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79B1 -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79B1
KR102496179B1 KR1020160174273A KR20160174273A KR102496179B1 KR 102496179 B1 KR102496179 B1 KR 102496179B1 KR 1020160174273 A KR1020160174273 A KR 1020160174273A KR 20160174273 A KR20160174273 A KR 20160174273A KR 102496179 B1 KR102496179 B1 KR 10249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valve
fuel cell
holder
ce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547A (ko
Inventor
정세권
심효섭
권부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79B1/ko
Priority to DE102017209322.6A priority patent/DE102017209322A1/de
Priority to US15/612,061 priority patent/US10727507B2/en
Priority to CN201710413772.1A priority patent/CN108206290B/zh
Publication of KR2018007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차단밸브 및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연결된 수소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상기 수소공급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와 상기 수소차단밸브의 사이의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 파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파단부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The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rupture part between hydrogen supply valve and hydrogen shut-off valv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는 차량의 수소 공급계에 구비될 수 있는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소공급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홀더가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어 수소차단밸브를 수용하며,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임의의 일 지점에 파단부를 형성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파단부의 절단으로 인해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로부터 수소가 누출되는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 연료 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 화학 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의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시스템,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 즉 수소 공급계에 구비되는 고압용기(수소 용기)에는 700bar 정도의 고압 압축 수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저장된 압축 수소는 수소 용기 입구부에 장착된 고압 조절기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고압 라인으로 방출된 후, 시동 밸브와 수소 공급 밸브를 거치면서 감압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이 때, 고압용기(또는 저장 용기)로부터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 사이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레귤레이터, 수소차단밸브 및 수소공급밸브들의 밸브 구성과 수소가 흐를 수 있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을 피팅하는 여러 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따라서 유동하는 수소의 기밀 성능은 수소 공급계, 나아가 연료전지 시스템 전체의 안전에 연관된 가장 주요한 성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배관을 따라 흐르는 고압 수소의 안전을 위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라인에는 레귤레이터와 수소공급밸브 사이에 수소차단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수소 누설 방지와 더불어 수소 취성 최소화를 위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는 강체에 가깝도록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사고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 작용시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에는 대부분의 부품에 손상이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하다. 특히, 수소 공급계의 배관 및 스택 매니폴드 등에서 손상 발생 시에는 파워트레인 모듈 전체 또는 차체 하부 부품 전체를 탈거하여 부품을 교체해야 하므로 수리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손된 수소 공급계의 배관 및 스택 매니폴드에서 수소 리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재 등 2차적인 피해의 발생 우려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110201호 (2015. 10. 0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사고 등)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의 사이에서 파단이 일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밸브 연결/결합 구조를 제공하여, 외부의 충격 또는 하중 인가 시에 수소 공급계의 배관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소의 리크를 방지할 수 있는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수소차단밸브 및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연결된 수소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와 상기 수소차단밸브의 사이의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 파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파단부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은 캔틸레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 형태의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은 가운데가 비어있는 'ㄷ'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차단밸브, 상기 수소공급밸브 및 상기 홀더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 매니폴드 일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공급밸브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하단이 스택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 상단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차단밸브 또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일단이 상기와 같이 연통된 반대편 밸브에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차단밸브 또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일단이 상기와 같이 연통된 반대편 밸브의 인입된 영역 일지점에 배치될 수 있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차단밸브는 나사에 의해 상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의 체결 방향은 중력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차단밸브가 상기 홀더 내부로 삽입된 영역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는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소차단밸브는 나사에 의해 상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의 체결 방향과 상기 오링이 만드는 평면은 서로 만나지 않으며,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단부의 중앙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상기 수소공급밸브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파단부가 절단됨에 따라,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 사이가 분리되어 각각 고압용기에 연결된 배관과 스택 매니폴드로 연결된 배관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배관을 밀폐함에 따라, 수소의 리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소 리크에 의한 화재, 폭발 등의 2차적인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가 절단됨에 따라, 고압용기로부터 연결되는 수소 공급계의 배관과 스택 매니폴드로 연결되는 수소 공급계의 배관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스택 매니폴드에 불구하고, 고압용기로부터 연결되는 수소 공급계의 배관 및 수소차단밸브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간 연결 관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수소공급밸브가 수용된 홀더에 수소차단밸브를 체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소차단밸브와 홀더가 체결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스택 매니폴드의 일측에 부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스택 매니폴드의 일측에 부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가 홀더에 수용된 상태에서 파단부가 형성될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은 크게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 연료 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연료 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는 냉각 시스템과 연료전지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밸브의 개방/폐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스택에는 그 일단에 매니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의 매니폴드(스택매니폴드)는 스택의 지지체 역할과 함께 반응 전, 후의 기체와 냉각수가 연료전지에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유로 부재가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택매니폴드는 스택의 엔드 플레이트를 지지 또는 포함하며, 스택으로 물, 공기 및/또는 수소를 공급하거나 분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 및 구성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소 연료 공급계에는 수소가 탑재된 고압용기가 연료 저장 용기로서 존재할 수 있다. 고압용기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수소를 연료로써 탑재 및 사용하며 700bar 정도의 고압 수소 가스가 용기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부는 수소공급밸브, 수소차단밸브, 퍼지밸브 및 드레인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통신에 의해 각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스택과도 연결되어 스택의 전압, 전류 및 온도와 같은 스택의 상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는 연료전지 시스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으로서, 고압용기에 탑재된 고압 수소를 감압시키며, 감압된 수소를 레귤레이터 후단으로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이젝터, 스택, 퍼지 밸브, 워터 트랩 및 드레인 밸브 역시, 연료전지 시스템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에는 수소 공급계의 배관이 개시되며, 수소 공급계의 배관을 따라 수소가 고압용기로부터 스택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 공급계 상에는 레귤레이터, 수소차단밸브 및 수소공급밸브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공급계의 구성 배치 순서는, 고압용기에 가깝게 배치되는 순서대로, 레귤레이터, 수소차단밸브, 수소공급밸브 순으로 수소 공급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소차단밸브는 레귤레이터와 수소공급밸브 사이에서, 수소공급라인의 일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일반적인 엔진과 유사한 마운팅 브라켓 및/또는 부싱을 이용하여 연료전지 차량에 조립,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수소 공급계의 배관의 경우 나라별로, 해당 국가의 법규가 정하고 있는 일정 간격을 따라 차체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수소 공급계의 배관은 연료전지 시스템 내에서 피팅 또는 퀵커넥터(원터치 피팅) 구조를 활용하여 수소차단밸브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공급밸브는 NC(Normally-closed)타입의 밸브일 수 있다. 수소공급밸브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소공급밸브의 구동부에서는 고압용기에 형성된 인-용기 레귤레이터나 고압용기로부터 연장되는 유로에 구비될 수 있는 레귤레이터와 함께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수소공급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전자석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수소공급밸브는, 원칙적으로는 연료극 압력과 수소공급라인의 압력을 비교하여 수소 공급량을 제어하는 피드백(Feed-back)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료극의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료극 압력이 제어부로 수신되며, 제어부에서는 측정된 연료극의 압력이 목표로하는 연료극의 압력보다 낮은 경우, 수소공급밸브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소 공급밸브의 개도 정도가 조절되며, 그에 따라 공급되는 수소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수소공급밸브는 차량의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수소공급밸브가 견딜 수 있는 최대값 이상의 외력이 수소공급밸브에 작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닫힐 수 있으며, 수소공급밸브 전, 후단 사이에서의 수소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차단밸브 역시 NC(Nomally-closed)타입의 밸브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소차단밸브는 고압용기의 수소 유/출입구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소 공급계의 배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수소차단밸브는 비상시 고압용기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수소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일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즉 차량이 문제없이 정상 주행 중인 경우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충돌, 사고 등의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차량에 일정 기준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고압용기로부터 수소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 수소차단밸브가 닫힐 수 있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수소 공급계의 배관이 견딜수 있는 강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수소 공급계의 배관이 파손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충돌 또는 사고가 발생하면, 수소차단밸브는 자동으로 닫혀 수소차단밸브 전, 후단 사이에서의 수소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의 구조 및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100)가 개시될 수 있다.
홀더(100)는 수소공급밸브 또는 수소차단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일 영역과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타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 영역에는 수소공급밸브 또는 수소차단밸브의 구동부가 수용될 수 있고 타 영역에서는 일 영역에 수용된 밸브에 대응되는 밸브가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타영역에서 홀더(100)에 대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소공급밸브가 홀더에 수용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홀더로부터 연장된 타 영역에서는 수소차단밸브가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소차단밸브가 홀더에 수용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홀더로부터 연장된 타 영역에서는 수소공급밸브가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보 형태의 타 영역에 체결될 수 있는 수소공급밸브 또는 수소차단밸브는 보 형태로 연장된 타 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홀더에 대하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서, 수소공급밸브가 일 영역에 수용된 홀더에서 보 형태로 연장된 타 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에 수소차단밸브가 체결되는 경우와, 수소차단밸브가 일 영역에 수용된 홀더에서 보 형태로 연장된 타 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에 수소공급밸브가 체결되는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수소공급밸브가 위치하는 홀더(100) 일영역의 하단에는 재순환 블로워 또는 워터 트랩으로부터 연결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00) 일영역의 하단에 형성된 유로는 수소공급밸브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수소공급밸브는 일단에 형성된 유로에 의해 스택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의 사이에는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를 연결하는 유로가 존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소 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홀더(100) 중앙에는 유로(120)가 형성되어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홀더(100) 중앙의 유로(120)는 수소차단밸브로부터 수소공급밸브로 고압용기로부터 토출된 수소를 공급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홀더(100)에서 수소차단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홀더(100)의 타영역은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100)의 타영역은 하단에 별도의 지지 부재를 가지지 않는 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100)의 타영역 폭은 홀더(100)의 일영역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홀더(100)의 타영역은 홀더(100)의 일영역의 단방향 양 끝지점으로부터 일정폭을 가진채 홀더(100)의 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홀더(100)의 타영역은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00)의 타영역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ㄷ'형태의 홀더(100) 타영역 중공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수소차단밸브의 하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홀더(100)의 타영역 상에 나사 구멍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차단밸브가 홀더(100) 타영역의 중공 크기에 대응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소차단밸브의 밸브 외주면 또는 밸브의 브라켓 등을 홀더(100)에 대하여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영역의 한쪽 부분을 삭제하여 'ㄴ'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타영역을 수소차단밸브에 'ㄷ' 또는 'ㄴ'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가 홀더(100)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수소차단밸브에서 수소가 흐르는 유로의 일단이 홀더(100)에서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유로(1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수소차단밸브의 수소 유로 직경이 홀더(100)에 형성될 수 있는 유로(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수소차단밸브의 유로가 홀더(100)의 유로(120)로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수소차단밸브의 유로와 홀더(100)에 형성된 유로(120) 사이에는 오링(O-ring)(200)이 배치될 수 있다. 오링(200)은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의 연결부에서 수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소차단밸브의 수소 유로가 홀더(100)의 유로(120)로 삽입되는 정도는 캔틸레버 보가 부러질 때 수소차단밸브의 유로와 홀더(100)의 유로(120) 사이의 실링부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을 정도로 삽입되어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만일 보 구조 및 파단부(110)와는 별개로 수소차단밸브 및/또는 수소 공급밸브가 직접 고정되며, 고정하는 나사의 방향이 중력 방향과 수직이라면,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경계면에서 절단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두 밸브를 고정하는 나사가 부러져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미리 설계된 전용의 나사를 사용하여야 일정 외력 이상의 충격에 의해 나사가 부러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수소차단밸브 및/또는 수소공급밸브가 홀더(100)에 대하여 나사체결 되는 방향은 중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케이스 1(Case 1)의 경우, 수소차단밸브와 홀더(100)의 결합 성능은 우수하지만, 상대적으로 파단부(110) 절단시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케이스 2(Case 2)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수소차단밸브와 홀더(100)가 오링(200)에 의해 고정되면서도 외력에 의해 파단부(110) 절단시에 수소차단밸브가 홀더(10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수소차단밸브가 오링(200) 등 실링부재의 폭 만큼 홀더(100)의 유로(120) 내부로 인입/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소공급밸브의 일단이 수소차단밸브로 인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수소차단밸브의 일단이 수소공급밸브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를 포함한 구조가 스택, 상세하게는 스택의 매니폴드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의 수소공급밸브의 일면에는 스택에 부착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가 홀더(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동일한 면에 스택에 부착되기 위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소차단밸브는 수소공급밸브 홀더(100)의 일부인 보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수소공급밸브의 경우, 스택의 매니폴드와 체결되어 스택으로의 수소 공급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택, 상세하게는 스택의 매니폴드를 기준으로 동일면에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가 위치할 수 있으며, 수소공급밸브 및 수소차단밸브를 포함하는 홀더(100)는 스택의 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이 차량에 마운팅된 상태에서도 수소공급밸브 및 수소차단밸브를 포함하는 홀더(10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 사이의 홀더(100) 상 일지점에는 파단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단부(110)는 홀더(100)의 캔틸레버 형태의 보가 시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형태에 있어 왼편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수직) 부재의 윗 지점 및 아랫 지점이 홀더(100)의 파단부(110)가 될 수 있다.
파단부(110)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외부 충격에 의해 절단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으로서, 파단부(110)가 절단됨에 따라 하나의 홀더(100)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파단부(110)가 절단됨에 따라 홀더(100)에서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를 연결하던 유로가 절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더(10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를 고압용기, 고압용기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배관 및 수소차단밸브를 포함하는 하나의 밀폐된 계(시스템)와 수소공급밸브, 수소공급밸브와 스택 사이의 배관 및 스택을 포함하는 다른 밀폐된 계(시스템)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100)의 파단부(110)가 형성되는 영역 또는 지점에는 노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파단부(110)가 될 수 있는 영역의 일 지점 또는 복수의 지점에 노치를 형성할 수 있다.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노치에 응력이 집중되며, 노치가 형성된 지점에서 절단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노치를 형성하는 경우, 외력에 의한 파단부(110)의 절단 지점을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이러한 노치의 크기, 폭 및 깊이는 설계 사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해당 홀더(100)의 재질 및 강성과 견딜 수 있는 외력, 충격의 한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가 수용된 홀더(100)를 도시한 단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에 파단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파단부(110)에서 홀더(100)가 절단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핵심 사상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의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수용할 수 있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홀더의 일 지점 또는 양 지점(파단부)으로부터 연장된 캔틸레버에 수소차단밸브가 수용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파단부가 절단됨으로써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고압용기, 고압용기로부터 연장되는 배관 및 수소차단밸브가 수소로 채워진 하나의 밀폐된 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스택, 스택으로 연장되는 배관 및 수소공급밸브가 수소로 채워진 또 하나의 밀폐된 다른계를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에서 수소의 누출을 방지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소차단밸브와 수소공급밸브를 수용할 수 있는 홀더
110: 홀더의 파단부
120: 홀더의 유로
200: 오링

Claims (14)

  1. 수소차단밸브 및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연결된 수소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구동부 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의 구동부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와 상기 수소차단밸브의 사이의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 파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에는, 상기 홀더에 수용된 밸브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수소공급밸브 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 중 어느 하나가 체결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파단부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은 캔틸레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형태의 상기 홀더의 연장된 일단은 가운데가 비어있는 'ㄷ' 형태인 것 또는 가운데와 일측이 비어있는 '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차단밸브, 상기 수소공급밸브 및 상기 홀더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 매니폴드 일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밸브는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하단이 스택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 상단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차단밸브의 일단이 상기 수소공급밸브로 인입되거나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일단이 상기 수소차단밸브로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차단밸브 또는 상기 수소공급밸브가 상기 수소공급밸브 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에 대응하여 인입될 수 있으며, 인입된 영역의 일지점에 배치될 수 있는 오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차단밸브는 나사에 의해 상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의 체결 방향은 중력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차단밸브가 상기 홀더 내부로 삽입된 영역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는 오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소차단밸브는 나사에 의해 상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의 체결 방향과 상기 오링이 만드는 평면은 서로 만나지 않으며,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의 중앙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와 상기 수소공급밸브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로부터 연장된 일단에 체결되는 상기 수소공급밸브 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단의 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로부터 연장된 일단에 체결되는 상기 수소공급밸브 또는 상기 수소차단밸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단의 아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160174273A 2016-12-20 2016-12-20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49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73A KR102496179B1 (ko) 2016-12-20 2016-12-20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DE102017209322.6A DE102017209322A1 (de) 2016-12-20 2017-06-01 Brennstoffzellensystem mit einem Sollbruchteil zwischen dem Wasserstoff-Zufuhrventil und dem Wasserstoff-Absperrventil
US15/612,061 US10727507B2 (en) 2016-12-20 2017-06-02 Fuel cell system including rupture part between hydrogen supply valve and hydrogen shut-off valve
CN201710413772.1A CN108206290B (zh) 2016-12-20 2017-06-05 燃料电池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73A KR102496179B1 (ko) 2016-12-20 2016-12-20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547A KR20180071547A (ko) 2018-06-28
KR102496179B1 true KR102496179B1 (ko) 2023-02-03

Family

ID=6225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273A KR102496179B1 (ko) 2016-12-20 2016-12-20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27507B2 (ko)
KR (1) KR102496179B1 (ko)
CN (1) CN108206290B (ko)
DE (1) DE102017209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2390A1 (de) * 2017-12-11 2019-06-13 Robert Bosch Gmbh Fördereinrichtung für eine Brennstoffzellenanordnung zum Fördern und/oder Rezirkulieren von einem gasförmigen Medium
KR20230101097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니크 수소 차단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2038A1 (en) * 2001-07-25 2003-01-30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ambient environment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360A (en) * 1971-06-03 1972-10-31 Culligan Int Co Water softener valve
US5791366A (en) * 1996-01-16 1998-08-11 Preece Incorporated Frangible quick disconnect coupling
US6422258B1 (en) * 2000-07-21 2002-07-23 Emerson Electric Co. Snap-and-crimp appliance water valve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642432B2 (ja) * 2004-10-27 2011-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366297B2 (ja) * 2004-11-30 2009-11-18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電池用電磁弁
JP2006153223A (ja) * 2004-11-30 2006-06-15 Keihin Corp 燃料電池用集積型弁装置
BRPI0613411A2 (pt) * 2005-07-18 2011-01-11 Bic Soc fonte de combustìvel conectável a um sistema de célula de combustìvel, sistema de célula de combustìvel
US8415060B2 (en) * 2005-09-21 2013-04-09 Honda Motor Co., Ltd. In-vehicle fuel cell system
CN101425590B (zh) * 2007-10-30 2010-12-15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发动机的氢气安全保护系统
DE102007052756A1 (de) 2007-11-06 2009-05-07 Robert Bosch Gmbh Kunststoffelement, Kolbenpumpe sowie Montageverfahren
JP5420195B2 (ja) 2008-06-10 201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00703B1 (ko) * 2008-07-08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아이들 스탑/해제 제어 방법
CN102884359B (zh) 2010-05-06 2014-07-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氢填充系统
KR101282685B1 (ko) * 2010-12-03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19346B1 (ko) * 2011-06-09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수소연료 공급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6112B1 (ko) 2014-03-24 2016-08-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610126B1 (ko) * 2014-10-22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수소 공급 매니폴드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JP6164198B2 (ja) * 2014-11-14 2017-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KR101646403B1 (ko) * 2014-12-09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46417B1 (ko) * 2014-12-24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519736B2 (ja) 2015-01-22 2019-05-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CN105914386A (zh) * 2016-06-23 2016-08-31 武汉理工大学 一种在线供氢风冷燃料电池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2038A1 (en) * 2001-07-25 2003-01-30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ambient environment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6290B (zh) 2021-04-02
CN108206290A (zh) 2018-06-26
US20180175422A1 (en) 2018-06-21
DE102017209322A1 (de) 2018-06-21
KR20180071547A (ko) 2018-06-28
US10727507B2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690A (ko) 탱크 매니폴드 조립체
JP2021525347A (ja) 燃料電池タンクの温度圧力を解放するタンク装置
KR102496178B1 (ko) 연료전지 차량에 탑재되는 수소차단밸브의 제어 방법
WO2009110200A1 (ja) 電力機器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と電力供給素子検査設備
KR102496179B1 (ko)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N106972217A (zh) 蓄电池系统和熄灭或阻止蓄电池模块起火的方法
KR20180066305A (ko) 수소연료 저장용기용 밸브
US20210091390A1 (en) Media management plate comprising water trap and water reservoir, and fuel cell system
JP201615752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水素貯蔵タンク、及び水素貯蔵ユニット
KR20140058363A (ko) 압력 저장 용기용 중단 밸브
KR20200132413A (ko) 연료전지 차량의 온도감응식 압력안전장치
US20180147935A1 (en) Vehicle
JP523937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104236B2 (ja) 水素充填用ホース金具
JP691948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920240B2 (ja) 燃料電池用配管、燃料ガスの排出方法および接続管
CN114222885B (zh) 用于压力容器的压力卸载的系统
JP2016119267A (ja) 燃料供給ユニット
CN114641645B (zh) 用于燃料电池罐的温度压力卸载的罐设备
US20100206402A1 (en) Valve device of high-pressure tank for vehicle
US10406934B2 (en) Fuel cell system for vehicle
KR102507046B1 (ko)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042433A (ja) 配管構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518693B1 (ko) 고압용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용 가스배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8987637U (zh) 一种存储罐氮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