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81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81B1
KR102493781B1 KR1020210003599A KR20210003599A KR102493781B1 KR 102493781 B1 KR102493781 B1 KR 102493781B1 KR 1020210003599 A KR1020210003599 A KR 1020210003599A KR 20210003599 A KR20210003599 A KR 20210003599A KR 102493781 B1 KR102493781 B1 KR 10249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vehicle
steering wheel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505A (ko
Inventor
함정식
성호준
홍지승
이성우
정직영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00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림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 상기 림부의 중앙에 마련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림을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회전 동작시켜 운전석 공간을 확보하고, 스마트폰이나 랩탑 컴퓨터 등 다양한 거치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을 부분적으로 겹쳐서 운전자 공간을 확보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첨단 센서와 성능 높은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차량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여 주행한다.
상기 첨단 센서는 사람처럼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하여 사각지대 없이 모든 지역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분석해서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에는 라이더(LiDAR) 장비, 음파 장비, 3D 카메라, 레이더 장비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운전석을 포함한 전체 시트가 자유롭게 회전하고, 틸팅 조작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가 수평 상태까지 조절된다.
탑승자는 등받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트를 회전시켜 뒷좌석의 탑승자와 마주보고 회의를 할 수도 있다.
한편,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바퀴와 연결되는 조향장치를 구동하는 스티어링 휠이 마련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링 형상의 림과 림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는 허브 및 허브와 림을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포함하고, 허브의 전단에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20-006954호(2020년 1월 21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420689호(2014년 7월 17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림이 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운전석에서 항상 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자율 주행모드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시트의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등받이에 기댄 자세 또는 누운 자세를 취하고, 다리를 꼬거나 시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림과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의 자세나 방향에 따라 상해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림을 부분적으로 접어서 운전석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트리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적용되어 운전석 공간을 확보하고, 운전자의 자세나 경사 각도와 무관하게 운전자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림의 일부를 접어서 책이나 휴대용 단말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는 제1 및 제2 림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 상기 림부의 중앙에 마련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림을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림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 대상물을 거치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시트의 등받이에 기대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의 회전 동작 및 경사 각도 조절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해서 거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거치하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거치 대상물의 유동 및 낙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회전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제2 림을 제1 림의 하부와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하는 동작 상태도,
도 6은 제2 림을 이용한 거치대 기능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제2 커버를 예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의 운전석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자동차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이와 함께,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림(21,22)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20), 림부(20)의 중앙에 마련되고 운전석 에어백 모듈(26)이 설치되는 허브(23), 허브(23)의 전측에 배치되는 제1 림(21)과 허브(23)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24) 및 허브(23)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2 림(22)을 제1 림(21)과 겹쳐지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듈(30)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10)는 자동차의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자세 및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40)와 감지부(40)의 감지결과 및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에 기초해서 회전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동차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 가능하고,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 운전자의 자세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림을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구동모터를 구동해서 회전모듈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림부(20)는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브(23)의 전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림(21)과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브(23)의 후측, 즉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림(2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림(21)과 제2 림(22)을 각각 180 ±α°의 각도를 갖는 하나의 호 형상 또는 반링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허브(23)는 단면이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허브(23)에는 내부에 운전석 에어백 모듈(26) 및 경음기 스위치가 설치되는 하우징(25)이 결합되고, 하우징(25)의 상면에는 에어백 커버(27)가 결합될 수 있다.
스포크(24)는 각각 호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림(21)과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포크(24)에는 각각 제1 및 제2 케이스(35,36)가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35,36)에는 자동차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커버(27)에는 자동차나 제조사를 상징하는 엠블럼이나 조명 엠블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모듈(30)은 한 쌍의 제2 림(2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커버(37)와 일단, 예컨대 상단에 제3 커버(3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커버(38)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운전석 시트의 회전 방향,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들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어부(50)를 전달된다.
제어부(50)는 자동차에 마련된 각 전자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는 컨트롤러로 마련되고, 감지부(40)의 감지신호 및 자동차에 마련된 각종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서 확인된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 시트의 회전방향, 등받이의 경사 각도 등에 기초해서 회전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자동차가 시동된 후 자율주행 모드가 설정되면,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 회전모듈(30)을 구동시켜 제2 림(22)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50)는 운전석 시트의 회전 방향이나 등받이의 경사 각도에 따라 회전모듈(30)의 구동을 세분화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회전모듈의 구성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회전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림을 제1 림의 하부와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회전모듈(30)은 이중 링크 구조를 응용해서 제2 림(22)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회전모듈(30)은 한 쌍의 제2 림(22)과 허브(2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회전모듈(30)은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모듈(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허브(23)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31),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제2 림(22)에 연결되는 고정부재(32) 그리고 양단이 각각 지지부재(31)와 고정부재(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1)는 제3 커버(37)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부재(31)의 양측 상단부와 고정부재(32)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는 각각 제2 커버(36)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에 지지부재(31)가 설치되는 제3 커버(37)는 하우징(25)과 별도로 마련되거나, 하우징(25)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L'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지지부재(31)의 수직부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후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양측 상단부는 각각 '「' 형상으로 전방을 향애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1)의 양측 상단에는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제1 축(311)과 제2 축(312)이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311)은 제2 축(312)에 비해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2)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H'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재(32)의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제2 림(22)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2)의 양측 전후단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3 축(321)과 제4 축(322)이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축(321)은 제4 축(322)에 비해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3)와 제2 연결부재(34)는 각각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3)의 양측 전단부는 제1 축(311)에 의해 지지부재(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연결부재(33)의 양측 후단부는 제3 축(321)에 의해 고정부재(3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4)의 양측 전단부는 제2 축(312)에 의해 지지부재(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34)의 양측 후단부는 제4 축(322)에 의해 고정부재(3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33)와 제2 연결부재(34)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각 축(312,312,321,322)에 연결됨에 따라, 회전 반경은 동일하나, 회전 궤적은 제1 및 제2 축(311,312)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림(2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회전에 의해 제1 림(21)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링크 구조를 응용해서 한 쌍의 연결부재를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시켜 제2 림을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2 림(22)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길이가 증가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이 늘어남에 따라, 제1 림(21)과 제2 림(22)이 겹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길이가 감소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이 줄어듦에 따라, 제1 림(21)과 제2 림(22)이 겹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모듈에 적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해서 제1 림과 제2 림이 겹쳐지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2 림(22)은 제1 림(2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도 2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50)는 회전모듈(30) 적용되는 구동모터(61)의 회전 방향을 변경해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어할도 수 있다.
한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10)는 구동력을 발생해서 회전모듈(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구동모듈(60)은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61) 및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회전모듈(3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유닛(6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리니어 모터나 스텝 모터 등 다양한 구성 및 규격의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유닛(62)은 구동모터(6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출몰 동작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드는 구동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도록 수축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와 연결된 제1 연결부재(33)는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2 림(22)을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력 전달 유닛을 웜과 웜기어 방식, 한 쌍의 베벨기어나 스크류 기어, 헬리컬 기어와 같이 동력 전달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동력 전달 유닛을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고, 동력 전달 유닛에 래크와 피니언을 적용하거나 한 쌍의 평기어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어 방식 대신에, 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동력 전달 유닛을 이용해서 회전모듈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모듈(60)은 일측이 회전모듈(30)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재(31)나 허브(23)에 연결되어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제3 커버(37)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모듈의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회전모듈로 전달해서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모듈(60)은 직선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켜 제1 연결부재(33) 와 연결된 로드(67)를 신장 동작시키켜 제2 림을 제1 림의 하부로 회전 이동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회전모듈을 회전시켜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모터(61)는 미는 힘을 발생시켜 로드를 상방으로 신장 동작시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상부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당기는 힘을 이용해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하부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미는 힘과 당기는 힘을 이용해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상부와 하부로 회전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림(2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제1 림(21)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한 경우, 제2 커버(36)는 책이나 랩탑 컴퓨터 등의 거대 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제2 림을 이용한 거치대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2 커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2 림(22)은 도 6의 (a)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림(22)과 제1 림(21) 사이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 책, 랩탑 컴퓨터 등의 거치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제2 커버(36)는 화장품 또는 컵이나 용기에 담긴 음식물 등을 거치할 수도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 림(22) 양단은 한 쌍의 제1 림(21)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 상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책이나 랩탑 컴퓨터의 양측 하단부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 커버(36)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거치 대상물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슬립방지부(361)가 마련될 수 있다.
슬립방지부(361)는 고무나 직물과 같이 마찰력을 증대시킨 마찰패드로 마련되거나, 슬립방지 패턴이 형성된 슬립방지부재를 포함될 수 있다.
제3 커버(36)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대상물을 안착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안착부(362)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362)는 화장품이나 음식물이 담긴 종이컵, 용기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안착부(362)는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치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이나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커버(36)에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363)는 제3 커버(36)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통해 스카트 폰이나 음식물 등,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거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7의 (c)에는 고정부재(363)가 제3 커버(36)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부재(363)는 제3 커버(36)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시트의 등받이에 기대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의 회전 동작 및 경사 각도 조절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해서 거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거치하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거치 대상물의 유동 및 낙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회전 동작시켜 운전석 공간을 확보하고, 스마트폰이나 랩탑 컴퓨터 등 다양한 거치 대상물을 거치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20: 림부 21,22: 제1, 제2 림
23: 허브 24: 스포크
25: 하우징 26: 운전석 에어백 모듈
27: 에어백 커버
30: 회전모듈
31: 지지부재 311,312: 제1, 제2 축
32: 고정부재 321,322: 제3, 제4 축
33,34: 제1, 제2 연결부재
35 내지 37: 제1 내지 제3 커버
40: 감지부 50: 제어부
60: 구동모듈
61: 구동모터 62: 동력전달유닛

Claims (9)

  1. 제1 및 제2 림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
    상기 림부의 중앙에 마련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림을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림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 대상물을 거치해서 고정하며,
    상기 제1 림은 한 쌍의 스포크에 의해 상기 허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림은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회전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하단이 상기 허브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제2 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티어링 휠의 중앙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재 그리고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중 링크 구조를 응용해서 상기 제2 림을 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경사 각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
    구동력을 발생해서 상기 회전모듈을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및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축과 제2 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3 축과 제4 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축과 제3 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 축과 제4 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어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과 회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림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된 거치 대상물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과 회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림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되는 거치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과 회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림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되는 거치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1020210003599A 2021-01-11 2021-01-1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10249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99A KR102493781B1 (ko) 2021-01-11 2021-01-1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99A KR102493781B1 (ko) 2021-01-11 2021-01-1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05A KR20220101505A (ko) 2022-07-19
KR102493781B1 true KR102493781B1 (ko) 2023-02-06

Family

ID=8260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599A KR102493781B1 (ko) 2021-01-11 2021-01-1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25662A1 (en) * 2015-05-04 2016-11-1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integral tray table
US20180334183A1 (en) * 2017-05-19 2018-11-2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movable between a deployed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KR102075346B1 (ko)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17A (ko) * 2001-01-17 2001-05-07 김보연 모빌 오피스시스템
US8398115B2 (en) 2008-06-25 2013-03-19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teering wheel
CN110712674B (zh) 2018-07-11 2022-01-25 奥托立夫开发公司 方向盘的减震器机构和车辆用方向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25662A1 (en) * 2015-05-04 2016-11-1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integral tray table
US20180334183A1 (en) * 2017-05-19 2018-11-2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movable between a deployed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KR102075346B1 (ko)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05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011B2 (en) Double rack gear structure for supporting pop-up monitor
EP1733950B1 (en) Steering system with haptic driver warning
US9234621B2 (en) Pop-up monitor with double rack gear structure
EP2551575A2 (en) Pop-up monitor with obstacle sensing function
JP6881211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493781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JP2018171990A (ja) アームレスト
KR10260102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JP2004001703A (ja) ハンドルの操舵に連動して回動できる車両用回動装置
KR10230045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CN216102343U (zh) 一种方向盘和车辆
KR102613408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102440517B1 (ko)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899241B2 (ja) アームレスト
KR101628396B1 (ko) 차량용 햅틱 스크롤 휠 스위치
JP6417289B2 (ja) 回転駆動機構およびこの回転駆動機構を備えた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14804A (ko) 자동차
US11383750B2 (en) Vehicle steering assembly
JP2010254209A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自動調整装置
JP6521594B2 (ja) 車両用視認装置
KR20210055290A (ko) 차량용 조향장치
JP3135604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US10780801B2 (en) Vehicle seat
KR10032495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CN117087744A (zh) 一种半幅式方向盘结构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