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52B1 -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52B1
KR102493752B1 KR1020210035218A KR20210035218A KR102493752B1 KR 102493752 B1 KR102493752 B1 KR 102493752B1 KR 1020210035218 A KR1020210035218 A KR 1020210035218A KR 20210035218 A KR20210035218 A KR 20210035218A KR 102493752 B1 KR102493752 B1 KR 10249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og
storage tank
low
l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393A (ko
Inventor
나광호
최소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21003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1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vessel by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7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press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NG 공급시스템의 LNG가 이송되는 공정 중, 저압 저장탱크와 고압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BOG를 저장탱크의 압력이 사전설정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외부로 배출시키되, 이렇게 배출된 BOG를 BOG 컴프레셔를 거쳐 NG 공급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BOG operation control method of LNG supply system.}
본 발명은 LNG 공급시스템의 저압 저장탱크와 고압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BOG를 NG버퍼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LNG 공급시스템은 LNG를 기화기를 통해 NG로 변환하여 발전소에 일정하게 공급 할 수 있는 공급설비로, LNG생산기지로부터 탱크로리 또는 탱크 컨테이너로 LNG를 수송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이송하여 기화기로 기화된 NG를 공급설비(Heater, Governor, 계량기 등)를 거쳐 사용압력으로 천연가스 혼소 발전기로 연료를 공급하며, 공급설비는 LNG저장탱크, 펌프, 기화기, 히터 및 발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LNG 공급설비의 감시를 위해서는 다양한 운전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어야 하고, 주 운전자 인터페이스로 설비의 감시 및 각종 운전 환경설정이 가능해야만 한다.
LNG충전, LNG 이송, NG공급, BOG 사용 4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LNG 공급시스템에서, 특히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BOG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인 LNG 저장탱크는 진공단열이 되어있지만, 열유입을 100%차단할 수 있는건 아니기 때문에 사용압력에서도 증발 기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BOG(Boil-Off-Gas)라고 지칭한다. BOG가 많이 발생할 경우 탱크 내부 압력이 높아질 우려가 발생된다.
이에, 저장탱크의 적정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BOG를 방출시켜야 하는데, 벤트라인을 통해 대기로 방출하는 방법이 BOG의 일반적인 처리방법이다.
이에, 이러한 BOG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으면서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 제어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02951호(2019.07.17.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이송공정단계의 저압 저장탱크와 고압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BOG를 버퍼 저장탱크로 이송하고 BOG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NG 공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BOG사용은 자동운전과 수동운전으로 할수 있으며, 자동운전시 저압 저장탱크, 고압 저장탱크, BOG 버퍼탱크, NG 버퍼탱크 등 탱크의 압력을 감시하여 사전설정된 압력값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으로 BOG 컴프레셔가 가동되면서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LNG 공급시스템에서 LNG 이송공정단계의 LNG 탱크에서 발생되는 BOG를 NG 공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BOG 운전 제어방법으로,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BOG를 압축하기 위한 BOG 컴프레셔(60)가 자동운전으로 선택되는 단계(S100);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이 체크되는 단계(S200);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어 자동운전되는 경우, LNG 탱크인 저압 저장탱크(11)와 고압 저장탱크(12) 중 한개가 선택되어, 내부의 BOG가 BOG 컴프레셔(60)를 거쳐 NG 버퍼탱크(70)로 이송되는 단계(S300);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작동중, 자동운전 정지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구동이 멈추며 이송공정이 중단되는 단계(S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NG 공급시스템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BOG를 대기방출하고, BOG 컴프레셔를 거쳐 NG 공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OG 운전 제어방법의 자동화되어, 저장탱크의 압력이 사전설정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운전 및 자동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제어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조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패널의 작동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에서 BOG 공정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방법 조작창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OG 공정부분만을 표시한 확대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BOG 공정의 실시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 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은, LNG 공급시스템의 저압 저장탱크(11) 및 고압 저장탱크(12)에서 발생된 BOG를, BOG 컴프레셔(60)(compressor)를 이용하여 NG 버퍼탱크(70)로 이송하는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와 같은 공정순서를 포함한다.
1.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BOG를 압축하기 위한 BOG 컴프레셔(60)가 자동운전으로 선택되는 단계(S100): 전술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단락에서 언급하였듯이, 일반적인 LNG 저장탱크는 진공단열이 되어있지만, 열유입을 100%차단할 수 있는건 아니기 때문에 사용압력에서도 증발 기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BOG(Boil-Off-Gas)라고 지칭한다. BOG가 많이 발생할 경우 탱크 내부 압력이 높아질 우려가 발생되기에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줘야 한다.
이에, BOG 컴프레셔(60)가 하기의 자동운전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자동운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동운전 모드를 선택해두는 단계이다.
이를 위한 상기 S100단계는, BOG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제어패널(100)에서 제 1제어레버(110)가, 수동운전과 자동운전 중 '자동운전'으로 선택되는 단계(S110)와, 상기 제어패널(100)에서 제 2제어레버(120)가, 인버터(INV), OFF, 바이패스(BY) 중 '인버터'로 선택되는 단계(S120)와,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창(HMI, SCADA S/W를 이용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로 운전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며. SCADA S/W는 주 운전자 인터페이스로 설비의 감시 및 각종 운전 환경설정이 가능하다.)의 이송방법 조작창(220)에서 BOG 이송방법으로 '자동'이 선택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S110 및 S120단계의 경우, 유지보수이거나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자동모드가 되도록 한다.
상기 S130단계의 경우,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HMI) 창에서, 좌측의 LNG 이송방법이 나타나 있는 이송방법 조작창(220)(AUTO/MAN SEL창)에, BOG 이송 자동 Button을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BOG 컴프레셔(60)의 구동시에는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주변기기 및 Flange 등 연결부의 조임상태 및 누설여부를 수시로 점검 하여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2.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이 체크되는 단계(S200):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하기의 제 1경우, 제 2경우, 제 3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가 만족될 경우, S400단계의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이 시작되도록 한 것이다.
우선적으로,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의 전체화면에서 이러한 BOG 운전 제어방법에 해당되는 구성들을 설명하면,
LNG 탱크와 연결되어 LNG가 공급되어 있는 저압 저장탱크(11) 및 저압 저장탱크(11)로부터 LNG가 이송되어질 고압 저장탱크(12), 상기 저압 저장탱크(11) 및 고압 저장탱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부에 발생된 BOG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BOG 개방밸브(15), 상기 저압 저장탱크(11) 및 고압 저장탱크(12)로부터 BOG가 이송되어 저장되는 BOG 버퍼탱크(50), 상기 BOG 버퍼탱크(50)로부터 BOG가 이송되어져 압축되는 BOG 컴프레셔(60), 상기 BOG 컴프레셔(60)와 연결되어 NG에 공급에 사용되는 NG 버퍼탱크(70), 상기 BOG 컴프레셔(60) 전단에 위치되어 BOG의 유입출을 제어하는 유입밸브(61), 상기 저압 저장탱크(11), 고압 저장탱크(12), BOG 컴프레셔(60) 전단부, BOG 컴프레셔(60) 후단부, NG 버퍼탱크(70)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 3, 4, 5압력측정장치(P1, P2, P3, P4, P5)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상기의 각 구성들은 관로로 상호간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각각의 각종 밸브 및 장치의 개폐여부, 측정결과값(압력, 온도등), 내부 수위값(Level) 등 LNG 및 BOG 자동이송을 위한 운영 전반에 관련된 정보들은 모두,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의 전체화면에 표시되며,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의 전체화면에서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S200단계에서의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은 하기와 같다.
- 제 1경우: 상기 저압 저장탱크(11)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고압 압력범위이면서, 상기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저압 압력범위인 경우.
- 제 2경우: 상기 고압 저장탱크(12)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고압 압력범위이면서, 상기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저압 압력범위인 경우.
- 제 3경우: 상기 저압 저장탱크(11) 또는 고압 저장탱크(12) 중 어느 하나의 탱크압력이 사전설정된 고압 압력범위이면서, 상기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저압 압력범위인 경우로서,
이러한 상기의 제 1, 2, 3경우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될시,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3. 상기 시작조건이 만족되어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조건이 되는 경우, LNG 탱크인 저압 저장탱크(11)와 고압 저장탱크(12) 중 한개가 선택되어, 내부의 BOG가 BOG 컴프레셔(60)를 거쳐 NG 버퍼탱크(70)로 이송되는 단계(S300):
다시말해, 이러한 BOG 사용 AUTO 운전에서는, 저압 저장탱크(11), 고압 저장탱크(12), BOG 버퍼탱크(50)의 3개의 탱크 압력을 감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각각의 사전설정된 압력범위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BOG 컴프레셔(60)를 가동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게 되는 것으로, BOG 사용 자동운전 시작 조건은, 다음의 세가지 조건중에 한가지가 충족(저압 저장탱크(11)의 압력이 High, 고압 저장탱크(12)의 압력이 High,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Low)하고 BOG 컴프레셔(60)가 FAULT만 아니면 다음의 조건에 따라 자동운전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된 S200단계의 시작조건이 만족되어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이 시작하면 하기와 같은 자세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첫째, 구동선택된 저압 저장탱크(11) 또는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개방밸브(15)가 OPEN 되는 단계(S310);
둘째, 상기 LNG 탱크와 BOG 컴프레셔(60) 사이의 관로에 설치된 BOG 버퍼탱크(50)의 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저압이 아닌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유입밸브(61)가 OPEN 되는 단계(S320);
셋째, 상기 유입밸브(61)가 OPEN되고 사전설정시간 경과후, BOG 컴프레셔(60)가 구동되는 단계(S330);
넷째,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배출구측 압력이 1.3Mpa 이하가 되도록 BOG 컴프레셔(60)가 구동제어되는 단계(S340); 를 거친다.
상기 자동운전 수행단계를 거치는 3가지 실시예는 하기와 같다.
① 실시예 1 (도 5): 저압 저장탱크(11)(TK-101)의 압력이 High이고 NG 버퍼탱크(70)(D-501)의 압력이 High가 아닐 경우 다음의 절차에 의해서 자동운전 된다.
가) 자동 운전 조건이 되면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AOV-101A) OPEN.
나) 제 3압력측정장치(P3)(PT-701)에서 측정한 BOG 컴프레셔(60) 전단 압력이 LOW 가 아닐 때 유입밸브(61)(AOV-701) OPEN.
다) 30초 후 BOG 컴프레셔(60)(BOG Compressor, C-701) 가동.
라) 제 4압력측정장치(P4)(PT-702)에서 측정한 BOG 컴프레셔(60) 후단 압력은 1.3Mpa 이하에서 컨트롤.
마) BOG 컴프레셔(60) 가동정지 조건은, 제 5압력측정장치(P5)(PT-501)로 측정된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High 이거나, 제 1압력측정장치(P1)(PT-101A)에서 측정된 저압 저장탱크(11)의 압력이 Low일 때, BOG 컴프레셔(60)(C-701) 가동 정지.
바) 30초 후에 유입밸브(61)(AOV-701), 저압 저장탱크(11)에 설치되는 BOG 개방밸브(15)(AOV-101A) Close.
② 실시예 2(도 6): 제 2압력측정장치(P2)로 측정된 고압 저장탱크(12)의 압력이 High이고, 제 5압력측정장치(P5)로 측정된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High가 아닐 경우 다음의 절차에 의해서 자동운전 된다.
가) 자동 운전 조건이 되면,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개방밸브(15)(AOV-101B) OPEN.
나) 제 3압력측정장치(P3)(PT-701)에서 측정한 BOG 컴프레셔(60) 전단 압력이 LOW 가 아닐 때, 유입밸브(61)(AOV-701) OPEN.
다) 30초 후 BOG 컴프레셔(60)(C-701) 가동.
라) 제 4압력측정장치(P4)(PT-702)에서 측정한 BOG 컴프레셔(60) 후단 압력은 1.3Mpa 이하에서 컨트롤.
마) BOG 컴프레셔(60) 가동정지 조건은, 제 5압력측정장치(P5)(PT-501)로 측정된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High 이거나, 제 2압력측정장치(P2)(PT-101B)에서 측정된 고압 저장탱크(12)의 압력이 Low일 때, BOG 컴프레셔(60)(C-701) 가동 정지.
바) 30초 후에 유입밸브(61)(AOV-701), 고압 저장탱크(12)에 설치되는 BOG 개방밸브(15)(AOV-101B) Close.
③ 실시예 3(도 7): 제 5압력측정장치(P5)(PT-501)로 측정된 NG 버퍼탱크(70)(D-501)의 압력이 Low이고, 제 1압력측정장치(P1)(PT-101A)로 측정된 저압 저장탱크(11)(TK-101)의 압력 또는 제 2압력측정장치(P2)(PT-101B)로 측정된 고압 저장탱크(12)(TK-102)의 압력이 Low가 아닐 때 다음의 절차에 의해서 자동운전 된다.
가) 자동 운전 조건이 되면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 또는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저장탱크(AOV-101A 또는 AOV-101B) OPEN.
나) 제 3압력측정장치(P3)(PT-701)에서 측정한 BOG 컴프레셔(60) 전단 압력이 LOW 가 아닐 때, 유입밸브(61)(AOV-701) OPEN.
다) 30초 후 BOG 컴프레셔(60)(C-701) 가동.
라) 제 4압력측정장치(P4)(PT-702)에서 측정한 BOG 컴프레셔(60) 후단 압력은 1.3Mpa 이하에서 컨트롤.
마) BOG 컴프레셔(60)의 가동정지 조건은 제 5압력측정장치(P5)(PT-501)로 측정된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High 이거나, 제 1압력측정장치(P1)로 측정된 저압 저장탱크(11)의 압력(또는 제 2압력측정장치(P2)로 측정된 고압 저장탱크(12)의 압력)이 Low일 때, BOG 컴프레셔(60)(C-701) 가동 정지.
바) 30초 후에 유입밸브(61)(AOV-701), 사용된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 또는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저장탱크 Close.
더불어, 상기와 같이,
자동운전 조건이 되면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 또는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개방밸브(15)가 OPEN되며, 이러한 OPEN 우선순위는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BOG처리 자동 페이지창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초기에는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가 우선으로 설정되어 있다. 2개의 저장탱크 각각의 밸브는 동시에 같이 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저압 저장탱크(11)와 고압 저장탱크(12)의 모두 압력이 HIGH일 경우, 고압 저장탱크(12)의 VENT밸브(RS-109B)는 수동으로 OPEN하고, 저압 저장탱크(11)를 BOG 이송에 우선사용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와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저장탱크의 OPEN, CLOSE 조건은 하기와 같지만, 이는 현장 여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다.
① 저압 저장탱크(11)의 BOG 개방밸브(15)(AOV-101A)
제 1압력측정장치(P1)의 압력(PT-101A)값이 High(0.6Mpa) 이상 : OPEN
제 1압력측정장치(P1)의 압력(PT-101A)값이 Low(0.4Mpa) 이하 : CLOSE
②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개방밸브(15)(AOV-101B)
제 2압력측정장치(P2)의 압력(PT-101B)값이 High(1.25Mpa) 이상 : OPEN
제 2압력측정장치(P2)의 압력(PT-101B)값이 Low(0.9Mpa) 이하 : CLOSE
4.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작동중, 자동운전 정지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구동이 멈추며 이송공정이 중단되는 단계(S400):
상기 자동운전 정지조건은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모드가 OFF되는 제 1정지조건,
상기 BOG 이송을 위한 구동 중, 상기 BOG 컴프레셔(60) 유입구측 압력이 저압이거나, 또는 BOG 컴프레셔(60) 배출구측 압력이 고압이 되는 제 2정지조건,
제어패널(100) 또는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비상정지작동 버튼이 ON되는 제 3정지조건,
BOG 송출시의 저압 저장탱크(11) 압력이 저압이 되는 제 4정지조건,
BOG 송출시의 고압 저장탱크(12) 압력이 저압이 되는 제 5정지조건,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고압이 되는 제 6정지조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저압 저장탱크 12: 고압 저장탱크
15: BOG 개방밸브 50: BOG 버퍼탱크
60: BOG 컴프레셔 61: 유입밸브
70: NG 버퍼탱크 100: 제어패널
110: 제 1제어레버 120: 제 2제어레버
200: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
220: 이송방법 조작창
P1: 제 1압력측정장치 P2: 제 2압력측정장치
P3: 제 3압력측정장치 P4: 제 4압력측정장치
P5: 제 5압력측정장치

Claims (4)

  1. LNG 공급시스템에서 LNG 이송공정단계의 LNG 탱크에서 발생되는 BOG를 NG 공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BOG 운전 제어방법으로,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BOG를 압축하기 위한 BOG 컴프레셔(60)가 자동운전으로 선택되는 단계(S100);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이 체크되는 단계(S200);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어 자동운전되는 경우, LNG 탱크인 저압 저장탱크(11)와 고압 저장탱크(12) 중 한개가 선택되어, 내부의 BOG가 BOG 컴프레셔(60)를 거쳐 NG 버퍼탱크(70)로 이송되는 단계(S300);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작동중, 자동운전 정지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구동이 멈추며 이송공정이 중단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S100단계는
    BOG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제어패널(100)에서 제 1제어레버(110)가, 수동운전과 자동운전 중 '자동운전'으로 선택되는 단계(S110);
    상기 제어패널(100)에서 제 2제어레버(120)가, 인버터(INV), OFF, 바이패스(BY) 중 '인버터'로 선택되는 단계(S120);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이송방법 조작창(220)의 BOG 이송방법으로 '자동'이 선택되는 단계(S130); 로 이루어지고,
    상기 S200단계에서의 자동운전 시작조건은,
    상기 저압 저장탱크(11)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고압 압력범위이면서, 상기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저압 압력범위인 제 1경우,
    상기 고압 저장탱크(12)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고압 압력범위이면서, 상기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저압 압력범위인 제 2경우,
    상기 저압 저장탱크(11) 또는 고압 저장탱크(12) 중 어느 하나의 탱크압력이 사전설정된 고압 압력범위이면서, 상기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저압 압력범위인 제 3경우이며, 상기 제 1, 2, 3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가 만족될 시, S400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상기 자동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저압 저장탱크(11) 고압 저장탱크(12)의 BOG 개방밸브(15)가 OPEN 되는 단계(S310);
    상기 LNG 탱크와 BOG 컴프레셔(60) 사이의 관로에 설치된 BOG 버퍼탱크(50)의 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저압이 아닌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유입밸브(61)가 OPEN 되는 단계(S320);
    상기 유입밸브(61)가 OPEN되고 사전설정시간 경과후, BOG 컴프레셔(60)가 구동되는 단계(S330);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배출구측 압력이 1.3Mpa 이하가 되도록 BOG 컴프레셔(60)가 구동제어되는 단계(S340);
    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
    상기 자동운전 정지조건은
    상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모드가 OFF되는 제 1정지조건,
    상기 BOG 이송을 위한 구동 중, 상기 BOG 컴프레셔(60) 유입구측 압력이 저압이거나, 또는 BOG 컴프레셔(60) 배출구측 압력이 고압이 되는 제 2정지조건,
    제어패널(100) 또는 LNG 위성기지 운영시스템(200)에서 비상정지작동 버튼이 ON되는 제 3정지조건,
    BOG 송출시의 저압 저장탱크(11) 압력이 저압이 되는 제 4정지조건,
    BOG 송출시의 고압 저장탱크(12) 압력이 저압이 되는 제 5정지조건,
    NG 버퍼탱크(70)의 압력이 고압이 되는 제 6정지조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BOG 컴프레셔(60)의 자동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저장탱크(11)와 고압 저장탱크(12)는 동시에 사용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저압 저장탱크(11)는 0.6Mpa 이상의 압력인 경우, BOG 개방밸브(15)가 OPEN되고, 0.4Mpa 이하의 압력인 경우, BOG 개방밸브(15)가 CLOSE되며,
    상기 고압 저장탱크(12)는 1.25Mpa 이상의 압력인 경우, BOG 개방밸브(15)가 OPEN되고, 0.9Mpa 이하의 압력인 경우, BOG 개방밸브(15)가 CLO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KR1020210035218A 2021-03-18 2021-03-18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KR102493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218A KR102493752B1 (ko) 2021-03-18 2021-03-18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218A KR102493752B1 (ko) 2021-03-18 2021-03-18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93A KR20220130393A (ko) 2022-09-27
KR102493752B1 true KR102493752B1 (ko) 2023-01-30

Family

ID=8345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218A KR102493752B1 (ko) 2021-03-18 2021-03-18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0871A1 (en) 2003-05-09 2004-12-16 Bingham Denn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mpressed natural gas and liquified natural gas to natural gas powered vehicles
KR101423003B1 (ko) 2013-08-29 2014-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79486B1 (ko) 2013-06-29 2015-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실시간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180045372A1 (en) 2016-08-10 2018-02-15 Liquimet S.p.A. Station for dispensing natural gas
JP2020070786A (ja) 2018-11-02 2020-05-0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装置、ポンプ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51A (ko) 2000-06-22 2002-01-09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0871A1 (en) 2003-05-09 2004-12-16 Bingham Denn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mpressed natural gas and liquified natural gas to natural gas powered vehicles
KR101479486B1 (ko) 2013-06-29 2015-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실시간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423003B1 (ko) 2013-08-29 2014-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US20180045372A1 (en) 2016-08-10 2018-02-15 Liquimet S.p.A. Station for dispensing natural gas
JP2020070786A (ja) 2018-11-02 2020-05-0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装置、ポンプ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93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715B2 (en) Gas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tarting operation of gas supply device
EP0740103B1 (en) Liquefied gas supply system
US6851298B2 (en) Fluid leakage detection apparatus and fluid leakage detection method
US7367349B2 (en) Method for opening tank shut-off valves in gas feeding systems with connected tanks
US10473267B2 (en) Method for filling a fuel storage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11853540B (zh) 用于压力容器系统的维保设备和维保方法
US20190041003A1 (en) Gas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topping operation of gas supply device
CN209801147U (zh) 防增压装置汽蚀的控制系统及气体供给系统
US1137243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alve of a pressure vessel system, and pressure vessel system
JP2012047234A (ja) ガス充填装置
US20230265971A1 (en) Defuel priority panel
KR102493752B1 (ko) Lng 공급시스템의 bog 운전 제어방법
EP3689733B1 (en) System for circulating air through double pipes for supplying gas and air circulation method using same
JP3571453B2 (ja) ガス供給装置
CN110168275A (zh) 用于机动车的压力容器系统
JP3212895B2 (ja) ガスタービンの燃料供給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CN114889796A (zh) 一种燃料管路的惰化控制系统及方法
KR102456937B1 (ko) Lng 공급시스템의 이송공정 제어방법
JP3542086B2 (ja) 天然ガスの充填方法
CN207648464U (zh) 一种用于燃气轮机燃料气的存储装置
JPH0412178A (ja) 低温ガス圧縮機の運転制御方法
JPH09183986A (ja) 低温液化ガスポンプのホットアップ装置
JPH0914588A (ja) 液化ガス供給システム
JP2002047948A (ja) ガス専焼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CN217357591U (zh) 高温水定压补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