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177B1 -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 Google Patents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177B1
KR102497177B1 KR1020200163690A KR20200163690A KR102497177B1 KR 102497177 B1 KR102497177 B1 KR 102497177B1 KR 1020200163690 A KR1020200163690 A KR 1020200163690A KR 20200163690 A KR20200163690 A KR 20200163690A KR 102497177 B1 KR102497177 B1 KR 10249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opened
side hole
hemodialysis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531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1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53Interfaces between patient blood circulation and extra-corporal blood circuit
    • A61M1/3659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 A61M1/3661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for haemo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61M5/3291Shafts with additional late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원위 단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혈액 투석 대상자의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를 천자하기 위한 개구된 단부면이 형성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통로의 연장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NEEDLE AND NEEDLE STRUCTURE FOR HEMODIALYSIS}
본원은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혈액 투석을 위한 일직선 형상의 바늘(Non-coring needle, Huber point needle) 및 이를 포함하는 바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말기 신장병 환자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장병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신대체 요법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혈액 투석이다. 한편, 혈액 투석을 위한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 중 하나인 동정맥루를 투석 대상자의 체내에 형성하기 위한 시술은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으나, 3년간 일차 개통율(Primary Patency)은 절반이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혈액 투석 시에는 혈액의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15 게이지 내지 16 게이지 등의 직경을 갖는 비교적 굵은 바늘이 사용된다. 도 1은 혈액 투석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바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혈액 투석에 사용되는 종래의 바늘은 일반적으로 바늘의 축에 대해 경사진 단부면(1)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형상의 바늘은 경사진 단부면(1)이 접근부 표면을 타원형 단면으로 잘라내며 진입하므로 투석 대상자의 혈관, 투석관 등을 과도하게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혈액 투석 과정에서 반복적인 천자에 의해 투석 대상자의 혈관 또는 투석관이 손상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 종래의 혈액 투석용 바늘을 사용하여 투석 대상자의 혈관 또는 투석관에 반복적인 천자가 이루어지는 경우, 손상으로 인한 동맥류양 변화(Aneurysmal Change, 도 2의 A)를 일으키거나 지혈을 어렵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투석관 등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반복적 천자로 인하여 투석관에 만성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도 2의 B).
이렇듯,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의 유지 및 관리는 혈액 투석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혈관 접근로의 관리는 혈관 상태와 수술 방법뿐만 아니라 천자에 사용되는 바늘의 구조와 천자 방식에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만성 혈액 투석 환자는 매주 2, 3회의 혈액 투석을 반복적으로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혈관 접근로에 대한 반복적인 천자가 필요하므로, 혈관 접근로의 손상을 방지하고 혈관 접근로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혈액 투석용 바늘 및 바늘 구조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364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석관이나 투석 대상자의 혈관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 또는 선 형상의 국소적인 영역의 천자를 시작으로 접근부 표면을 벌리면서 진입하여 투석관이나 투석 대상자의 혈관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선단부의 단부면이 몸체의 통로 연장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구비되는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원위 단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혈액 투석 대상자의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를 천자하기 위한 개구된 단부면이 형성된 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면은 상기 통로의 연장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전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후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전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사이드 홀 및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후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2사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측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면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통로의 단면은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면의 개구된 면적은 상기 단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12 게이지(Gauge) 내지 18 게이지(Gauge) 범위의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구조체는, 상기 바늘, 상기 바늘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늘을 지지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고, 혈액 투석 대상자의 인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투석관이나 투석 대상자의 혈관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점 또는 선 형상의 국소적인 영역의 천자를 시작으로 접근부 표면을 벌리면서 진입하여 투석관이나 투석 대상자의 혈관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선단부의 단부면이 몸체의 통로 연장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구비되는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혈액 투석을 위한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의 수명, 특히, 인조혈관 그라프트 투석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혈액 투석이 완료된 후의 지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혈액 투석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바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혈액 투석 과정에서 반복적인 천자에 의해 투석 대상자의 혈관 또는 투석관이 손상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선단부의 단부면이 개구되는 방향과 몸체부의 사이드 홀이 개구되는 방향과의 상대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후면 영역에 사이드 홀이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전면 영역 및 후면 영역에 사이드 홀이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측면 영역에 사이드 홀이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근위, 원위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5 내지 도 7에서 보았을 때 근위 방향은 6시 방향이고, 원위 방향은 12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100)(이하, '바늘(100)'이라 한다.)의 확대 도면에서 보았을 때 근위 방향은 3시 방향이고, 원위 방향은 9시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3 기준 상향이 원위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3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혈액 투석을 위한 일직선 형상의 바늘(Non-coring needle, Huber point needle) 및 이를 포함하는 바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구조체(10)는 바늘(100), 접속부(200) 및 날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00)는 바늘(100)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어 바늘(100)을 지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부(200)는 바늘 구조체(10)의 '허브(Hub')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부(200)에는 바늘(100)의 근위 단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홈이 형성되고, 접속부(200)에 형성된 홈에 바늘(100)의 근위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바늘(100) 및 접속부(200)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날개부(300)는 접속부(200)로부터 연장되고, 혈액 투석 대상자의 인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날개부(300)는 접속부(20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접착부재(310)는 날개부(30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바늘(100)에 대한 확대된 도시를 참조하면, 바늘(100)은 몸체부(110) 및 선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바늘(100)의 '샤프트(Shaft)'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는 '루멘(Lumen)'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12 게이지(Gauge) 내지 18 게이지(Gauge) 범위의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의 직경은 15 게이지(Gauge) 내지 16 게이지(Gauge) 범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선단부(120)는 몸체부(110)의 원위 단부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단부(120)는 몸체부(110)의 원위 단부로부터 바늘(100)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20)의 원위 단부에는 혈액 투석 대상자의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를 천자하기 위한 개구된 단부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20)에 형성된 단부면(121)은 몸체부(110)의 통로의 연장 축(도 3의 'CL')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면(121)이 몸체부(110)의 통로의 연장 축(CL)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는 것은, 도 3의 확대된 도시를 참조하면, 바늘(100)을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면(121)에 의해 형성되는 선 또는 면(예를 들면, 직선)과 연장 축(CL)이 완전히 평행하여 단부면(121)에 대응되는 선과 연장 축(CL)이 상호 0도 각도를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단부면(121)에 의해 형성되는 선 또는 면과 연장 축(CL)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각도 이내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단부면(121)과 통로의 연장 축(CL)이 평행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미리 설정된 허용 각도는 5도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 및 바늘 구조체(10)는 몸체(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단부면(121)을 가짐으로써, 바늘의 축에 대해 경사진 단부면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종래의 바늘을 사용하여 혈관 접근로를 천자할 경우, 접근부 표면을 타원형으로 잘라내며 진입하게 되어 혈관 접근로, 투석관 등에 과도한 손상을 초래하던 것과 달리, 단부면(121)의 원위 단부를 이용하여 점 또는 선 형상의 국소적인 영역의 천자를 시작으로 접근부 표면을 벌리면서 진입할 수 있어 투석관이나 투석 대상자의 혈관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는 자가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인조혈관(arteriovenous graft), 그라프트 투석관 등 대상자의 혈액을 획득하여 인공 신장기 등을 통해 노폐물을 걸러주고 신체 내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도록 처리한 후, 처리된 투석액을 대상자의 체내로 재차 주입하는 혈액 투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혈액과 투석액의 통로를 폭넓게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혈관 접근로는 혈관통로, 혈액투석통로, 투석접근로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면(121) 및 몸체부(110)의 통로의 단면은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되, 단부면(121)의 개구된 면적이 몸체부(110)의 통로의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15 게이지(Gauge) 내지 16 게이지(Gauge) 범위의 직경으로 구비되고, 단부면(121)은 16 게이지(Gauge)를 초과하는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16 게이지(Gauge)의 직경을 갖는 원 대비 큰 면적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부면(121)이 몸체부(110)의 통로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바늘(100)을 통해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를 천자한 후, 혈관 접근로를 통해 혈액 또는 투석액이 보다 원활하게 바늘(100) 내부를 통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에는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몸체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사이드 홀(111)은 혈액 투석 과정에서 몸체부(110)의 통로 내부를 이동하는 혈액이 소정의 유량 수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혈액 투석 과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최소 200 ml/분(min) 이상의 혈액 유량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홀(111)은 혈액 투석 과정에서 바늘(100)을 통해 이동하는 혈액이 최소 혈액 유량인 200 ml/분(min) 이상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사이드 홀(111)의 위치, 규격 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인 최소 혈액 유량은 전술한 수치 범위(200 ml/분 이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혈액 투석 대상자의 상태, 신장 기능에 따른 투석 수준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바늘(100)에 형성되는 사이드 홀(111)의 형태, 형성 위치 등과 관련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선단부의 단부면이 개구되는 방향과 몸체부의 사이드 홀이 개구되는 방향과의 상대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을 몸체부(11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도 4는 바늘(10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때,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늘(100)을 바라본 경우에 대응되는 바늘(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4의 'Opening'은 선단부(120)의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이란, 단부면(121)이 형성하는 면방향에 직교하며, 바늘(10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기준으로, 통로의 연장 축(CL)은 도 4의 법선 방향이고, 이에 대응하여 단부면(121)은 연장 축(CL)과 나란한 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단부면(121)의 개구된 방향은 법선 방향과 직교하되, 바늘(10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인 12시방향일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홀(111)은 단부면(121)의 개구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소정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영역 중 일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 도시된 'R1' 영역은 몸체부(110)의 측벽 중 단부면(121)이 형성된 영역과 이웃하고, 단부면(121)의 개구된 방향의 대응되는 영역인 전면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R2' 영역은 몸체부(110)의 측벽 중 단부면(121)이 형성된 영역의 반대편 영역과 이웃하고, 단부면(121)의 개구된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인 후면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R3' 및 'R4' 영역은 몸체부(110)의 측벽 중 단부면(121)이 형성된 영역과 단부면(121)의 반대편 영역과 직교하는 측면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달리 말해, 측면 영역은 몸체부(110)의 측벽 중 전면 영역(R1) 및 후면 영역(R2)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홀(111)은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전면 영역(R1)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후면 영역에 사이드 홀이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에 형성되는 사이드 홀(111)은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후면 영역(R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전면 영역 및 후면 영역에 사이드 홀이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의 몸체부(110)에는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전면 영역(R1)에 형성되는 제1사이드 홀(111a) 및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후면 영역(R2)에 형성되는 제2사이드 홀(111b)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1사이드 홀(111a) 및 제2사이드 홀(111b)은 몸체부(110)의 연장 방향(도 6의 12시에서 6시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높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2사이드 홀(111b)은 단부면(121)을 통과하도록 흐르는 혈액 또는 투석액의 유체 흐름이 원활하도록 제1사이드 홀(111a) 대비 몸체부(110)의 근위 단부 또는 원위 단부 측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사이드 홀(111b)은 사이드 홀(111)이 형성됨으로써 바늘(100)의 압축 강도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약화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사이드 홀(111a) 대비 작은 면적으로 개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홀(111)은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측면 영역(R3, R4)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측면 영역에 사이드 홀이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의 몸체부(110)에는 예시적으로,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측면 영역(R3, R4)에 형성되는 제3사이드 홀(111c) 및 단부면(121)이 개구된 방향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벽 중에서 측면 영역(R3, R4)에 형성되는 제4사이드 홀(111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100)에 사이드 홀(111)이 형성되는 각각의 위치, 형성된 사이드 홀(111)의 수, 사이드 홀(111)의 개구 형상(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 장공 형상 등), 사이드 홀(111)의 개구 면적 등은 몸체부(110)의 직경, 몸체부(110) 및 선단부(120)의 재질, 몸체부(110) 및 선단부(120)의 압축 강도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홀(111)이 개구된 영역에 대응하여 몸체부(110)의 외주면 외측에 결합되어 사이드 홀(111)의 개구 정도(예를 들면, 개구되는 면적 등)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슬라이드 부재(미도시)는 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근위 방향 또는 원위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사이드 홀(111)이 개구(노출)되는 정도(면적)를 조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외주면의 외측에 결합되는 관형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이드 홀(111)이 형성된 영역에 이웃한 몸체부(110)의 외주면 상에는 슬라이드 부재(미도시)의 이동 정도를 가이드 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눈금은 슬라이드 부재(미도시)의 슬라이드 이동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혈액 유량을 고려하여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각의 눈금은 슬라이드 부재(미도시)의 슬라이드 이동 정도에 따른 사이드 홀의 개폐 정도에 대응하여 예상되는 혈액 유량의 변화를 ml/분(min) 단위로 표시(예를 들면, 한 눈금만큼 슬라이드 부재(미도시)를 이동시킬 때마다 전체 혈액 유량이 10ml/분(min)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의 상관 관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혈액 투석의 시술자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의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미도시)를 필요에 따라 근위 방향 또는 원위 방향으로 상대적 이동시킴으로써, 혈액 투석 대상자의 체내 상태, 투석 요구 수준 등을 고려하여 목표하는 혈액 유량 등 혈액 투석 프로세스와 관련한 제어 요소를 환자 맞춤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의 측벽에는 전면 영역(R1)에 형성되는 제1사이드 홀(111a), 후면 영역(R2)에 형성되는 제2사이드 홀(111b), 측면 영역(R3, R4)에 형성되는 제3사이드 홀(111c) 및 제4사이드 홀(111d)이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사이드 홀(111)이 형성된 외주면 외측에 결합되는 개폐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사이드 홀(111a) 내지 제4사이드 홀(111d)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형태로 사이드 홀(111) 각각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100)은 몸체부(110)에 형성된 사이드 홀(111)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몸체부(110)의 외주면 외측에 결합되는 개폐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 부재(미도시)는 제1사이드 홀(111a) 내지 제4사이드 홀(111d)이 형성된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규격으로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장착되되, 개폐 부재(미도시)에는 제1사이드 홀(111a) 내지 제4사이드 홀(111d)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개구면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개폐 부재(미도시)가 몸체부(110)의 제1사이드 홀(1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제2사이드 홀(111b) 내지 제4사이드 홀(111d)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면이 미형성된 타입인 경우, 해당 개폐 부재(미도시)를 몸체부(110)의 외측면에 결합하면, 제1사이드 홀(111a) 내지 제4사이드 홀(111d) 중 제2사이드 홀(111b) 내지 제4사이드 홀(111d)은 폐쇄되고, 제1사이드 홀(111a)만이 몸체부(110)의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개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개폐 부재(미도시)가 몸체부(110)의 제1사이드 홀(111a) 및 제2사이드 홀(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제3사이드 홀(111c) 및 제4사이드 홀(111d)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면이 미형성된 타입인 경우, 해당 개폐 부재(미도시)를 몸체부(110)의 외측면에 결합하면, 제1사이드 홀(111a) 내지 제4사이드 홀(111d) 중 제3사이드 홀(111c) 및 제4사이드 홀(111d)은 폐쇄되고, 제1사이드 홀(111a) 및 제2사이드 홀(111b)은 몸체부(110)의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개구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혈액 투석의 시술자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바늘(100)의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적절한 타입의 개폐 부재(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소정의 사이드 홀(111) 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유형의 개폐 부재)를 장착(결합)함으로써, 혈액 투석 대상자의 체내 상태, 투석 요구 수준 등을 고려하여 목표하는 혈액 유량 등 혈액 투석 프로세스와 관련한 제어 요소를 환자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구조체
100: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110: 몸체부
111: 사이드 홀
120: 선단부
121: 단부면
200: 접속부
300: 날개부
310: 접착부재

Claims (9)

  1.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에 있어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원위 단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혈액 투석 대상자의 혈관 접근로(Vascular Access)를 천자하기 위한 개구된 단부면이 형성된 선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된 단부면은 상기 통로의 연장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홀이 개구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외측에는, 상기 사이드 홀의 개구 정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드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 상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정도에 따른 혈액 유량을 가이드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인, 바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전면 영역에 형성되는 것인, 바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후면 영역에 형성되는 것인, 바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전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사이드 홀 및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후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2사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인, 바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단부면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중에서 측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인, 바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통로의 단면은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부면의 개구된 면적은 상기 단면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12 게이지(Gauge) 내지 18 게이지(Gauge) 범위의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인, 바늘.
  9.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구조체에 있어서,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상기 바늘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늘을 지지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고, 혈액 투석 대상자의 인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
    를 포함하는, 바늘 구조체.
KR1020200163690A 2020-11-30 2020-11-30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KR10249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90A KR102497177B1 (ko) 2020-11-30 2020-11-30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90A KR102497177B1 (ko) 2020-11-30 2020-11-30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531A KR20220075531A (ko) 2022-06-08
KR102497177B1 true KR102497177B1 (ko) 2023-02-06

Family

ID=8198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90A KR102497177B1 (ko) 2020-11-30 2020-11-30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1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63976U (zh) * 2018-11-22 2019-12-31 深圳市人民医院 一种血液透析穿刺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212A (ja) * 1994-08-12 1996-02-27 Kawasumi Lab Inc 医療用針
US5662619A (en) * 1995-11-27 1997-09-02 Zarate; Alfredo R. Venous dialysis nee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63976U (zh) * 2018-11-22 2019-12-31 深圳市人民医院 一种血液透析穿刺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531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857B2 (en)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having flow diverting features
JP2563755B2 (ja) 改良型弁付カテーテル
EP0552313B1 (en) Check valve catheter
US6482169B1 (en) Double-lumen catheter
EP0810893B1 (en) Hemodialysis access device
BR112014008349B1 (pt) Conjunto de cateter intravenoso
US8007488B2 (en) Catheter device
EP1998842B1 (en) Venous access port base
EP2092950A2 (en) Three-way stopcock, and liquid transfusion tubing set or blood transfusion tubing set using the three-way stopcock
US8079990B2 (en) Implantable catheter port
BR112019006873B1 (pt) Cateter periférico
US2005001507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ashback in an introducer needle and catheter assembly
JPH04246370A (ja) 心臓血管組立体
JPS6395064A (ja) 多重ルーメンカテーテル
KR102497177B1 (ko) 혈액 투석을 위한 바늘 및 바늘 구조체
KR20160130775A (ko) 혈관 및 복막 액세스용 기기 및 혈액투석 장치
US9205242B2 (en) Port septum with integral valve
JP5321607B2 (ja) 閉鎖型貯血槽およびそれを用いた体外血液循環装置
WO2021095873A1 (ja) 留置針
KR102295832B1 (ko)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JP4871055B2 (ja) コネクター
JPWO2019194969A5 (ko)
ITVR970063A1 (it) Dispositivo di accesso vascolare perman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