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799B1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Google Patents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2799B1 KR102402799B1 KR1020220007199A KR20220007199A KR102402799B1 KR 102402799 B1 KR102402799 B1 KR 102402799B1 KR 1020220007199 A KR1020220007199 A KR 1020220007199A KR 20220007199 A KR20220007199 A KR 20220007199A KR 102402799 B1 KR102402799 B1 KR 102402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ing car
- sheave
- car
- counterweight
- ma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08 gea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실과 승강로 구조물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방식의 승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W)와, 상기 와이어 로프(W)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일단이 상기 제어반과 연결되어 탑승카(10)와 함께 승강하는 트래블링 케이블(9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양측에, 2대의 마스트(M)가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M)는 증설이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승강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직접 장착되고, 상기 각 마스트(M)의 일측에, 탑승카(1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7)이 구비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40)가 상기 마스트(M)의 어느 한쪽 내부에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for rope-type boarding cars having a twin mast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nd a hoistway structure. hav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arding car 10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r cargo, a boarding car door provided in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car 10, and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10 A counterweight 40 for, a plurality of wire ropes (W)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40,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car by the wire rope (W), and the boarding In the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for a rope-type boarding car comprising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car (10), and a traveling cable (910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boarding car (10), the Two masts M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arding car 10 , and the mast M is configured in a modular type that can be expanded,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levator is directly mounted, and a guide rail 17 for guid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boarding car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mast M, and the counterweight 40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mast 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in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로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기에서 구동부를 탑승카 자체에 탑재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제어반을 탑승카 자체 또는 임의의 위치에 분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탑승카 승강로 구조물를 구축할 필요가 없도록 한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riving high-load elevator with a twin mast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nd a hoistway structure.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with twin-mast structure that eliminates the need to install a machine room, allows the control panel to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vehicle itself or at any location, and eliminates the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hoistway structure for the vehicle. it's about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In general, an elevator is installed in a high-rise building, etc. to transport people or cargo to a desired floor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승강기는, 권상기와 제어반이 승강로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부형, 권상기와 제어반이 승강로 또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머신룸리스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Such an elevator can be divided into a machine room upper type in which a hoisting machine and a control panel are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a machine roomless type in which a hoisting machine and a control panel are installed on a hoistway or a guide rail, and the like.
그리고 승강기가 설치되는 건물에는, 탑승카가 승강하기 위한 승강로 구조물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And, in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a hoistway structure for the boarding car to go up and down is essentially provided.
도 1은 탑승카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종래 승강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카도어(14) 및 후방 카도어(15)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 카(1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W)와,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vator in which the passenger car door i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상기 트랙션 시브(20)는, 건물 상부의 기계실 또는 승강로 구조물 내에 제어반과 함께 설치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탑승카(10)를 승강시킨다.The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는 2개의 탑승카 시브(S1, S2)가 구비되고, 카운터웨이트(C)의 상면에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3)가 구비된다.In addition, two boarding car sheaves (S1, S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한 구조의 승강기에서, 와이어 로프(W)의 일단은, 탑승카(10) 상부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로프 고정부(F1)에 의해 고정되고, S1 → S2 → 트랙션 시브→S3에 차례로 로핑된 후, 타단은 승강로 구조물 내의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된다.In the elevator of the above structure, one end of the wire rope (W) is fixed by a rope fixing part (F1)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bove the
상기 각 시브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W)는 통상 여러 가닥이 사용되며, 와이어 로프의 가닥수는 승강기의 적재 하중에 따라 증감된다. The wire rope (W) wound around each sheave is usually used in several strands, the number of strands of the wire rope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load load of the elevator.
상기한 구조의 승강기에서 트랙션 시브(20)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10)가 승강로 구조물을 따라 승강하게 되고, 카운터웨이트(40)는 상기 탑승카(1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When the
한편 도 2는, 종래의 로프식 승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rope-type elevator.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승강기는, 와이어 로프(W)가 감긴 트랙션 시브(31a)를 구동하는 구동부(31)와, 상기 와이어 로프(W)를 안내하는 중간시브(33)와, 탑승카(1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이, 승강로(P)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30) 내부에 설치된다.The conventional elevator shown in FIG. 2 includes a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승강기는, 승강로(P)의 상부에 구동부(31) 및 제어반(32)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실(30)을 구비하여야 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should have a
이로써 공사비가 증가되고, 승강기의 설치시간이 지연된다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and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elevator is delayed.
또한 각종 공사현장에서 작업자 및 장비의 운반을 위해 건설용 승강기를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 승강로(P)의 상부에 구비된 기계실(30)로 인하여 승강기의 승강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construction elevator is temporarily installed to transport workers and equipment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it is difficult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of the elevator due to th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계실이 없는 머신룸리스(Machine Room Less) 승강기를 제안한 바 있다.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machine roomless (Machine Room Les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s shown in FIG. 3 .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머신룸리스 승강기는, 승강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1)를 탑승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고, 제어반(32)을 승강로 벽체의 측면에 설치한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shown in FIG. 3, the
상기한 머신룸리스 승강기에 의하면, 승강로(P)의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achine roomless elevator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P).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머신룸리스 승강기는, 승강로(P)의 상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is difficult to install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riving unit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P).
또한 승강기의 운행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perating height of the elevat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actively respond.
한편, 고층빌딩의 건축시에는 작업자 및 각종 건축자재를 필요한 층으로 수송하기 위해 건설용 리프트(Lift)가 사용되고 있는데, 도 4는 이러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a high-rise building, a lift for construction is used to transport workers and various building materials to a required floor, and FIG. 4 show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lift for construction.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스트(Mast)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작업자, 자재 및 장비 등을 필요한 층으로 수송한다. The conventional lift (L) for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st structur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ransports workers, materials and equipment to the required floor.
상기 마스트(M) 구조물은 다수의 마스트 유닛(Mast unit)을 수직방향으로 조립하여 설치되며, 마스트 구조물의 높이를 증가시킬 때에는, 새로운 마스트 유닛을 추가로 조립한다. The mast (M) structure is install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mast uni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en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mast structure, a new mast unit is additionally assembled.
즉, 맨 위쪽의 마스트 유닛 상부에 새로운 마스트 유닛을 조립하여 마스트 구조물의 높이를 점차 높여나간다.That is, by assembling a new mast unit on top of the top mast unit, the height of the mast structure is gradually increased.
상기 마스트(M) 구조물의 일측면에는, 랙(Rack)(11)이 설치되고, 리프트(L)에는 이와 대응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12)가 구비된다.On one side of the mast (M) structure, a rack (Rack) 11 is installed, and the lift (L)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Pinion Gear) 12 corresponding thereto.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12)를 구동시켜 리프트(L)가 상기 랙(11)을 타고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rive the
그런데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ft for construction using a rack and pin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진동과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고속으로 운행할 수 없으며 고장이 잦다.First, it generates a lot of vibration and noise, cannot operate at high speed, and has frequent breakdowns.
즉 종래의 리프트는, 피니언 기어가 랙을 타고 승강하는 방식이므로, 기어의 접촉과정에서 진동과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최대속도가 약 60m/min 정도에 불과하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lift, since the pinion gear rides up and down on a rack, a lot of vibration and noise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gears, and the maximum speed is only about 60 m/min.
이에 따라 다수의 작업자 및 자재의 수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리프트의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공사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Accordingly,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port a large number of workers and materials, and construction is often delayed due to frequent breakdowns of lifts.
이러한 문제점은 다수의 작업자 및 자재를 공급해야 하는 초고층 빌딩 공사 현장의 경우에 더욱 심각해진다.This problem becomes more serious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 where a large number of workers and materials must be supplied.
둘째, 리프트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Second,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lift.
즉 종래의 리프트는, 피니언이 랙을 타고 승강하는 방식이므로, 용량을 약 3톤 이상으로 제작하기가 어렵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lift, since the pinion is raised and lowered on a rack,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with a capacity of about 3 tons or more.
이에 따라 종래의 리프트는, 소수 인원만 탑승할 수 있고, 고중량의 건축자재나 장비를 수송하기가 어렵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lift can only board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heavy construction materials or equipment.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스트(M) 구조물의 상부에 타워 크레인을 설치하여 대형 및 고중량의 자재를 인양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공사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To solve this, a tower cran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st (M) structure to lift large and heavy materials, and 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cost is greatly increased.
셋째, 리프트의 승강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고,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에 있는 다수의 작업자들이 지상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가 없다.Third, there i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lift process, and in case of an emergency, a large number of workers in high floors cannot quickly evacuate to the ground.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는 임시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에 소홀해질 우려가 있고, 이로써 리프트의 승강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Since the conventional lift for construction is temporarily installed, there is a fear that safety may be neglected, and thu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n the elevating process of the lift.
또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리프트 운행 전담 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 safety manager in charge of lift operation should be assigned.
넷째, 리프트의 구동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에 비해 2배 이상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고, 기어유의 사용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며, 유지보수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Fourth, when driving the lift, more than twice the driving force is required compared to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 is polluted by the use of gear oil, and maintenance costs are high.
한편, 마스트 구조물의 상부에 시브를 설치하고 하부에 윈치(Winch)를 설치하여, 한 가닥의 와이어 로프를 와이어 드럼에 감는 방식으로 소형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방식도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elevating a small lift by installing a sheave on the upper part of the mast structure and installing a winch on the lower part, and winding a single wire rope on a wire drum, has also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식은, 진동과 소음은 감소시킬 수 있지만, 랙 및 피니언 방식의 종래의 리프트가 지닌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above, although vibration and noise can be reduced, cannot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ift of the rack and pinion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승강기 및 리프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실과 승강로 구조물가 필요없는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s and lift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driven elevator for a rope-type passenger car having a mast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chine room and a hoistway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 구조물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승강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elevator to be installed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riving unit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hoistway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층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승강기의 운행높이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고, 현장의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승강기의 승강높이를 쉽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increase the operating height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a high-rise building, and to easily increase or decrease the elevator height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i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실 설치에 따른 고소 위험작업을 제거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eliminating the high-altitude risk work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machine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에 전가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a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e maintenance cost due to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설치 및 철거에 따르는 시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elev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유의 사용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use of gear oi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동력을 절반 이하로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탄소 발생을 줄이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riving power by half or less to save energy and reduce carbon emis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의 적재용량에 따라 구동부를 단동식 또는 2 이상의 복수 구동식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and apply a driving unit to a single acting type or two or more multiple driving types according to the loading capac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외에 설치되는 승강기가 강풍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elevator installed outdoors from being affected by strong wind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일단이 상기 제어반과 연결되어 탑승카와 함께 승강하는 트래블링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는, 건물 벽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2대의 마스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카의 전방에는 전방 카도어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카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는 전방 카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마스트는 증설이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조립 및 해체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직접 장착되고, 상기 각 마스트의 외부 일측에, 탑승카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는 마스트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의 맞은편에 보조 가이드 레일이 더 구비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상기 마스트의 어느 한쪽 내부에서 승강하고,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제1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제1 트랙션 시브와, 제2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제2 트랙션 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 및 제2 트랙션 시브는, 탑승카 상면의 일측에 일렬로 구비되어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마스트는, 상기 탑승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건물 벽체에 고정되는 서포트 브라켓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에 로핑되는 제1 와이어 로프의 일단은, 마스트 상부의 제1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탑승카 상면에 구비되는 탑승카 시브,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중간시브를 거친 제1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 상부에 구비된 제2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트랙션 시브에 로핑되는 제2 와이어 로프의 일단은, 마스트 상부의 제3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탑승카 상면에 구비되는 탑승카 시브,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중간시브를 거친 제2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 상부에 구비된 제4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arding car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r cargo, boarding car door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car, and a counterweight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A plurality of wire ropes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car by means of the wire rope,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boarding car, and a traveling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to ascend and descend together with the boarding car In the self-driving high-load elevator of the rope-type boarding car comprising is provided with a rear car door, a doo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car doo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and the mast is configured in a modular type that can be expanded, and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n be increased b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It is an adjustable structur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levator is direct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ssenger car,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passenger car is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each mast, any one of the guide rails is lateral from the mast A driving unit which is provided protruding to, and an auxiliary guide rail is furth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rail protruding to the side, the counterweight is raised and lowered in either side of the mast, and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A first traction sheave on which the first wire rope is wound, and a second traction sheave on which the second wire rope is wound, the first traction sheave and the second traction sheave are arranged in a lin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A first wire rope provided and rotated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er, wherein the mast is respectively fixed to support bracket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car and fixed to the building wall, and is roped to the first traction sheave One end of the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mas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is a boarding car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two intermediate sheave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After the first traction sheav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intermediate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are sequentially roped, it is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is sequentially roped in a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 intermediate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d a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One end of a second wire rope fixed to a second fixing unit provided on the mast upper part and roped to the second traction sheave is fixed to a third fixing unit above the mas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is boarded After being sequentially roped to the boarding car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two intermediate sheave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the second traction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and the intermediate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the counter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is sequentially to a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 intermediate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d a counterweight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fter being rop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fourth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은, 트래블링 케이블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풍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풍부재는, 탑승카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각형상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트래블링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트래블링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롤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트래블링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의 개방폭은, 트래블링 케이블이 커버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래블링 케이블의 폭보다 작고,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ndbreak member for preventing the traveling cable from being affected by strong wind, wherein the windshield member includes a rectangular cover body vertic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arding car, an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It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for lifting and lowering together with the traveling cable, and a horizontal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to guide the traveling cab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lifting member, wherein the lifting member is spaced in the center A pair of vertical plates provided vertically with a an upper wheel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 a lower plate provided horizontally under the vertical plate, and lower wheels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plate,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traveling A pair of guide rollers for guiding the cables are provided, respectively, a pair of side guide rollers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guide rollers, and a traveling cable is drawn out from one side of the cover body. A vertical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opening width of the vertical groov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raveling cable and larger than the thickness to prevent the traveling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body. do it wi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카의 상면에 구동부를 직접 탑재함으로써, 승강로 구조물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mounting the driving un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hoistway structure.
또한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계실 설치에 따른 고소 위험작업을 제거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upper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eliminating the high-altitude dangerous work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machine room.
또한 2대의 마스트 사이에 탑승카가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승강로 구조물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arding car is disposed between the two mast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hoistway structure.
또한 제어반을 탑승카 자체에 탑재할 수도 있고, 이를 분리하여 임의의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rol panel can be mounted on the boarding car itself, and it can be separated and freely placed in any position.
또한 승강로 구조물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를 설치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승강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levator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at a site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driving unit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hoistway structure.
또한 고층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승강기의 운행높이를 쉽게 증설할 수 있고, 현장의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승강기의 운행높이를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height of the elevator can be easi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high-rise building,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ng height of the elevator can be simply increased or decreased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ite.
또한 승강기의 이설이 용이하고, 설치 및 철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move the elevato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rten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time.
특히 승강기의 철거시에, 철거 높이에 따라 운행높이를 안전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ng height can be safely lower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moval when the elevator is being dismantled.
또한 구동부와 제어반이 탑승카 자체에 탑재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panel are mounted on the vehicle itself,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simplifying maintenance work.
또한 케이블 방풍부재에 의해 풍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fluence of the wind load can be minimized by the cable windproof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safety.
특하 돌발적인 돌풍에 의해 트래블링 케이블이 주변장치에 걸려 파손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when the traveling cable is caught and damaged by a peripheral device due to a sudden gust of wind.
또한 권상기의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건물 입주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building occupants due to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traction machine.
또한 본 발명은, 랙 및 피니언을 이용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when compared to a conventional lift for construction using a rack and pinion.
첫째, 랙과 피니언을 사용하지 않고 로프로 탑승카를 승강시키므로, 소음과 진동이 없이 정숙하게 운행할 수 있다.Firs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quietly without noise and vibration since the vehicle is raised and lowered with a rope without using a rack and pinion.
둘째, 운행속도가 종래의 리프트에 비해 2∼5배 빠르므로 수송효율이 높고, 소요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Second, since the operating speed is 2 to 5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lift, the transport efficiency is high and the power required can be greatly reduced.
셋째, 기어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다.Third, since gear oil is not used, there is no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넷째, 숙련된 운전자 없이도 승강기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Fourth, the elevator can be safely operated without an experienced driver.
다섯째, 기계실이 없으므로 수직하중을 줄일 수 있고, 철골 기초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Fifth, since there is no machine room, the vertical load can be reduced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steel frame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승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승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머신룸리스 승강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용 승강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용 승강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용 승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용 승강기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용 승강기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용 승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와이어 로핑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방풍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풍부재의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풍부재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사시도.1 is a view showing a rope-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ope-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pe-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5 is a plan view of a high-load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for high lo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igh-load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high-load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high-load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igh-load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ire roping method in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break member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break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break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 to 7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W)와, 상기 와이어 로프(W)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일단이 상기 제어반과 연결되어 탑승카(10)와 함께 승강하는 트래블링 케이블(9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양측에 2대의 마스트(M)가 수직으로 설치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arding
또한 상기 마스트(M)는 증설이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st (M) is configured in a modular type that can be expanded.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승강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직접 장착되고, 상기 마스트(M)는, 건물 벽체(18)에 근접하여 상기 탑승카(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levator is direct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상기 마스트(M)는, 서포트 브라켓(18a)에 의해 건물 벽체(18)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st (M) is preferably fixed to the building wall (18) by the support bracket (18a).
또한 상기 각 마스트(M)의 일측에는, 탑승카(1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7)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7) 중 어느 하나는 마스트(M)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17)의 맞은편에 보조 가이드 레일(17a)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 any one of the guide rails 17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mast M to the side, and the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는 전방 카도어(14)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카도어(15)가 구비되며, 건물의 각 층에는 승강장 도어(16)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상기 전방 카도어(14), 후방 카도어(15) 및 승강장 도어(16)는, 각각 수직형도어 또는 수평형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카도어(14)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지지부재(19)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a
그리고 상기 마스트(M)의 하부는, 하부 피트(50)에 고정되거나, 기초 위에 고정될 수 있다. And the lower part of the mast M, may be fixed to the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는 구동부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랙션 시브(S14)와 제2 트랙션 시브(S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 경우 상기 2개의 트랙션 시브(20)는, 탑승카(10) 상면의 일측에 일렬로 구비되어,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In this case, the two
상기 동기화장치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ynchronization device itself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트랙션 시브는 2대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ction sheave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그리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S14)에 로핑되는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마스트(M) 상부의 제1 고정부(F1)에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that is roped to the first traction sheave (S14)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F1) of the upper mast (M).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타단은, 탑승카(10) 상면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S12, S13),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S14),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5)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the intermediate sheave (S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또한 상기 중간시브(S15)를 거친 제1 와이어 로프(W1)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16),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7),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18)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M) 상부에 구비된 제2 고정부(F2)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S15) is a counterweight sheave (S1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타단은, 탑승카(10) 상면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1개의 디플렉터 시브,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S14),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5)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n intermediate sheave S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또한 상기 제2 트랙션 시브(S24)에 로핑되는 제2 와이어 로프(W2)의 일단은, 마스트(M) 상부의 제3 고정부(F3)에 고정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that is roped to the second traction sheave (S24) is fixed to the third fixing part (F3) of the upper part of the mast (M).
그리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타단은, 탑승카(10) 상면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S22, S23),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S24),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5)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the intermediate sheave (S2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또한 상기 중간시브(S25)를 거친 제2 와이어 로프(W2)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26),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7),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28)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M) 상부에 구비된 제4 고정부(F4)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S25) is a counterweight sheave (S2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타단은, 탑승카(10) 상면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1개의 디플렉터 시브,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S24),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5)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an intermediate sheave S2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상기한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에서, 트랙션 머신(Traction Machine)에 의해 제1 트랙션 시브(S14) 및 제2 트랙션 시브(S24))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10)가 양쪽 마스트(M)의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승강한다. When the first traction sheave (S14) and the second traction sheave (S24)) are rotated forward and reverse by a traction machine in the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of the rope-type boarding car of the above structure, the boarding car 10 ) elevates along the guide rails 17 provided on one side of both masts (M).
또한 와이어 로프(W)에 의해 탑승카(10)와 연결된 카운터웨이트(40)는, 마스트(M) 내부에서 상기 탑승카(10)와 반대로 승강한다.In addition, the
이로써 지상의 작업자 또는 장비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건물 내부에서 각 층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workers or equipment on the ground can be moved to a desired floor, and it is possible to move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each floor.
본 발명은, 통상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건물 내부의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벽체(18)의 외부에 구비되는 2대의 마스트(M) 사이에 탑승카(10)가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ing
이에 따라 별도의 기계실과 승강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and a hoistway,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승강기의 이설 및 증설이 자유롭고, 특히 고층건축물의 건설 높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증설이 매우 용이해진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nd extension of the elevator is free, and in particular, the extension of the elevator becomes very eas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height of a high-rise building.
즉 마스트(M)의 조립 및 해체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가 있고,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승강기를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That is,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n be easily adjusted by assembling and dismantling the mast M,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 at a site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driving unit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elevator passage.
또한 랙과 피니언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리프트(도 4 참조)에 비해, 진동과 소음이 없이 정숙하게 운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lift driven by a rack and pinion (see FIG. 4 ), it can operate quietly without vibration and noise.
또한 종래의 리프트에 비해 운행속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송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구동 동력도 절감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ng speed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ift, the transpor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driving power can be reduced.
또한 리프트의 경우와 같이 안전운행을 위해 리프트 운전자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a lif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rrange a lift operator for safe operation.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 및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8 and 11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마스트(M) 및 구동부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고, 와이어 로핑 방식을 변경한 것이다.The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for the rope-type boarding c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mast (M) and the driv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and changing the wire roping method.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마스트(M)가 건물 벽체(18)에 근접 설치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상기 탑승카(10)의 중앙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다.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 M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the boarding
또한 2개의 트랙션 시브(20)는, 탑승카(10) 상면의 중앙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In addition, the two
2개의 와이어 로프가 구비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와이어 로프(W)가 사용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W)의 일단은 마스트(M) 상부의 제1 고정부(F1)에 고정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wo wire ropes are provi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ne wire rope (W) is used, and one end of the wire rope (W) has a first fixing part ( F1) is fixed.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프(W)의 타단은,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S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S5, S6),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S2),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7)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W), the first traction sheave (S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또한 상기 중간시브(S7)를 거친 와이어 로프(W)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시브(S3a),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3b),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3c)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M) 상부에 구비된 제2 고정부(F2)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W)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S7), the counterweight sheave (S3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와이어 로프(W)의 타단은,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S1),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리플렉터 시브(S4),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S2)에 차례로 로핑된 후, 중간시브(S7)를 거쳐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W), the first traction sheave (S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2대의 마스트(M)가 탑승카(10)의 중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탑승카의 적재용량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wo masts M have a structure that stably supports the center of the boarding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2 to 15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방풍부재(800)를 더 구비한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Travelling Cable)(910)은, 제어반(도시 생략)과 탑승카(200)에 구비되는 정션박스(도시 생략)를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탑승카(200)와 함께 승강한다.The traveling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9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D)과 두께(t)를 갖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수십 가닥의 전선이 구비되어 탑승카(200)의 조명, 통신, 각종 안전장치 및 제어장치에 대한 신호를 전달한다. As shown in FIG. 12 , the traveling
본 발명에 따른 방풍부재(800)는, 탑승카(200)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810)와, 상기 커버본체(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91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820)와, 상기 탑승카(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820)를 따라 승강하는 트래블링 케이블(910)을 정션박스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즉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910)은, 사각통 형상으로 구비된 커버본체(810)의 내부에서 승강부재(820)와 함께 승강한다. That is, the traveling
상기한 구조에 의해,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ve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8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 사이에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826)를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 the lifting
또한, 상기 승강부재(820)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82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824)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823)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8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ifting
여기서, 상기 상부 휠(824) 및 하부 휠(825)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 및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에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상부 휠(824) 및 하부 휠(82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810)의 네 모서리를 타고 승강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해, 승강부재(820)가 커버본체(81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lifting
상기 승강부재(820)의 상부 플레이트(822)의 양 측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가 각각 구비된다.A pair of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는, 그 사이로 직사각형 형태의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된다.That is, the pair of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롤러(828)가 더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9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또한, 상기 커버본체(810)의 일측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811)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a
이에 따라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910)은, 상기 수직홈(811) 통해 커버본체(8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승강할 수가 있다. Accordingly, the traveling
이때, 상기 수직홈(811)의 개방폭(d)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블링 케이블(810)의 폭(D)보다 작고,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width d of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해,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승강할 때 커버본체(8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veling
또한, 탑승카(200)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홈(811)으로부터 인출되는 트래블링 케이블(910)을 정션박스에 안내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920)는, 수직홈(811)의 개방폭(d)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한 구조에 의해, 시브(823)를 통과한 직사각형 단면의 트래블링 케이블(910)은, 상기 수직홈(811)을 통과하면서 수직 상태가 되고, 이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920)의 내부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traveling
종래의 옥외용 승강기는 상기 트래블링 케이블이 노출되어 있어, 초속 20 내지 30m/sec 정도의 강풍이 불 경우, 옥외용 승강기를 운행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outdoor elevator, the traveling cable is exposed, and when a strong wind of about 20 to 30 m/sec per second blows, it becomes virtually impossible to operate the outdoor elevator.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초속 50m/sec의 강풍이 불더라도 승강기를 운행할 수가 있고, 돌발적인 강풍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vator even when a strong wind of 50 m/sec per second blow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damage to the cable due to a sudden strong win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ut also to the case of installing an elevator inside the building.
10: 탑승카
11: 랙(Rack) 12: 피니언(Pinion)
14: 전방 카도어(Car Door) 15: 후방 카도어
16: 승강장 도어 17: 가이드 레일(Guide Rail)
17a: 보조 가이드 레일 18: 건물 벽체
18a: 서포트 브라켓(Support Bracket) 19: 도어 지지부재
20: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30: 기계실
31: 구동부 31a: 트랙션 시브
32: 제어반 33: 중간 시브
4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50: 하부 피트(Pit)
800: 방풍부재 810: 커버본체
811: 수직홈 820: 승강부재
821: 수직 플레이트(Plate) 822: 상부 플레이트
823: 하부 플레이트 824: 상부 휠(Wheel)
825: 하부 휠 826: 시브(Sheave)
827: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828: 측면 가이드 롤러
910: 트래블링 케이블(Travelling Cable)
920: 수평 가이드부재
F1: 제1 고정부 F2: 제2 고정부
F3: 제3 고정부 F4: 제4 고정부
L: 리프트(Lift) M: 마스트(Mast)
P: 승강로 S1: 제1 트랙션 시브
S2: 제2 트랙션 시브 S3a: 카운터웨이트 시브
S3b: 중간 시브 S3c: 카운터웨이트 시브
S4: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
S5, S6: 중간 시브
S11: 탑승카 시브 S12, S13: 중간 시브
S14: 제1 트랙션 시브 S15: 중간 시브
S16, S18: 카운터웨이트 시브 S17: 중간 시브
S21: 탑승카 시브 S22, S23: 중간 시브
S24: 제2 트랙션 시브 S25: 중간 시브
S26, S28: 카운터웨이트 시브 S27: 중간 시브
W1: 제1 와이어 로프(Wire Rope)
W2: 제2 와이어 로프10: boarding car
11: Rack 12: Pinion
14: Front Car Door 15: Rear Car Door
16: Platform door 17: Guide Rail
17a: auxiliary guide rail 18: building wall
18a: support bracket (Support Bracket) 19: door support member
20: Traction Sheave 30: Machine Room
31:
32: control panel 33: intermediate sheave
40: Counterweight 50: Lower Pit
800: windproof member 810: cover body
811: vertical groove 820: elevating member
821: vertical plate (Plate) 822: upper plate
823: lower plate 824: upper wheel (Wheel)
825: lower wheel 826: sheave
827: guide roller 828: side guide roller
910: Traveling Cable (Travelling Cable)
920: horizontal guide member
F1: first fixing part F2: second fixing part
F3: third fixing part F4: fourth fixing part
L: Lift M: Mast
P: hoistway S1: first traction sheave
S2: second traction sheave S3a: counterweight sheave
S3b: Medium Sheave S3c: Counterweight Sheave
S4: Deflector Sheave
S5, S6: middle sheave
S11: vehicle sheave S12, S13: intermediate sheave
S14: first traction sheave S15: intermediate sheave
S16, S18: counterweight sheave S17: medium sheave
S21: vehicle sheave S22, S23: intermediate sheave
S24: second traction sheave S25: intermediate sheave
S26, S28: counterweight sheave S27: medium sheave
W1: First Wire Rope
W2: second wire rope
Claims (16)
상기 탑승카(10)는, 건물 벽체(18)의 외부에 구비되는 2대의 마스트(M)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는 전방 카도어(14)가 구비되고, 후방에는후방 카도어(16)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카(10)의 상부에는 전방 카도어(14)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지지부재(19)가 구비되고,
상기 마스트(M)는 증설이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조립 및 해체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직접 장착되고,
상기 각 마스트(M)의 외부 일측에, 탑승카(1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7)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7) 중 어느 하나는 마스트(M)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17)의 맞은편에 보조 가이드 레일(17a)이 더 구비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40)가 상기 마스트(M)의 어느 한쪽 내부에서 승강하고,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제1 와이어 로프(W1)가 감기는 제1 트랙션 시브(S14)와, 제2 와이어 로프(W2)가 감기는 제2 트랙션 시브(S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S14) 및 제2 트랙션 시브(S24)는, 탑승카(10) 상면의 일측에 일렬로 구비되어 동기화장치에 의해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마스트(M)는, 상기 탑승카(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건물 벽체(18)에 고정되는 서포트 브라켓(18a)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S14)에 로핑되는 제1 와이어 로프(W1)의 일단은, 마스트(M) 상부의 제1 고정부(F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 로프(W1)의 타단은, 탑승카(10) 상면에 구비되는 탑승카 시브(S1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S12, S13),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트랙션 시브(S14),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5)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되며,
상기 중간시브(S15)를 거친 제1 와이어 로프(W1)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16),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17),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18)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M) 상부에 구비된 제2 고정부(F2)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트랙션 시브(S24)에 로핑되는 제2 와이어 로프(W2)의 일단은, 마스트(M) 상부의 제3 고정부(F3)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 로프(W2)의 타단은, 탑승카(10) 상면에 구비되는 탑승카 시브(S21),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2개의 중간시브(S22, S23), 탑승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트랙션 시브(S24),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5)에 차례로 로핑된 후, 카운터웨이트(40)와 연결되며,
상기 중간시브(S25)를 거친 제2 와이어 로프(W2)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26),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시브(S27),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28)에 차례로 로핑된 후, 마스트(M) 상부에 구비된 제4 고정부(F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A boarding car 10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r cargo, boarding car door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counterweight 40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10 And, a plurality of wire ropes (W) connecting the boarding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40,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car by the wire rope (W), and controlling the boarding car (10) In the rope-type boarding car self-driving high-load elevator comprising a control panel for
The boarding car 10 is installed between two masts M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all 18,
A front car door 14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oarding car 10, and a rear car door 16 is provided at the rear,
A door support member 19 for supporting the front car door 1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arding car 10,
The mast (M) is configured in a modular type that can be expanded,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or by assembly and disassembl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levator is direct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A guide rail 17 for guid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boarding car 10 is provided on one external side of each mast M,
Any one of the guide rails 17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side from the mast M, and an auxiliary guide rail 17a is further provided opposite the guide rail 17 protruding to the side,
The counterweight 40 ascends and descends inside either side of the mast (M),
The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A first traction sheave (S14) on which the first wire rope (W1) is wound, and a second traction sheave (S24) on which the second wire rope (W2) is wound is configured,
The first traction sheave (S14) and the second traction sheave (S24) are provided in a lin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and rotate at the same speed by a synchronizer,
The mast (M) is respectively fixed to the support brackets (18a)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car (10) and fixed to the building wall (18),
One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that is roped to the first traction sheave (S14)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F1) of the upper part of the mast (M),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is a boarding car sheave (S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two intermediate sheaves (S12, S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the boarding car After the first traction sheave (S1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10) and the intermediate sheave (S15)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are sequentially roped, it is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40,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W1)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S15), the counterweight sheave (S1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40), the intermediate sheave (S17) provided on the counterweight (40) ), after being sequentially roped to a counterweight sheave (S1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40,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F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st (M),
One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that is roped to the second traction sheave (S24) is fixed to the third fixing part (F3) of the upper part of the mast (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is a boarding car sheave (S2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two intermediate sheaves (S22, S2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10, the boarding car The second traction sheave (S2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10) and the intermediate sheave (S25)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car are sequentially roped, and then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4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rope (W2)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ermediate sheave (S25) is a counterweight sheave (S2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40, an intermediate sheave provided on the counterweight 40 ( S27), the machine room and the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after being sequentially roped to the counterweight sheave (S2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40) and fixed to the fourth fixing part (F4)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st (M) A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with a twin-mast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structure.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풍부재(8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풍부재(800)는,
마스트(M)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커버본체(810)와,
상기 커버본체(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91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820)와,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820)를 따라 승강하는 트래블링 케이블(910)을 정션박스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820)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 사이에 구비되어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826)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82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의 네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부 휠(824)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823)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하부 휠(82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의 양 측면에,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롤러(828)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본체(810)의 일측에,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8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811)의 개방폭(d)은, 트래블링 케이블(910)이 커버본체(8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래블링 케이블(910)의 폭(D)보다 작고,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The method of claim 1,
A windbreak member 800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traveling cable 910 from being affected by strong winds,
The windproof member 800,
A cover body 810 of a rectangular shape provid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mast (M),
A lifting member 82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810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traveling cable 910,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and includes a horizontal guide member 920 for guiding a traveling cable 910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elevating member 820 to the junction box,
The lifting member 820 is,
A pair of vertical plates 821 provided vertically with an interval in the center;
A sheave 826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plates 821 so that the traveling cable 910 is wound;
an upper plate 822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821;
An upper wheel 824 that is inclin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plate 822,
a lower plate 823 provided horizontally under the vertical plate 821;
It includes a lower wheel 825 that is inclin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plate 823,
A pair of guide rollers 827 for guiding the traveling cable 910 to pas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822, respectively,
A pair of side guide rollers 828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guide rollers 827,
On one side of the cover body 810, a vertical groove 811 through which the traveling cable 910 is drawn out and ascends and descends is formed,
The opening width (d) of the vertical groove (811) is smaller than the width (D) of the traveling cable (910) in order to prevent the traveling cable (9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body (810), and the thickness ( t) A self-driven, high-load elevator with twin mast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nd a hoistwa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that of 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199A KR102402799B1 (en) | 2022-01-18 | 2022-01-18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199A KR102402799B1 (en) | 2022-01-18 | 2022-01-18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2799B1 true KR102402799B1 (en) | 2022-05-30 |
Family
ID=8179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199A Active KR102402799B1 (en) | 2022-01-18 | 2022-01-18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279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83437A (en) * | 2024-05-20 | 2024-06-14 | 河南省双行线建筑智能化工程有限公司 | Lifting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with adjustab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2346A (en) * | 1999-06-22 | 2001-01-09 | Hitachi Ltd | Rope elevator and rope elevator system |
KR101923924B1 (en) | 2018-02-02 | 2018-11-30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elevator of high speed and heavy road and mast structure for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 |
KR102204157B1 (en) | 2020-07-27 | 2021-01-18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Self-driving type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
KR102308534B1 (en) | 2021-06-01 | 2021-10-05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2022
- 2022-01-18 KR KR1020220007199A patent/KR1024027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2346A (en) * | 1999-06-22 | 2001-01-09 | Hitachi Ltd | Rope elevator and rope elevator system |
KR101923924B1 (en) | 2018-02-02 | 2018-11-30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elevator of high speed and heavy road and mast structure for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 |
KR102204157B1 (en) | 2020-07-27 | 2021-01-18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Self-driving type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
KR102308534B1 (en) | 2021-06-01 | 2021-10-05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83437A (en) * | 2024-05-20 | 2024-06-14 | 河南省双行线建筑智能化工程有限公司 | Lifting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with adjust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1568B2 (en) |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 |
KR101923924B1 (en) | Rope type elevator of high speed and heavy road and mast structure for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 | |
US6305499B1 (en) |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 |
KR102215908B1 (en) | Super-size lift having counterweight and plural rack and pinion and emergency stop safety apparatus | |
KR102308534B1 (en)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JP2004504239A (en) | Elevator equipment using the smallest building space | |
CN111874780B (en) | High-speed elevator decompression kuppe | |
KR102402799B1 (en)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
CN111232799B (en) | Mobile operation platform traction system and machine room-free elevator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2378202B1 (en) | Rope and single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twin car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
WO2020142001A1 (en) | A moveable platform | |
KR20030020969A (en) | Elevator device | |
KR102629387B1 (en) | Inclined elevator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entrance doors and location of machine room without restriction | |
KR101923925B1 (en) | Rope type elevator apparatus of high speed and heavy road and mast structure equipped with crane for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 | |
JPH0530758B2 (en) | ||
JPH01267286A (en) | Home elevator | |
KR102402802B1 (en) | Rope type heavy load elevator having plural traction machine and modularized machine room | |
JP2620123B2 (en) | Temporary lift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work | |
KR102481947B1 (en) | Machine room exposed inclined elevator including a floor guide module in the upper platform | |
JP2505628B2 (en) | Double deck elevator | |
KR102443566B1 (en) | Big size and super big size elevator to prevent fall of vertical type door panel and to shorten opening and closing time of door panel | |
EP4486678A1 (en) | An elevator construc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 |
JP2003201074A (en) | Elevator containment rescue method and apparatus | |
JP4994949B2 (en) | Lifting device for elevator parking device | |
KR102566304B1 (en)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