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15B1 -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215B1
KR102495215B1 KR1020220087577A KR20220087577A KR102495215B1 KR 102495215 B1 KR102495215 B1 KR 102495215B1 KR 1020220087577 A KR1020220087577 A KR 1020220087577A KR 20220087577 A KR20220087577 A KR 20220087577A KR 102495215 B1 KR102495215 B1 KR 10249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rame
coated helical
coat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산업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산업, 김정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산업
Priority to KR102022008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일부재의 표면에 PE코팅층이 구비되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가운데 스크류부에 의하여 해저 바닥의 일정 깊이까지 용이하게 파고 들어가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류부가 파일부재에 비해 넓은 면적이 유지되도록 하여 침하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 양식틀 지지구 및 개체굴 양식틀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PE COATING HELICAL FILE AND ENTITY OYSTER FARMING FRAME FIXING STRUCTURE USING THE SAME}
이 발명은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일부재의 표면에 PE코팅층이 구비되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가운데 스크류부에 의하여 해저 바닥의 일정 깊이까지 파고 들어가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류부가 파일부재에 비해 넓은 면적이 유지되도록 하여 침하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 양식틀 지지구 및 개체굴 양식틀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은 수중의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여 유생기에는 부유생활을 하다가 부화 후 20일 정도가 지나 치패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해서 성장한다.
굴양식은 채묘, 치패 양성, 수확 과정을 거친다. 이때, 채묘는 종묘를 얻은 과정으로 참굴, 가리비, 국자 가리비 등의 부착기질을 적절한 시기 및 장소에 수중으로 침지하여 부착기에 접어든 성숙유생의 부착을 유도하는 자연채묘와 육상수조에서 온도자극 등의 방법으로 모패의 산란을 유도한 후 유생을 양성하여 부착기에 접어들면 부착기질에 부착되도록 하는 인공채묘가 사용된다.
치패의 양성은 인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치패의 생활반경을 제한하여 생장시키는 과정으로서, 뗏목인 뜸틀에 치패 양성용 수하연을 매달아 양성하는 뗏목식,해면에 부자를 띄워 로프로 연결한 후 양끝은 닻으로 고정한 후 로프에 양성용 수하연을 매달아 양성하는 로프식, 간조선 근처로부터 수심 수미터까지 두 줄의 말목을 세운 후 종횡으로 엮인 잡목 등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성하는 수하식 양성방법, 소조와 대조의 간출선 사이로 나뭇가지 등을 세워 양성하는 나무가지식 양성방법, 만조와 간조의 노출 바닥면에 돌을 넣어 양성하는 투석식 양성기법이 사용된다.
치패의 수확은 상품성을 띤 굴 성패를 수집 또는 채취하는 과정으로 손이나 기중기를 이용하여 수하연을 감아 올린 후 성패를 훑어 떼어낸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42767호(2010.02.09.)의 개체굴 양식용 수평망식 구조물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구조물은 수평지지부와 복수의 다리부로 이루어진 프레임; 다리부에 고정된 침하방지판; 수평지지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양성망 및 양성망이 닿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로 구비되어 진흙 또는 모래 등의 취약 기반에서의 침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가운데 해수의 원활한 소통으로 인하여 풍부한 먹이가 공급되도록 하여 질높은 성패를 얻을수 있도록 하였으나, 다리부에 침하방지판이 고정되어 침하가 어느 정도 방지되나 다리부의 강도가 낮아 변형이 발생되는 원인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하방지판이 해저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못해 유동이 발생되는 원인과 간혹 구조물이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42767호(2010.02.09.)
이 발명은 파일부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해저 바닥의 일정 깊이까지 용이하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침하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 양식틀 지지구 및 개체굴 양식틀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은 중공부재(110)의 하단에 첨예부(120)를 갖는 파일부재(10)가 구비되어지고,상기 파일부재(10)의 하부측에 스크류부(20)가 구비된 PE 코팅 헬리컬 파일(A)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110)의 상부에 이물질 방지캡(13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파일부재(10)의 표면에 PE 코팅층(PCL)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첨예부(120)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곳에 상기 스크류부(2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스크류부(20)는 상기 파일부재(10)가 끼워지도록 구비된 끼움부재(210)의 외주연부에 수평 블레이드(2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끼움부재(210)가 파일부재(10)에 끼워져 피스(P)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블레이드(220)는 끼움부재(210)의 외주연부를 따라 구비되어지되, 시작단부와 끝단부가 소정 간격(L)을 갖도록 뒤틀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부재(10)의 중공부재(110)는 상부측에 소정 직경을 갖는 관통홀(H)이 구비되어 묶음끈(FS)이 양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의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는 첨예부(120)를 갖는 중공부재(110)로 이루어진 파일부재(10)의 하단부측으로 스크류부(20)가 구비된 PE 코팅 헬리컬 파일(A)과,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이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반복되게 배열되어지고,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상부에 양식틀 지지구(B)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에 개체굴 양식틀(C)이 얹혀지게 구비된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식틀 지지구(B)는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단부에 하부로 직립된 수직 이격부재(32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직 이격부재(32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로 이루어진 단위 지지부재(30)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위 지지부재(30)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상부 및 상기 양측의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의 상부에 고정부재(340)가 각각 얹혀져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은 다수의 육면체 형상의 틀부재(40)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틀부재(40)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각각의 연결재(400)가 결합구(410)에 의하여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S)가 제공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40)에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의 하부에 위치된 길이방향 연결재(400)가 묶음끈(FS)에 의하여 묶여지게 구비되고,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 상부에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 단부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40)가 다른 묶음끈(FS)에 의하여 묶여지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 상부에는 관통홀(H)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H)에서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40)가 다른 묶음끈(FS)에 의하여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 상부에 묶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의 결합구(410)는 3,4,5개의 끼움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파일부재(10)는 표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PE 코팅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20)는 끼움부재(210)의 외주연부에 수평 블레이드(2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끼움부재(210)가 파일부재(10)의 중공부재(110)에 끼워져 피스(P)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단위지지부재(30)를 이루는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 수직 이격부재(320),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 및 고정부재(340)는 표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PE 코팅층(PCL)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틀부재(40)는 중공형태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파일부재의 표면에 PE 코팅층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일부재의 하부측으로 스크류부가 구비됨으로써, 파일부재의 하단부가 해저 바닥의 일정 깊이까지 용이하게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파일부재가 해저 바닥속으로 일정 깊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충부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부재에 구비된 스크류부의 수평 블레이드가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부로부터 작용하중을 분산시켜 침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양식틀 지지구 및 개체굴 양식틀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은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개체굴 양식틀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부재(10) 및 스크류부(20)가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일부재(10)는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재(110)로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재(110)의 하단에 해저 바닥으로 용이하게 파고 들어 갈 수 있는 첨예부(1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중공부재(11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방지캡(1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재(110)와 첨예부(120)의 표면에는 바닷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PE 코팅층(PCL)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부(20)는 파일부재(10)가 해저 바닥으로 용이하게 파고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파고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파일부재(10)가 일정한도 이상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첨예부(120)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곳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부(20)는 파일부재(10)가 끼워지도록 구비된 중공형태를 갖는 끼움부재(210)의 외주연부에 수평 블레이드(220)가 감겨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재(210)가 파일부재(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다수개의 피스(P)에 의하여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 블레이드(220)는 평판형태를 갖는 강판이 끼움부재(210)의 외연부를 나선형태로 감아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과정에서 단순히 파일부재(10)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해저 바닥으로 파고 들어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 블레이드(220)는 시작단부와 끝단부가 소정 간격(L)을 갖도록 뒤틀려지게 구비됨으로써, 나사식으로 용이하게 파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일부재(10)를 이루는 중공부재(110)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홀(H)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관통홀(H)을 통해 묶음끈(FS)이 양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후술하는 단위지지부재(30)의 고정부재(340) 또는 틀부재(40)가 피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은 첨예부(120)를 갖는 중공부재(110)로 이루어진 파일부재(10)의 하단부측으로 스크류부(20)가 구비된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을 미도시한 회전장치 또는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구동력에 의하여 스크류부(20)가 해저 바닥의 표면에서 속으로 파고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이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반복되게 배열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 사이에 양식틀 지지구(B)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에 개체굴 양식틀(C)이 얹혀지게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양식틀 지지구(B)는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단부에 하부로 직립된 수직 이격부재(32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직 이격부재(32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로 이루어진 단위 지지부재(30)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어짐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상부 수평 바침부재(310)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와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의 상부에 각각 고정부재(340)가 얹혀져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어느 정도의 강도 내지 보강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은 다수의 육면체 형상의 틀부재(40)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틀부재(40)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각각의 연결재(400)가 결합구(410)에 의하여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S)가 제공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의 하부 모서리측으로 위치된 연결재(400)가 묶음끈(FS)에 의하여 양식틀 지지구(B)의 고정부재(340)에 묶여지게 구비됨으로써, 조류에 의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와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모서리측으로 위치된 고정부재(340)가 다른 묶음끈(FS)에 묶여지게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양식틀 지지구(B) 및 개체굴 양식틀(C)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묶음끈(FS)는 양식틀 지지구(B) 및 개체굴 양식틀(C)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풀림이나 역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공부재(110)의 상부측으로 관통홀(H)이 구비되어 묶음끈(FS)이 관통되어 양측 단부가 노출되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용이하게 감아 묶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은 다수의 육면체 형상의 틀부재(40)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틀부재(40)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각각의 연결재(400)가 결합구(410)에 의하여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S)가 제공되도록 구비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틀부재(40)의 연결재(400)는 중공형태를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합성수지 파이프가 사각박스의 테두리형태로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합구(410)는 3,4,5개의 끼움단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끼움단부에 연결재(400)의 합성수지 파이프가 각각 결합되어 "
Figure 112022115924538-pat00007
", "
Figure 112022115924538-pat00008
", "
Figure 112022115924538-pat00009
" 형태를 갖도록 결합된다. 즉,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운데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더 한층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틀부재(40)의 표면에는 소정의 메쉬를 갖는 그물망이 덮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간부(S)의 내외부로 바닷물이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굴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에서는 양식틀 지지구(B)의 표면이 대기중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단위지지부재(30)를 이루는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 수직 이격부재(320),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 및 고정부재(340)는 표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PE 코팅층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정한 한도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할 경우, 금속제를 사용하게 되는 과정에서 금속제의 표면에 PE 코팅층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바닷물에 의한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더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부식으로 인한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발명에서는 파일부재(10)와 양식틀 지지구(B)의 고정부재(340), 틀부재(40)가 묶음끈(FS)로 묶여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와이어 형태를 갖는 클립 또는 면형태를 갖는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묶음끈(FS)를 이용하는 것 보다 결속 내지는 결합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일부재(10)의 표면에는 PE 코팅층(PCL)이 구비되어져, 갯벌이나 해수에 의한 부식,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PE 코팅층(PCL)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개질제, 블로킹 방지제 및 슬립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파일부재(10)의 표면에 코팅되어 해수에 의한 파일부재(10) 표면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높은 충격강도를 가져 파도나 각종 이물질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어도 쉽게 손상되지 않고, 인열강도가 우수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파일부재(10)의 크기 변화에도 크랙이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부식, 손상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분체코팅 방식으로 파일부재(10)의 표면에 직접 코팅되거나, 용매와 혼합되어 파일부재(10)의 표면에 도장 혹은 파일부재를 코팅욕조에 침적시키는 침적 방식으로 코팅되거나, 코팅 조성물을 시트화한 뒤 시트와 파일부재(10)를 열융착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파일부재(10)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으며, 코팅 방식이 상술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개질제 2~5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01~0.1 중량부 및 슬립제 0.001~0.0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호모폴리에틸렌 수지 및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혼합된 것으로, PE 코팅층(PCL)이 파일부재(10) 표면에 강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며, PE 코팅층(PCL)의 해수에 대한 저항성과 각종 충격에 의한 저항성을 부여하여 PE 코팅층(PCL)의 기능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호모폴리에틸렌 수지 80~110 중량부 및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10~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분지가 많고 결정성이 낮은 특성이 있으며, 밀도 0.91~0.93 kg/m3일 수 있다. 이러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산이나 알칼리 등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내수성, 방습성, 내한성이 양호하며, 기계적 강도는 약하지만 가공성이 우수하고 잘 늘어나는 특성이 있어 온도 변화에 의한 파일부재(10) 수축이나 인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장력을 제공한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분지가 적고 결정성이 높으며, 밀도 0.95~0.97 kg/m3의 고밀도 특성을 가지므로 유동성 및 가공성이 떨어지나, 강성이 뛰어나고 내한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8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내부식성, 강도 특성이 떨어지고, 1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떨어져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일정한 두께 및 기계, 화학적 특성을 갖는 코팅층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무수말레산을 폴리에틸렌 수지에 그라프트시켜 제조된 것으로, 0.85~0.90 kg/m3의 밀도를 가지며,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PE 코팅층(PCL)의 각종 외력에 의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부식성, 내화학성 특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제는 코팅 조성물의 파일부재(10) 표면에 대한 접착력 및 강도를 강화시키고,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품질의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만드는 성분으로, 개질제로는 아크릴로나이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비닐리덴클로라이드 코폴리머와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이 1 : 0.05~0.20 중량비로 포함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질제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개질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함량 비중이 높아져 오히려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서로 달라붙어 작업상 지장을 주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블로킹 방지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블로킹 방지 효과가 미미하여 여전히 작업성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PE 코팅층(PCL)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로킹 방지제로 카올린, 탄산칼슘, 탈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실리콘 비드 등의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에 나열한 성분들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블로킹 방지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립제는 가공 도중이나 직후에 표면으로 스며나와 마찰계수를 줄이는데 필요한 윤활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0.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물질로 작용하여 오히려 PE 코팅층(PCL)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립제로 약 1,000 내지 1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실화 (메트)아크릴화 올리고머,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민화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화 (메트)아크릴,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립제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이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먼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밀도 0.91~0.93 kg/m3)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티렌 수지(0.95~0.97 kg/m3) 97 중량부 및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0.85~0.90 kg/m3) 20 중량부가 포함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고,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개질제, 블로킹 방지제인 탄산칼슘 및 슬립제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표 1에 기재된 다양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개질제로는 아크릴로나이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비닐리덴클로라이드 코폴리머와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이 1 : 0.11 중량비로 포함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성분명(중량부)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3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100 100 100 100 100
개질제 - 0.5 2 5 7.5
블로킹 방지제 0.03 0.03 0.04 0.04 0.04
슬립제 0.012 0.013 0.013 0.015 0.014
[실험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각 코팅 조성물의 인장강도, 굴곡탄성률, 상온 충격강도, 저온 충격강도, 열화 후 충격강도 및 내염수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인장강도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굴곡탄성률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충격강도는 ASTM D256를 기준으로 상온(23℃) 및 저온(-30℃)에서 측정하였고, 촉진내후성시험법(SAE J1960)에 따라 한달간 열화를 촉진시킨 뒤 상온에서의 충격강도를 측정하여 열화 후 충격강도를 확인하였다. 내염수성은 KS D 8502 : 2010의 시험방법 중 염수분무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3
인장강도(kg/cm2) 208 205 192 186 177
굴곡탄성률(kg/cm2) 13,000 13,000 12,000 12,000 12,000
상온 충격강도(kg/cm2, 23℃) 25.5 27.0 35.6 38.3 38.2
저온 충격강도(kg/cm2, -30℃) 13.0 13.5 17.8 19.0 17.3
열화 후 충격강도(kg/cm2, 30일) 17.2 19.1 32.8 35.9 25.5
내염수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우선 전체 샘플 모두 염수분무시험 결과 내염수성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질제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과 개질제가 첨가된 나머지 샘플들을 비교하면, 개질제가 첨가되는 경우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률이 미미하게 저하되나, 충격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특히, 비교예 2의 경우에는 개질제 함량이 적어서 충격강도 향상치가 미미하였으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에는 개질제 함량이 충분하여 충격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열화 후 충격강도 저하가 미미하였으나,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열화 후 충격강도 감소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기 내구성 및 내후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충격강도를 확보하고, 기후나 환경조건에 의한 열화를 최소화하여 코팅층이 장기간 우수한 내식 특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코팅 조정물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질제를 2~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이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파일부재 20:스크류부
30:단위 지지부재 40:틀부재
110:중공부재 120:첨예부
130:이물질 방지캡 210:끼움부재
220:수평 블레이드 310:상부 수평 받침부재
320:수직 이격부재 330:하부 수평 받침부재
340:고정부재 410:결합구
A:PE 코팅 헬리컬 파일 B:양식틀 지지구
C:개체굴 양식틀 PCL:PE 코팅층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첨예부(120)를 갖는 중공부재(110)로 이루어진 파일부재(10)의 하단부측으로 스크류부(20)가 구비된 PE 코팅 헬리컬 파일(A)과,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이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반복되게 배열되어지고,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상부에 양식틀 지지구(B)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에 개체굴 양식틀(C)이 얹혀지게 구비된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식틀 지지구(B)는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단부에 하부로 직립된 수직 이격부재(32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직 이격부재(32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로 이루어진 단위 지지부재(30)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위 지지부재(30)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상부 및 상기 양측의 하부 수평 받침부재(330)의 상부에 고정부재(340)가 각각 얹혀져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은 다수의 육면체 형상의 틀부재(40)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틀부재(40)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각각의 연결재(400)가 결합구(410)에 의하여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S)가 제공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40)에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의 하부에 위치된 길이방향 연결재(400)가 묶음끈(FS)에 의하여 묶여지게 구비되고,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 상부에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 단부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40)가 다른 묶음끈(FS)에 의하여 묶여지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 상부에는 관통홀(H)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H)에서 상기 양식틀 지지구(B)의 상부 수평 받침부재(3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40)가 다른 묶음끈(FS)에 의하여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중공부재(110) 상부에 묶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굴 양식틀(C)의 결합구(410)는 3,4,5개의 끼움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E 코팅 헬리컬 파일(A)의 파일부재(10)는 표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PE 코팅층(PCL)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PE 코팅 헬리컬 파일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KR1020220087577A 2022-07-15 2022-07-15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KR10249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77A KR102495215B1 (ko) 2022-07-15 2022-07-15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77A KR102495215B1 (ko) 2022-07-15 2022-07-15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215B1 true KR102495215B1 (ko) 2023-02-06

Family

ID=8522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577A KR102495215B1 (ko) 2022-07-15 2022-07-15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67B1 (ko) 2009-08-03 2010-02-18 주식회사 씨에버 개체굴 양식용 수평망식 구조물
WO2015024108A1 (en) * 2013-08-22 2015-02-26 Goliathtech Inc. Pile, pile head and connector therefor
JP2015059341A (ja) * 2013-09-19 2015-03-30 吉野 弘幸 ねじ込み式基礎杭
KR101969366B1 (ko) * 2015-12-17 2019-04-16 이규철 강관파일에 설치되는 이물질유입 방지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67B1 (ko) 2009-08-03 2010-02-18 주식회사 씨에버 개체굴 양식용 수평망식 구조물
WO2015024108A1 (en) * 2013-08-22 2015-02-26 Goliathtech Inc. Pile, pile head and connector therefor
JP2015059341A (ja) * 2013-09-19 2015-03-30 吉野 弘幸 ねじ込み式基礎杭
KR101969366B1 (ko) * 2015-12-17 2019-04-16 이규철 강관파일에 설치되는 이물질유입 방지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3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osi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N106614203B (zh) 组合式人工鱼礁
AU2016229172B2 (en) Ephemeral substrates for oyster aquaculture
NZ73546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JP6709937B2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KR101216298B1 (ko) 투하고정식 양식용 구조물
KR102495215B1 (ko) Pe 코팅 헬리컬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틀 고정구조
CN113632755A (zh) 人工贝壳鱼礁及其制备方法
JP2002330651A (ja) 藻場造成方法と藻草育成ネット
KR101245237B1 (ko) 말잘피 이식방법
KR102500637B1 (ko) 수중저연승 시설물
KR102487951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해조류 이식판 설치방법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JP6835341B1 (ja) 海藻漁場の造成方法
KR200448974Y1 (ko)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JP2005040062A (ja) 木灰セラミックスを取り付けた浮上式昆布養殖棚
JP2002000113A (ja) 海中藻場造成用構造物
CN1260108A (zh) 一种栉孔扇贝的养殖方法与专用养殖筏架
KR101489066B1 (ko) 볏짚을 이용한 해삼의 배양 및 양식 장치
US6325569B1 (en) Cultivating kelp and mussels together
JP2002330652A (ja) 藻場造成方法と藻草育成プランター
RU2174750C2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одства крабов (варианты)
JP3087925B2 (ja) 超硬練コンクリートを利用した海藻類の栽苗方法及び栽苗器
CN220246980U (zh) 围堰模块及滩涂围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