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059B1 -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 Google Patents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059B1
KR102497059B1 KR1020210040495A KR20210040495A KR102497059B1 KR 102497059 B1 KR102497059 B1 KR 102497059B1 KR 1020210040495 A KR1020210040495 A KR 1020210040495A KR 20210040495 A KR20210040495 A KR 20210040495A KR 102497059 B1 KR102497059 B1 KR 10249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read
shoulder
tire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030A (ko
Inventor
조훈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0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60C11/042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는 트레드, 숄더 및 사이드월을 포함한다. 트레드는 노면과 접하고 그 노면과 접하는 면에 그루브 및 사이프가 형성된다. 숄더는 트레드의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월은 숄더에서 연장되며 트레드 양측의 측벽을 각각 형성한다. 숄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모양으로 형성되는 홈인 경사그루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TIRE WITH ZIGZAG SHAPED GROOVE AT SHOULDER}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숄더에 지그재그형 그루브를 형성해 핸들링 성능을 향상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차량에 장착되고, 쾌적한 승차감을 위하여 노면과 자축과의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구동이나 선회를 위하여 노면과 차륜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확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공기가 주입된 고무타이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특수한 경우에 솔리드 고무나 주철제로 이루어진 타이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타이어가 지면과 접하는 부분을 트레드라 한다. 트레드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문양의 그루브(groove)나 사이프(sipe)가 형성된다.
그루브는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있는 두꺼운 홈을 가리킨다. 트레드 면과 노면 사이에 들어올 수 있는 물을 배수하는 통로 역할을 함과 아울러, 타이어의 조종안정성, 견인력, 제동성능 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사이프는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되는 작은 홈을 가리킨다. 사이프는 타이어의 그립력을 높이는데 관여한다.
종래의 타이어는 트레드 면에 다수 개의 종그루브 및 횡그루브가 형성되었고, 트레드 면의 양측 숄더부에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종그루브 또는 횡그루브만 형성됨으로써 배수 효율이 떨어지고 그립력에 한계가 있어 핸들링 성능이 제한되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숄더부에 형성된 종그루부가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배수성능이 낮았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숄더부가 노면과 접하는 상황에서 노면과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는 트레드, 숄더 및 사이드월을 포함한다. 트레드는 노면과 접하고 그 노면과 접하는 면에 그루브 및 사이프가 형성된다. 숄더는 트레드의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월은 숄더에서 연장되며 트레드 양측의 측벽을 각각 형성한다. 숄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모양으로 형성되는 홈인 경사그루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경사그루브는 트레드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숄더에 모두 형성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경사그루브는 트레드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홈으로 형성되는 제1그루브, 트레드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홈으로 형성되는 제2그루브, 제1그루브와 제2그루브를 연결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전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전환부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숄더는 노면과 접하는 바닥부,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면으로서 노면과 이격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경사그루브는 바닥부 및 측부를 교차하며 지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경사그루브는 제1그루브 및 제2그루브를 형성하는 홈이 일부 끊어진 구간으로서 측부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숄더부에 형성되는 그루브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져 배수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회전 시나 측하중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타이어의 그립력을 향상시켜 핸들링 성능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타이어에 형성도는 그루브 및 사이프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의 경사그루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30)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30)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1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0)는 도로와 같은 지면을 구르도록 만든 바퀴를 말한다. 타이어(1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공기가 주입된다.
타이어(10)는 도로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주행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외측이 고무층으로 덮인다. 이 고무층은 트레드(20)(tread), 숄더(30)(shoulder), 사이드월(40)(sidewall) 및 비드(50)(bead)로 이루어진다.
타이어(10)는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드(20)의 양측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숄더(30), 숄더(30)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10)의 양측면을 이루는 사이드월(40)이 형성된다.
트레드(20)가 지면과 접하는 폭을 단면폭(W)이라 하고, 사이드월(40)의 높이를 단면높이(H)라 칭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0)는 여러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월(40)의 끝단에는 비드(50)가 구비된다. 비드(50)는 타이어(10)를 림에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스틸 와이어의 다발을 섬유와 고무로 싼 링 형상의 보강부재를 지칭한다.
트레드(20)는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내마모성, 내컷팅성이 양호하도록 형성되고,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발열이 적은 소재가 사용된다.
숄더(30)는 트레드(20)의 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월(40) 윗부분으로써 외관을 이루고 방열효과가 좋은 부재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월(40)은 타이어(10)의 옆 부분으로서 카카스(80)를 보호하고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한다.
타이어(10)의 내측에는 벨트(60), 이너라이너(70), 카카스(80) 및 캡플라이(90)가 적층된다.
벨트(60)는 스틸와이어 또는 섬유로 구성된다. 트레드(20)와 카카스(80) 사이에 배치되고, 주행 시 노면충격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트레드(20)가 소정의 단면폭(W)을 유지하도록 해 주행안정성을 제고한다.
이너라이너(70)는 특수고무층으로서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카카스(80)는 타이어(10) 내부의 섬유나 스틸로 구성된 코드층으로서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에 견딘다. 또한 주행 중 굴신운동에 대한 내피로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타이어(10)에 형성도는 그루브 및 사이프(26)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20)에는 다양한 문양으로 이루어진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크게 그루브(groove) 및 사이프(26)(sipe)로 이루어진다.
그루브는 타이어(10)의 트레드(20)에 형성된 두꺼운 홈을 지칭한다. 트레드(20)와 노면 사이에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을 종그루브(22)라하고, 트레드(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을 향해 직선 또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장홈을 횡그루브(24)라 한다.
사이프(26)는 트레드(20)에 형성되며 나이프로 잘린 듯 아주 작은 홈으로 형성된다. 트레드(20)에 형성되는 블록의 경도를 조절하거나 트레드(20)의 그립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이프(26)는 블록을 부드럽게 하여 트레드(20)가 노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며, 이로써 마찰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트레드(20), 숄더(30) 및 사이드월(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숄더(30)에는 경사그루브(100)가 형성된다.
경사그루브(100)는 타이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사그루브(100)는 숄더(30)에 형성되어 그 일부는 노면과 접하고, 다른 일부분은 숄더(30)를 따라 노면과 이격된다. 즉, 경사그루브(100)는 타이어(10)가 노면과 접하는 측면의 경계에 형성된다.
따라서, 타이어(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거나, 차량이 선회하며 타이어(10)의 일측이 굴신운동하게 되면 노면과 접하는 면적이 커지거나 작아진다.
차량의 선회 시 타이어(10)의 숄더(30)가 노면과 접하는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경사그루브(100)도 노면과 접하는 구간이 증가하고, 타이어(10)의 그립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킨다.
경사그루브(100)는 타이어(10) 트레드(20) 양측의 숄더(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양측의 숄더(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이어(10)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외측에 배치되는 숄더(30)에 형성된 경사그루브(100)가 차량의 내측에 배치되는 숄더(30)에 형성되는 경사그루브(100)보다 폭이 좁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30)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10)의 경사그루브(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그루브(100)는 제1그루브(110), 제2그루브(120) 및 전환부(130)를 포함한다.
제1그루브(11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트레드(2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홈으로 이루어진다.
제2그루브(12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트레드(2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홈으로 이루어진다.
전환부(130)는 제1그루브(110) 및 제2그루브(120)를 연결하는 홈으로서, 제1그루브(110), 제2그루브(120) 및 전환부(130)는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다.
이때, 전환부(13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숄더(30)는 바닥부(32) 및 측부(34)를 포함한다. 숄더(30)를 형성하는 면적 중 트레드(20)와 인접하여 노면과 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그리고, 측부(34)는 바닥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면으로서 노면과 이격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이때, 경사그루브(100)는 숄더(30)의 바닥부(32) 및 측부(34)를 번갈아 지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그루브(100)는 바닥부(32) 및 측부(34)를 모두 지난다.
또한, 경사그루브(100)에는 보강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40)는 경사그루브(100)가 측부(34)를 지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40)는 제1그루브(110), 제2그루브(120) 및 전환부(130)를 형성하는 장홈 구간 중 장홈이 일부 끊어진 구간이다. 보강부(140)는 경사그루브(100)의 배수성을 유지하면서, 경사그루브(100)의 벌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W: 단면폭 H: 단면높이
10: 타이어 20: 트레드
22: 종그루브 24: 횡그루브
26: 사이프 30: 숄더
32: 바닥부 34: 측부
40: 사이드월 50: 비드
60: 벨트 70: 이너라이너
80: 카카스 90: 캡플라이
100: 경사그루브 110: 제1그루브
120: 제2그루브 130: 전환부
140: 보강부

Claims (6)

  1. 노면과 접하고, 그루브 및 사이프가 형성된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숄더; 및
    상기 숄더에서 연장되며 상기 트레드 양측의 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월;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숄더는,
    노면과 접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면으로서 노면과 이격되는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숄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모양으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부를 교차하며 지나도록 형성되는 홈인 경사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그루브는,
    상기 트레드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홈으로 형성되는 제1그루브;
    상기 트레드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홈으로 형성되는 제2그루브; 및
    상기 제1그루브 및 상기 제2그루브를 형성하는 홈의 일부 끊어진 구간으로서, 상기 제1그루브 및 상기 제2그루브의 각각 상기 측부를 지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그루브는,
    상기 트레드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숄더에 모두 형성되는,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40495A 2021-03-29 2021-03-29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KR10249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95A KR102497059B1 (ko) 2021-03-29 2021-03-29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95A KR102497059B1 (ko) 2021-03-29 2021-03-29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30A KR20220135030A (ko) 2022-10-06
KR102497059B1 true KR102497059B1 (ko) 2023-02-07

Family

ID=8359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95A KR102497059B1 (ko) 2021-03-29 2021-03-29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0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8275A (ja) * 2010-03-01 2011-09-15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1255738A (ja) * 2010-06-07 2011-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068B1 (ko) * 1995-09-27 1998-10-01 홍건희 자동차용 타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8275A (ja) * 2010-03-01 2011-09-15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1255738A (ja) * 2010-06-07 2011-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30A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574A (en) Motor-vehicle pneumatic tire having a tread pattern for snow covered road surfaces
JP5580895B2 (ja) 自動車両用タイヤ対
EP2349745B1 (en) Motorcycle tyre
KR100960604B1 (ko)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성능 향상 방법
JP394350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412461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5596787B2 (ja) 自動車両用タイヤ
US6439284B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including aquachannel
JP4040893B2 (ja) スクーター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およびスクーター
JPH06143940A (ja) ラジアルタイヤ
JPH02128905A (ja) Atv用タイヤ
JPH026645B2 (ko)
JP200924875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69921B2 (ja) 良路高速走行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KR102497059B1 (ko) 숄더 그루브가 형성된 타이어
JPH026644B2 (ko)
JP470944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69922B2 (ja) 良路高速走行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JPH06320914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473689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1021306B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JP2009001081A (ja) 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5521730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23100505A1 (ja) タイヤ
JP4615969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