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517B1 -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517B1
KR102440517B1 KR1020170170093A KR20170170093A KR102440517B1 KR 102440517 B1 KR102440517 B1 KR 102440517B1 KR 1020170170093 A KR1020170170093 A KR 1020170170093A KR 20170170093 A KR20170170093 A KR 20170170093A KR 102440517 B1 KR102440517 B1 KR 10244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nomous vehicle
collision
case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811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자율주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여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차량의 자율 주행 중에 사고 발생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도로 또는 선로 위를 달리는 모든 차를 통틀어 이르는 운송 기계이다. 이러한 차량은, 인력 또는 축력 이외의 동력을 사용하여, 주행 또는 운행되어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로 카메라, 적외선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고 점점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러한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들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이나 각종 안전/편의 기능 등이 더 개발되고 있다.
자율 주행 기술은 차간 거리 유지 기술인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 high way driving assist), 차선 이탈경보 시스템(LDWS, Lane Departure Wanning System),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후측방 경보 시스템(BSD, Blind Spot Detection),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Advanced Smart Cruise Control),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혼잡 구간 주행 지원 시스템(TJA, Traffic Jam Assist), 장애물 회피 제어 기술 등을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자율 주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최근의 자율주행차량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차량의 운전석을 비롯한 각 좌석에는 전동시트가 설치되어 탑승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전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석 전동시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석 전동시트 시스템(200)은 시트 구동부(210), 차량 주행 조작부(220), 주행화면 표시부(230) 및 신호 송수신부(240)를 포함한다.
시트 구동부(210)는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석 및 보조석 시트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각 전동시트의 수평 이동 및 회전 이동 조작을 위한 시트 조작 모듈(211), 수평 이동 모듈(212) 및 회전 구동 모듈(213)을 포함한다.
시트 조작 모듈(211)은 탑승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수평 이동 모듈(212) 및 회전구동 모듈(213)에 인가하여 전동시트의 위치를 변경한다.
주행화면 표시부(230)는 차량 주행 조작부(220)와 마찬가지로 운전석 전동시트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며,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영상을 표시한다. 주행화면 표시부(230)는 운전석의 측부에 복수의 관절구조로 설치된 지지프레임(231)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LED 및 LCD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40)는 영상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와 자율주행 제어부(120)의 차량 자율주행 모드 제어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화면 표시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율 주행 차량의 충돌 안전 관련 주요 기술들은 센서와 모니터링을 통해 충돌을 회피하는 로직 기술이 대부분이다. 자율 주행 차량에서 운전자는 긴장을 놓고 차량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 쉬고 있으므로 사고 발생시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15-0074873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율 주행 차량의 센서와 모니터링 기술들의 고장 발생시 또는 직접적인 사고 발생시에도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절곡된 판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케이스와 결합을 위한 제 1 힌지핀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는 직선형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는 조작 가이드 모듈과 결합하기 위해 측면 일부가 개방된 C자형 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 및 상기 충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지지부와 결합을 위한 제 2 힌지핀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는 제 1 모터의 로드와 결합하는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홀은 세장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슬롯홀은 케이스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 가이드는 ㄷ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회동시키도록 힌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시트부의 각각의 양측에 측면 에어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지지부의 내측에 경사형 에어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의 상측 차체 내면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차체 고정부; 상기 차체 고정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회동시키는 힌지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는 조작 가이드 모듈과 결합하기 위해 볼 조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 및 상기 충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은 ㄷ자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a)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b) 차량의 충돌 시에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충돌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c) 충돌 모드로 진입시에 충돌 가이드를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i) 팝업 버튼, 상승 버튼, 하강 버튼, 시트 각도 버튼, 라디오 버튼, 에어컨 버튼, 히터 버튼, 열선 시트 버튼 중 1개 이상을 눌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시트를 향해 전개시킬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전개와 동시에 시트부를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전개와 동시에 안전벨트의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전개와 동시에 시트부의 각각의 양측에 측면 에어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자율주행차량의 자율 주행 중에 시트에 기대어 휴식을 취하면서 차량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자율주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여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석 전동시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고정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수동 운전 모드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충돌 모드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충돌 모드에서 측면 에어백 작동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충돌 모드에서 경사형 에어백 작동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하방향에서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지지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직선형 모터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회동을 나타내는 일부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조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최근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율 주행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자율 주행 차량의 충돌 안전 관련 주요 기술들은 센서와 모니터링을 통해 충돌을 회피하는 로직 기술이 대부분으로 자율 주행 차량에서도 사고 발생 가능성은 존재한다. 그러나, 자율 주행 차량에서 운전자는 긴장을 놓고 차량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 쉬고 있으므로 사고 발생시 더 큰 상해를 입을 수 있어 사고 발생시에도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12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130)은 케이스(131), 상기 케이스(13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4), 상기 케이스(131)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135) 및 상기 충돌 가이드(135)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지지부(110)는 절곡된 판상형 형상으로,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 즉 상기 지지부(110)의 전방 일측에 케이스(131)와 결합을 위한 제 1 힌지핀 삽입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모터(120)는 직선형 모터이며, 상기 제 1 모터(120)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과 결합하기 위해 바의 단부에 측면 일부가 개방된 C자형 로드(1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1)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스(131)는 지지부(110)와 결합을 위한 제 2 힌지핀 삽입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31)의 상부 일측에는 제 1 모터(120)의 C자형 로드(121)와 결합하는 슬롯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돌 가이드(135)는 ㄷ자형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31)의 외주부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는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회동시키도록 힌지핀(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힌지핀(140)은 제 1 힌지핀 삽입공(112)과 제 2 힌지핀 삽입공(132)을 상호 결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측면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12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31)의 상부 일측에는 제 1 모터(120)의 C자형 로드(121)와 결합하는 슬롯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롯홀(133)은 세장형 형상이며, 상기 슬롯홀(133)은 케이스(131)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모터(120)에 구비되어 있는 측면 일부가 개방된 C자형 로드(121)와 상기 슬롯홀(133)의 작동 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고정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는 운전자의 시트부 위에 장착되어 있다. 운전자가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팝업 버튼을 조작하면 제 1 모터(120)가 구동되어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회동시켜 운전자의 안면을 향해 회동하는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수동 운전 모드의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충돌 모드의 모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도 8의 수동운전 모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는 운전자의 시트부 위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가이드 모듈(130)은 케이스(131), 상기 케이스(13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4), 상기 케이스(131)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135) 및 상기 충돌 가이드(135)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31)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운전자가 탑승시 또는 조작시에 두부와 접촉해도 상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의 팝업 버튼을 조작하여 조작 가이드 모듈(130)이 회동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충돌 모드에서 충돌 가이드(135)가 시트를 향해 회동하여 운전자의 시트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충돌 모드에서 측면 에어백 작동의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시트부의 각각의 양측에 측면 에어백(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 양측에 측면 에어백(150)을 추가로 구성하면 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상해를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이때 지지부와 충돌가이드는 시트 양측면 에어백이 운전자를 직접 타격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충돌 모드에서 경사형 에어백 작동의 모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100)는 지지부의 내측에 경사형 에어백(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형 에어백(160)은 안면의 경사 방향으로 에어백이 펴지도록 하여 충돌시 운전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형 에어백(160)의 작동 방향이 아래의 대각선을 바라보도록 전개되고, 경사형 에어백(160)이 전개된 후 안면이 에어백에 닿게 되어 운전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하방향에서의 모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200)는 자율주행차량의 상측 차체 내면에 설치되어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지지하는 차체 고정부(170), 상기 차체 고정부(170)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120),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130)은 케이스(131), 상기 케이스(13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4), 상기 케이스(131)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135) 및 상기 충돌 가이드(135)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 고정부(170)는 상측 차체 내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체 고정부(170)에서 시트측을 향한 전방으로 제 1 모터(1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130)이 시트 상측에 결합되어 고정력이 향상된 구조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일부 모식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지지부의 평면 모식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직선형 모터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도 12 내지 도 1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작 가이드 모듈(130)은 케이스(131), 상기 케이스(13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4), 상기 케이스(131)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135) 및 상기 충돌 가이드(135)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31)의 하부에는 ㄷ자형 형상의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13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지지부(110)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110)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회동시키는 힌지 돌기부들(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138)은 상기 가이드홈(114)을 따라 이동하고 힌지 돌기부들(116)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모터(120)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과 결합하기 위해 로드의 단부에 볼 조인트(12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회동을 나타내는 일부 모식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도 12 내지 도 14와 함께 참조하면, 차체 고정부(170)가 상측 차체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모터(120)가 상기 차체 고정부(17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터(120)가 작동하면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31)의 하부에는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13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110)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10)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회동시키는 힌지 돌기부들(1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31)의 돌기부들(138)이 지지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1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110)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130)을 회동시키는 힌지 돌기부들(1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 가이드 모듈(130)이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힌지 돌기부들(116)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조작 가이드 모듈의 디스플레이 조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는 각종 버튼들과 LCD창, 그리고 운전자가 시트에 기대어 컨트롤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팝업 버튼(134a)을 누르면 화면이 온되고 다시 상기 팝업 버튼(134a)을 누르면 오프된다.
또한, 자율주행 모드 확인 버튼(134d)을 누르면 팝업 창이 나타나고 다시 상기 자율주행 모드 확인 버튼(134d)을 누르면 팝업 창이 오프된다. 이어서, 상승 버튼(134b)을 누르면 화면이 커지고 하강 버튼(134c)을 누르면 화면이 작아진다.
또한, 라디오 버튼(134e)을 누르고 상승 버튼(134b) 또는 하강 버튼(134c)을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추가하여, 에어컨/히터 버튼(134f)을 누르면 에어컨/히터를 온오프하게 된다. 상기 에어컨/히터 버튼(134f) 옆의 열선시트 버튼(134g)을 누르면 열선시트를 온오프하게 된다.
또한, 시트 각도 버튼(134h)을 누르면 시트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 각도 버튼(134h) 옆의 버튼들을 누르면 다른 작동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고 발생시 충돌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자율주행차량이 사고가 발생하여 충돌 모드로 진행하면, 조작 가이드 모듈이 전개되고, 조작 가이드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충돌 가이드가 전개된다.
또한, 충돌 가이드가 전개됨과 동시에 차량 전동시트가 후진하게 되고, 안전벨트의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며, 지지부의 내측에 경사형 에어백 및 시트부의 각각의 양측에 측면 에어백을 작동시켜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자율주행차량의 자율 주행 중에 시트에 기대어 휴식을 취하면서 차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여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10: 지지부
112: 제 1 힌지핀 삽입공 114: 가이드홈
116: 힌지 돌기부들 120: 제 1 모터
121: C자형 로드 124: 볼 조인트
130: 조작 가이드 모듈 131: 케이스
132: 제 2 힌지핀 삽입공 133: 슬롯홀
134: 디스플레이 134a: 팝업 버튼
134b: 상승 버튼 134c: 하강 버튼
134d: 자율주행 모드 확인 버튼 134e: 라디오 버튼
134f: 에어컨/히터 버튼 134g: 열선시트 버튼
134h: 시트 각도 버튼 135: 충돌 가이드
137: 제 2 모터 138: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
140: 힌지핀 150: 측면 에어백
160: 경사형 에어백 170: 차체 고정부
200: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Claims (27)

  1.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 및
    상기 충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절곡된 판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케이스와 결합을 위한 제 1 힌지핀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는 직선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는 조작 가이드 모듈과 결합하기 위해 측면 일부가 개방된 C자형 로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지지부와 결합을 위한 제 2 힌지핀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는 제 1 모터의 로드와 결합하는 슬롯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홀은 세장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홀은 케이스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가이드는 ㄷ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회동시키도록 힌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시트부의 각각의 양측에 측면 에어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는 지지부의 내측에 경사형 에어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6. 자율주행차량의 상측 차체 내면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차체 고정부;
    상기 차체 고정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모터;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시트부 상측에 설치되어 하기 조작 가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 가이드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충돌 가이드; 및
    상기 충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제 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조작 가이드 모듈을 회동시키는 힌지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는 조작 가이드 모듈과 결합하기 위해 볼 조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20. 삭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가이드 돌기부들은 ㄷ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a)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b) 차량의 충돌 시에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충돌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c) 충돌 모드로 진입시에 충돌 가이드를 전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i) 팝업 버튼, 상승 버튼, 하강 버튼, 시트 각도 버튼, 라디오 버튼, 에어컨 버튼, 히터 버튼, 열선 시트 버튼 중 1개 이상을 눌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시트를 향해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전개와 동시에 시트부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전개와 동시에 안전벨트의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충돌 가이드를 전개와 동시에 시트부의 각각의 양측에 측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170093A 2017-12-12 2017-12-12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93A KR102440517B1 (ko) 2017-12-12 2017-12-12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93A KR102440517B1 (ko) 2017-12-12 2017-12-12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811A KR20190069811A (ko) 2019-06-20
KR102440517B1 true KR102440517B1 (ko) 2022-09-06

Family

ID=6710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093A KR102440517B1 (ko) 2017-12-12 2017-12-12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75014U (zh) * 2015-05-28 2015-11-18 常州泰勒维克今创电子有限公司 用于高铁的折叠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777A (ja) * 1992-09-18 1994-04-12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収納装置
KR970008840U (ko) * 1995-08-25 1997-03-27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20150074873A (ko) 2013-12-24 2015-07-02 전자부품연구원 자율주행차량용 전동시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5569B1 (ko) * 2014-11-12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75014U (zh) * 2015-05-28 2015-11-18 常州泰勒维克今创电子有限公司 用于高铁的折叠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811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1048B (zh) 乘员保护装置
US9725087B2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EP3055167B1 (en) Vehicle assistant system and vehicle
WO201507103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when switching a motor vehicle from an automatic into a manual drive mode,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motor vehicle
US7628421B2 (en) Ejection control mechanism for rail mount airbag
US11834027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855235B2 (ja) 自動車用運転操作装置及び自動車用運転操作方法
JP2020023235A (ja) 車両用保護装置および車両
JP6028747B2 (ja) 表示装置及び運転支援装置
JP6624118B2 (ja) 乗員保護装置
KR102440517B1 (ko) 자율주행차량 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203836A (ja) 車室内状態の認識装置
JP2007526167A (ja) 自動車用の安全装置
CN106809217A (zh) 周围物体探测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JP2007532390A (ja) 自動車用の安全装置
KR101866042B1 (ko)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JP3785929B2 (ja) 乗員保護装置
JP6758016B2 (ja) 車両構造
JP2008269399A (ja) 車両の車線逸脱警報装置
JP2018167623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20012380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ized door adjus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US10518737B2 (en) Airbag assembly
JP2005306339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7059905B2 (ja) 車両用の表示システム
US11491950B2 (en) Vehicle external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