다.
제2 CCTV의 위치가 객체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제1 CCTV의 이전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300)는 제2 결과 영상 정보 중 제1 시간 정보에서 기 설정된 쉬프트 시간 범위 만큼 과거로 쉬프트된 영상만을 추출하여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쉬프트 시간 범위는 객체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사람일 때의 쉬프트 시간 범위는 객체가 자동차일 때의 상기 쉬프트 시간 범위 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CCTV의 위치가 객체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제1 CCTV의 이후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300)는 제2 결과 영상 정보 중 제1 시간 정보에서 쉬프트 시간 범위 만큼 앞으로 쉬프트된 영상만을 추출하여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제3 결과 영상 정보가 생성되면, 제1 결과 영상 정보, 제2 결과 영상 정보 및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0)는 프로세서(301) 및 메모리(3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01)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02)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보관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보관함과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자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어느 칸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1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1레벨로 확인되면, 추가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3레벨로 확인되면,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4레벨로 확인되면, QR 코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확인용인 제3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QR 코드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로 등록되어 있는 제1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크린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RF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리더기에 RF 카드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RF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QR 코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웨어러블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제3 QR 코드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제3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1레벨인 경우, 추가 인증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찾아갈 자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보안 레벨이 2레벨 내지 4레벨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찾아갈 자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칸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찾아갈 자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칸을 개폐하는 제1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보관함이 배치된 위치의 주변 구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CCTV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인공 지능 모듈을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제1 객체 정보, 제1 시간 정보 및 제1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제1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결과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요청 정보-상기 제2 요청 정보는 제2 객체 정보, 제2 시간 정보 및 제2 장소 정보를 포함-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CCTV 중 어느 하나인 제1 CCTV가 상기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촬영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CCTV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2 CCTV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CCTV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제2 결과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결과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객체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제2 CCTV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의 위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1 CCTV의 이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결과 영상 정보 중 상기 제1 시간 정보에서 기 설정된 쉬프트 시간 범위 만큼 과거로 쉬프트된 영상만을 추출하여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CCTV의 위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1 CCTV의 이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결과 영상 정보 중 상기 제1 시간 정보에서 상기 쉬프트 시간 범위 만큼 앞으로 쉬프트된 영상만을 추출하여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 영상 정보, 상기 제2 결과 영상 정보 및 상기 제3 결과 영상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이용자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QR 코드 입력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1 QR 코드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상기 제1 QR 코드와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제2 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2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칸을 개폐하는 제2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2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물품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방문한 물품 보관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칸을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칸과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크린에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을 통해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칸 중 제3 칸이 선택되면, 상기 제3 칸을 개폐하는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 상기 제3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3 도어가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3 칸 보관료 결제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 상기 제3 칸의 보관료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제3 칸과 대응하는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QR 코드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2 QR 코드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스캐너에 인식되면, 상기 제2 QR 코드와 대응하는 상기 제3 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3 칸의 상태가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서 제3 칸 보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3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KR1020210189929A 2021-12-28 2021-12-28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0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929A KR102500079B1 (ko) 2021-12-28 2021-12-28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929A KR102500079B1 (ko) 2021-12-28 2021-12-28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079B1 true KR102500079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929A KR102500079B1 (ko) 2021-12-28 2021-12-28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4866B1 (ko) * 2024-01-11 2024-07-15 주식회사 큐알넷 다중 운영 무인자판기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46B1 (ko) 2012-01-16 2012-09-13 주식회사 새누 무인 사물함 관리시스템 및 사물함 관리방법
KR101520582B1 (ko) * 2014-04-14 2015-05-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보관 장치,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물품 보관 방법
KR20160095552A (ko) * 2015-02-03 2016-08-11 (주)솔루션아이티 무인택배 보관함,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KR101710065B1 (ko) 2015-08-13 2017-03-08 주식회사 새누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720254B1 (ko) 2015-02-23 2017-03-27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47386B1 (ko) 2016-10-06 2018-04-11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보관함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46B1 (ko) 2012-01-16 2012-09-13 주식회사 새누 무인 사물함 관리시스템 및 사물함 관리방법
KR101520582B1 (ko) * 2014-04-14 2015-05-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보관 장치,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물품 보관 방법
KR20160095552A (ko) * 2015-02-03 2016-08-11 (주)솔루션아이티 무인택배 보관함,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KR101720254B1 (ko) 2015-02-23 2017-03-27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10065B1 (ko) 2015-08-13 2017-03-08 주식회사 새누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847386B1 (ko) 2016-10-06 2018-04-11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보관함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4866B1 (ko) * 2024-01-11 2024-07-15 주식회사 큐알넷 다중 운영 무인자판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322B2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ducts for video analytics
Liu et al. Fusion of magnetic and visual sensors for indoor localization: Infrastructure-free and more effective
CN109829435B (zh) 一种视频图像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10201609A1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US20170221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ccess Point
KR102244180B1 (ko) 자동 얼굴 등록 및 갱신에 기반한 얼굴인식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N101763671A (zh) 通过使用摄像机来监控人的系统
CN111401159A (zh) 酒店鉴权管理方法、系统、酒店管理系统以及用户终端
US20180115900A1 (en) Method and system of access of a mobile terminal to infromation in an area
CN104462172B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在分布式系统中的装置
JP7464063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iang et al. Indoor localization with a signal tree
Hutomo et al. A smart door prototype with a face recognition capability
Mun et al. Design for visitor authentication based on face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CCTV
KR102500079B1 (ko)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65121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시간 공간 상태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5034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validating and authenticating a host and sensor pair
US20230068391A1 (en) Locker system, locker management system, and locker management method
Wang et al. Finding misplaced items using a mobile robot in a smart home environment
Keerthana et al. AI enabled smart surveillance system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6837B1 (ko) 인공지능 기반 약제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148358A1 (en) Security check method and system
Oztarak et al. Efficient and accurate object classification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KR20230001187A (ko) 폐기물 수거 운송차 배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