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023B1 -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023B1
KR102497023B1 KR1020220078841A KR20220078841A KR102497023B1 KR 102497023 B1 KR102497023 B1 KR 102497023B1 KR 1020220078841 A KR1020220078841 A KR 1020220078841A KR 20220078841 A KR20220078841 A KR 20220078841A KR 102497023 B1 KR102497023 B1 KR 10249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ase frame
deck panels
pedestria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이태헌
최민정
양세연
사재빈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씨랜드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씨랜드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씨랜드파크
Priority to KR102023001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935A/ko
Priority to KR1020230014114A priority patent/KR2023002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산책로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각각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된,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TRAIL SYSTEM EQUIPPED WITH SMART LIGHT EMITTING DEVICE DETECTING PEDESTRIAN}
본 개시는, 산책로를 이용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등산로, 산책로 또는 보행로 등에 보행을 위한 건축자재를 시공한다. 이러한 등산로, 산책로 또는 보행로 등을 야간에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공원이나 산책로에서 조명 설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할로겐등 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등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동시에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산책로 조명이 필요해지고 있다.
종래의 산책로 조명은 산책인의 유무를 고려하지 않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지정된 점등 시간에 점등하고 지정된 소등 시간에 소등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점등을 유지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조명의 조도를 낮추게 되면, 야간에 산책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책로를 이용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점등하고, 보행자가 없는 경우에는 소등하도록 제어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또한, 야간에 보행자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보행자의 이동에 연관된 다양한 케이스마다 스마트 조명 장치의 광의 세기 및/또는 색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은, 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각각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을 저지하는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에는,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댐퍼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하고,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상기 추정한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된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일부를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대응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점등시 상단부에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전방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을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추정한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른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을 미리 설정된 제1 경고색으로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추정한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추정한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다른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을 미리 설정된 제2 경고색으로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데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을 상방으로 발산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 상기 한 쌍의 데크패널 사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충진된 수지재의 확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외벽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여부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책로 시스템에 있어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상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책로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각각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산책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에서 상기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에 따르면, 야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점등함으로써, 밝은 빛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를 소등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고,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보행자의 이동에 연관된 다양한 케이스마다 광의 세기 및/또는 색상을 제어함으로써,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산책로 시스템의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산책로 시스템의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보행자의 이동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의 발광 제어 모듈과 외부 관리자 단말 상호간의 통신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개시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은, 지면(G)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100), 지면(G)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0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00)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이 각각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은 철근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목재 또는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은, 지면(G)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면이 지면(G)에 접촉될 수도 있으나, 지면(G)에서 일부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G)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을 지면(G)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면(G)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프레임이며,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면(G)이 연장되고, 각각의 지지면(G)의 상면에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하면이 각각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에는, 제1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2 베이스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은, 목재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은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산책로 시스템에 포함된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포함되고,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시한 것과 같이 9개의 데크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은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나사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와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또는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을 각각 관통함으로써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과 각각 대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는 9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되도록 9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선 광원일 수 있고, 연장된 방향을 따라 분리되거나 삽입홈이 연장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분리되거나 삽입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에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를 커버링하도록 삽입된 투명커버(331)가 포함될 수 있다. 투명커버(331)는 데크 패널(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연장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점 광원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는,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배터리와 같은 전력 저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원 공급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에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에는,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발광 제어 모듈(600)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하드웨어로서,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메모리(미도시)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 및/또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에서 감지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은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가 설치되는 위치 및 일반적인 성인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하나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의 상방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하나에 복수 개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각각 연장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또는 제2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또는 제2 베이스 프레임(200)과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상부에 위치한 보행자의 하중에 따라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또는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이 가압되는 하중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는 로드셀(load cell)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은 주변 소음이나 소리 등을 감지함으로써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가청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은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외부 단말과 무선통신하는 안테나, 전자파를 감지하는 전파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산책로 시스템의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산책로 시스템의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310-390) 중 어느 하나인 330 데크 패널, 그리고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430-470) 중 어느 하나인 430 조명 장치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나머지 테크 패널과 조명 장치에도 동일한 배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도 3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에 각각 결합되어,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변형(또는 투명커버(331)의 변형)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의 온 또는 오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물리적인 변형(또는 투명커버(331)의 변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전기적 스위치로,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가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됨에 따라 온 되고,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은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보행자의 하중에 의한 변형 발생시 이동 변위가 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은 투명커버(331)를 사이에 두고 데크 패널(3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테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데크 패널(330)은 투명커버(331)를 사이에 두어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테크부재(330a, 330b)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커버(331)는 한 쌍의 테크부재(330a, 330b) 사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각각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에 포함된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각각은 각 데크 패널(300)에 설치된 투명커버(33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430)는 한 쌍의 테크부재(330a, 330b) 사이에서 투명커버(33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장치(430)에서 발광된 빛은 투명커버(331)를 통해 상방으로 발산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변형을 저지하는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마다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단부가 대응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면(G)에 고정되거나,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또는 제2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보행자의 하중이 인가되거나 또는 하중이 제거됨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에는,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710) 및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변형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댐퍼(720)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에 따르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여러 명의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급격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에 따르면 보행자의 하중 인가가 해제된 이후에,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의 진동이 신속하게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700)에 포함된 댐퍼(720)의 댐핑력에 의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보행자의 하중이 제거된 이후에도, 해당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의 변형이 서서히 복원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어느 하나의 점등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에서 감지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에서의 온 또는 오프에 기반하여 보행자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 개의 감지센서(610) 및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800)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각각에서 조명 장치(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거나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일부를 점등할 수 있고, 반대로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거나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나머지 일부를 소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거나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일부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일부에 인접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를 미리 설정된 개수로 점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대응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0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점등시 상단부(910)에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하나의 산책로 시스템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발광기둥(900)은 제1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2 베이스 프레임(20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일부에 각각 대응되어, 예를 들어 3개의 데크 패널에 하나씩 구비되거나, 각각의 데크 패널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평균적인 사람의 눈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의 상단부(910)에는 전력 수신에 따라 발광하는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의 상단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록 도 5에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430)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나머지 조명 장치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각각은, 하우징부(431),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 및 수지재의 확산부재(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431)는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은 하우징부(43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확산부재(433)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을 커버하도록 하우징부(431)의 상부에 충진될 수 있다. 하우징부(431)의 개방된 상면은 수지재의 확산부재(433)로 채워질 수 있다.
하우징부(431)의 하부는 내부 공간(4313a)이 마련되도록 중공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431)의 하부 외벽(4313b)에는, 하우징부(431)의 외부와 내부 공간(4313a)이 연통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4313c)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431)는 안착플레이트(4311), 한 쌍의 설치측벽(4312) 및 방열부(431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4311)는 하우징부(431)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도록 하우징부(431)의 중간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착플레이트(4311)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은 안착플레이트(4311)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설치측벽(4312)은 안착플레이트(4311)의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데크부재의 이격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이 한 쌍의 데크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설치측벽(4312) 각각이 한 쌍의 데크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 각각에 설치되어 고정됨에 따라, 하우징부(431)는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하부에 고정 위치될 수 있다.
방열부(4313)는 안착플레이트(4311)의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데크부재의 이격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부(4313)는 내부 공간(4313a)이 마련되도록 중공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4313)의 외벽(4313b)에는, 방열부(4313)의 외부와 방열부(4313)의 내부 공간(4313a)이 연통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4313c)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구(4313c)는 내부 공간(4313a)을 감싸는 방열부(4313)의 외벽(4313b)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우징부(431)의 하부는 방열부(4313)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431)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일체의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로부터 발생된 열이 내부 공간(4313a)을 통해 방열되어 공기유동구(4313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431) 내부에 발생된 수분이나 습기가 방열부(4313)의 내부 공간(4313a)에 잔류하기 때문에 수분이나 습기가 발광 패널(432)에 닿아 쇼트 등이 발생하거나 발광 패널(432)이 오작동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연통구(4311b)를 통해 외기가 방열부(4313)의 내부 공간(4313a) 내로 유동될 수 있고, 다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4313c)를 통해 내부 공간(4313a)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바, 방열부(4313)의 공기 순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에서 발생된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 패널(432)의 내구도가 향상될 수 있고, 작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은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발광 제어 모듈(600)은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조명 장치(400)의 발광 컬러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은 데크 패널(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4311)는 플레이트몸체(4311a), 플레이트몸체(4311a)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연통구(4311b), 및 플레이트몸체(4311a) 상에 마련된 구획돌기(4311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몸체(4311a)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몸체(4311a)는 데크 패널(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몸체(4311a)의 하면은 한 쌍의 데크부재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획돌기(4311c)는 플레이트몸체(4311a)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고, 구획돌기(4311c)는 플레이트몸체(4311a)의 폭 방향(한 쌍의 데크부재의 이격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구획돌기(4311c)는 한 쌍의 데크부재 각각과 등간격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돌기(4311c)는, 데크 패널(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은 플레이트몸체(4311a)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은 구획돌기(4311c)의 폭 방향 외면(좌우 외면) 양측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은 구획돌기(4311c)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의 위치는 하우징부(431)의 상부에 충진된 수지재의 확산부재(4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구(4311b)는 플레이트몸체(4311a)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몸체(4311a) 상에 안착된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의 바로 아래에서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구(4311b)를 통해 제1 LED패널(432a) 및 제2 LED패널(432b)의 작동간 발생된 열이 방열부(4313)로 전달될 수 있고, 방열부(4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설치측벽(4312) 각각은 측벽몸체(4312a), 복수의 설치돌기(4312b) 및 걸림돌기(4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몸체(4312a)는 안착플레이트(4311)의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데크부재의 이격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몸체(4312a)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몸체(4312a)는 데크 패널(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설치돌기(4312b)는, 측벽몸체(4312a)의 외측면에서 대향하는 데크부재(330a. 330b)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설치돌기(4312b) 각각은 데크 패널(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데크부재(330a. 330b)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면 하단부에는 복수의 설치돌기(4312b)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삽입결합홈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결합홈은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설치돌기(4312b)는 복수의 삽입결합홈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설치돌기(4312b)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설치돌기(4312b)는 한 쌍의 데크부재(330a. 330b)의 복수의 삽입결합홈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측벽몸체(4312a)에는 3개의 설치돌기(4312b)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벽몸체(4312a)는 6개의 설치돌기(4312b)를 통해 한 쌍의 데크부재(330a. 330b)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돌기(4312c)는 측벽몸체(4312a)의 내측면에서 하우징부(431)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설치측벽(4312)의 걸림돌기(4312c)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4312c)는 지면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걸림돌기(4312c)는 데크 패널(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4312c)는 각 측벽몸체(4312a)에 있어서 측벽몸체(4312a)의 높이 방향 중심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4312c)는 안착플레이트(43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걸림돌기(4312c)와 안착플레이트(4311)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재(433)는 아크릴 또는 에폭시 수지에 난연제 및 부식방지부재가 혼합되어 형성된 수지재 조성물일 수 있고, 확산부재(433)는 하우징부(431) 상부의 개방면을 통해 충진되어 경화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4312c)의 하측 공간에는 충진되어 경화된 확산부재(433)가 위치될 수 있고, 한 쌍의 걸림돌기(4312c)에 의해 확산부재(433)가 하우징부(431)의 상면 개구를 통해 이탈되고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투명커버(331)에는 복수 개의 난반사 유도홈(33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난반사 유도홈(3311)은 투명커버(331)의 외면 중 한 쌍의 테크부재(330a, 330b)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과 맞닿아 접하는 외면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난반사 유도홈(3311)은 서로 상이한 깊이 및 상이한 합임 방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432)에서 발산한 빛이 투명커버(331)를 통과할 때, 발산된 빛은 복수 개의 난반사 유도홈(3311)을 투과하거나 복수 개의 난반사 유도홈(3311)에서 반사될 때 무작위로 굴절되거나 무작위로 난반사되어 발산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난반사 유도홈(3311)에 의해 투명커버(331)를 투과한 빛의 발산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500)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하고,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추정한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일부를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10에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감지센서(610) 및/또는 물리적 스위치(8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각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의 데크 패널(310 데크 패널)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동작 520에서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310 데크 패널에서 320 데크 패널로 변화하고, 순차적으로 이후에 330 데크 패널로 변화하는 경우, 보행자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30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추정한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일부를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보행자의 이동 방향이 일측에서 타측 방향인 것으로 추정하고, 보행자가 현재 330 데크 패널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거나 판단한 경우, 330 데크 패널, 340 데크 패널 및 350 데크 패널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430, 440, 450)를 점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20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30에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추정한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설정된 개수의 조명 장치를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속도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시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이 310 데크 패널에서 320 데크 패널로 변화하는 시간이 1초인 경우, 보행자가 1초에 310 데크 패널과 320 데크 패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는 속도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추정한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추정한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된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점등할 조명 장치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점등할 조명 장치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점등할 조명 장치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60, 동작 570 및 동작 580에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추정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전방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을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추정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의 후방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을 소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기 이전에, 동작 540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가 복수인 경우 또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데크 패널이 복수 개인 경우에 보행자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가 단수인 경우 또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데크 패널이 단수 개인 경우에 보행자의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가 복수인 경우 또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데크 패널이 복수 개인 경우에도, 복수의 보행자의 이동 방향이 나란한 방향이고, 이동 방향에 따라 선행하는 보행자가 후행하는 보행자보다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보행자의 이동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화살표의 방향은 이동 방향을 표시할 수 있고, 화살표의 길이는 이동 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다른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른 보행자가 서로 교차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행자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70에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추정한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른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을 미리 설정된 제1 경고색으로 점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각각의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되어 인식 가능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제1 경고색은 예를 들어 빨간색일 수 있고, 멀리서도 보행자에게 충돌 가능성을 인식 가능한 색일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와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다른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른 보행자가 서로 나란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행자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른 후방에 위치되고,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빠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동작 580에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추정한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추정한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다른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을 미리 설정된 제2 경고색으로 점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900)은 각각의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되어 인식 가능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제2 경고색은 주황색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행하는 보행자는 후행하는 보행자를 인식하고, 앞질러 갈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산책로 시스템의 발광 제어 모듈(600)과 외부 관리자 단말(2) 상호간의 통신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관리자 단말(2)이란, 스마트폰, 태플릿 또는 PC 등 관리자가 제어 가능하고 이동통신(4G, 5G)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방식으로 통신모듈(620)과 상호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600)은,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복수 개의 데크 패널(300)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 및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의 점등 여부를 통신모듈(620)을 통해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은 발광 제어 모듈(600)로부터 수신한 보행자 존재 여부 및 조명 장치(400)의 점등 여부에 기초하여, 산책로 시스템의 오작동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제어 모듈(600)로부터 수신한 보행자 존재 여부와, 그에 따라 점등되어야 할 조명 장치(400)의 점등 여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는 다면, 산책로 시스템이 오작동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조명 장치(400) 중 특정 조명 장치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 단말(2)은 특정 조명 장치의 고장을 곧바로 인지하여 보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1 베이스 프레임
200 : 제2 베이스 프레임
300 : 복수 개의 데크 패널
400 : 복수 개의 조명 장치
500 :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
600 : 발광 제어 모듈
700 :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
800 :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
900 : 발광기둥

Claims (10)

  1. 산책로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각각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데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을 상방으로 발산하는 투명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충진된 수지재의 확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외벽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중간 높이에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된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설치측벽;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부로서, 상기 방열부는 중공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외벽에는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되는 것인, 방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기 발광 패널의 지지 위치에는, 상기 방열부의 내측 공간으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측벽 각각은,
    상기 데크부재와 대향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몸체;
    상기 측벽몸체의 외측면에서 대향하는 상기 데크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설치돌기; 및
    상기 측벽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면 하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삽입결합홈이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결합홈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고 경화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확산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개구를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책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책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산책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스위치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을 저지하는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충격완화모듈에는,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변형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댐퍼가 포함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하고,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상기 추정한 이동 방향에 따른 전방에 위치된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일부를 점등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산책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대응하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점등시 상단부에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전방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기둥을 점등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여부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9. 산책로 시스템에 있어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상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데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을 상방으로 발산하는 투명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충진된 수지재의 확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외벽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중간 높이에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된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설치측벽;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부로서, 상기 방열부는 중공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외벽에는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되는 것인, 방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기 발광 패널의 지지 위치에는, 상기 방열부의 내측 공간으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측벽 각각은,
    상기 데크부재와 대향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몸체;
    상기 측벽몸체의 외측면에서 대향하는 상기 데크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설치돌기; 및
    상기 측벽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면 하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삽입결합홈이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결합홈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고 경화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확산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개구를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10. 산책로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각각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점등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산책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중 또는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의 보행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는,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에 각각에서 상기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의 보행자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데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을 상방으로 발산하는 투명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각각에서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데크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충진된 수지재의 확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외벽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중간 높이에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된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면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설치측벽;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부로서, 상기 방열부는 중공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외벽에는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가 형성되는 것인, 방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널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기 발광 패널의 지지 위치에는, 상기 방열부의 내측 공간으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측벽 각각은,
    상기 데크부재와 대향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몸체;
    상기 측벽몸체의 외측면에서 대향하는 상기 데크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설치돌기; 및
    상기 측벽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데크부재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면 하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삽입결합홈이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결합홈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고 경화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확산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개구를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0220078841A 2022-06-28 2022-06-28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49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112A KR20230024935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0230014114A KR20230024936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772 2022-06-28
KR20220078772 2022-06-28
KR1020220078780 2022-06-28
KR20220078780 2022-06-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112A Division KR20230024935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0230014114A Division KR20230024936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023B1 true KR102497023B1 (ko) 2023-02-08

Family

ID=8522579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841A KR102497023B1 (ko) 2022-06-28 2022-06-28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0230014112A KR20230024935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0230014114A KR20230024936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112A KR20230024935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1020230014114A KR20230024936A (ko) 2022-06-28 2023-02-02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970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210A (ko) * 2015-04-10 2016-10-19 (주)토가월드 음향 및 조명 출력 계단.
KR101680429B1 (ko) * 2014-10-13 2016-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산책로 조명 장치 및 스마트 산책로 조명 장치 동작 방법
KR20170034008A (ko) * 2015-09-18 2017-03-28 박태용 무게센서와 led 발광판이 구비된 에스컬레이터 디딤판
KR102344713B1 (ko) * 2021-06-25 2021-12-31 (주)유에스씨 정전기 차단 및 간접 조명 기능을 갖는 조경용 데크
KR20220026192A (ko) * 2020-08-25 2022-03-04 (주)도담산업 조립식 타일 데크로드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429B1 (ko) * 2014-10-13 2016-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산책로 조명 장치 및 스마트 산책로 조명 장치 동작 방법
KR20160121210A (ko) * 2015-04-10 2016-10-19 (주)토가월드 음향 및 조명 출력 계단.
KR20170034008A (ko) * 2015-09-18 2017-03-28 박태용 무게센서와 led 발광판이 구비된 에스컬레이터 디딤판
KR20220026192A (ko) * 2020-08-25 2022-03-04 (주)도담산업 조립식 타일 데크로드 구조체
KR102344713B1 (ko) * 2021-06-25 2021-12-31 (주)유에스씨 정전기 차단 및 간접 조명 기능을 갖는 조경용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935A (ko) 2023-02-21
KR20230024936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0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KR102281080B1 (ko) 지중 방열수단이 구비된 led발광 바닥신호등
EP3036474B1 (en) A luminary with a wireless transmitter
US20200152052A1 (en) Safety indicator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pedestrian and vehicle while maintaining smooth traffic
KR102118912B1 (ko) 횡단보도의 정지선에 매립되는 보행보조기능과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수 있는 방열기능을 갖는 보행신호등
KR101654305B1 (ko) 디밍기능을 가진 경량화된 엘이디 조명기구
KR102497023B1 (ko)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BR102014006023A2 (pt) cabeça de luz colimadora incluindo base com lentes tipo domo projetoras
US2015001612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KR102273837B1 (ko) 바닥신호등
KR101578039B1 (ko) 조명타워의 엘이디 투광등
JP2011099291A5 (ko)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KR101633668B1 (ko) 발광 보도블록
KR20140029022A (ko) 차량용 램프의 냉각장치
KR101228612B1 (ko) 다수의 확산렌즈를 구비한 엘이디 가로등 유닛
KR102329989B1 (ko) 보행자 안전 신호장치
KR101621402B1 (ko) 엘이디 조명용 광학렌즈
KR20130012677A (ko) 차량차단기용 발광 차단봉
KR100939015B1 (ko) Led 램프
KR102008144B1 (ko) 방열기능을 갖는 led 모듈
KR200452028Y1 (ko) 투명 반사부를 갖는 도로 표지병
CN211424018U (zh) 一种人体感应智能自组网led灯具
KR200458221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데크 조명장치
CN220287287U (zh) 灯杯组件及led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