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61B1 -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61B1
KR102496161B1 KR1020220089159A KR20220089159A KR102496161B1 KR 102496161 B1 KR102496161 B1 KR 102496161B1 KR 1020220089159 A KR1020220089159 A KR 1020220089159A KR 20220089159 A KR20220089159 A KR 20220089159A KR 102496161 B1 KR102496161 B1 KR 10249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enso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파워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사이 천정 전방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램프가 운전자의 의도치 않은 접촉이나 외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버헤드 램프에서 중앙에 램프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위에 동심원상으로 사방에 구비된 절개공과, 상기 절개공과 절개공 사이에 구비된 후크공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후크공에 삽입 결합되어 절개공의 부위를 눌러주는 후크가 구비된 내부렌즈와, 상기 내부렌즈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렌즈의 상면을 눌러주는 외부렌즈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누름을 감지하게 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중앙에 누름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게 되는 제2 센서 및 진동을 발생하게 되는 햅틱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렌즈 누름시 제1 센서로 누름 감지 및 외부렌즈의 누름에 의해 작용하는 내부렌즈의 누름 힘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휨 변위를 제2 센서로 감지하여 상기 휨 변위로 램프가 점,소등되게 함으로써, 간혹 의도하지 않은 터치 및 외력으로 인해 오버헤드 램프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OVER HEAD LAMP OF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사이 천정 전방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램프로써, 운전자또는 탑승자의 의도치 않은 접촉이나 외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정확한 동작으로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는 자동차를 야간운행 또는 주변환경이 어두운 곳에 주,정차시, 자동차의 내부 어두어진 운전석과 조수석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천정 전방 중앙에 설치된다.
이와같이 자동차의 천정 전방에 설치되는 오버헤드 램프는 간편성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발전해 오고 있고, 이 일환으로 오버헤드 램프의 스위치는 구조적 간단화 및 조작의 편리성을 위해 터치 조작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오버헤드 램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2771호(명칭: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에 의하면, 차량용 룸램프(1)는 투광판(11)이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내설되어 점등을 통해 투광판(11)으로 빛을 조사하여 투광시키는 램프(20)와;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의 인가 여부 및 인가량을 제어하여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모듈(30)은 본체(10)의 터치에 의한 베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31)와; 상기 진동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진폭과 진동주기를 포함하는 고유진동파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진동파형에 따른 스위칭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32); 및 상기 제어부(32)에서 인가되는 스위칭명령에 따라 램프(20)의 점등 여부 및 점등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칭부(33)로 구성하여,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따른 진동에 의해 램프(20)의 점등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룸램프는 운전자의 본체(10)의 터치에 의한 본체(20)의 진동을 감지하여, 점등 및 점멸상태가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 본체의 외부에 조작스위치가 불필요하므로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상기 룸램프의 경우, 투명판이 마련된 본체의 진동을 감지하여 램프를 점,소등하는 스위칭모듈이 본체 내부에 결합되어 있어, 본체를 강하게 터치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칭 모듈은 본체의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램프 점,소동시, 본체를 강하게 터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강하게 터치하기 위한 불필요한 손동작을 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01699호(명칭: 터치방식의 차량용 룸램프)에 의하면, 램프케이싱(10)과; 상기 램프케이싱(10)의 오픈된 입구측에 결합된 램프커버(20); 및 상기 램프커버(20)에 구비된 인서트터치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터치부(30)는 손가락이 삽입되게 형성된 핑거삽입홈(31)과; 상기 핑거삽입홈(31)의 내부에 구비된 회로기판(32)과; 상기 회로기판(32)에 접속된 터치패드편(33)과; 상기 회로기판(32)에 접속된 발광소자; 및 상기 터치패드편(33)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구비된 손가락 터치구(35)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판(32)은 핑거삽입홈(31)의 내주연부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룸램프 작동시, 탑승자가 시선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인서트터치부(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인서트터치부(30)의 내부에 터치 패드편을 구비함으로써, 삽입에 의한 오조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램프 케이싱의 오픈된 입구측에 결합된 램프커버에는 손가락 삽입과 함께 터치패드를 터치하는 인서트터치부에 핑거삽입홈, 회로기판, 터치패드편, 손가락터치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한 제작에 번거로움 있고,또한, 램프 점,소등시 핑거삽입홈의 구경이 한정되어 있어 개개인의 제각기 다른 손가락에 따라 터치가 용이하지 않아 램프의 점,소등 작동에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조작에 의해 조명되는 오버헤드 램프는 의도치 않은 터치에 의해 점등 또는 단순 외력에 의해서도 점등이 되는 불필요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가 의도치 않은 접촉이나 외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의 오작동을 방지 함으로써, 오버헤드 램프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램프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위에 동심원상으로 사방에 폭이 좁고 길게 절개되어 누름 힘에 의한 휨 변위를 발생하도록 유도되게 구비되는 절개공과, 상기 절개공과 절개공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후크공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중앙에 상기 렌즈의 누름 유무를 감지하게 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중앙에 렌즈의 누름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게 되는 제2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일측에 누름 유무에 따른 진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햅틱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 상면에는 상기 후크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절개공의 부위를 눌러주는 내부렌즈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렌즈의 상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내부렌즈의 상면을 눌러주는 외부렌즈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센서는 누름 유무를 초음파로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센서는 누름 힘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렌즈는 외주면 하단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크공에 삽입 결합되는 후크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외부렌즈는 내측면에 상기 내부렌즈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눌러주는 누름단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램프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위에 동심원상으로 사방에 폭이 좁고 길게 절개되어 누름 힘에 의한 휨 변위를 발생하도록 유도되게 구비되고 누름이 해지되면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공과, 상기 절개공과 절개공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후크공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중앙에 상기 렌즈의 누름 유무를 감지하게 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중앙에 렌즈의 누름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게 되는 제2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일측에 누름 유무에 따른 진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햅틱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 상면에 상기 후크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절개공의 부위를 눌러주는 내부렌즈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른 효과는, 오버헤드 램프에서 램프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위에 동심원상으로 사방에 구비된 절개공과, 상기 절개공과 절개공 사이에 구비된 후크공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후크공에 삽입 결합되어 절개공의 부위를 눌러주는 후크가 구비된 내부렌즈와, 상기 내부렌즈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렌즈의 상면을 눌러주는 외부렌즈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누름을 감지하게 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중앙에 누름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게 되는 제2 센서 및 진동을 발생하게 되는 햅틱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렌즈 누름시 제1 센서로 누름 감지 및 외부렌즈의 누름에 의해 작용하는 내부렌즈의 누름 힘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휨 변위를 제2 센서로 감지하여 상기 휨 변위로 램프가 점,소등되게 함으로써, 간혹 의도하지 않은 터치 및 외력으로 인해 오버헤드 램프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버헤드 램프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오버헤드 램프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내부렌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성 사상을 그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내부렌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작동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100)는 차량의 천정 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외부로 표면이 전면이 노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램프부(120)로 구비된다.
상기 램프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중앙에 램프(121)와 상기 램프(121)를 구동하기 위한 능동소자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2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에 램프(121)에 근접하여 구비된 제1 센서(125),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저면에 제2 센서(126), 햅틱(127)이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에 결합되어 램프(121)의 광을 투광하는 내부렌즈(128)와, 상기 내부렌즈(128)의 상부에는 의도치 않은 터치 또는 외력으로부터 내부렌즈(128)를 보호하게 되는 외부렌즈(12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구비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들 제1, 2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되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점등 및 소등이 되지 않음으로써, 의도하지 않는 터치로 인해 점등 및 소등이 되는 일이 없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심원으로 사방에 폭이 좁고 길게 절개된 절개공(123)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공(123)과 절개공(123) 사이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 후크공(124)이 구비되며, 상기 후크공(124)은 상기 동심원상의 절개공(123)의 안쪽으로 구비된다.
상기 절개공(123)은 도면과 같이 4개 또는 그 이상이 절개되어 인쇄회로기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렌즈가 눌렀을 때 동심원 안쪽으로 휨이 발생하도록 유도하고, 누름이 해지되면 다시 복원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램프(121)의 일측에 누름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1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센서(125)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신호 중, 송수신되는 어느 하나의 초음파 또는 적외선로 누름 유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중 어느하나로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저면 중앙에는 누름에 의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휨 변위를 감지하는 제2 센서(126)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센서(126)는 누름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2)의 절개공(123)의 안쪽 변위, 즉 누름에 의한 휨 현상으로 발생하는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로, 절개공이 배치되는 동심원의 중심에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저면 일측에는 누름 유무에 따른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햅틱(127)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렌즈(12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의 하단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후크공(124)에 삽입 결합되는 후크(128-1)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렌즈(128)는 램프(121)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재질로 구비 된다.
상기 내부렌즈(128)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후크공(124)에 후크(128-1)를 삽입 결합시, 내부렌즈(128)의 외주면의 하단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절개공(123)의 동심원상 보다 안쪽으로 위치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122)의 절개공(124)의 부위를 눌러주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내부렌즈(128)는 도 5과 같이 원통형으로, 밑면에서 서로 대향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브릿지(128-2)의 하단에 상기 후크(128-1)가 마련된 구성으로, 상기 후크(128-1)는 누름과 복원 시 내부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브릿지는 후크공(124)에 끼워져 내부렌즈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내부렌즈의 밑면(282-3)은 도 4와 같이, 내부렌즈가 설치되었을 때, 절개공(123)의 안쪽단면(123-1)에 걸쳐짐으로써, 내부렌즈를 눌었을 때 인쇄회로기판이 도 6과 같이 휘어지며 제2 센서(126)가 휨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는 전류 또는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며, 이 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휨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렌즈(129)는 내부렌즈(128)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의 하단이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게 구비되어 상기 내부렌즈(128)를 의도치 않은 터치 또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외부렌즈(129)는 상기 내부렌즈(128)로 부터 투과된 광을 투과하는 투광재질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외부렌즈(129)는 내측 상면에 하방으로 상기 내부렌즈(128)의 상면에 접촉되어 눌러주는 누름단(129-1)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외부렌즈(129)의 누름시 누름단(129-1)에 의해 하부에 위치한 내부렌즈(128)가 눌러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 오버헤드 램프의 작동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부(120)는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 제1 센서(125)로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반사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신호로 외부렌즈(129)의 누름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램프부(120)에서는 제어부(도시되지않음)로 상기 제1 센서(125)에서 감지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센서(125)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누름 인지, 외력이나 의도치 않은 터치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센서(125)에서 감지된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에서는 외력이나 의도치 않은 터치로 판단하여 램프부(120)의 램프(121)를 점등시키지 않게 되어 불필요하게 헤드램프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준신호는 손가락이다.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점등 및 소등을 위해 외부렌즈를 손가락으로 누를 때, 제1 센서는 손가락이 외부렌즈에 얹혀져 있는가를 판단하며, 여기에 설정된 시간 동안 손가락이 계속하여 얹혀져 있는가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렌즈(129)의 상면에 누름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외부렌즈(129)의 누름단(129-1)은 내부렌즈(128)의 상면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상기 내부렌즈(128)는 외주면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절개공(123)의 안쪽을 눌러주게 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안쪽은 누름에 의해 휨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저면 중앙에 구비된 제2 센서(126)는 인쇄회로기판(122)의 휨 변위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고 이 발생된 변위로 누름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변위신호는 제어부에서 누름으로 판단하여 램프(121)를 점등 또는 소등함과 아울러, 햅틱(127)을 제어하여 외부렌즈(129)의 누름에 따른 진동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촉감을 느끼면서 상기 램프(112)를 점,소등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이 실시 예는 외부렌즈가 없는 상태의 램프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 예의 오버헤드 램프(100)는 차량의 천정 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외부로 표면이 전면이 노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램프부(120)로 구비하되, 상기 램프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중앙에 램프(121)와 상기 램프(121)를 구동하기 위한 능동소자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2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에 램프(121)에 근접하여 구비된 제1 센서(125),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저면에 제2 센서(126), 햅틱(127)이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에 결합되어 램프(121)의 광을 투광하는 내부렌즈(128)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램프부(120)는 인쇄회로기판(122)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 제1 센서(125)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반사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신호로 내부렌즈(128)의 누름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부(120)에서는 제어부(도시되지않음)로 상기 제1 센서(125)에서 감지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센서(125)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누름 인지, 외력이나 의도치 않은 터치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센서(125)에서 감지된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에서는 외력이나 의도치 않은 터치로 판단하여 램프부(120)의 램프(121)를 점등시키지 않게 되어 불필요하게 헤드램프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렌즈(128)의 상면에 누름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내부렌즈(128)는 외주면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절개공(123)의 안쪽을 눌러주게 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안쪽은 누름에 의해 휨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저면 중앙에 구비된 제2 센서(126)는 인쇄회로기판(122)의 휨 변위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고 이 발생된 변위로 누름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변위신호는 제어부에서 누름으로 판단하여 램프(121)를 점등 또는 소등함과 아울러, 햅틱(127)을 제어하여 외부렌즈(129)의 누름에 따른 진동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촉감을 느끼면서 상기 램프(112)를 점,소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제1 센서의 기준신호와, 제2 센서의 변위신호를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이중 어느 하나라도 입력되지 않으면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외력이나 원하지 않는 점소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하우징
120: 램프부 121: 램프
122: 인쇄회로기판 123: 절개공
124; 후크공 125; 제1 센서
126: 제2 센서 127: 햅틱
128; 내부렌즈 129; 외부렌즈 1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램프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위에 동심원상으로 사방에 폭이 좁고 길게 절개되어 누름 힘에 의한 휨 변위를 발생하도록 유도되게 구비되는 절개공, 상기 절개공과 절개공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후크공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 상면에는 상기 후크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절개공의 부위를 눌러주는 내부렌즈와,
    상기 내부렌즈의 상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내부렌즈의 상면을 눌러주는 외부렌즈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중앙에 외부렌즈의 누름 유무를 감지하게 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중앙에 내부렌즈의 누름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게 되는 제2 센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 일측에 누름 유무에 따른 진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햅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누름 유무를 초음파로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하는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누름 힘에 의한 휨 변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로 구비하는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4. 삭제
KR1020220089159A 2022-02-21 2022-07-19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KR102496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1899 2022-02-21
KR1020220021899 2022-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161B1 true KR102496161B1 (ko) 2023-02-06

Family

ID=8522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159A KR102496161B1 (ko) 2022-02-21 2022-07-19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654A (ko) * 1993-12-30 1995-07-24 이동우 진동센서의 입력신호 감지회로
JPH117285A (ja) * 1997-06-18 1999-01-12 Sanyo Electric Co Ltd 振動式報知器に用いる板バネ、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
KR20110011098A (ko) * 2009-07-27 2011-02-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KR20180098678A (ko) * 2011-09-06 2018-09-04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출력 장치 및 햅틱 출력 장치에서 햅틱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
JP2019040802A (ja) * 2017-08-28 2019-03-1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654A (ko) * 1993-12-30 1995-07-24 이동우 진동센서의 입력신호 감지회로
JPH117285A (ja) * 1997-06-18 1999-01-12 Sanyo Electric Co Ltd 振動式報知器に用いる板バネ、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
KR20110011098A (ko) * 2009-07-27 2011-02-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KR20180098678A (ko) * 2011-09-06 2018-09-04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출력 장치 및 햅틱 출력 장치에서 햅틱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
JP2019040802A (ja) * 2017-08-28 2019-03-1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6477B2 (ja) 自動車用機能装置等のための容量性のコマンド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備えた装備部品
US5434757A (en) Unit panel structure for a door trim
US6774505B1 (en) Vehicle switch assembly with proximity activated illumination
US8878438B2 (en)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US7342485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ntrol means for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and process for operating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JP5038422B2 (ja) 自動車のための制御モジュール
JP2006120571A (ja) 照明装置
GB2425590A (en) Vehicle interior lamp with touch switch behind lens
US9712163B2 (en) Manually operated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with a sensor activation device
US20180130628A1 (en) Switch unit
US10454474B2 (en) Proximity switch having sensor with decorative metal
JP6971420B1 (ja) 操作ボタンスイッチ、操作装置、エレベータおよび自動運転車両
US11801752B2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KR102496161B1 (ko) 자동차의 오버헤드 램프
US11429230B2 (en) Motorist user interface sensor
JP2008058790A (ja) 表示装置と入力表示装置および車載用入力表示装置
JP2020046701A (ja) 操作入力装置
KR101223322B1 (ko)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KR102594479B1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CN113357578A (zh) 用于交通工具的顶灯具以及交通工具
JPH0948279A (ja) 車載用ルームランプ制御回路
JP7446208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20230136017A1 (en) Motion gesture sens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unit manipulation system having same
CN218463539U (zh) 交叉照明的地图灯以及车辆
US6259364B1 (en) Horn switch and ancillary device switche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