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319A - 화침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화침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319A
KR20090028319A KR1020070093821A KR20070093821A KR20090028319A KR 20090028319 A KR20090028319 A KR 20090028319A KR 1020070093821 A KR1020070093821 A KR 1020070093821A KR 20070093821 A KR20070093821 A KR 20070093821A KR 20090028319 A KR20090028319 A KR 2009002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eat
acupuncture
skin
sta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훈 filed Critical 정성훈
Priority to KR102007009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319A/ko
Publication of KR2009002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침은, 침 시술시 피부에 꽂을 수 있도록 하단에 첨예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침체와, 상기 침체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의 에너지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침심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에 시술되는 침심의 깊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침심의 깊이에 따라 피부에 전달되는 열의 분포 면적을 조절가능하게 하며, 원하는 시간만큼 원하는 부위에 열원을 공급할 수 있어, 시술의 편리함 및 시술 후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침체, 침심, 열선, 침관, 피복체

Description

화침 및 그 사용방법{HEATING ACUPUNCTURE NEEDLE AND A METHOD USE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열원을 이용하여 인체에 침을 놓는 화침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침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의료 방법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침의 형태 이외에 침에 열을 가하여 몸에 울체되어 있는 기(氣)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병을 치료하는 의료형태의 한 방법이다.
사람의 인체는 오랜 질병을 앓게 되면 피부 깊숙이 한쪽 부위가 차가워지고 냉성화되어지는데, 이것을 냉성경락(冷性經絡)이라고 한다. 이러한 냉성화로 인해, 평소에 시리고 저리고 쑤신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증상에는 특히 침구술이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침술은 본래 동양학에서 인체의 음양을 조절해줌으로써 치료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으로, 시술자가 침을 인체의 경혈에 꽂아 인체의 음양에 관련된 기를 조절하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침술의 분야 중 한 분야로 현대는 일반 침을 사용한 시술보다는 이를 한단계 더 발전시켜 보다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화침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화침은 다시 말해 불침이라고도 하는데, 고열로 체내의 독성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즉 화침의 강한 화독(火毒)으로 인체의 약한 화독, 즉 종기를 소멸시키는 방법에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놋쇠 젓가락을 센 불에 거의 녹을 정도로 달군 다음, 이것을 갖고 구멍 뚫린 박을 통해 종처(腫處)를 찌르는 것에서 기원했다고 알려져 있다.
재래종 박을 직경 4~5Cm의 원형(圓形)으로 도려내 불침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뚫어 쓰되, 종기의 두께에 따라 불침 끝에 표시를 해서 시술한다. 즉 종처의 두께가 1Cm이면 1Cm만 찌를 수 있도록 불침 끝에 표시를 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침구술은 증세와 환부의 위치에 따라서 환부에 정확히 자극을 줌으로써 생체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환부에 침을 놓는 방법과 환부에 뜸을 뜨는 방법이 있다. 환부에 침을 놓는 방법은 침의 자극만을 사용하고 열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증상에 따른 적절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뜸을 뜨는 방법은 뜸쑥을 환부에 접촉 또는 거의 접촉된 상태에서 시술하기 때문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매우 크고, 환부 주위로 열이 분산되고 환부 깊숙이 열이 전달되지 않아서 치료 효과가 낮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화침인데, 이것은 침과 뜸의 기능을 동시에 하면서 환부 깊숙이 열을 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대부분의 화침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데 특히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스트레스로 인해 지친 현대인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침은, 일반적으로 환부에 침을 꽂은 다음, 침을 손으로 잡고, 침에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시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침에 직접 열을 공급하는 과정에 있어서, 침을 직접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열을 공급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급되는 열원이 미약하거나, 혹은 과할 경우, 그리고 침의 깊이가 깊거나, 혹은 얕게 꽂혔을 경우에 있어서, 침을 다시 뽑았다가 꼽은 다음, 재 시술을 해야하는데 이 경우, 침을 다시 뺐다 꼽는 과정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부에 직접 침을 꽂은 채로, 침에 열을 바로 공급하기 때문에 침과 피부가 첩촉하는 부분에서 피부에 종종 화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침에 열을 공급할 때, 침체를 손으로 잡은 채 침심에 열을 공급할 수 있어서, 시술 상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부에 시술되는 침의 깊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피부에 분포하는 열원의 분포면적도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어, 시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부에 시술되는 부위에 원하는 온도로, 원하는 시간만큼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화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침은, 침 시술시 피부에 꽂을 수 있도록 하단에 첨예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침체와, 상기 침체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의 에너지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침심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심은 하단부에서만 발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심은, 열을 전달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외부를 피복하는 피복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선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열선이고, 상기 피복체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선은 외부 열원의 열전도에 의해 열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선은 온도 및 시간조절장치에 의해 온도 및 시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침 사용 방법은, (a) 청구항 1의 화침 첨예부를 피부에 꽂는 단계, (b) 열 자극을 원하는 위치까지 침체를 이동하는 단계, (c) 침심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침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부위 및 통증의 정도에 따라 피부에 시술되는 침심의 깊이 및 침심에 열원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침심의 깊이에 따라 피부에 전달되는 열의 분포 면적을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고, 침심에 원하는 온도로, 원하는 시간만큼 열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술의 편리함 및 시술 후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침을 도시한 단면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침은, 크게 침체(100)와, 침심(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침체(100)는, 상기 침심(200)이 삽입되어 침 시술시에 첨예부를 피부(300)에 꽂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관 형상의 침관(110)과, 상기 침체(100)의 하단부의 일단에 첨예부를 형성하여 피부(300)에 꽂히는 침첨(120) 및 상기 침심(200)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침관(110)과 침관(110) 사이로 홀(130)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침관(110)은, 침심(200)이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며, 말단에는 피부(300)에 꽂을 수 있도록 첨예부가 형성된다.
상기 침첨(120)은, 피부(30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날이 형성된다.
상기 홀(130)은, 상기 침심(200)을 따라 상기 침체(100)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중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심(200)은 상기 침체(100) 내부에 삽입되며 발열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발열체는 열을 전달하는 열선(210)과, 상기 열선(210)의 외부를 피복하는 피복체(220)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열선(210)은 구리와 같은 전열선을 사용하고, 상기 피복체(220)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침심(200)으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급되는 열원으로는 전원공급장치(230)에 의한 DC 전류나 화염, 즉 불(火)과 같은 외부 열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장치(230)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것으로, 외부에 온도조절장치(240) 및 시간조절장치(250)를 설치하여, 외부 열원의 열전도에 의해서 열이 공급되는 온도 및 시간을 길게 또는 짧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심(200)은 하단부에만 발열하도록 하여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치료가 필요한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 필요에 따라 상기 침심(200)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발열하도록 함으로써, 피부(300) 내에서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침심(200)의 깊이에 따라 피부(300)에 전달되는 열의 분포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피부(300)로 전달되는 열 공급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환부를 시술함에 있어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침의 작동방법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체(100)의 첨예부를 통해 침심(200)을 피부(300)에 꽂는다. 그러면, 침첨(120)이 피부(300)에 삽입된다.
그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체(1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침체(100)는 침심(200)과 점점 분리됨과 동시에 피부(300)에서도 점점 이탈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침체(100)를 이동한 후, 원하는 위치에 도달되면 침체(100)의 이동을 멈추게 된다.
그 다음, 침심(200)에 전류나 불과 같은 외부 열원의 열전도에 의해 열이 공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부에 치료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침의 사용방법에 대한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침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침체(100)의 첨예부를 통해 침심(200)을 피부(300)에 꽂는다. 그러면, 침첨(120)이 피부(300)에 삽입된다(S410).
그 다음, 침체(100)를 들어올리면서, 열 자극을 원하는 위치까지 침체(100)를 이동한 후, 원하는 위치에 도달되면 침체(100)의 이동을 멈추게 된다(S420).
그 다음, 침심(200)에 전류나 불과 같은 외부 열원의 열전도에 의해 열을 공급하게 된다(S430).
이렇게 함으로써, 환부에 시술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침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화침의 침체가 이동 전인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2b는 본 발명의 화침의 침체가 이동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침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체 110 : 침관
120 : 침첨 130 : 홀
200 : 침심 210 : 열선
220 : 피복체

Claims (7)

  1. 침 시술시 피부에 꽂을 수 있도록 하단에 첨예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침체와;
    상기 침체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의 에너지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침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심은 하단부에서만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심은,
    열을 전달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외부를 피복하는 피복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열선이고, 상기 피복체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외부 열원의 열전도에 의해 열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온도 및 시간조절장치에 의해 온도 및 시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7. (a) 청구항 1의 화침 첨예부를 피부에 꽂는 단계;
    (b) 열 자극을 원하는 위치까지 침체를 이동하는 단계;
    (c) 침심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침 사용 방법.
KR1020070093821A 2007-09-14 2007-09-14 화침 및 그 사용방법 KR20090028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21A KR20090028319A (ko) 2007-09-14 2007-09-14 화침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21A KR20090028319A (ko) 2007-09-14 2007-09-14 화침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19A true KR20090028319A (ko) 2009-03-18

Family

ID=4069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21A KR20090028319A (ko) 2007-09-14 2007-09-14 화침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5394A (zh) * 2019-07-01 2019-09-10 李政谦 一种温针灸针治疗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5394A (zh) * 2019-07-01 2019-09-10 李政谦 一种温针灸针治疗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188B1 (ko) 코일을 이용한 온열침/뜸 가열장치
KR101073839B1 (ko)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2046051B1 (ko) 전기 온침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온침 장치
CN107582381B (zh) 一种枪式电火针
CN107440905A (zh) 一种用于软组织疼痛手术治疗的内热银质针
JP6749339B2 (ja) 高周波除神経ニードルおよび方法
CN101940530A (zh) 内热式针灸针
JP3196760U (ja) 揉み温灸器
KR20090028319A (ko) 화침 및 그 사용방법
CN205672215U (zh) 电磁感应热温控仪
KR20170057490A (ko) 저항성전류통전방식의 전류통전 특성을 이용하여 열과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다용도 고주파용 화침
CN110742801A (zh) 一种通过感应加热的可控热针灸针系统
KR100887627B1 (ko) 외부에서 인가된 전자기파에 의해 온도가 변하는 한방침
CN105726305A (zh) 一种针灸针
KR100995108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화침시스템
KR100649452B1 (ko) 유도가열식 온침 발열치료기
CN204521560U (zh) 一种无烟温针灸器
CN106074154A (zh) 一种火针治疗仪
KR101727629B1 (ko) 뜸 기구
CN205626485U (zh) 一种针灸针
CN107157641A (zh) 肩周炎治疗仪
KR102494523B1 (ko) 치료용 전기 자극기
KR102634209B1 (ko) 의료용 조합 자극기
CN211584274U (zh) 一种中医内科用针灸器
KR102507312B1 (ko) 고주파 전기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