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250A - 뜸 치료기 - Google Patents

뜸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250A
KR20100080250A KR1020080138899A KR20080138899A KR20100080250A KR 20100080250 A KR20100080250 A KR 20100080250A KR 1020080138899 A KR1020080138899 A KR 1020080138899A KR 20080138899 A KR20080138899 A KR 20080138899A KR 20100080250 A KR20100080250 A KR 2010008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exit
contact
heat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한일
Original Assignee
구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한일 filed Critical 구한일
Priority to KR102008013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0250A/ko
Publication of KR2010008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접촉되 열자극을 가하는 접촉부의 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뜸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에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접촉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진출수단과,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접촉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진출수단의 진출을 해제시키기 위한 진출해제수단과, 상기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접촉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뜸 치료기{MOXACAUTERY DEVICE}
본 발명은 뜸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접촉되 열자극을 가하는 접촉부의 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뜸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의 침구치료에서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수단으로 침이나 뜸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뜸은 침에 비하여 일반인들에 의한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부작용이 없어 많이 시술되고 있다.
뜸이라 함은 인체의 기매, 경락, 통증부위에 열을 가해 자극함으로써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있도록 한 것으로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지금가지는 주로 쑥뜸 시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약쑥을 이용한 쑥뜸 시술방법은 간접구 방식과 직접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 쑥뜸 시술시 불을 붙이기 위한 약쑥뭉치의 크기는 쌀알 절반 크기에서 쌀알 1개 크기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쑥뜸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면서 쑥뜸에 의한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열량을 발생시키면서 적절한 시간동안 열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약쑥뭉치의 크기를 적게하는 경우에는 그 취급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열량이 너무 적어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쑥의 양을 너무 많이 조절하지 못한 경우 심한 경우 화상을 입게되어 시술 자리에 반점 등과 같은 흉이 생기거나 쑥 뜸 냄새가 배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들 쑥뜸 방식들은 모두 약쑥뭉치를 태울 때 연기가 발생하며, 시술시마다 매번 약쑥뭉치에다가 불을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중에 약쑥뭉치가 넘어져 화상당할 위험성이 있었다.
특히, 쑥뜸은 노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들에 의해 많이 이용되는데, 노인의 경우 쌀알 크기의 약쑥을 손으로 잡아 시술부위에 놓고, 그 약쑥에 불을 붙이기가 매우 어려워 노인들이 직접 쑥뜸을 시술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시술 후에는 시술부위로부터 약쑥뭉치가 타고남은 재를 번거롭게 청소해 내야하고, 또한 시술 내내 시술자가 환자 곁에서 감시해야 하므로 시술자의 입장에서 많은 시간 낭비의 요소가 있어, 결국은 진료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문 의료기관에서 치료 받는 것 외의 보조적인 치료요법으로 각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나 지속적 으로 경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는 뜸 치료기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뜸 치료기가 다수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뜸 치료기는 피부에 열을 가하는 부위(접촉부)를 피부에 접촉시키고 떼어내는 과정이 경험과 시술자의 판단에 따라 이루지기 때문에 충분한 열을 피부에 가하지 못하거나 과열로 인 한 화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접촉되 열자극을 가하는 접촉부의 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뜸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에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접촉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진출수단과,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접촉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진출수단의 진출을 해제시키기 위한 진출해제수단과, 상기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접촉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에 전류가 공급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에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접촉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진출수단과,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접촉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진출수단의 진출을 해제시키기 위한 진출해제수단과, 상기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되어 상기 발열부에 전류가 공급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는 피부에 접촉되 열자극을 가하는 접촉부의 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뜸 치료기를 도시한 것으로 접촉부가 후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뜸 치료기를 도시한 것으로 접촉부가 진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뜸 치료기의 작동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뜸 치료기는 바디(1), 접촉부(2), 발열부(3), 진출수단(4), 제어부(5) 및 진출해제수단(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는 상기 접촉부(2) 등과 같은 다른 구성이 내설되거나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뜸치료를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바디(1)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 접촉부(2)를 피부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필기구와 같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2)는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상기 발열부(3)에 의해 가열되어 접촉된 피부에 열자극을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2)는 상기 바디(1)의 선단에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2)는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바디(1)의 선단 내부로 후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가 피부에 접촉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통상 쑥뜸은 약쑥이 순간적으로 타들어가면서 그 때 발생된 열로 피부에 열자극을 가하는 것이다. 그 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피부에 가해지는 열자극에 의해 좋은 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쑥뜸의 크기는 쌀알 반개 내지는 한개 크기가 적당하고 쑥뜸이 타들어가면서 최고 온도는 약60℃ 내외이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고온도가 60℃ 정도에 이르는 열이 피부에 자극을 가하면서도 쑥뜸에 의한 열자극이 피부에 심각한 화상을 입히지 않는 이유는 약쑥이 연소되는 시간이 1초 내외로 매우 짧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부(2)가 상기 발열부(3)에 의해 최고 온도가 60℃ 정도가 되도록 가열되도록 상기 제어부(4)에 의해 발열 부(3)의 발열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2)의 가열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2)는 발열부(3)에 의해 순간적을 가열되도록 비열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쑥뜸의 경우 약쑥이 순간적으로 타들어가 꺼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접촉부(2)는 피부에 접촉되었다가 순간적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제어부(5)에 의해 진출해제수단(6)이 제어된다. 상기 진출수단(3)에 의해 접촉부(2)가 진출되면서 피부에 접촉되고, 상기 발열부(3)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된 접촉부(2)의 열은 피부로 전달되게 되며, 상기 제어부(5)에 의해 상기 진출해제수단(6)이 작동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접촉부(2)는 상기 바디(1) 선단 내부로 진입되게 후진되어 피부와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쑥뜸에서 쌀알 한개 또는 쌀알 반개 크기의 약쑥뭉치가 타면서 발생시키는 발열량에 의해 피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고려하여 상기 발열부(3)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었다가 냉각되면서 상기 접촉부(2)로부터 피부로 적당한 열량이 전달되도록 상기 접촉부(2)의 열용량이 선정된다. 만일 상기 발열부(3)가 접촉부(2)와 일체로 되어 있고, 발열부(3)의 열용량이 접촉부(2)의 열용량과 비교하여 무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열부(3)의 열용량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가열이 잘 이루어지도록 상기 접촉부(2)를 비열이 작은 재질로 형성시키면서 상기 접촉부(2)의 열용량은 접촉부(2)의 크기(질량)을 달리하여 적절하게 선정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3)는 상기 접촉부(2)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상기 발열부(3)가 상기 접촉부(2)와 일체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 어 있으나, 상기 발열부(3)는 상기 접촉부(2)와 별도로 형성되어 그 발생된 열을 상기 접촉부(2)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접촉부(2)에 열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3)는 상기 전류를 공급받아 그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데, 상기와 같은 발열은 전열선 방식의 발열이나 고주파 전류에 의한 전자유도방식의 발열이 이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3)는 뜸을 위해 적당한 온도(약 60℃ 정도)로 피부에 화상을 입히지 않고 뜸을 위한 열자극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열량을 발생하도록 상기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제의 쑥뜸과 같은 조건으로 피부에 열자극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2)가 상기 발열부(3)에 의해 최고 온도가 60℃ 정도가 되도록 가열되도록 상기 제어부(4)에 의해 발열부(3)의 발열이 제어되고, 약쑥이 순간적으로 타들어가 꺼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발열부(3)는 상기 접촉부(2)가 순간적으로 최고 온도가 60℃에 도달되도록 발열되게 제어된다.
상기 진출수단(4)는 상기 접촉부(2)를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진출수단(4)은 상단이 상기 바디(1)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바디(1)의 내부에 설치된 봉형상의 부재로서, 하단부가 상기 접촉부(2)의 상단에 연결된 가압봉(4a)과, 상기 가압봉(4a)를 상방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복귀스프링(4b) 및 상기 바디(1)의 내부에서 하술하는 상기 진출해제수단(6)의 락킹핀(6a)에 걸리도록 상기 가압봉(4a)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락킹돌기(4c)를 갖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2)를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 진출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가압봉(4a)의 상부 말단 을 누르면 상기 가압봉(4a)이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그 하단에 연결된 접촉부(2)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게 진출되어 피부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압봉(4a)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진출해제수단(6)의 락킹핀(6a)이 상기 가압봉(4a)의 측부에 형성된 락킹돌기(4c)에 걸려 상기 가압봉(4a)는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 즉 상기 접촉부(2)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진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의 제어로 상기 진출해제수단(6)이 작동되어 상기 락킹핀(6a)이 후퇴되면 상기 락킹돌기(4c)가 락킹핀(6a)에 걸리지 않아 복귀스프링(4b)의 탄성력으로 상기 가압봉(4a)가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발열부(3)의 발열 및 상기 진출해제수단(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진출수단(4)의 가압봉(4a)가 눌러져 상기 접촉부(2)가 바디(1)의 선단으로 진출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3)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촉부(2)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2)가 후퇴되도록 상기 진출해제수단(6)을 작동시켜 상기 진출수단(4)의 락킹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접촉부(2)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되는 경우 발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발열부(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뜸시술에서 피부에 가해지는 최고 온도는 60℃ 내외가 적당하므로 상기 접촉부(2)의 최고온도는 60℃ 내외가 되도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최고 온도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5)는 바이메탈(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접촉부(2)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열전쌍과 같은 온도센서(도면에 미도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부(3)로 공급되는 전류를 개폐하는 제어스위치(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구성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발열부(3)에 전류가 공급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1초 내외)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2)가 후퇴되도록 상기 진출해제수단(6)을 작동시켜 상기 진출수단(4)의 락킹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발열부(3)에 전류가 공급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1초 내외)에 도달되는 경우 발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발열부(3)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술부위에 순간적으로 열자극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진출해제수단(6)은 상기 진출수단(4)에 의해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접촉부(2)가 후진되도록 상기 진출수단(4)의 진출을 유지하는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진출해제수단(6)은 상기 진출수단(4)의 락킹돌기(4c)에 걸리는 방향과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바디(1)의 측부에 설치된 락킹핀(6a)과, 상기 락킹핀(6a)이 락킹돌기(4c)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락킹핀(6a)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락킹스프링(6c)과, 상기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기 락킹핀(6a)이 상기 락킹돌기(4c)에 걸리지 않게 이동되도록 상기 락킹핀(6a)를 자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마그네트(6c)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2)를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 진출시키고자 상기 가압봉(4a)의 상부 말단을 누르면 상기 가압봉(4a)이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가압 봉(4a)이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진출해제수단(6)의 락킹핀(6a)이 락킹스프링(6c)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기 가압봉(4a)의 측부에 형성된 락킹돌기(4c)에 걸려 상기 가압봉(4a)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 즉 상기 접촉부(2)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진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락킹된다. 상기 제어부(5)의 제어로 상기 진출해제수단(6)의 마그네트(6c)가 작동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락킹핀(6a)이 잡아당겨져 후퇴되면 상기 락킹돌기(4c)가 락킹핀(6a)에 걸리지 않아 복귀스프링(4b)의 탄성력으로 상기 가압봉(4a)이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면에서 C1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기 위한 전선이고, C2는 상기 제어부(4)로부터 상기 발열부(2)로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선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뜸시술을 위해 바디(1)의 선단을 시술부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압봉(4a)를 누르면 상기 접촉부(2)가 상기 바디(1)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진출되면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발열부(3)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여 발열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접촉부(2)가 순간적으로 60℃ 정도까지 가열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접촉부(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60℃ 내외)에 도달되면 상기 발열부(3)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발열을 중지시키고, 상기 접촉부(2)가 바디(1)의 선단으로 진출되어 피부에 접촉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1초 내외)에 도달되면 상기 진출해제수단(6)을 작동시켜 상기 접촉부(2)가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 접촉부(2)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만 피부에 열자극을 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뜸 치료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뜸 치료기를 도시한 것으로 접촉부가 후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뜸 치료기를 도시한 것으로 접촉부가 진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뜸 치료기의 작동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바디
2 접촉부
3 발열부
4 진출수단
5 제어부
6 진출해제수단

Claims (3)

  1.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에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접촉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진출수단과,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접촉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진출수단의 진출을 해제시키기 위한 진출해제수단과,
    상기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접촉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에 전류가 공급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3.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에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접촉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진출수단과,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된 접촉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진출수단의 진출을 해제시키기 위한 진출해제수단과,
    상기 상기 진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으로부터 진출되어 상기 발열부에 전류가 공급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달되는 경우 상기 진출해제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KR1020080138899A 2008-12-31 2008-12-31 뜸 치료기 KR20100080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99A KR20100080250A (ko) 2008-12-31 2008-12-31 뜸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99A KR20100080250A (ko) 2008-12-31 2008-12-31 뜸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50A true KR20100080250A (ko) 2010-07-08

Family

ID=4264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99A KR20100080250A (ko) 2008-12-31 2008-12-31 뜸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02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45B1 (ko) * 2009-02-12 2012-03-14 이흥규 뜸기구
CN104840356A (zh) * 2015-05-05 2015-08-19 陈可 一种可调整艾灸盒
KR101721659B1 (ko) 2015-12-02 2017-03-30 유원 쑥 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45B1 (ko) * 2009-02-12 2012-03-14 이흥규 뜸기구
CN104840356A (zh) * 2015-05-05 2015-08-19 陈可 一种可调整艾灸盒
KR101721659B1 (ko) 2015-12-02 2017-03-30 유원 쑥 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372B1 (ko) 피부 치료 장치
KR100855319B1 (ko) 의료용 피부 급냉 기기
US5957862A (en) Acupuncture device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20100080250A (ko) 뜸 치료기
CN201481785U (zh) 电控温加热微烟艾灸头
Zeredo et al. High-intensity laser for acupuncture-like stimulation
KR100939782B1 (ko) 전기식 온구기
KR20100080021A (ko) 뜸 치료기
KR102138569B1 (ko) 스마트 전자식 뜸기
US20070027446A1 (en) Method of removing a tattoo
WO2009098905A1 (ja) 燔(はん)鍼治療器
KR100995108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화침시스템
KR101718371B1 (ko) 휴대 가능한 전자온열 뜸기
KR20090013126U (ko) 휴대용 온혈 자극기
KR101066912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화뜸 장치
CN2300411Y (zh) 灸式松解平衡针
KR102494523B1 (ko) 치료용 전기 자극기
KR200192662Y1 (ko) 뜸기
CN214806752U (zh) 一种中医治疗用按摩药棒
KR980008101A (ko) 발모 촉진용 빗
KR0124406B1 (ko) 경혈 가열 장치
CN221061238U (zh) 一种实验用艾灸装置
CN216395053U (zh) 射频理疗装置
KR20090126024A (ko) 건강과 미용을 위한 온열마사지기
JP2001112771A (ja) 止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