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523B1 - 치료용 전기 자극기 - Google Patents

치료용 전기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523B1
KR102494523B1 KR1020200079701A KR20200079701A KR102494523B1 KR 102494523 B1 KR102494523 B1 KR 102494523B1 KR 1020200079701 A KR1020200079701 A KR 1020200079701A KR 20200079701 A KR20200079701 A KR 20200079701A KR 102494523 B1 KR102494523 B1 KR 10249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reatment
coupler
chuck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66A (ko
Inventor
허민
김성철
이호영
김영준
홍아름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20007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5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용 전기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된 치료용 침구로 인해 시술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치료용 침구의 열을 손실없이 환자의 심부병소에 높은 효율로 전달할 수 있어 상기 치료용 침구를 이용한 치료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화침치료와 뜸치료 중 어느 하나의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시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료용 전기 자극기{Therapeutic electric stimulator}
본 발명은 가열된 치료용 침구로 인해 시술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치료용 침구의 열을 손실없이 환자의 심부병소에 높은 효율로 전달할 수 있어 상기 치료용 침구를 이용한 치료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화침치료와 뜸치료 중 어느 하나의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시술을 할 수 있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침이란 굵은 침을 가열하여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신속히 자입발침함으로써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전통적인 한의학적 치료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화침은 현대에 와서 기존에 치료하던 비증,나력, 옹저 등의 질환 뿐만 아니라 내과, 부인과, 외관과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가능하며, 임상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자의 각 경혈에 침을 시술하고, 침이 시술된 자리에 뜸을 놓아 경혈에 대한 시술효과가 크게 향상되도록 함과 더불어 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뜸을 통해 침이 시술된 자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침뜸시술용구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5610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5610호 등으로 제안된 침을 자입한 후 침체를 불로 직접 가열하여 병소에 열자극을 전달하는 새로운 방식의 침법은 인대와 섬유성 관절낭, 건을 비롯한 치밀결합조직 손상과 조직의 섬유화와 비후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5610호 등으로 제안된 침은 대게 시술자가 직접 손으로 환자에게 시술하는 방식으로서, 불로 시술자가 직접 가열한 침체가 시술자의 표피의 피부나 근육측에 불필요하게 먼저 접촉하게 되어 침체의 열이 환자가 아닌 시술자에게 전달됨에 따라 시술자에게 화상 우려 및 환자의 심부 병소에 침체의 열이 소량으로 전달되어 치료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56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가열된 치료용 침구로 인해 시술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치료용 침구의 열을 손실없이 환자의 심부병소에 높은 효율로 전달할 수 있어 상기 치료용 침구를 이용한 치료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화침치료와 뜸치료 중 어느 하나의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시술을 할 수 있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치료용 침구가 수용된 침구수용부와; 상기 침구수용부의 외부방향으로 치료용 침구를 인출시키는 침구인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치료용 침구는 상기 침구수용부에 수용되는 화침 또는 상기 침구수용부에 수용되는 뜸봉이 구비되는 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침구수용부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치료용 침구가 수용되며, 상부에 노브가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구인출부는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에 상부가 수용되는 척과; 상기 척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1결합구와, 상기 제 1결합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2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결합구와; 상기 척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구의 제 1결합구의 상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결합구의 제 2결합구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몸통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인출공이 형성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노브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 내부를 관통하는 치료용 침구가 상기 캡부재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침구수용부는 측면에 노크버튼이 구비되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치료용 침구가 수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구인출부는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에 상부가 수용되는 척과; 상기 척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1결합구와, 상기 제 1결합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2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결합구와; 상기 척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구의 제 1결합구의 상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결합구의 제 2결합구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몸통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인출공이 형성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통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노크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 내부를 관통하는 치료용 침구가 상기 캡부재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는 상부슬리브와; 상기 상부슬리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슬리브는 상기 하부슬리브의 내측으로 열을 발산하는 열발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슬리브의 상부에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슬리브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척의 상부에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척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캡부재의 내측 바닥면에 상기 인출공과 연통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치료용 침구가 내측을 수직관통하는 패킹부재가 수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침구수용부에 수용된 치료용 침구를 살균하는 살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슬리브 및 상기 결합구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온도감지부와,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온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열발산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열발산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와;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제 1온도감지부의 온도값과 상기 제 2온도감지부의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열발산부재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리브의 상부 외면과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 내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열발산부재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이 수직관통하는 보조슬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침구수용부에 수용된 가열된 치료용 침구를 시술자와의 접촉없이 침구인출부를 통해 상기 침구수용부의 외부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어 가열된 치료용 침구로 인해 시술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환자의 심부병소에 치료용 침구의 열이 손실없이 높은 효율로 전달될 수 있어 치료용 침구를 이용한 치료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화침치료와 뜸치료 중 어느 하나의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시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료용 전기 자극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침구수용부로부터 화침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복수의 화침이 침구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뜸의 뜸봉이 침구수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뜸의 뜸봉이 침구수용봉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하부슬리브의 상부와 척의 상부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살균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컨트롤러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치료용 전기 자극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료용 전기 자극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료용 전기 자극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침구수용부(10)와 침구인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침구수용부(10)의 내부에 치료용 침구가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침구인출부(20)는 상기 침구수용부(10)의 외부방향으로 상기 치료용 침구를 간헐적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침구수용부(10)는 일예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부재(110)와 슬리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재(110)는 상기 몸통부재(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리브(120)는 상기 몸통부재(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에 노브(121)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120)는 일예로, 상부슬리브(122)와 하부슬리브(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상부 외면에서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차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단차홈(122a)은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단차홈(122a)에 상기 노브(121)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노브(121)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단차홈(122a)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노브(121)가 필요이상으로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슬리브(123)는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상부 외면에서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차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단차홈(123a)은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단차홈(123a)에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단차홈(123a)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슬리브(122)가 필요이상으로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슬리브(123)는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측으로 열을 발산하는 열발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발산부재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고주파 유도가열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히터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의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침구인출부(20)는 일예로, 척(210), 결합구(220), 탄성부재(230) 및 캡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척(210)의 상부는 상기 슬리브(120)의 하부슬리브(123)의 하부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척(210)의 상부에는 상기 척(210)의 상부 외면에서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차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척(210)의 단차홈(210a)은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척(210)의 단차홈(210a)에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하단부는 상기 척(210)의 단차홈(210a)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하부슬리브(123)가 필요이상으로 상기 척(210)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척(210)은 열전도효율이 우수한 황동 등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구(220)는 제 1결합구(221)와 제 2결합구(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결합구(221)의 내부에 상기 척(21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결합구(221)의 하부에 인출구(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구(222)의 내부에 상기 제 1결합구(221)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제 1결합구(221)는 상기 제 2결합구(222)의 내부에 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구(222)의 하부에 인출공(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의 내측에 상기 척(21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결합구(220)의 제 1결합구(221)의 상부와 상기 슬리브(120)의 하부슬리브(123)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부재(240)의 내부에 상기 제 2결합구(222)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제 2결합구(222)는 상기 캡부재(240)의 내부에 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통부재(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240)의 하부에 인출공(2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침구수용부로부터 화침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치료용 침구(3)는 일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구수용부(10)의 슬리브(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침(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브(121)가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슬리브(122)의 상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120)의 내부에는 시술자에 의해 복수의 상기 화침(31)이 수용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화침이 침구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는 상기 상부슬리브(122)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화침(31)으로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슬리브(122)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노브(121)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210)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210) 내부를 수직관통하는 가열된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이 상기 제 1결합구(221)의 인출구(221a), 상기 제 2결합구(222)의 인출공(222a) 및 상기 캡부재(240)의 인출공(241)을 통해 상기 캡부재(240)의 하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일정길이로 인출될 수 있다.
도 7은 뜸의 뜸봉이 침구수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뜸의 뜸봉이 침구수용봉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치료용 침구(3)는 다른예로, 뜸(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료용 침구(3)를 이룰 수 있는 뜸(32)의 상부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구수용부(10)의 척(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뜸봉(32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뜸(32)의 뜸봉(321)은 시술자에 의해 상기 캡부재(240)의 인출공(241), 상기 제 2결합구(222)의 인출공(222a) 및 상기 제 1결합구(221)의 인출구(221a) 순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척(2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은 상기 척(210)으로 전도되어 상기 뜸(32)의 뜸봉(321)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슬리브(122)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노브(121)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210)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210) 내부를 수직관통하는 가열된 상기 치료용 침구(3)의 다른예인 뜸(32)의 뜸봉(321)이 상기 제 1결합구(221)의 인출구(221a), 상기 제 2결합구(222)의 인출공(222a) 및 상기 캡부재(240)의 인출공(241)을 통해 상기 캡부재(240)의 하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일정길이로 인출될 수 있다.
도 9는 하부슬리브의 상부와 척의 상부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이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상부에 경사면(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24)은 상기 몸통부재(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상부에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슬리브(123)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이 상기 척(21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척(2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척(210)의 상부에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1)은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척(210)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상기 척(210)의 상부에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캡부재(24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인출공(241)과 연통되는 수용홈(242)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42)에는 환형형상의 오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패킹부재(250)가 상기 수용홈(242)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 또는 상기 치료용 침구(3)의 다른예인 뜸(32)의 뜸봉(321)이 상기 패킹부재(250)의 내측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250)를 통해 상기 캡부재(240)의 하부방향으로 인출된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 또는 상기 치료용 침구(3)의 다른예인 뜸(32)의 뜸봉(321)을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살균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침구수용부(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 또는 상기 치료용 침구(3)의 다른예인 뜸(32)의 뜸봉(321)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30)는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 또는 상기 치료용 침구(3)의 다른예인 뜸(32)의 뜸봉(321)으로 적외선 빛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적외선 램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살균부(30)를 이룰 수 있는 적외선 램프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구수용부(10)의 슬리브(120)의 하부슬리브(123) 내면에 구비되거나 상부슬리브(1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치료용 침구(3)의 일예인 화침(31)으로 적외선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살균부(30)를 이룰 수 있는 적외선 램프는 상기 척(210)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치료용 침구(3)의 다른예인 뜸(32)의 뜸봉(321)으로 적외선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시술자의 손부위 등으로 전달되어 시술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ㅇ들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몸통부재(110), 상기 상부슬리브(122) 및 상기 결합구(220)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몸통부재(110), 상기 상부슬리브(122)는 열전도성이 낮은 테프론 등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결합구(220)는 열전도성이 낮은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종류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컨트롤러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감지부(40), 전원공급부(50), 작동스위치(60), 온도조절스위치(70), 디스플레이부재(80) 및 컨트롤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40)는 제 1온도감지부(410)와 제 2온도감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온도감지부(410)는 상기 슬리브(120)의 하부슬리브(123)의 외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몸통부재(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온도감지부(420)는 시술자가 소지할 수 있는 상기 컨트롤러(90)에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재(110)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상기 컨트롤러(90)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60)는 상기 컨트롤러(9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시술자에 의해 상기 작동스위치(60)가 ON상태로 설정될 경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50)의 전원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 공급될 수 있다.
시술자에 의해 상기 작동스위치(60)가 OFF상태로 설정될 경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고온의 열을 발산하지 못하도록 상기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스위치(70)는 상기 컨트롤러(9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스위치(70)에 의해 조절된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의 온도값 수치가 점차 커질수록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의 전원공급량 또한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스위치(70)에 의해 조절된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의 온도값 수치가 점차 낮아수록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의 전원공급량 또한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재(80)는 상기 컨트롤러(90)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값을 숫자 등의 기호로 화면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제 1온도감지부(410)의 온도값과 상기 제 2온도감지부(420)의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온도감지부(410)의 온도값과 상기 제 2온도감지부(420)의 온도값의 차이가 클 수록 상기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 공급되는 단위시간당 전원공급량 또한 점차 커져 단시간에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온도감지부(410)의 온도값과 상기 제 2온도감지부(420)의 온도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로 공급되는 단위시간당 전원공급량은 점차 줄어들어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서서히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열을 발산하고 있음을 시술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컨트롤러(90)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안내음성을 음성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스피커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가 열을 발산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는 빛을 발광 및 상기 스피커는 '열을 발산 중입니다' 등과 같은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의 열발산이 중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스피커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90)와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를 연결하는 전선 등의 전원공급라인(5)이 상기 몸통부재(110)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제자리에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상부 외면과 상기 몸통부재(110)의 상부 내면 사이에 상기 하부슬리브(123)를 이룰 수 있는 열발산부재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5)이 수직관통하는 보조슬리브(1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선 등의 전원공급라인(5)은 상기 보조슬리브(1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치료용 전기 자극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치료용 전기 자극기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노브(121) 대신에 상기 몸통부재(110)의 측면에 노크버튼(11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슬리브(122)의 상부 내측에 상기 상부슬리브(122)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마개(125)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재(110)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노크버튼(111)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210)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210) 내부를 관통하는 치료용 침구(3)가 상기 캡부재(240)의 인출공(241)을 통해 상기 캡부재(240)의 하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침구수용부(10)에 수용된 가열된 치료용 침구(3)를 시술자와의 접촉없이 침구인출부(20)를 통해 상기 침구수용부(10)의 외부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어 가열된 치료용 침구(3)로 인해 시술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환자의 심부병소에 치료용 침구(3)의 열이 손실없이 높은 효율로 전달될 수 있어 치료용 침구(3)를 이용한 치료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화침치료와 뜸치료 중 어느 하나의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시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침구수용부, 20; 침구인출부.

Claims (12)

  1.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치료용 침구가 수용되며 상부에 노브가 구비되는 슬리브로 구성되는 침구수용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에 상부가 수용되는 척과, 상기 척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1결합구 및 상기 제 1결합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2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결합구와, 상기 척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구의 제 1결합구의 상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결합구의 제 2결합구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인출공이 형성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노브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 내부를 관통하는 치료용 침구가 상기 캡부재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인출되는 침구인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2. 측면에 노크버튼이 구비되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치료용 침구가 수용되는 슬리브로 구성되는 침구수용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에 상부가 수용되는 척과, 상기 척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1결합구 및 상기 제 1결합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 2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결합구와, 상기 척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구의 제 1결합구의 상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결합구의 제 2결합구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인출공이 형성되는 캡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몸통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노크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척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기 척 내부를 관통하는 치료용 침구가 상기 캡부재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인출되는 침구인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침구는 상기 침구수용부에 수용되는 화침 또는 상기 침구수용부에 수용되는 뜸봉이 구비되는 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부슬리브와;
    상기 상부슬리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슬리브는 상기 하부슬리브의 내측으로 열을 발산하는 열발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슬리브의 상부에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슬리브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상부에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척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내측 바닥면에 상기 인출공과 연통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치료용 침구가 내측을 수직관통하는 패킹부재가 수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수용부에 수용된 치료용 침구를 살균하는 살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리브 및 상기 결합구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온도감지부와,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온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열발산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열발산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와;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열의 온도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제 1온도감지부의 온도값과 상기 제 2온도감지부의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열발산부재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리브의 상부 외면과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 내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열발산부재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이 수직관통하는 보조슬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전기 자극기.
  12. 삭제
KR1020200079701A 2020-06-30 2020-06-30 치료용 전기 자극기 KR10249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01A KR102494523B1 (ko) 2020-06-30 2020-06-30 치료용 전기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01A KR102494523B1 (ko) 2020-06-30 2020-06-30 치료용 전기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66A KR20220001566A (ko) 2022-01-06
KR102494523B1 true KR102494523B1 (ko) 2023-02-02

Family

ID=7934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01A KR102494523B1 (ko) 2020-06-30 2020-06-30 치료용 전기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5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543Y1 (ko) 2002-04-22 2002-07-26 김용필 자동 사혈침 기구
KR200323026Y1 (ko) 2003-05-06 2003-08-14 한 진 서 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침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72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KR200475610Y1 (ko) 2014-11-06 2014-12-16 정길동 침뜸시술용구
KR20190023929A (ko) * 2017-08-30 2019-03-08 이동훈 전자식 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543Y1 (ko) 2002-04-22 2002-07-26 김용필 자동 사혈침 기구
KR200323026Y1 (ko) 2003-05-06 2003-08-14 한 진 서 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침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66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523B1 (ko) 치료용 전기 자극기
KR101147397B1 (ko) 플라즈마 경혈자극장치
CN202184916U (zh) 一种电加热激光针灸装置
KR102542707B1 (ko) 수지요법을 이용한 수지 경혈 자극 장치
JP3196760U (ja) 揉み温灸器
DE60038489D1 (de) Vorrichtung zur wärmebehandlung von körpergewebe
KR101244441B1 (ko) 온열 쑥뜸기
CN211634924U (zh) 一种红外光灸疗头
KR102634209B1 (ko) 의료용 조합 자극기
CN105902391A (zh) 电磁感应热温控仪
CN204521560U (zh) 一种无烟温针灸器
CN205515532U (zh) 癌症灸疗针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20100080250A (ko) 뜸 치료기
CN208114822U (zh) 一种中医内科针灸辅助装置
KR101727629B1 (ko) 뜸 기구
KR101769392B1 (ko) 파장형 led조사기구
KR200192662Y1 (ko) 뜸기
CN209529674U (zh) 一种使用方便的电热艾灸仪
CN213911457U (zh) 一种中医针灸用加热消毒装置
KR102624167B1 (ko) 온침 및 온침장치
CN209405254U (zh) 一种单式雷火灸装置
CN213553698U (zh) 一种温针灸器
KR20040017437A (ko) 발열수단이 구비된 온열 부항기
KR20090028319A (ko) 화침 및 그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