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001B1 -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 Google Patents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001B1
KR102497001B1 KR1020150168639A KR20150168639A KR102497001B1 KR 102497001 B1 KR102497001 B1 KR 102497001B1 KR 1020150168639 A KR1020150168639 A KR 1020150168639A KR 20150168639 A KR20150168639 A KR 20150168639A KR 102497001 B1 KR102497001 B1 KR 10249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magnetic plate
accommodating portion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141A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야마
히로카즈 히라오카
다이키 스미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6011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41A/ko
Priority to KR102023001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Abstract

[과제] 낚시 릴에 있어서, 부품 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자기 실(seal) 기구로 실되는 개구부(開口部)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해결 수단] 릴 본체(1)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3) 및 자성체(7)와, 개구부로부터 피니언 기어(3)를 돌출시켜 피니언 기어(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릴 본체(1)에 대하여 고정되는 덮개 부재(6)와, 덮개 부재(6)의 개구부에서 덮개 부재(6)와 피니언 기어(3)의 사이를 실하는 자기 실 기구를 구비한다. 자기 실 기구는, 자석(8), 자석(8)을 협지(挾持)하고 자석(8)의 덮개 부재(6) 측에 배치되는 자성판(9a) 및 자석(8)의 덮개 부재(6)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자성판(9b), 및, 자성체(7)와 자성판(9a) 및 자성판(9b)과의 극간(隙間)에 보지(保持)되는 자성(磁性) 유체(流體)(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성판(9a), 자석(8) 및 자성판(9b)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덮개 부재(6)의 개구부 주위의 단면(端面)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의 외경(外徑)은,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다.

Description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FISHING REEL AND MAGNETIC SEAL MECHANISM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자기 실(seal) 기구를 구비하는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 릴에서는, 릴 본체에 형성되는 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驅動部)로의 침수를 방지하고, 물 등이 침입하기 쉬운 가혹한 환경 하에 있어서도 항상 안정된 구동 성능을 얻기 위하여, 구동부에 실 기구가 설치된다. 실 기구에 자기 실을 이용하는 낚시 릴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의 낚시 릴에서는, 핸들의 조작으로 연동 회전하는 구동 부재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 오목부의 개구부(開口部)와 구동 부재와의 사이에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이 사이에 자성(磁性) 유체(流體)를 보지(保持)하는 것에 의하여 개구부를 실한다. 특허 문헌 2의 낚시 릴에서는, 로터와 일체(一體) 회전하는 구동부와, 당해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의 사이에 자기 실 기구가 형성된다.
자기 실 기구는, 자석과, 구동 부재 또는 구동부에 감합되어 자석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통상(筒狀)의 자성체와, 자석과 자성체와의 사이에 보지되는 자성 유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낚시 릴에서는, 자기 실 기구를 구성하는 자석과,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자석을 사이에 두고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실하는 개구부에 커버 부재로 지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자석 및 보지 부재와는 별체(別體)의 커버 부재가 필요하다.
특허 문헌 2의 낚시 릴에서는, 자기 실 기구를 구성하는 보지 부재 중, 회전하는 로터 측의 보지 부재의 외경(外徑)을 크게 하고, 그 외경을 크게 한 보지 부재가, 구동부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의 로터 측의 단면(端面)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자석과 소경(小徑)의 보지 부재는, 대경(大徑)의 보지 부재와 보호 커버의 단부(段部)에 끼여 보지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8756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67186호
전술대로,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자석 및 보지 부재와는 별체의 커버 부재가 필요하다. 특허 문헌 2의 구성에서는, 자석 및 보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별체의 부재는 불필요하지만, 자석 및 보지 부재를 취부(取付)하는 보호 커버의 단면에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지 부재를 고정하는 나사의 머리가 보지 부재와 로터의 사이에 돌출한다.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낚시 릴에 있어서, 부품 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자기 실 기구로 실되는 개구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되는 낚시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개구부로부터 회전축을 돌출시켜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릴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개구부에서 수용부와 회전축의 사이를 실하는 자기 실 기구를 구비한다. 자기 실 기구는, 자석, 자석을 협지(挾持)하고 자석의 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자성판 및 자석의 수용부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판, 및, 회전축과 제1 자성판 및 제2 자성판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의 극간(隙間)에 보지되는 자성 유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자성판, 자석 및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제1 자성판의 외경은 제2 자성판의 외경보다 크고, 수용부의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수용부의 상기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내부 측의 면의 외경은,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다.
혹은, 제1 관점에 관련되는 낚시 릴에 있어서, 제1 자성판, 자석 및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제2 자성판은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자석 및 제1 자성판은 오목부에 끼워지고, 수용부의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端面)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수용부의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내부 측의 면의 외경(外徑)은, 상기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자기 실 기구의 자석 구성체를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자성판 및 제2 자성판 중 외경이 큰 쪽에,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는, 나사부와 나사 머리를 가지는 나사이고, 자석 구성체의 제1 자성판의 자석 측의 면으로부터 제2 자성판의 자석과 반대 측의 면까지의 높이는, 나사 머리의 높이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되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는, 낚시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개구부로부터 돌출시켜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릴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수용부의 개구부에서 수용부와 회전축의 사이를 실하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이고, 자석과, 자석을 협지하고 당해 자석의 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자성판 및 자석의 수용부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판과, 회전축과 제1 자성판 및 제2 자성판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의 극간에 보지되는 자성 유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자성판, 자석 및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제1 자성판의 외경은 제2 자성판의 외경보다 크고, 수용부의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수용부의 상기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내부 측의 면의 외경은,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고, 제1 자성판에, 당해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를 수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혹은, 제2 관점에 관련되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에 있어서, 제1 자성판, 자석 및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제2 자성판은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자석 및 제1 자성판은 오목부에 끼워지고, 수용부의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端面)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수용부의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내부 측의 면의 외경(外徑)은, 상기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고, 제2 자성판에, 당해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를 수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석 구성체를 취부하는 수용부의 단면에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취부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자기 실 기구로 실되는 개구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 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기 실 기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석 구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자기 실 기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 릴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는, 낚시 릴로서 스피닝 릴(100)을 대상으로 한다. 스피닝 릴(100)은, 도 1을 향하여 좌방향이 낚싯대의 선단(先端)(전방(前方))을 향하도록, 낚싯대에 취부된다.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1), 로터(11), 스풀(12) 및 핸들(13)을 구비한다. 스풀(12)에 감겨진 낚싯줄(도시하지 않음)은, 전방 즉 도 1의 좌방향으로 방출된다.
로터(11)는, 크랭크(crank)인 핸들(13)을 돌리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 즉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한다. 핸들(13)을 돌리면 로터(11)의 회전과 동기(同期)하여 스풀(12)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동(往復動)한다. 그 동작에 의하여, 방출되고 있던 낚싯줄은 로터(11)로 안내되어 스풀(12)의 원통면(圓筒面)에 고르게 되어 감긴다.
로터(11)는, 피니언 기어(3)의 취부부(32)에 감합하여 피니언 기어(3)에 고정되고, 피니언 기어(3)와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3)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3)는 중공(中空)의 통상으로, 피니언 기어(3)를 관통하여 스풀축(2)이 배치된다. 스풀축(2)과 피니언 기어(3)는, 상대적으로 회전 및 왕복동한다. 스풀축(2)의 선단 측에는, 드래그 기구(16)를 통하여 스풀(12)이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2)의 후단(後端) 측은, 오실레이팅 기구(15)에 접속되어 있다.
핸들(13)은 크랭크로 되어 있고, 크랭크 축에 구동 기어(14)가 취부되어 있다. 구동 기어(14)는, 예를 들어 베벨 기어(bevel gear)로, 피니언 기어(3)의 기어부(31)와 맞물려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15)는, 피니언 기어(3)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오실레이팅 기구(15)가 회전하면, 스풀축(2)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동시킨다. 스풀축(2)의 후단 측, 피니언 기어(3)의 기어부(31) 측, 구동 기어(14) 및 오실레이팅 기구(15)는, 릴 본체(1)에 수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피니언 기어(3)와 수용 부재(4)의 사이에 일 방향 클러치(5)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 부재(4)는, 릴 본체(1)에 고정된다. 일 방향 클러치(5)의 내륜(內輪)은, 피니언 기어(3)에 감합하여 피니언 기어(3)와 함께 회전한다. 일 방향 클러치(5)의 외륜(外輪)은, 수용 부재(4)에 감합하여 고정된다.
일 방향 클러치(5)는, 예를 들어 롤러식의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이다. 롤러식의 원웨이 클러치는 외륜, 내륜, 롤러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외륜의 내주(內周) 또는 내륜의 외주(外周)에 캠(cam)면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에 대향하여 롤러가 배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외륜의 캠면과 내륜의 외주, 혹은 내륜의 캠면과 외륜의 내주에 접촉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외륜에 대하여 내륜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캠면과 롤러와의 접촉면압이 높아져, 저항이 되어 내륜은 외륜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내륜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캠면과 롤러와의 접촉면압이 낮아져, 롤러는 공회전하고, 내륜은 외륜에 대하여 회전한다. 그 결과, 피니언 기어(3)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일 방향 클러치(5)는, 덮개 부재(6)로 수용 부재(4)에 보지된다. 덮개 부재(6)는, 피니언 기어(3)와 로터(11)의 피니언 기어(3)에 감합하는 부분인 보스(boss)부로 구성되는 회전 부분을 제외하고, 수용 부재(4)의 전면(前面)을 덮고 있다. 덮개 부재(6)는, 회전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덮개 부재(6)와 로터(11)의 보스부와의 사이를 실하기 위하여, 원환상(圓環狀)의 자석(8) 및 자성판(9a, 9b)을 포함하는 자기 실 기구가 배치된다. 또한, 보스부의 회전 방향 외주에 일순하여, 원환상으로 자성체(7)가 형성되어 있다. 자성체(7)와 자석(8) 및 자성판(9a, 9b)은 대향하고, 자성체(7)와 자석(8) 및 자성판(9a, 9b)의 사이에는 극간이 있다. 자석(8), 자성판(9a, 9b) 및 자성체(7)로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자성체(7)와 자성판(9a, 9b)의 사이에 자성 유체가 보지되어, 덮개 부재(6)와 자성체(7)(보스부)와의 사이가 실된다.
피니언 기어(3), 로터(11)의 보스부 및 자성체(7)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이다. 덮개 부재(6)와 수용 부재(4)는, 회전축인 피니언 기어(3)와 보스부 및 자성체(7)를 개구부로부터 돌출시켜, 피니언 기어(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성한다. 덮개 부재(6)와 수용 부재(4)는, 릴 본체(1)에 대하여 고정된다. 실 기구는, 수용부의 개구부에서 수용부와 회전축의 사이를 실하는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기 실 기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스풀축(2)의 중심선에 대하여 편측(片側)만이 도시되어 있다.
로터(11)는, 원통부(111), 벽부(112) 및 보스부(113)로 구성된다. 이들은 1개의 부재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11)는, 원통상의 부재이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벽부(112)는, 원형의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개구부를 가진다. 벽부(112)의 외주는, 원통부(111)의 내주와 연결되어 있다. 보스부(113)는, 벽부(112)의 내주 측 단부로부터 일 방향 클러치(5)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스부(113)는, 피니언 기어(3)의 취부부(32)에 감합하여 고정되고, 로터(11)는 피니언 기어(3)와 함께 회전한다.
수용 부재(4)는, 릴 본체(1)의 전방으로,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나사로 고정된다. 수용 부재(4)의 내부에 일 방향 클러치(5)가 수용된다. 덮개 부재(6)는, 수용 부재(4)의 외주를 덮는 원통부와, 수용 부재(4)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원환상의 부재이다. 덮개 부재(6)는, 덮개부로 일 방향 클러치(5)를 수용 부재(4)의 내부 공간에 보지한다. 덮개 부재(6)는, 예를 들어 나사로, 릴 본체(1)에 고정된다. 덮개 부재(6)의 원통부의 단부와 릴 본체(1)와의 사이에 O링(O ring)(17)이 개재하고 있다. 덮개 부재(6)의 내주면은, 자성체(7)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자성체(7)는, 보스부(113)의 회전 방향 외주에 일순하여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보스부(113)에 감합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자성체(7)는 피니언 기어(3)의 외주에 접하는 원환판상(圓環板狀)의 부분을 포함한다. 자성체(7)는, 내주에서 피니언 기어(3)에 감합하고 있고, 자성체(7)의 외주면은 자성체(7) 및 자성체(7)와 피니언 기어(3)의 감합으로 규정된다.
자성체(7)에 간극(間隙)을 가지고 회전 반경(半徑) 방향에 대향하여, 자석(8)이 배치된다. 자석(8)은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성체(7)에 간극을 가지고 회전 반경 방향에 대향하여, 자성판(9a, 9b)이 배치된다. 자성판(9a, 9b)은 함께, 자성체(7)의 회전 반경 방향의 외주를 둘러싸는 원환상이다. 자성판(9a 및 9b)은, 자석(8)을 회전축의 방향으로 협지하고 있다. 자석(8)의 덮개 부재(6)(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자성판(9a)의 외경은, 자석(8)의 덮개 부재(6)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자성판(9b)의 외경보다 크다.
자석(8), 자성판(9a) 및 자성판(9b)은, 예를 들어 접착제로 서로 고정되어, 자석 구성체를 형성한다. 자성판(9a)이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91)로 덮개 부재(6)에 체결되어, 자석 구성체는 덮개 부재(6)에 고정된다. 나사(91)는, 덮개 부재(6)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합(螺合)하는 나사부와, 자성판(9a)을 누르는 나사 머리를 가진다. 나사(91)는, 피니언 기어(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등간격(等間隔)으로 2개 이상 배치된다. 덮개 부재(6)의 로터(11) 측의 단면은 평면이다.
자석(8) 및 자성판(9a, 9b)의 내주와 자성체(7)의 사이에는 극간이 있다. 그 극간에 자성 유체(10)가 배치된다. 자석(8), 자성판(9a, 9b) 및 자성 유체(10)는 자기 실 기구를 구성한다.
자석(8), 자성판(9a), 자성체(7) 및 자성판(9b)으로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자성 유체(10)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유나 불소유 베이스의 용매에 입경(粒徑)이 수nm ~ 수십nm의 강자성체 미립자를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안정되게 분산시킨 물질이다. 자성체(7)의 자석(8)과 자성판(9a, 9b)에 대향하는 부분이 자화(磁化)되기 때문에, 자성 유체(10)는 자석(8), 자성판(9a, 9b) 및 자성체(7)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보지된다. 자석(8) 및 자성판(9a, 9b)과 자성체(7)의 사이의 극간은 자성 유체(10)로 실되어, 이물이 원통부(111)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일 방향 클러치(5)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자기 실 기구는, 자성체(7)의 둘레를 액체로 둘러싸기 때문에, 기체에 대하여 높은 밀봉성이 있다. 또한, 실 부분에서의 고체 접촉이 없기 때문에, 더스트(dust)의 발생이 없다. 나아가 실 부분에 고체 접동(摺動)이 없기 때문에, 손실 토크(torque)가 작아 회전 성능이 저하하기 어렵다.
도 2에서는, 자성 유체(10)가 자석(8), 자성판(9a, 9b) 및 자성체(7)로 둘러싸이는 영역 전체에 채워져 있지만, 자성 유체(10)는, 자성판(9a)과 자성체(7)와의 사이 또는 자성판(9b)과 자성체(7)와의 사이에만 보지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자석(8)의 내주를 약간 크게 하여, 자성판(9a)과 자성체(7)와의 사이 및 자성판(9b)과 자성체(7)와의 사이의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자성 유체(10)가 보지되어도 무방하다.
자석(8)의 자력선은, 자성판(9a, 9b) 및 자성체(7)에 가까이 끌어 당겨져 그 안을 지나기 때문에, 일 방향 클러치(5) 측으로 자석(8)의 자속(磁束)이 샐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일 방향 클러치(5)의 내륜(51)은 자화되는 일이 없고, 일 방향 클러치(5)의 작동에 자석(8)의 영향이 미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 방향 클러치(5)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조립도 용이하고 안정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자성판(9a)의 외경은, 자성판(9b)의 외경보다 크고, 자성판(9a)이 덮개 부재(6)의 단면에 취부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6)의 단면에 단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단면을 평면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덮개 부재(6)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석(8)과 자성판(9b)은, 자성판(9a)의 덮개 부재(6)와는 반대 측에 고정되기 때문에, 자성판(9a)을 체결하는 나사(91)의 나사 머리의 높이를, 자석(8)과 자성판(9b)의 두께의 범위에 들어가게 하면, 자석 구성체보다 로터(11)의 벽부(112) 측에 돌출하는 부분을 없앨 수 있다.
도 2에서는, 냄비 머리 나사의 형상이 그려져 있지만, 나사(91)는 도 2의 형상에는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러스 머리 나사, 둥근 접시 머리 나사, 낮은 머리 나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3개의 나사(91)가 피니언 기어(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판(9a)의 외주에 2개소, 덮개 부재(6)의 돌기(61)에 감합하는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돌기(61)와 2개의 구멍(92)이 각각 감합하는 위치에서, 자석 구성체와 자성체(7)의 극간이 균등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구멍(92)은, 자성판(9a)의 외주로부터 노치(notch)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61)와 구멍(92)은, 나사(91)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는,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석 구성체의 사시도이다. 나사(91)는, 이점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도 4에서는, 번잡을 피하기 위하여 나사(91)는 1개밖에 그려져 있지 않지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91)는 3개소에 있다. 자성판(9a)에는, 나사(91)를 통과시키는 구멍(93)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93)의 하나는 자성판(9b)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구멍(93)은 3개소에 형성된다. 나사(91)는, 전술대로, 나사부(91a)와 나사 머리(91b)를 가진다. 자성판(9a)(제1 자성판)의 자석(8) 측의 면으로부터 자성판(9b)(제2 자성판)의 자석(8)과 반대 측의 면까지의 높이는, 나사 머리(91b)의 높이보다 크다.
도 2의 자성판(9a)과 자성판(9b)의 형상을 바꾸어 말하면, 자성판(9a)(제1 자성판), 자석(8) 및 자성판(9b)(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덮개 부재(6)(수용부)의 개구부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의 외경은,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성판(9a)과 자성판(9b)과의 관계는, 도 2의 예에 한하지 않는다.
도 5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자기 실 기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의 변형예에서는, 자석(8)은 자성판(9c)과 자성판(9d)에 협지된다. 자석(8)의 덮개 부재(6)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자성판(9d)(제2 자성판)은,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된 단차(段差)가 있는 형상이다. 자석(8) 및 자성판(9c)은, 자성판(9d)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자성판(9d)의 오목부의 깊이는, 자석(8) 및 자성판(9c)의 두께와 거의 같고, 자성판(9d)의 오목부에 자석(8) 및 자성판(9c)을 끼우면, 자성판(9d)과 자성판(9c)은 거의 평면이 된다.
변형예에서도 자석(8), 자성판(9c) 및 자성판(9d)은, 예를 들어 접착제로 서로 고정되고, 자석 구성체를 형성한다. 변형예에서는, 자성판(9d)이 예를 들어 나사(91)로 덮개 부재(6)에 체결되어, 자석 구성체는 덮개 부재(6)에 고정된다. 나사(91)는, 피니언 기어(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2개 이상 배치된다. 덮개 부재(6)의 로터(11) 측의 단면은 평면이다.
변형예에서도, 자성판(9c)(제1 자성판), 자석(8) 및 자성판(9d)(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덮개 부재(6)(수용부)의 개구부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의 외경은,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다. 그리고, 덮개 부재(6)의 단면에 단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단면을 평면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덮개 부재(6)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자성판(9d)에 나사(91)를 통과시키는 구멍(93)이 형성된다. 즉, 제1 자성판과 제2 자성판 중 외형이 큰 쪽에,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93)이 형성된다. 자성판(9c)(제1 자성판)의 자석(8) 측의 면으로부터 자성판(9d)(제2 자성판)의 자석(8)과 반대 측의 면까지의 높이는, 나사 머리(91b)의 높이보다 크다. 자석(8)과 자성판(9d)은, 자성판(9c)의 덮개 부재(6)와는 반대 측에 고정되기 때문에, 자성판(9d)을 체결하는 나사(91)의 나사 머리의 높이를, 자석(8)과 자성판(9d)의 두께의 범위에 들어가게 하면, 자석 구성체보다 로터(11)의 벽부(112) 측에 돌출하는 부분을 없앨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자성판(9d)에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자성판(9d)과 자석(8)의 계면(界面) 및 자석(8)과 자성판(9c)의 계면은, 자성판(9d)에 덮여 보호된다. 덧붙여, 자성판(9d)의 오목부는, 예를 들어 프레스 드로잉(drawing)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6)의 개구부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자석 구성체의 내부 측의 면에, 덮개 부재(6)의 돌기(61)와 그것에 감합하는 구멍(92)을 형성할 수 있다. 돌기가 외주에 가까우면, 구멍(92)은, 자성판(9d)에 형성된다.
변형예에서는, 로터(11)의 보스부와 자성체(7)의 구성이 다르다. 보스부(11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자성체(7)는 보스부(1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11)는, 원통부(111)와 벽부(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스부(113)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벽부(112)의 내주 부분이 보스부(113)에 고정되어 로터(11)를 구성한다. 벽부(112)는 보스부(113)에, 예를 들어, 강압입(强壓入), 코킹(caulking), 접착 또는 나사 멈춤 등으로 고정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변형예에 있어서도, 자석(8)의 자력선은, 자성판(9c, 9d) 및 보스부(113)에 가까이 끌어당겨져 그 안을 지나기 때문에, 일 방향 클러치(5) 측으로 자석(8)의 자속이 샐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일 방향 클러치(5)의 내륜(51)은 자화되는 일이 없고, 일 방향 클러치(5)의 작동에 자석(8)의 영향이 미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변형예에서도, 일 방향 클러치(5)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조립도 용이하고 안정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자석(8) 및 자성판(9c, 9d)에 대향하는 자성체(7)(보스부(113))의 외주면은, 보스부(113)와 피니언 기어(3)의 감합 정도(精度)로 규정되기 때문에, 자성판(9c, 9d)과의 극간의 정도가 향상한다. 그 결과, 자기 실 기구의 실 성능이 향상한다.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100)의 로터(11)를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3)에 감합하는 일 방향 클러치(5)를 자기 실 기구로 실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낚시 릴의 자기 실 기구는, 이 예에 한하지 않는다. 회전축을 개구로부터 돌출시켜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의 개구부를 실하는 자기 실 기구를, 회전축의 돌출한 측으로부터 수용부에 취부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자석 및 자성판에 대향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것은, 도 2의 자성체(7) 또는 도 5의 보스부(113)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니언 기어(3)가 자성체로 형성되는 경우는, 피니언 기어(3)와 자성판의 사이에 자성 유체를 배치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스풀축
3: 피니언 기어
4: 수용 부재
5: 일 방향 클러치
6: 덮개 부재
7: 자성체
8: 자석
9a, 9c: 자성판(제1 자성판)
9b, 9d: 자성판(제2 자성판)
10: 자성 유체
11: 로터
12: 스풀
13: 핸들
14: 구동 기어
15: 오실레이팅 기구
61: 돌기
91: 나사
91a: 나사부
91b: 나사 머리
92: 구멍
93: 구멍
100: 스피닝 릴
111: 원통부
112: 벽부
113: 보스부

Claims (7)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개구부(開口部)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돌출시켜 상기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를 실(seal)하는 자기 실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실 기구는, 자석, 당해 자석을 협지(挾持)하고 당해 자석의 상기 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자성판 및 상기 자석의 상기 수용부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판,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 자성판 및 상기 제2 자성판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의 극간(隙間)에 보지(保持)되는 자성(磁性) 유체(流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판, 상기 자석 및 상기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상기 제1 자성판의 외경은 상기 제2 자성판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端面)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내부 측의 면의 외경(外徑)은, 상기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큰, 낚시 릴.
  2.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개구부(開口部)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돌출시켜 상기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를 실(seal)하는 자기 실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실 기구는, 자석, 당해 자석을 협지(挾持)하고 당해 자석의 상기 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자성판 및 상기 자석의 상기 수용부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판,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 자성판 및 상기 제2 자성판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의 극간(隙間)에 보지(保持)되는 자성(磁性) 유체(流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판, 상기 자석 및 상기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상기 제2 자성판은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 및 상기 제1 자성판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端面)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내부 측의 면의 외경(外徑)은, 상기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큰, 낚시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실 기구의 상기 자석 구성체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낚시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판 및 상기 제2 자성판 중 외경이 큰 쪽에, 상기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나사부와 나사 머리를 가지는 나사이고,
    상기 자석 구성체의 상기 제1 자성판의 상기 자석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제2 자성판의 상기 자석과 반대 측의 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나사 머리의 높이보다 큰, 낚시 릴.
  6. 낚시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개구부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를 실하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이고,
    자석과,
    상기 자석을 협지하고 당해 자석의 상기 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자성판 및 상기 자석의 수용부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판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 자성판 및 상기 제2 자성판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의 극간에 보지되는 자성 유체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자성판, 상기 자석 및 상기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상기 제1 자성판의 외경은 상기 제2 자성판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내부 측의 면의 외경은, 상기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자성판에, 당해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7. 낚시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개구부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를 실하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이고,
    자석과,
    상기 자석을 협지하고 당해 자석의 상기 수용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자성판 및 상기 자석의 수용부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판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 자성판 및 상기 제2 자성판의 적어도 어느 일방과의 극간에 보지되는 자성 유체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자성판, 상기 자석 및 상기 제2 자성판으로 구성되는 자석 구성체의, 상기 제2 자성판은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 및 상기 제1 자성판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단면에 접하는 내부 측의 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축의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내부 측의 면의 외경은, 상기 자석 구성체의 외부 측의 면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자성판에, 당해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KR1020150168639A 2015-03-31 2015-11-30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KR10249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822A KR102583871B1 (ko) 2015-03-31 2023-01-27 낚시용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2710 2015-03-31
JP2015072710A JP6468922B2 (ja) 2015-03-31 2015-03-31 魚釣りリールおよび魚釣りリール用磁気シール機構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822A Division KR102583871B1 (ko) 2015-03-31 2023-01-27 낚시용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41A KR20160117141A (ko) 2016-10-10
KR102497001B1 true KR102497001B1 (ko) 2023-02-09

Family

ID=55524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639A KR102497001B1 (ko) 2015-03-31 2015-11-30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KR1020230010822A KR102583871B1 (ko) 2015-03-31 2023-01-27 낚시용 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822A KR102583871B1 (ko) 2015-03-31 2023-01-27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21864B2 (ko)
EP (4) EP3158862B1 (ko)
JP (1) JP6468922B2 (ko)
KR (2) KR102497001B1 (ko)
CN (1) CN105994207B (ko)
MY (1) MY182469A (ko)
TW (2) TWI678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2929A (ja) * 2016-05-31 2017-12-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612180B2 (ja) * 2016-05-31 2019-11-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07549128B (zh) 2016-06-30 2020-11-0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卷线器
JP6757285B2 (ja) * 2017-03-31 2020-09-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065643B2 (ja) * 2018-03-01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2023149354A (ja) * 2022-03-31 2023-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7566A (ja) * 2009-02-16 2010-09-0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155944A (ja) 2010-02-03 2011-08-18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4161300A (ja) * 2013-02-27 2014-09-08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6577A (ja) * 1987-03-31 1988-10-13 Nippon Seiko Kk 密封装置
JPH01169672U (ko) * 1988-05-20 1989-11-30
JPH0756621Y2 (ja) * 1989-07-05 1995-12-25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
JP4863891B2 (ja) * 2007-01-23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4886066B2 (ja) * 2010-01-19 2012-02-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330325B2 (ja) * 2010-07-16 2013-10-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101930538B1 (ko) * 2010-08-27 2018-12-1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JP5995321B2 (ja) * 2013-02-28 2016-09-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408339B2 (ja) * 2014-10-27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JP6603062B2 (ja) * 2015-07-31 2019-11-06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7566A (ja) * 2009-02-16 2010-09-0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155944A (ja) 2010-02-03 2011-08-18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4161300A (ja) * 2013-02-27 2014-09-08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5244A1 (en) 2016-10-05
EP3158862B1 (en) 2019-11-06
CN105994207A (zh) 2016-10-12
EP3626075A1 (en) 2020-03-25
EP3626076B1 (en) 2021-04-21
KR20230019910A (ko) 2023-02-09
EP3626075B1 (en) 2021-06-09
TW201633910A (zh) 2016-10-01
US20160286775A1 (en) 2016-10-06
KR102583871B1 (ko) 2023-10-04
EP3075244B1 (en) 2018-06-13
JP2016189756A (ja) 2016-11-10
TWI747064B (zh) 2021-11-21
US10021864B2 (en) 2018-07-17
EP3158862A1 (en) 2017-04-26
MY182469A (en) 2021-01-25
EP3626076A1 (en) 2020-03-25
KR20160117141A (ko) 2016-10-10
JP6468922B2 (ja) 2019-02-13
TWI678151B (zh) 2019-12-01
CN105994207B (zh) 2021-03-30
TW202023376A (zh)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001B1 (ko) 낚시 릴 및 낚시 릴용 자기 실 기구
KR102444009B1 (ko) 낚시용 릴
KR102124471B1 (ko) 파동기어장치 및 중공형 회전 액추에이터
KR102653407B1 (ko) 낚시용 릴
KR20150050400A (ko) 낚시용 릴
JP201710871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3226109A (ja) 魚釣用リール
JP670666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0012882B (zh) 钓鱼用渔线轮的轴承保持结构和钓鱼用渔线轮
JP2020168000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619296B2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