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569B1 -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 Google Patents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569B1
KR102497569B1 KR1020220038230A KR20220038230A KR102497569B1 KR 102497569 B1 KR102497569 B1 KR 102497569B1 KR 1020220038230 A KR1020220038230 A KR 1020220038230A KR 20220038230 A KR20220038230 A KR 20220038230A KR 102497569 B1 KR102497569 B1 KR 10249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knife
handle
knife hand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봉
Original Assignee
김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봉 filed Critical 김석봉
Priority to KR102022003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8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comprising electronic or electrical features, e.g. illuminating means, computing devices or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날몸체의 양측면에 산 (山)부와 골(谷)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주름부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식칼에 있어서, 주름부 하부에 예각으로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절삭면에 미세주름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 식재료를 절단함과 아울러 절단되는 식재료가 칼날에 붙지 않게 하고, 칼날의 선단부에는 "〉"형 절개날부를 형성하여 생선의 배를 가르는 등의 절개작업이 용이하게 하며, 손잡이부에는 히터와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칼날의 물기가 빨리 건조하고 칼날에 묻은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칼날몸체(10)의 후방에 연장 형성된 칼날자루부(11)에 칼손잡이부(30)가 설치되고, 칼날몸체(10)에는 산부(12)와 골부(13)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주름부(14)가 형성되며, 칼날몸체(10)의 하부 전길이에 걸쳐 주름부(14)의 하부 양측을 예각을 연마하여 절삭날부(15)가 형성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몸체(10)의 전방과 칼손잡이부(30)가 연결되는 칼손잡이부(30) 전방의 칼날몸체(10)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후방 평탄부(16,16a)가 소정의 길이(2~3㎝)로 형성되고, 절삭날부(15)의 하단부 전길이에 걸쳐 끝이 뾰족한 절삭날첨단부(17)를 형성하되, 이 절삭날첨단부(17)의 각도가 절삭날부(15)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고, 절삭날첨단부(17)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절삭날부(15)의 절삭면부에는 다 수줄의 미세주름(18)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평탄부(16)의 전방에는 생선의 배를 가르는 "〉"형 절개날부(19)를 형성하되, 상하부 경사날(19a,19b)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둥근날(19c)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a kitchen knife with corrugated parts}
본 발명은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날몸체의 양측면에 산 (山)부와 골(谷)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주름부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식칼에 있어서, 주름부 하부에 예각으로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절삭면에 미세주름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 식재료를 절단함과 아울러 절단되는 식재료가 칼날에 붙지 않게 하고, 칼날의 선단부에는 "〉"형 절개날부를 형성하여 생선의 배를 가르는 등의 절개작업이 용이하게 하며, 손잡이부에는 히터와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칼날의 물기가 빨리 건조하고 칼날에 묻은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3-0015366호(고안의 명칭 : 식칼)로 출원되어 실용신안공개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칼(1)의 저부에 형성된 연삭연마면(4)이 칼날(3) 근접부위로 부터 측면(5)의 상단에 까지 수직 또는 약간 경사지게 다수의 요홈부(6)과 철부(7)을 연속적으로 파도형을 형성하고, 중심선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면(5)에 요홈부(6)과 철부(7)가 교대로 연속 반복되도록 형성하여 식재료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식재료가 칼날몸체의 양측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였다.
여기서, 칼날몸체는 손잡이(2)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식재료를 절단하는 금속재로 된 부분 전체를 칭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종래의 식칼(1)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절단하는 경우에 제일 먼저 하측으로 뾰족한 칼날(3)을 식재료의 표면에 대고 아래로 누르면, 작업자가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뾰족한 칼날(3)이 식재료를 파고 들어가는데, 날카로운 칼날(3)이 식재료를 파고 들어가기 시작할 때는 작은 힘으로 식재료를 파고 들어가나, 칼날(3)이 식재료를 소정의 깊이만큼 파고 들어간 뒤에는 칼날(3)의 양측 측면에 예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표면이 매끈한 연삭연마면(4)이 절단되는 식재료의 절단면과 밀착되어 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그 저항력을 이기기 위해 힘을 더 주면서 칼질을 하게 되므로 긴 시간동안 칼질을 하는 경우에는 팔이 아프고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식칼을 포함한 종래의 식칼은 식재료를 써는(절단하는) 작업 외에도 생선의 배를 길이 방향으로 가르는 절개작업이나, 식재료가 포장된 비닐봉지 등을 베는 작업도 하게 되는데, 종래의 식칼은 위와 같은 절개작업이나 베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아 종래고안에 의한 식칼의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고안에 의한 식칼은 요홈부와 철부가 교대로 파도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칼날몸체의 표면이 매끈하게 평탄하지 않아 칼날몸체에 묻은 물기가 건조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칼날몸체의 전체적인 외부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그 만큼 많은 세균이 서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3-0015366호(고안의 명칭 : 식칼) 디자인등록 제30-0848016호(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물품 : 식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칼날몸체의 양측면에 산 (山)부와 골(谷)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주름부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식칼에 있어서, 주름부 하부에 예각으로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절삭면에 미세주름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 식재료를 절단함과 아울러 절단되는 식재료가 칼날에 붙지 않게 하고, 칼날의 선단부에는 "〉"형 절개날부를 형성하여 생선의 배를 가르는 등의 절개작업이 용이하게 하며, 손잡이부에는 히터와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칼날의 물기가 빨리 건조하고 칼날에 묻은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칼날몸체의 후방에 연장 형성된 칼날자루부에 칼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칼날몸체에는 산부와 골부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주름부가 형성되며, 칼날몸체의 하부 전길이에 걸쳐 주름부의 하부 양측을 예각을 연마하여 절삭날부가 형성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몸체의 전방과 칼손잡이부가 연결되는 칼손잡이부 전방의 칼날몸체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후방 평탄부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절삭날부의 하단부 전길이에 걸쳐 끝이 뾰족한 절삭날첨단부를 형성하되, 이 절삭날첨단부의 각도가 절삭날부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고, 절삭날첨단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절삭면부에는 다 수줄의 미세주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평탄부의 전방에는 생선의 배를 가르는 "〉"형 절개날부를 형성하되, 상하부 경사날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둥근날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칼날몸체의 양측면에 주름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주름부 하부에 예각으로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절삭면에 미세주름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주름에 의해 식재료 절단면과의 접촉면적이 감축되어 적은 힘으로 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와 더불어 미세주름과 그 상측의 주름부에 의해 식재료가 칼날에 붙지 않음에 따라 효율적으로 칼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칼날몸체의 선단부에는 "〉"형 절개날부를 형성하여 생선의 배를 길이방향으로 가르는 등의 절개작업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손잡이부늬 내부에는 히터와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칼날의 물기가 빨리 건조하게 하고 칼날에 묻은 세균을 살균할 수 있어서 식칼을 위생적으로 사용,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칼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칼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하는 식칼의 일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하는 칼날몸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하는 칼날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칼날몸체(10)의 후방에 연장 형성된 칼날자루부(11)에 칼손잡이부(30)가 설치되고, 칼날몸체(10)에는 산부(12)와 골부(13)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주름부(14)가 형성되며, 칼날몸체(10)의 하부 전길이에 걸쳐 주름부(14)의 하부 양측을 예각을 연마하여 절삭날부(15)가 형성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칼날몸체(10)의 전방과 칼손잡이부(30)가 연결되는 칼손잡이부(30) 전방의 칼날몸체(10)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후방 평탄부(16,16a)가 소정의 길이(2~3㎝)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삭날부(15)의 하단부 전길이에 걸쳐 끝이 뾰족한 절삭날첨단부(17)를 형성하되, 이 절삭날첨단부(17)의 각도가 절삭날부(15)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고, 절삭날첨단부(17)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절삭날부(15)의 절삭면부에는 다수줄의 미세주름(18)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평탄부(16)의 전방에는 생선의 배를 가르는 "〉"형 절개날부(19)를 형성하되, 절개날부(19)는 상하부 경사날(19a,19b)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둥근날(19c)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칼손잡이부(30) 내측의 칼날자루부(11)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히터(31)가 설치되고, 칼손잡이부(30)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히터(31)의 외부면에는 단열재(32)가 감싸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칼손잡이부(30) 전방은 개방된 상태에서 칼날자루부(11) 양측의 칼손잡이부(30) 개구부에 투명창(33)이 설치되고, 투명창(33) 내측의 칼날자루부(11) 양측에 칼날몸체(10)의 양면으로 자외선 불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3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칼날자루부(11) 후방의 칼손잡이부(30) 내측의 히터(31)와 살균램프(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35)가 설치되고, 칼손잡이부(30)의 상부에는 히터(31)와 살균램프(34)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방수스위치(36)와, 충전케이블 단자를 통하여 충전배터리(35)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포드(37)가 각각 설치되며, 충전포드(37)의 입구는 방수덮개(38)로 커버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된다.
상기 살균램프(34)의 외측에 대면하는 칼손잡이부(30)의 내부면에는 살균램프(34)의 자외선 불빛이 칼날몸체(10)로 조사되게 하는 경사반사면(39)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포드(37)는 상측 입구가 칼손잡이부(30)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되, 충전포드(37) 둘레의 칼손잡이부(30) 외부면에는 칼손잡이부(30) 외부면 보다 높게 돌출되는 돌출테두리부(40)가 형성되고, 돌출테두리부(40)의 내측에는 하측이 좁고 상측이 넓은 이단홈(41)이 형성되고, 충전포드(37)의 입구는 이단홈(41)의 낮은 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수덮개(38)는 신축이 자유로운 고무재로 형성되며 이단홈(41)으로 삽입되어 충전포드(37)의 입구를 커버하는 삽입커버부(42)와, 삽입커버부(42)의 상부 일측에 돌출테두리부(40) 보다 외측으로 길게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덮개손잡이(44)와, 삽입커버부(42)의 상부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칼손잡이부(3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걸이부(30a)에 걸리는 연결띠부(4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커버부(42)의 저면 중앙에는 이단홈(41)의 낮은 홈 상측으로 돌출되는 충전포드(37) 입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포트입구삽입홈(43)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35a"는 제어회로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칼를 제작함에 있어서 절삭날첨단부(17)의 상부 폭(두께:a)과 높이(b)를 0.6㎜와 1.5㎜, 그리고, 절삭날첨단부(17)의 각도를 23~25°, 절삭날부(15)의 각도를 5~6°로 설계하고, 미세주름(18)의 간격(c)과 높이(d)를 0.7㎜와 0.04~0.05㎜로 설계하여 제작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의한 식칼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식칼의 칼날몸체(10)가 수평한 상태에서 식칼을 아래로 내려 누르면,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절삭날첨단부(17)가 식재료를 파고 들어간다.
이때, 절삭날첨단부(17)의 상부 폭(두께:a)과 높이(b), 그리고 각도가 0.6㎜와 1.5㎜, 23~25°임에 따라 날카로운 절삭날첨단부(17)가 식재료를 파고 들어갈 때 저항을 별로 느낄 수 없을 정도의 아주 작은 저항이 작용하므로 아주 작은 힘으로 절삭날첨단부(17)가 식재료를 파고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절삭날첨단부(17)가 식재료를 파고 들어가는 상황에서도 계속하여 식칼을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절삭날첨단부(17)는 계속하여 식재료를 파고 들어가게 되며, 절삭날첨단부(17)의 상측에 형성되는 절삭날부(15)는 절삭날첨단부(17) 보다 좁은 각도(5~6°)로 설계 제작되고 식재료의 절단면과 밀착되지 않고 미세한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절단하는 식재료의 단단하거나 물렁한 정도나 식재료에 포함되는 액상 성분에 점도 등의 조건에 따라 식재료의 절단면이 절삭날부(15)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저항이 달라지는데,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절삭날첨단부(17)의 각도보다 절삭날부(15)의 각도가 작음에 따라 그 각도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틈새에 의해 식재료의 절단면이 절삭날부(15)의 외부면과 밀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절삭날부(15)의 외부면에 미세주름(18)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점성이 있는 식재료라도 식칼을 아래로 누를 때 저항이 감소되게 되고, 더욱 칼날몸체(10)가 하강하면서 주름부(14)와 절단면이 근접했을 때 식재료의 절단면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주름부(14)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주름부(14)의 산부(12)만 절단면과 접촉하고 골부(13)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절단면과 칼날몸체(10)의 외부면과의 접촉저항이 최소화되어 아주 적은 힘으로 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삭날부(15)의 외부면에 다수줄의 미세주름(18)이 형성됨에 따라 절삭날부(15)중에 하측이 0.6㎜로 얇음에도 불구하고 절삭날부(15)의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칼날몸체(10)의 전방측에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방평탄부(16)가 소정의 길이(2~3㎝)로 형성되어서 베기 작업이 가능하고, 전방평탄부(16)의 전방에 "〉"형 절개날부절개날부(19)가 형성되어 생선의 배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작업이 아주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칼손잡이부(30)의 전방에 형성되는 후방평탄부(16a)는 칼날자루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방평탄부(16a)에 의해 칼날자루부(11)를 칼손잡이부(30)에 끼움이 용이하게 하고, 칼손잡이부(30)의 전방에 주름부(14)가 없이 평탄하므로 이물질이 끼지 않고 세척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생선의 배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작업을 할 때, 하부 경사날(19b)의 뾰족한 부분으로 생선의 배를 찌르면, 하부 경사날(19b)에 형성된 절삭날부분과 그 하부 경사날(19b)과 삼각모양으로 이어지는 절삭날첨단부(17)의 절삭날부분에 의해 생선의 배를 쉽게 절개하며 들어간다.
이렇게 하부 경사날(19b)과 절삭날첨단부(17)이 삼각으로 만나는 부분이 생선의 배를 절개하며 들어간 뒤에 본 발명에 의한 식칼을 길이방향으로 밀게 되면, 절개날부(19)에 형성된 상부 경사날(19a)와, 둥근날(19c), 그리고 하부 경사날(19b)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생선의 배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절개날부(19)에 의해 생선의 배를 절개할 때, 상하부 경사날(19a,19b)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둥근날(19c)이 형성되어서 절개날부(19)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킬 때, 둥근날(19c)부분에서 절개되는 부분이 걸림없이 절개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칼의 사용을 마친 뒤에, 식칼을 세척하고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는 도 1,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칼손잡이부(30)의 상측에 형성된 방수스위치(36)를 누르면 충전배터리(35)의 전원이 히터(31)와 살균램프(34)에 인가되게 된다.
먼저, 충전배터리(3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히터(31)가 발열되게 되면 그 열기가 칼날자루부(11)에 전도되게 되고, 칼날자루부(11)와 칼날몸체(10)가 금속재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다라 칼날자루부(11)로 전도되는 열기가 전방측 칼날몸체(10)로 전달되어 칼날몸체(10)의 외부면에 묻은 물기가 빠르게 건조하게 된다.
이렇게 칼날몸체(10)에 묻은 물기가 빠르게 건조됨에 따라 칼날몸체(10)에서의 세균 서식을 예방하여 위생적으로 식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칼손잡이부(30)와 대면하는 히터(31)의 외측에는 단열재(32)가 감싸게 설치되어서 히터(31)의 열기가 칼손잡이부(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칼손잡이부(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배터리(35)의 전원 공급에 의해 칼손잡이부(3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된 살균램프(34)가 발광하게 되면, 그렇게 발광하는 자외선 불빛이 투명창(33)을 투과하여 칼날몸체(10)의 외부면으로 비추어 칼날몸체(10)에 묻어 있는 세균을 살균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칼날몸체(10) 측으로 비춰지는 자외선 불빛은 칼손잡이부(30)의 내부면 양측에 경사반사면(39)이 형성되어 있어서 살균램프(34)의 자외선 불빛은 외측으로 확산되지 않고 칼손잡이부(30) 측으로만 비춰지므로 경사반사면(39)에 의해 자외선 불빛은 칼손잡이부(30)측으로만 집중되게 된다.
특히 식칼에 있어서 칼날몸체(10)와 칼손잡이부(30)가 만나는 부분에서 세균이 서식할 수 있는데, 그 부분과 살균램프(34)가 근접하여 칼날몸체(10)와 칼손잡이부(30)가 만나는 부분에서 서식할 수 있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수스위치(36)는 제어회로부(35a)와 연결되어서 방수스위치(36)를 누르고 나면, 제어회로부(35a)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히터(31)와 살균램프(34)가 작동하고, 그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이 차단되게 되어 안전과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칼은 사용을 마치고 세척을 한 뒤에 식칼을 칼꽂이에 세워 보관하거나, 또는 도마 위나, 싱크대 위, 식낙 위 등에 놓아두는 경우가 있는데, 칼손잡이부(30)의 외부면에 묻은 물기가 충전포드(37)측으로 스며들 염려가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수덮개(38)를 설치하여 충전포드(37)측으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고무재로 형성되는 방수덮개(38)를 돌출테두리부(40)의 안쪽에 형성되는 이단홈(41)을 막도록 하여서 칼손잡이부(30)의 외부면에 묻은 물기가 1차적으로 돌출테두리부(40)로 올라가지 못하고, 이단홈(41)에 끼워진 방수덮개(38)에 의해 1차로 물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하며, 이단홈(41)의 낮은홈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충전포드(37)의 상측 입구에 포트입구삽입홈(43)이 감싸도록 설치되어서 포트입구삽입홈(43)에서 3차로 물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물기가 충전포드(37)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위에서 이단홈(41)에 삽입커버부(42)가 이단으로 끼워짐에 따라 방수효과가 더욱더 향상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방수스위치(36)는 공지된 방수 구조로 설치하여 방수스위치(36)측으로도 물기가 칼손잡이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덮개(38)는 일측 단부에 덮개손잡이(44)가 설치되어 방수덮개(38)를 이단홈(41)에서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수덮개(38)의 타측에는 칼손잡이부(30)에 형성된 걸이부(30a)에 연결띠부(45)가 연결되어서 방수덮개(38)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충전배터리(35)는 공지된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이때는 방수덮개(38)를 열어서 충전포드(37)에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칼날몸체 11 : 칼날자루부 12 : 산부
13 : 골부 14 : 주름부 15 : 절삭날부
16 : 전방평탄부 17 : 절삭날첨단부 18 : 미세주름
19 : 절개날부 30 : 칼손잡이부 31 : 히터
32 : 단열재 33 : 투명창 34 : 살균램프
35 : 충전배터리 36 : 방수스위치 37 : 충전포드
38 : 방수덮개 39 : 경사반사면 40 : 돌출테두리부
41 : 이단홈 42 : 삽입커버부 43 : 포트입구삽입홈
44 : 덮개손잡이 45 : 연결띠부

Claims (5)

  1. 칼날몸체의 후방에 연장 형성된 칼날자루부에 칼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칼날몸체에는 산부와 골부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주름부가 형성되며, 칼날몸체의 하부 전길이에 걸쳐 주름부의 하부 양측을 예각을 연마하여 절삭날부가 형성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몸체의 전방과 칼손잡이부가 연결되는 칼손잡이부 전방의 칼날몸체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전후방 평탄부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절삭날부의 하단부 전길이에 걸쳐 끝이 뾰족한 절삭날첨단부를 형성하되, 이 절삭날첨단부의 각도가 절삭날부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고, 절삭날첨단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절삭면부에는 다 수줄의 미세주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평탄부의 전방에는 생선의 배를 가르는 "〉"형 절개날부를 형성하되, 상하부 경사날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둥근날이 형성되고,
    상기 칼손잡이부 내측의 칼날자루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히터가 설치되고, 칼손잡이부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히터의 외부면에는 단열재가 감싸지게 설치되며, 상기 칼손잡이부 전방은 개방된 상태에서 칼날자루부 양측의 칼손잡이부 개구부에 투명창이 설치되고, 투명창 내측의 칼날자루부 양측에 칼날몸체의 양면으로 자외선 불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칼날자루부 후방의 칼손잡이부 내측의 히터와 살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가 설치되며, 칼손잡이부의 상부에는 히터와 살균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방수스위치와, 충전케이블 단자를 통하여 충전배터리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포드가 각각 설치되고, 충전포드의 입구는 방수덮개로 커버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의 외측에 대면하는 칼손잡이부의 내부면에는 살균램프의 자외선 불빛이 칼날몸체로 조사되게 하는 경사반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드는 입구가 칼손잡이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되, 충전포드 둘레의 칼손잡이부 외부면에는 칼손잡이부 외부면 보다 높게 돌출되는 돌출테두리부가 형성되고,돌출테두리부의 내측에는 하측이 좁고 상측이 넓은 이단홈이 형성되고, 충전포드의 입구는 이단홈의 낮은 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수덮개는 신축이 자유로운 고무재로 형성되며 이단홈으로 삽입되어 충전포드의 입구를 커버하는 삽입커버부와, 삽입커버부의 상부 일측에 돌출테두리부 보다 외측으로 길게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덮개손잡이와, 삽입커버부의 상부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칼손잡이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걸이부에 걸리는 연결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커버부의 저면 중앙에는 이단홈의 낮은 홈 상측으로 돌출되는 충전포드 입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포트입구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KR1020220038230A 2022-03-28 2022-03-28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KR10249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30A KR102497569B1 (ko) 2022-03-28 2022-03-28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30A KR102497569B1 (ko) 2022-03-28 2022-03-28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569B1 true KR102497569B1 (ko) 2023-02-07

Family

ID=8522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230A KR102497569B1 (ko) 2022-03-28 2022-03-28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5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20765Y (zh) * 2008-11-10 2009-10-07 袁浩新 一种切割刀具
US20150328781A1 (en) * 2014-05-16 2015-11-19 Evergood Hardware Products Co., Ltd. Kitchen knife device
KR101857257B1 (ko) * 2017-11-29 2018-05-11 (주)영신칼스토리 조리용 식칼
JP2019030224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Tapp 魚処理用ナイフ
KR102148818B1 (ko) * 2020-02-12 2020-08-27 정진구 음식물 진동 절단칼 및 절단칼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20765Y (zh) * 2008-11-10 2009-10-07 袁浩新 一种切割刀具
US20150328781A1 (en) * 2014-05-16 2015-11-19 Evergood Hardware Products Co., Ltd. Kitchen knife device
JP2019030224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Tapp 魚処理用ナイフ
KR101857257B1 (ko) * 2017-11-29 2018-05-11 (주)영신칼스토리 조리용 식칼
KR102148818B1 (ko) * 2020-02-12 2020-08-27 정진구 음식물 진동 절단칼 및 절단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0100468L (sv) Lökskärare med svängbart skärorgan ledad vid skärbräda
JPS63174898A (ja) きのこを薄切りするための切断装置
KR20090007796U (ko) 다용도 칼
KR102497569B1 (ko) 주름부가 구비된 식칼
US4592113A (en) Fish fileting knife
KR20080114632A (ko) 식재료 절단용 가위
US20050098933A1 (en) Chopping board
US1408368A (en) Spade knife
KR200157202Y1 (ko) 썰은 재료가 붙지 않는 칼
CN208017412U (zh) 一种带有刀片板收纳槽的刨菜器
US1231913A (en) Orange-peeler.
CN101722523A (zh) 波纹菜刀
CN204812578U (zh) 一种新型指甲剪
US929171A (en) Gage-knife.
JP3019271U (ja) 包丁用剥離具
KR102261307B1 (ko) 재료 붙음 방지용 부엌칼
KR200250134Y1 (ko) 주방용 칼
DE60130886D1 (de) Schneidmesser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CN209207562U (zh) 多刀口水果刀
CN212736077U (zh) 一种带刨丝功能的刀具
CN216723558U (zh) 一种带光线补偿的防飞溅指甲剪
CN203843859U (zh) 陶瓷刀
KR20100116726A (ko) 마늘 다짐 가이드
CN211299663U (zh) 一种蔬菜刨
RU49696U1 (ru) Нож с изогнутым лезвием для чистки овощей и фр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