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569B1 -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569B1
KR102494569B1 KR1020220168343A KR20220168343A KR102494569B1 KR 102494569 B1 KR102494569 B1 KR 102494569B1 KR 1020220168343 A KR1020220168343 A KR 1020220168343A KR 20220168343 A KR20220168343 A KR 20220168343A KR 102494569 B1 KR102494569 B1 KR 10249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counterweight
car
boarding ca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2016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5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way in-and-out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loading containers, wherein th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omprises a boarding car (10) on which passengers can board or load cargo, a counterweight (C) to maintain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10), a wall (60) that accommodates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C) and constitutes an elevator passage, a wire rope (W)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and a traction sheave (20) for lif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by the wire rope (W). The boarding car (10) has elevator doors in four directions, front, rear, left, and right, allowing passengers, cargo, or containers to enter and exit from four directions, and also has a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50) capable of lifting a container (A) to a certain height and moving the same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a floor surface (10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escription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4-way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loading containers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본 발명은 탑승카에 컨테이너를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카의 전,후,좌,우 4방향에 도어를 각각 설치하고, 탑승카 하부에 컨테이너를 일정거리 상승 및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로 컨테이너를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apable of transporting a container by mounting it on a boarding ca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doors in four direction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car, and placing the container under the boarding car. It relates to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in which a device for raising and moving a certain distance is installed so that a container can be loaded and transported by an elevat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In general, an elevator is installed in a high-rise building or the like to transport people or cargo to a desired floor while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엘리베이터 중에 출입구를 2방향으로 배치한 엘리베이터가 있다.Among these elevators, there is an elevator in which entrances and exits are arranged in two directions.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2방향 출입구 엘리베이터는, 탑승카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의 전방및 후방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10a, 10c)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C)와, 상기 탑승 카(10)와 카운터웨이트(C)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W)와,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conventional two-way entrance elevator shown in FIG. 1, the boarding car door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boarding car 10 for passengers boarding or loading cargo i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car. Boarding car doors 10a and 10c provided, a counterweight C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10, and a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C ( W) and a traction sheave 20 for elevating the boarding car 10.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는 2개의 탑승카 시브(S1, S2)가 구비되고, 카운터웨이트(C)의 상면에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3)가 구비된다.In addition, two boarding car sheaves S1 and S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counterweight sheave S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C.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와이어 로프(W)는, 일단이 탑승카(10) 상부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로프 고정부(F1)에 의해 고정되고, S1 → S2 → 트랙션 시브 →S3에 차례로 감겨진 후, 타단은 승강로 내의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된다.In the elevator of the above structure, one end of the wire rope (W) is fixed by the rope fixing part (F1)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bove the boarding car 10, and is wound around S1 → S2 → traction sheave → S3 in order ,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ope fixing part F2 in the hoistway.

상기 각 시브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W)는 통상 여러 가닥이 사용되며, 와이어 로프의 가닥수는 엘리베이터의 적재 하중에 따라 증감된다. Several strands of wire rope (W) wound around each sheave are usually used, and the number of strands of wire rope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elevator.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 도어(10a, 10c)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엘리베이터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2 , there is also an elevator in which boarding car doors 10a and 10c are dispos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2방향으로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convenience in use is reduced because entry and exit is possible only in two directions.

또한 다양화되고 있는 건물 구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tively respond to the diversifying building structure.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도 3과 같은 4방향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four-way through-type elevator as shown in FIG. 3 .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4방향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20)와, 상기 탑승카(10)의 상방향에 구비되어 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복수의 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탑승카 도어(10a,10b,10c,10d)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10)의 승강로 벽체(60) 안쪽에 제어반(90)이 설치된다.The conventional four-way through-type elevator shown in FIG. 3 includes a boarding car 10 for boarding passengers or loading cargo, a counterweight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10, and the boarding car A wire rope connecting 10 and the counterweight, a traction sheave 2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oarding car 10, and a plurality of sheaves provi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arding car 10 and around which the wire rope is wound In the elevator comprising a, boarding car doors 10a, 10b, 10c, 10d are provided in four directions of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the boarding car 10, respectively, and the hoistway of the boarding car 10 A control panel 90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60.

그리고 상기 제어반(90)과 탑승카(10)의 하부는 트래블링 케이블(Travelling Cable)(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And, the control panel 90 and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raveling cable 14.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14)은, 탑승카(10)의 구동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U자형을 이루면서 탑승카(10)와 함께 승강한다.The traveling cable 14 is a cable for transmitting driving and control signals of the boarding car 10, and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boarding car 10 while forming a U shape.

상기한 구조에 의해, 다양화되고 있는 건물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다. With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 elevator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a diversified building.

그리고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는 상부 프레임(12)이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2)의 양 측부에는 가이드 프레임(70)이 수직으로 구비된다.An upper frame 1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in a diagonal direction, and guide frames 70 are provid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2.

또한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복수의 시브들은, 상기 상부 프레임(1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heaves around which the wire rope is wound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제1 카운터웨이트(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로프(W)는 제1 와이어 로프(W1)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unterweight is made of a first counterweight (40), and the wire rope (W) is made of a first wire rope (W1).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12)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타단은, 트랙션 시브(20), 제1시브(Sa), 제2시브(Sb)에 차례로 감긴 후 제1 카운터웨이트(40)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된다.Here,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in the upper frame (1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 traction sheave (20) , After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sheave (Sa) and the second sheave (Sb) in turn,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in the first counterweight (40).

상기 트랙션 시브(20)는, 구동모터와 브레이크 등을 구비한 시브로서, 정,역회전에 의해 탑승카(10)를 승강시킨다.The traction sheave 20 is a sheave equipped with a driving motor and a brake, and elevates the boarding car 10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이로써 와이어 로프를 권취하기 위한 별도의 권상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Thi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winding machine for winding the wire rope.

상기 트랙션 시브(20)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traction sheave 20 itself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종래의 4방향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4 방향에 탑승카 도어((10a,10b,10c,10d)가 구비되어 있어 4방향에서 출입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4-way elevator described above, boarding car doors (10a, 10b, 10c, 10d) are provided in 4 directions of the elevator, so entry and exit from 4 directions is possible.

이에 따라 다수의 승객들이 편리하게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가 있다. Accordingly,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can conveniently board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can be installed in buildings having various structures.

그런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사람이나 각종 자재를 운반할 수는 있지만, 수출입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Container)는 운반할 수가 없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s shown in FIGS. 1 to 3 can transport people and various materials, but cannot transport containers loaded with imported and exported goods.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20피트(6m), 40피트(12m)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으며, 해상 운반용으로는 20피트 컨테이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ontainers are standardized to 20 feet (6 m), 40 feet (12 m), and the like, and 20-foot containers are widely used for sea transportation.

한편 컨테이너는 통상적으로 야외에 2단 내지 4단으로 적재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1~2단은 주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하고, 3단 이상은 오버헤드 크레인을 사용하여 적재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containers are usually loaded and used outdoors in 2 to 4 tiers, and 1 to 2 tiers are mainly loaded using forklifts, and 3 or more tiers are loaded using overhead cranes.

이에 따라 많은 컨테이너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site is required to store many containers.

또한 컨테이너를 높이 적재할 경우에는, 오버헤드 크레인의 가동범위 내에서만 적재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at a high lev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ing is possible only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overhead crane.

또한 컨테이너에 고가의 수입물품이 적재된 경우 도난사고가 발행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ft may occur when expensive imported goods are loaded in the container.

한편 수출할 물품을 컨테이너에 입고할 때에는, 제작 완료된 물품을 포장한 다음, 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가 있는 야외로 운반한 뒤 컨테이너에 입고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goods to be exported are stored in a container, the manufactured goods are packed, and then the packed goods are transported to the open air where the container is located and stored in the container.

또한 수입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에서 물품을 출고하는 경우에는, 야외에서 물품 출고 작업을 한 다음, 건물 내부의 제조 또는 조립라인으로 운반하여 필요한 작업을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goods are shipped from a container loaded with imported goods, goods are shipped outdoors, and then transported to a manufacturing or assembly line inside the building for necessary work.

즉 종래에는 포장된 물품을 컨테이너에 입고하는 작업과,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출고하는 작업이 컨테이너가 적재된 야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an operation of loading packaged goods into a container and an operation of releasing goods from a container in which the goods are loaded are performed outdoors where the container is loaded.

이에 따라 우천시나 강설시, 강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이 어렵게 되고, 이러한 조건에서 작업을 진행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Accordingly, when it rains, snows, or when strong wind blows, it becomes difficult to store and ship products, and when the work is carried out under these conditions,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increases.

또한 컨테이너가 적재된 야적장에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 야간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work at night unless a separate ligh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yard where containers are loaded.

이에 본 발명자는, 수출물품 적재를 위한 빈 컨테이너나 수입물품이 적재된 컨에이너를 고층 건물 내부로 운반하여, 공장 내부에서 물품을 직접 컨테이너에 입고하거나 출고하고,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는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를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transport empty containers for loading export goods or containers loaded with imported goods to the inside of a high-rise building, directly store or ship goods into containers from inside the factory, and automatically transport containers. We would like to propose a rope-type high-speed elevato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빈 컨테이너 또는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층건물 내부로 직접 운반하여 물품을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apable of loading and unloading goods by directly transporting an empty container or a container loaded with goods into a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빈 컨테이너나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층건물 내부로 직접 운반하여 물품을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rectly transport an empty container or a container loaded with goods into a high-rise building so that goods can be stored and shi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상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 컨테이너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erform storage and delivery of container goods inside the building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터 야적장에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warehousing and warehousing of goods without having a separate lighting device in the container y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상조건 악화시나 야간에 건물 내부에서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by allowing goods to be stored and shipped from inside the building at night or during bad weather condi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를 엘리베이터 탑승카 내부에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loading and unloading of containers inside an elevator c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탑재 및 적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load and unload a plurality of containers by allowing containers to move horizontally inside a boarding c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심에서 지상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치,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물류터미널 빌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container logistics terminal building system capable of stack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while minimizing the ground area in the city cen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수용하여 승강통로를 형성하는 벽체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탑승카 및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의 전,후,좌,우 4방향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각각 구비되어, 승객, 화물 또는 컨테이너가 4방향에서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탑승카의 바닥면 하부에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ur-way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ing car for passengers to board or load cargo, and a counterweight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And, a wall for accommoda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to form an elevator passage, a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and a traction sheave for lif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by the wire rope. In a rope-type high-speed elevator, elevator doors are provided in four direction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car, so that passengers, cargo, or containers can enter and exit from four directions, and the bottom of the floor of the boarding car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containe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lifting the container to a certain height.

또한 상기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는, 탑승카의 하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구비되어 롤러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 컨베이어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승카의 바닥면에,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각 롤러들이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includes a lower fram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car, a hydraulic cylinder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 hydraulic pump for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A roller conveyor comprising a base frame provided above the hydraulic pump and supporting the roller conveyor,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a chain connecting them, and the roller convey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tangular opening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ing car to allow each roller of the roller conveyor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상기 탑승카는, 20피트 또는 40피트 컨테이너 1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컨테이너 폭에 대응되도록 2열 또는 4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boarding car is formed to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one 20-foot or 40-foot container, and the openings are provided in two or four row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승강통로 벽체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와 제2 카운터웨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탑승카와 제1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로프와, 상기 탑승카와 제2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nterweight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and a second counterweight respectively disposed at one corner of the wall of the hoistway, and the wire rope includes a first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first counterweight,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cond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 탑승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 탑승카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 탑승카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 상기 제2 카시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 제1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제1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is fixed to a first rope fix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is a first car shea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 The first upper shea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the second upper sheav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the second car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The first traction sheave and the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are sequentially wound, and then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또한 상기 제2 와이어 로프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 탑승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 탑승카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 탑승카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 상기 제2 카시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 제2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제2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is fixed to a first rope fix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is a first car shea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 The first upper shea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the second upper sheav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the second car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unterweight after being sequentially wound on the second traction sheave and the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nterweight.

또한 상기 제1 트랙션 시브와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 사이, 제2 트랙션 시브와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 사이에, 제1 중간시브와 제2 중간시브가 더 구비되고,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와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 사이의 상부에, 제3 중간시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intermediate sheave and a second intermediate sheave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ction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and between the second tract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 At the upper part between the weight sheav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intermediate sheave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는, 전방도어, 후방도어, 좌측도어, 우측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도어 및 후방도어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고, 상기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는,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door is composed of a front door, a rear door, a left door, and a right door,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are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ft door and the right door are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또한 상기 탑승카의 승강통로 벽체 안쪽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되어, 별도의 기계실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of the hoistway of the boarding car, so that a separate machine room is omitted.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상부에 기계실이 구비되고, 상기 기계실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chine room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and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또한 상기 벽체는, 콘크리트 구조물, 밀폐식 또는 노출식의 철골구조로 구성되어, 도심에서 지상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치,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물류터미널 빌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l is composed of a concrete structure, a closed or exposed steel structur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implement a container logistics terminal building system capable of stack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while minimizing the ground area in the city center. .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승강통로 벽체의 일측 한쪽에 배치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와 제2 카운터웨이트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로프가 상기 탑승카(10)와 제1 카운터웨이트(C1)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로프와, 상기 탑승카와 제2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weight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and a second counterweight disposed on one side of a wall of the hoist passageway, and a wire rope is used to connect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irst counter we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rst wire rope connecting the weight (C1) and a second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는, 상기 탑승카가 20피트 컨테이너 4대나 40피트 컨테이너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각 컨테이너 폭에 대응되도록 4열 또는 8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ur-way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ing car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four 20-foot containers or two 40-foot containers, and the opening is the width of each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4 columns or 8 columns to correspond to.

본 발명에 의하면, 빈 컨테이너 또는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층건물 내부로 직접 운반하여 물품을 컨테이너에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pty container or a container loaded with goods can be directly transported into a high-rise building, and goods can be stored in and out of the container.

이로써, 기상조건 및 주야간에 구애받지 않고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quickly performing the warehousing and warehousing of goods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and day and night.

특히 우천시나 강설시, 강한 바람이 부는 등 기상조건이 악화된 경우에도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tore and ship goods even when weather conditions deteriorate, such as during rain, snowfall, or strong wind.

또한 건물 내부에서 물품의 입고 및 출고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rehousing and warehousing of goods is performed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또한 물품의 제조가 완료된 건물 내부에서 컨테이너에 직접 수출 물품을 입고할 수 있고, 수입된 물품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직접 출고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xport goods can be stored directly in containers from inside the building where manufacturing is completed, and goods can be directly shipped from containers at places where imported goods are needed, which greatly improves work efficiency. there is.

또한 물품의 입고 및 하역 작업이 건물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야간작업을 위해 컨테이너 야적장에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goods storage and unloading work is performed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an effect that a separate lighting device is not required in the container yard for night work.

또한 엘리베이터 탑승카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일정 거리 승강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카 내부에 컨테이너를 쉽게 적재하고 하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can be raised and lowered a certain distance inside the elevator boarding car and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loading and unloading the container inside the boarding car.

또한 엘리베이터 탑승카 내부에서 컨테이너를 일정 거리 승강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카를 초대형으로 제작하여 복수의 컨테이너를 한꺼번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can be raised and lowered a certain distance inside the elevator car and moved horizontally,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containers can be transported at once by manufacturing a super-large car.

또한 평상시에는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가 탑승카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승객용 또는 일반 화물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is not exposed from the bottom of the boarding car at normal times,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assengers or general cargo.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가 4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컨테이너를 탑승카에 쉽고 편리하게 탑재하고 하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door is provided in four directio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aine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loaded and unloaded from the boarding car.

또한 야적장에 적재된 컨테이너에서 물품 도난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item theft accident in a container loaded in an open storage yard.

또한 주차타워처럼 컨테이너 타워를 구축하여 컨테이너를 보관하면, 좁은 면적에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a container tower is built like a parking tower to store containers, there is an effect of loading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in a small area.

특히 도심에서 지상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치, 보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컨테이너 물류 터미널 빌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realizing a new concept container logistics terminal building system that can stack and store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while minimizing the ground area in the city cent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2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2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핑 방식을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식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에이터의 로핑 방식을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에이터의 로핑 방식을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wo-way doorway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wo-way doorway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four-way doorway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plan view of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brief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 roping method of a 4-way entry/exit type rope 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illustrating a roping method of a 4-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ping method of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ping method of a 4-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도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C)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C)를 수용하여 승강통로를 형성하는 벽체(6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W)와, 상기 와이어 로프(W)에 의해 탑승카(10) 및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각각 구비되어, 승객, 화물 또는 컨테이너가 4방향에서 입출이 가능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4 to 10,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weight balance between a boarding car 10 in which passengers can board or load cargo, and the boarding car 10. A counterweight (C) for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C), a wall 60 for accommoda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C to form an elevator passage, and a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 W) and a traction sheave 2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by the wire rope W,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car 10 ,Elevator doors are provided in four directions, left and right, so that passengers, cargo or containers can enter and exit from four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탑승카(10)의 바닥면(10e) 하부에 컨테이너(A)를 일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50)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elevating and transferring device 50 capable of simultaneously moving the container A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elevating the container A to a certain height below the bottom surface 10e of the boarding car 10.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5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카(10)의 하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58)과, 상기 하부 프레임(58)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유압실린더(51)와, 상기 유압실린더(51)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펌프(52)와, 상기 유압펌프(52)의 상부에 구비되어 롤러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54)을 구비한다.Her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50 includes a lower frame 58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lower frame 58 A hydraulic cylinder 51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a hydraulic pump 52 for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51, and a base fram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ydraulic pump 52 to support the roller conveyor. (54)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5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4)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 컨베이어(55)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5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er conveyor 55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54 and a chain 57 connecting them. and a drive motor 56 for driving the roller conveyor 55.

그리고 상기 탑승카(10)의 바닥면(10e)에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55)의 각 롤러들이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 개구부(59)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rectangular openings 59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10e of the boarding car 10 to allow each roller of the roller conveyor 55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즉 상기 개구부(59)의 개수 및 위치는, 롤러 컨베이어(55)를 구성하는 각 롤러의 개수 및 위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That is,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openings 59 are the same as the number and position of each roller constituting the roller conveyor 55 .

상기한 구조에 의해,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컨테이너(A)를 탑승카(10) 내부에 쉽게 탑재 및 하역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container A can be easily loaded and unloaded inside the boarding car 10 using a forklift or the like.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55)를 탑승카의 바닥면(10e)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시킨 후, 상기 롤러 컨베이어(55)를 구동시킴으로써 컨테이너(A)를 탑승카(10) 내부에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after protruding the roller conveyor 55 from the bottom surface 10e of the boarding car at a certain height, the container A is moved inside the boarding car 10 by driving the roller conveyor 55. can be easily moved from

또한 상기 롤러 컨베이어(55)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각 롤러의 상면이 바닥면(10e)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roller conveyor 55 is not operated, the upper surface of each roller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0e.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승객용 또는 일반 화물용 엘리베이터로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assenger or general cargo elevator.

또한 상기 탑승카(10)는, 20피트 또는 40피트 컨테이너(A) 1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바닥면의 개구부(5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A) 폭에 대응되도록 4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arding car 10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one 20-foot or 40-foot container A, and the opening 59 on the bottom surface is, as shown in FIG. 4, the container A ) is preferably provided in four rows to correspond to the width.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닥면 개구부(59)의 배치 열수는 증감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rows of the bottom opening 59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그리고 상기 카운터웨이트(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통로 벽체(6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C1)와 제2 카운터웨이트(C2)로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FIG. 9 , the counterweight (C)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C1) and a second counterweight (C2) respectively disposed at one corner portion of the hoistway wall (60).

상기한 카운터웨이트의 배치구조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벽체(60)의 크기도 최소화할 수 있다. Due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unterweigh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wall 60 while no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W)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10)와 제1 카운터웨이트(C1)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로프(W1)와, 탑승카(10)와 제2 카운터웨이트(C2)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로프(W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ire rope (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rst wire rope (W1)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irst counterweight (C1), and the boarding car It is composed of a second wire rope (W2) connecting (1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2).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W1)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2), 탑승카(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3),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4), 상기 제2 카시브(S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20c),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된다.Here,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a first upper sheave (S2)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first car sheave (S2) provid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2 Upper sheave (S3), a second car sheave (S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 first traction sheave (20c) provided on the top of the second car sheave (S4), and a first counter After being sequentially wound on the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C1,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그리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로프(W2)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2), 탑승카(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3),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4), 상기 제2 카시브(S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20d),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top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a first upper sheave (S2)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first car sheave (S2) provid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2 Upper sheave (S3), a second car sheave (S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 second traction sheave (20d) provided on the top of the second car sheave (S4), and a second counter After being sequentially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C2,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또한 상기 제1 트랙션 시브(20c)와 제1 카운터웨이트(C1) 시브 사이, 제2 트랙션 시브(20d)와 제2 카운터웨이트(C2) 시브 사이에, 제1 중간시브(S5)와 제2 중간시브(S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 시브는,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7)와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9)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7)와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9) 사이의 상부에, 제3 중간시브(S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traction sheave (20c) and the first counterweight (C1) sheave, between the second traction sheave (20d)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2) sheave, the first intermediate sheave (S5)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heave A sheave (S6) is further provided, and the counterweight sheave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sheave (S7) and a second counterweight sheave (S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S7)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intermediate sheave (S8)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sheaves (S9).

상기 중간시브들에 의해 탑승카와 경사지게 배치된 카운터웨이트를 와이어로프에 의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By means of the intermediate sheaves, it is possible to stably connect the boarding car and the obliquely disposed counterweight with a wire rope.

참고로 도 9와 도 10은 각 시브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실제 시브의 설치위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For reference,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rope is wound around each sheave, and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actu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heave.

본 발명은, 2대의 트랙션 시브와 2개의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여, 컨테이너가 탑재된 대형의 탑승카(1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traction sheaves and two counterweights, so that a large boarding car 10 equipped with a container can be moved up and down stably.

상기 트랙션 시브는, 구동모터와 브레이크 등을 구비한 시브로서, 정,역회전에 의해 탑승카(10)를 승강시킨다.The traction sheave is a sheave equipped with a driving motor and a brake, and raises and lowers the boarding car 10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또한 제1 트랙션 시브(20c)와 제2 트랙션 시브(20d)는 동기화 장치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In addition, the first traction sheave 20c and the second traction sheave 20d are simultaneously driven by a synchronization device.

도면에는 상기 트랙션 시브(20)가 승강통로(60) 상부의 기계실(도시 생략)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트랙션 시브(20)가 구비되는 기계실의 위치는 승강통로의 하부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traction sheave 20 is shown as being disposed in a machine room (not shown) above the hoistway 60. there is.

또한 기계실을 생략하고 상기 트랙션 시브(20)를 승강통로의 내부에 직접 배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room may be omitted and the traction sheave 20 may be disposed directly inside the hoisting passage.

상기 트랙션 시브(20) 및 동기화장치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traction sheave 20 and the synchronizer itself are known technologi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는, 전방도어(D1), 후방도어(D2), 좌측도어(D3), 우측도어(D4)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도어(D1) 및 후방도어(D2)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고, 상기 좌측도어(D3) 및 우측도어(D4)는 수직방향으로 개폐된다.In addition,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ont door (D1), a rear door (D2), a left door (D3), and a right door (D4), and the front door (D1) and the rear door (D2) ar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ft door (D3) and the right door (D4)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방도어(D1) 및 후방도어(D2)가 수직 개폐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도어(D3) 및 우측도어(D4)가 수평 개폐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ront door D1 and the rear door D2 may be configured as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types, and the left door D3 and right door D4 may be configured as horizontal opening and closing types.

또한 도면에는 수평 개폐식 도어는 6개, 수직 개폐식 도어가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어의 개수는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six horizontally opening and closing doors and thre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doors are shown in the drawings, the number of doors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예컨대 수평 개폐식 카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4개, 6개, 8개로 구성될 수 있고, 수직 개폐식 카도어 및 승강장 도어는 2개, 3개,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four, six, or eight horizontally retractable car doors and landing doors may be configured, and two, three, or four vertically retractable car doors and landing doors may be configured.

그리고 각 승강장 도어 및 카도어의 폭은, 작업상황을 고려하여 20피트 또는 49피트 규격의 컨테이너의 길이 및 폭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each platform door and car door is slightly larg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a 20-foot or 49-foot container in consideration of work conditions.

또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반이 탑승카(10)의 승강통로 벽체(60) 안쪽에 구비되어, 별도의 기계실이 생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s provided inside the hoistway wall 60 of the boarding car 10 so that a separate machine room is omitted.

상기 제어반과 탑승카(10)의 하부는 트래블링 케이블(Travelling Cable)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The control panel and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raveling cable.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은, 탑승카(10)의 구동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U자형을 이루면서 탑승카(10)와 함께 승강한다.The traveling cable is a cable for transmitting driving and control signals of the boarding car 10, and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boarding car 10 while forming a U shape.

한편,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지하에 기계실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반을 상부의 기계실 또는 지하의 기계실에 설치할 수도 있다. Meanwhile, a machine room may be provided above or below the hoistway, and the control panel may be installed in the above machine room or the underground machine room.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를 구성하는 벽체(6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폐식 또는 노출식의 철골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all 60 constituting the hoisting passage of the elevator may be formed of a concrete structure, or may be composed of a closed or exposed steel frame structure.

통상적인 컨테이너는 실외 야적장에 적재되므로, 우천시나 강설시 또는 강풍이 불 경우에는 물품을 컨테이너에 입고하거나 컨테이너로부터 출고하는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Since a typical container is loaded in an outdoor storage yard, it is difficult to store goods in or out of the container in case of rain, snow, or strong wind.

즉 기상조건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컨테이너 작업을 하기가 곤란하고,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 야간작업시 어려움이 있다.That is, when the weather conditions are not good, it is difficult to work with the container, and it is difficult to work at night if a separate lighting device is not provided.

또한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쌓아 적재하므로, 지게차로 적재할 수 있는 높이가 2단 정도에 불과하고, 그 이상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오버헤드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있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containers are stacked and loaded vertically, the height that can be loaded with a forklift is only about two levels, and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n overhead crane is required to load more than that.

또한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겹쳐서 높이 쌓아 올리는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afety problems may occur when containers are piled high with an overhead crane.

또한 컨테이너를 다량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넓은 야적장을 마련해야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store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a large yard must be prepared.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 자체를 엘리베이터에 직접 탑재하여 공장 내부로 운반한 다음, 품품의 제조라인에서 컨테이너에 물품을 직접 입고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itself can be directly mounted on an elevator and transported inside the factory, and then the product can be directly stored in the container on the product manufacturing line.

또한 수입물품의 경우에는, 해당 물품을 필요로 하는 건물 내부의 제조라인으로 컨테이너를 운반하여 물품을 바로 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orted goods, the goods can be immediately shipped out by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the manufacturing line inside the building that requires the goods.

이로써 외부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물품을 컨테이너에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고, 야간에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goods can be stored in and out of the container regardless of external weather conditions, and work can be performed even at night.

이에 따라 컨테이너 물품의 입고 및 출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torage and delivery time of container goods and greatly improve work efficiency.

또한 주차타워처럼 철골 구조물을 높게 구축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게 되면, 각 층에 컨테이너를 다량으로 적재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a steel structure is built high like a parking tower and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can be loaded on each floor.

즉 좁은 면적에서 높은 위치까지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부지가 좁은 공장에서도 다량의 컨테이너를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That is, since containers can be loaded from a small area to a high position,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can be stored even in a factory with a small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지게차 등과 같은 작업차도 탑재할 수 있으므로, 고층건물에서도 컨테이너를 쉽게 적재 및 운반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work vehicle such as a forklift can be mounted, it is possible to easily load and transport containers even in a high-rise building.

또한 고층의 철골 구조물 내부에 컨테이너를 보관하게 되면, 고가의 물품에 대한 도난사고의 우려를 해소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tainer is stored inside the high-rise steel fr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concerns about theft of expensive items.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고층 구조물에 설치하게 되면, 도심에서 지상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치, 보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컨테이너 물류 터미널 빌딩 시스템을 구현할 수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igh-ris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new concept container logistics terminal building system capable of stack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while minimizing the ground area in the city center.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카운터웨이트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고, 와이어로프의 로핑방식을 변경한 것이다.11 and 12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unterweight is changed and the roping method of the wire rope is changed in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운터웨이트(C1)와 제2 카운터웨이트(C2)가 승강통로 벽체(60)의 한쪽에 모두 배치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first counterweight C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2 are bot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istway wall 60 .

그리고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W1)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2'), 상기 제2 카시브(S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3'), 상기 제1 상부시브(S3')와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4'), 상기 제2 상부시브(S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3 카시브(S5'),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4 카시브(S6'), 상기 제4 카시브(S6')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20c), 제1 중간시브(S7'), 제2 중간시브(S8'),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9'),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중간시브(S10'),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11')에 차례로 감긴 후,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the boarding car.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 10, a second car sheave (S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S2'). A first upper sheave (S3') provided in the first upper sheave (S3') and a second upper sheave (S4')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while being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sheave (S4') The third car seat (S5')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fourth car seat (S6')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ourth car seat (S6') The first traction sheave (20c), the first intermediate sheave (S7'), the second intermediate sheave (S8'),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S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 the third intermediate sheave (S1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S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그리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W1)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2'), 상기 제2 카시브(S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3'), 상기 제1 상부시브(S3')와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4'), 상기 제2 상부시브(S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3 카시브(S5'),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4 카시브(S6'), 상기 제4 카시브(S6')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트랙션 시브(20d), 제1 중간시브(S7'), 제2 중간시브(S8'),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9'), 제2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중간시브(S10'),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11')에 차례로 감긴 후,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top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The first car seat (S1')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second car seat (S2')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second car seat (S2') A first upper sheave (S3') provided on the upper side, a second upper sheave (S4')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the first upper sheave (S3'),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sheave (S4') A third car-sive (S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 fourth car-sive (S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ourth car-sive (S6') The second traction sheave (20d), the first intermediate sheave (S7'), the second intermediate sheave (S8'),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 S9 '), the third intermediate sheave (S1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S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Then,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그 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o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탑승카(10)의 크기를 20피트 컨테이너 4대나 40피트 컨테이너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 것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size of the boarding car 10 is formed to accommodate four 20-foot containers or two 40-foot containers.

여기서 탑승카(10)의 바닥면(10e)에 구비되는 개구부(59)는, 각 컨테이너(A) 폭에 대응되도록 4열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Here, the openings 59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0e of the boarding car 1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four row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each container A.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탑승카 10a, 10b, 10c, 10d: 탑승카 도어
10e: 탑승카 바닥면 12: 상부 프레임(Frame)
14: 트래블링 케이블(Travelling Cable)
20: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20a: 제1 로프고정부
20b: 제2 로프고정부 20c: 제1 트랙션 시브
20d: 제2 트랙션 시브 30a, 30b, 30c, 30d: 승강장 도어
4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50: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
51: 유압실린더 52: 유압펌프
53: 유압호스 54: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55: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56: 구동모터 57: 체인(Chain)
58: 하부 프레임 59: 개구부
60: 벽체 70: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
90: 제어반
A: 컨테이너(Container) C: 카운터웨이트
C1: 제1 카운터웨이트 C2: 제2 카운터웨이트
D1: 전방도어 D2: 후방도어
D3: 좌측도어 D4: 우측도어
Sa: 제1시브(Sheave) Sb: 제2시브
S1: 제1 카시브(Car Sheave) S2: 제1 상부시브
S3: 제2 상부시브 S4: 제2 카시브
S5: 제1 중간시브 S6: 제2 중간시브
S7: 제1 카운터웨이트시브 S8: 제3 중간시브
S9: 제2 카운터웨이트시브 W: 와이어로프(Wire Rope)
W1: 제1 와이어로프 W2: 제2 와이어로프
10: boarding car 10a, 10b, 10c, 10d: boarding car door
10e: Boarding car bottom 12: Upper frame
14: Traveling Cable
20: Traction Sheave 20a: First rope fixing part
20b: second rope fixing part 20c: first traction sheave
20d: second traction sheave 30a, 30b, 30c, 30d: landing door
40: Counterweight 50: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51: hydraulic cylinder 52: hydraulic pump
53: hydraulic hose 54: base frame
55: Roller Conveyor
56: drive motor 57: chain
58 lower frame 59 opening
60: wall 70: guide frame
90: control panel
A: Container C: Counterweight
C1: first counterweight C2: second counterweight
D1: front door D2: rear door
D3: left door D4: right door
Sa: 1st Sheave Sb: 2nd Sheave
S1: First Car Sheave S2: First Upper Sheave
S3: second upper sheave S4: second car sheave
S5: first intermediate sheave S6: second intermediate sheave
S7: first counterweight sheave S8: third intermediate sheave
S9: second counterweight sheave W: wire rope
W1: first wire rope W2: second wire rope

Claims (14)

삭제delete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C)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C)를 수용하여 승강통로를 형성하는 벽체(6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W)와, 상기 와이어 로프(W)에 의해 탑승카(10) 및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각각 구비되어, 승객, 화물 또는 컨테이너가 4방향에서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탑승카(10)의 바닥면(10e) 하부에 컨테이너(A)를 일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5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컨테이너 승강 및 이송장치(50)는,
상기 탑승카(10)의 하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58)과,
상기 하부 프레임(58)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유압실린더(51)와,
상기 유압실린더(51)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펌프(52)와,
상기 유압펌프(52)의 상부에 구비되어 롤러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54)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54)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 컨베이어(55)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5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승카(10)의 바닥면(10e)에, 상기 롤러 컨베이어(55)의 각 롤러들이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 개구부(59)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 boarding car 10 for passengers to board or load cargo, a counterweight C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10, and a counterweight C for the boarding car 10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wall 60 accommodating to form an elevator passage, the wire rope W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and the wire rope W. In a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omprising a traction sheave 20 for
Elevator doors are provided in four directions,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boarding car 10, so that passengers, cargo, or containers can enter and exit from four directions,
A container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50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bottom surface 10e of the boarding car 10 to lift the container A to a certain height and simultaneously move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ferring device 50,
A lower frame 58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car 10;
Hydraulic cylinders 51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58,
A hydraulic pump 52 for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51;
A base frame 54 provided above the hydraulic pump 52 to support the roller conveyor;
A roller conveyor 55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54 at regular intervals and a chain 57 connecting the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motor 56 for driving the roller conveyor 55,
A container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0e) of the boarding car (10), characterized in that rectangular openings (59)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each roller of the roller conveyor (55) protrudes at a certain height. 4-way entry/exit rope-type high-speed elev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는, 20피트 또는 40피트 컨테이너(A) 1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9)는, 컨테이너(A) 폭에 대응되도록 2열 또는 4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boarding car 10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one 20-foot or 40-foot container (A),
The opening 59 is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mount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wo or four rows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tainer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는, 20피트 컨테이너 4대나 40피트 컨테이너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9)는, 각 컨테이너(A) 폭에 대응되도록 4열 또는 8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boarding car 10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four 20-foot containers or two 40-foot containers,
The opening 59 is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mounting container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four or eight row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each container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C)는, 승강통로 벽체(6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C1)와 제2 카운터웨이트(C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로프(W)는,
상기 탑승카(10)와 제1 카운터웨이트(C1)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로프(W1)와, 상기 탑승카(10)와 제2 카운터웨이트(50)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로프(W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ounterweight (C)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C1) and a second counterweight (C2) respectively disposed at one corner of the hoistway wall (60),
The wire rope (W),
A first wire rope (W1)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irst counterweight (C1) and a second wire rope (W2)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50 A four-way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W1)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2), 탑승카(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3),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4), 상기 제2 카시브(S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20c),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로프(W2)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2), 탑승카(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3),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4), 상기 제2 카시브(S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20d),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5,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top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first upper sheave (S2)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 The second upper sheave S3 provid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second car sheave S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S4 A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top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after being sequentially wound around the provided first traction sheave 20c and the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fixed on,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top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first upper sheave (S2)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 The second upper sheave S3 provid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second car sheave S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S4 The second traction sheave (20d) provided, and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top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after being sequentially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A four-way entry/exit rope-type high-speed elevator that can mount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션 시브(20c)와 제1 카운터웨이트(C1) 시브 사이, 제2 트랙션 시브(20d)와 제2 카운터웨이트(C2) 시브 사이에, 제1 중간시브(S5)와 제2 중간시브(S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 시브는,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7)와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9)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7)와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9) 사이의 상부에, 제3 중간시브(S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6,
Between the first traction sheave (20c) and the first counterweight (C1) sheave, between the second traction sheave (20d)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2) sheave, the first intermediate sheave (S5)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heave (S6) is further provided,
The counterweight sheave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sheave (S7) and a second counterweight sheave (S9),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 type capable of mount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intermediate sheave (S8)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S7)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S9) high-speed elev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C)는, 승강통로 벽체(60)의 일측 한쪽에 배치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C1)와 제2 카운터웨이트(C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로프(W)는,
상기 탑승카(10)와 제1 카운터웨이트(C1)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로프(W1)와, 상기 탑승카(10)와 제2 카운터웨이트(50)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로프(W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ounterweight (C) is composed of a first counterweight (C1) and a second counterweight (C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ist passage wall (60),
The wire rope (W),
A first wire rope (W1)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irst counterweight (C1) and a second wire rope (W2)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50 A four-way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W1)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2'), 상기 제2 카시브(S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3'), 상기 제1 상부시브(S3')와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4'), 상기 제2 상부시브(S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3 카시브(S5'),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4 카시브(S6'), 상기 제4 카시브(S6')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20c), 제1 중간시브(S7'), 제2 중간시브(S8'),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9'),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중간시브(S10'),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S11')에 차례로 감긴 후, 제1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 로프고정부(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W1)의 타단은, 상기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 카시브(S1'),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카시브(S2'), 상기 제2 카시브(S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상부시브(S3'), 상기 제1 상부시브(S3')와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제2 상부시브(S4'), 상기 제2 상부시브(S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탑승카(1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3 카시브(S5'), 탑승카(10)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4 카시브(S6'), 상기 제4 카시브(S6')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트랙션 시브(20d), 제1 중간시브(S7'), 제2 중간시브(S8'),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9'), 제2 카운터웨이트(C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중간시브(S10'),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S11')에 차례로 감긴 후, 제2 카운터웨이트(C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로프고정부(20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8,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fixed to a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 10, a second car sheave (S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S2'). A first upper sheave (S3') provided in the first upper sheave (S3') and a second upper sheave (S4')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while being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sheave (S4') The third car seat (S5')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fourth car seat (S6')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ourth car seat (S6') The first traction sheave (20c), the first intermediate sheave (S7'), the second intermediate sheave (S8'),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S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 the third intermediate sheave (S1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S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unterweight C1,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20a) provided on the top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 first car sheave (S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 10, a second car sheave (S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r sheave (S2'). A first upper sheave (S3') provided in the first upper sheave (S3') and a second upper sheave (S4')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while being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sheave (S4') The third car seat (S5')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10, the fourth car seat (S6')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ing car 10, and the fourth car seat (S6') The second traction sheave (20d), the first intermediate sheave (S7'), the second intermediate sheave (S8'),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S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 the third intermediate sheave (S1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S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20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unterweight (C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는,
전방도어(D1), 후방도어(D2), 좌측도어(D3), 우측도어(D4)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도어(D1) 및 후방도어(D2)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고,
상기 좌측도어(D3) 및 우측도어(D4)는,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or door,
It consists of a front door (D1), a rear door (D2), a left door (D3), and a right door (D4),
The front door (D1) and the rear door (D2)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eft door (D3) and the right door (D4) are four-way entry and exit rope-type high-speed elevators capable of mounting contai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승강통로 벽체(60) 안쪽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되어 별도의 기계실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s installed inside the hoistway wall 60 of the boarding car 10, so that a separate machine room is omitted.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지하에 기계실이 구비되고,
상기 기계실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A machine room is provided above or below the elevator hoistway,
A four-way entry/exi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mount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6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어 도심에서 지상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치,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물류터미널 빌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The wall 60 is formed of a concrete structure and is capable of implementing a container logistics terminal building system capable of stack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while minimizing the ground area in the city center. Rope-type high-speed elevator for entry and exit.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60)는, 밀폐식 또는 노출식의 철골구조로 구성되어 도심에서 지상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컨테이너를 적치,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물류터미널 빌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The wall 60 is composed of a closed or exposed steel frame structure, so that a container logistics terminal building system capable of stack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while minimizing the ground area in the city center can be implemented. 4-way in/out type rope-type high-speed elevator that can be mounted
KR1020220168343A 2022-12-06 2022-12-06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KR102494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343A KR102494569B1 (en) 2022-12-06 2022-12-06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343A KR102494569B1 (en) 2022-12-06 2022-12-06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569B1 true KR102494569B1 (en) 2023-02-06

Family

ID=8522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343A KR102494569B1 (en) 2022-12-06 2022-12-06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5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87B1 (en) * 2023-11-08 2024-0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Inclined elevator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entrance doors and location of machine room without restri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5762A1 (en) * 2005-06-24 2008-05-28 Ning Zhang A space storing/park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a space storing system for container, a container dock and a load-unload method at the container dock
KR102204157B1 (en)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Self-driving type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5762A1 (en) * 2005-06-24 2008-05-28 Ning Zhang A space storing/park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a space storing system for container, a container dock and a load-unload method at the container dock
KR102204157B1 (en)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Self-driving type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87B1 (en) * 2023-11-08 2024-0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Inclined elevator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entrance doors and location of machine room without restri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569B1 (en) Rope type high speed elevator having 4 directional doors and capable of carriying container
KR102204157B1 (en) Self-driving type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KR102215908B1 (en) Super-size lift having counterweight and plural rack and pinion and emergency stop safety apparatus
KR0128483B1 (en) Automatically high-raised parking system
CN111392528A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goods elevator and control method
JP2528994B2 (en) Vehicles for building structures and passenger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methods for traveling passenger transportation facilities
CN211998305U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goods lift
KR102204160B1 (en)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KR102443566B1 (en) Big size and super big size elevator to prevent fall of vertical type door panel and to shorten opening and closing time of door panel
JP2002364203A (en) Elevator type multistory parking facility
JPH0977212A (en) Method for carry-in and carry-out of vehicle to be transported
JP3994458B2 (en) Operation method of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fer device
CN218088676U (en) Tower crane
JP2932301B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KR102673049B1 (en) Distribution tower system of putting-in and putting-out the plural goods by a turntable on the freight elevator and the distribution tower of putting-in and putting-out the plural goods by the turntable on the freight elevator
JP4136898B2 (en) Simultaneous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KR102402799B1 (en)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JP3608677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JP2578010Y2 (en) Elevator parking device with transfer device
JP4670314B2 (en) Three-dimensional storage
JP3011805B2 (en) Intermediate entry type elevator parking system
JP4329099B2 (en) Parking equipment
EP0107381A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H0472287A (en) Elevator device for construction
JPH03197775A (en) Mechanical solid parking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