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66B1 -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66B1
KR102493666B1 KR1020210046380A KR20210046380A KR102493666B1 KR 102493666 B1 KR102493666 B1 KR 102493666B1 KR 1020210046380 A KR1020210046380 A KR 1020210046380A KR 20210046380 A KR20210046380 A KR 20210046380A KR 102493666 B1 KR102493666 B1 KR 10249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aste
main circulation
circulation line
line
radi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194A (ko
Inventor
정형권
장동규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빛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빛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빛이엔이
Priority to KR102021004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6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2Processing by absorption; by adsorption;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매우 저렴한 설비단가 및 운영비용으로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별도건물의 집수조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방수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성물질 감쇄처리를 실시하여 방사선 측정값을 기준값 미만으로 낮추어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하단부에 배수구를 갖고, 별도건물의 집수조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집수조의 액체폐기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임시 저장하는 처리조와; 흡수단부 및 배수단부가 모두 상기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이송하는 주순환라인과; 상기 주순환라인의 흡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펌핑하여 주순환라인을 따라 순환시키는 펌프수단과; 상기 주순환라인의 배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을 따라 순환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는 필터링장치와; 상기 처리조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수단과; 상기 처리조의 배수구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제1 밸브수단과; 상기 펌프수단, 제1 밸브수단 및 방사선검출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방사선검출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검출값에 의거 상기 펌프수단 및 제1 밸브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대한 명령의 입력,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조작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A disposal system of liquid waste generated in separate buildings of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 내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을 별도건물 내에서 자체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는 원자로, 발전시설 및 방사성 폐액처리시설 등이 내설된 메인건물과 매인거물 주변에 별도로 건설되어 원자력발전과 관련된 각종 기기에 대한 점검 및 정비 등을 실시하는 별도건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별도건물에서는 각종 기기의 점검 및 정비에는 점검 및 정비수가 사용됨으로 인해 액체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액체폐기물은 집수조에 집수시킨 후 매회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샘플을 채취하여 방사선을 측정하고, 측정된 방사선값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별도건물 내의 일반 배수라인을 통해 방수하고, 만약 측정된 방사선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메인건물 내의 방사성 폐액처리시설로 이송시켜 처리하고 있다.
원전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처리방식은 기준값 이상의 방사선측정값을 갖는 액체폐기물을 매번 메인건물로 이송시켜 처리해야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비교적 소량의 액체폐기물이 발생되는 별도건물에 고가의 방사성 폐액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별도건물의 집수조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방수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성물질 감쇄처리를 실시하여 방사선 측정값을 기준값 미만으로 낮추어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방수할 수 있도록하면서도 설비단가 및 운영비용도 매우 저렴한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부에 배수구를 갖고, 별도건물의 집수조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집수조의 액체폐기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임시 저장하는 처리조와; 흡수단부 및 배수단부가 모두 상기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이송하는 주순환라인과; 상기 주순환라인의 흡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펌핑하여 주순환라인을 따라 순환시키는 펌프수단과; 상기 주순환라인의 배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을 따라 순환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는 필터링장치와; 상기 처리조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수단과; 상기 처리조의 배수구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제1 밸브수단과; 상기 펌프수단, 제1 밸브수단 및 방사선검출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방사선검출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검출값에 의거 상기 펌프수단 및 제1 밸브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대한 명령의 입력,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조작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자동 오염도 측정 및 제염 시스템은 제염실 바닥면 상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및 구동축,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구동축에 의해 이동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지지대 트레이, 지지대 트레이의 수직 지지대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대, 수평 지지대의 각 유닛 장착부에 좌우 상하 작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제2 오염도 측정유닛 및 레이저 제염유닛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제염실의 바닥에 배치된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오염도 측정 및 제염작업을 자동으로 에러 없이 한번에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오염도 측정 및 제염작업의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의 제1 실시 예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 중 필터링장치의 구성 및 그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필터링장치의 구성 및 그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의 제2 실시 예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의 제3 실시 예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의 제4 실시 예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과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자동 오염도 측정 및 제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10)의 제1 실시 예는 처리조(20)와, 주순환라인(30)과, 펌프수단(90)과, 필터링장치(40)와, 방사선검출수단(50)과, 제1 밸브수단(60)과, 제어부(70)와, 조작반(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처리조(20)는 하단부에 배수구(21)를 갖고, 별도건물의 집수조(200)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집수조(200)의 액체폐기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주순환라인(30)는 흡수단부 및 배수단부가 모두 상기 처리조(20)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을 이송한다.
상기 펌프수단(90)은 상기 주순환라인(30)의 흡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을 펌핑하여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시킨다.
상기 필터링장치(40)는 상기 주순환라인(30)의 배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방사선검출수단(50)은 상기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검출한다. 이때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의 시료채취 및 채취된 시료에 대한 방사선검출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밸브수단(60)은 상기 처리조(20)의 배수구(21)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구(21)를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펌프수단(90), 제1 밸브수단(60) 및 방사선검출수단(50)과 각각 연결되어 방사선검출수단(50)으로 부터 수신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검출값에 의거 상기 펌프수단(40) 및 제1 밸브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조작반(80)은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고, 제어부(70)에 대한 명령의 입력,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조작반(80)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장치(4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필터모듈(41)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필터모듈(41)는 그 입수구(41a) 및 배수구(41b)가 주순환라인(30)와 각각 병렬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모듈(41)은 제1 활성탄필터(42)와, 제2 활성탄필터(43)와, 탈이온장치(4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는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입자형 방사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제2 활성탄필터(43)는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입자형 방사성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탈이온장치(44)는 상기 제1 및 제2 활성탄필터(42)(43) 사이에 유로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를 통과한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방사성 이온화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41)은 유량계측수단(45)과, 개폐밸브(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량계측수단(45)는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입수구(41a) 상에 장착되고, 필터모듈(41) 내로 유입되는 액체폐기물의 유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부(70)로 송신한다.
상기 개폐밸브(46)는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입수구(41a) 상에 장착되고, 입수구(41a)를 개폐하도록 제어부(7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즉, 제어부(70)는 상기 유량계측수단(45)로 부터 수신되는 유량계측값이 기설정값 미만일 때 개폐밸브(46)를 열림 작동시키고, 유량계측값이 기설정값 이상을 때 개폐밸브(45)를 닫힘 작동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10)의 제2 실시 예는 도 1에 예시된 제1 실시 예의 구성에 더하여, 방사선검출라인(100)과, 제2 밸브수단(110)과, 제3 밸브수단(120)를 더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은 일단부가 처리조(2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펌프수단(9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과 연통되게 분기되고,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 측정값이 측정되는 동안 주순환라인(30)의 입수단부로 부터 흡수되는 액체폐기물을 처리조(20) 내로 배수한다.
상기 제2 밸브수단(110)은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3 밸브수단(120)은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아울러, 방사선검출수단(50)은 펌프수단(90)과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주순환라인(30) 및 방사선검출라인(100)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부(70)로 송신한다.
제 5를 참조하면, 본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10)의 제3 실시 예는 주순환라인(30)과, 펌프수단(90)과, 필터링장치(40)와, 방사선검출수단(50)과, 일반방수라인(130)과, 제2 밸브수단(110)과, 제4 밸브수단(140)과, 제어부(70)와, 조작반(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순환라인(30)는 흡수단부 및 배수단부가 모두 별도건물의 집수조(200) 내에 배치되고,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을 이송한다.
상기 펌프수단(90)는 상기 주순환라인(30)의 흡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을 펌핑하여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시킨다.
상기 필터링장치(40)는 상기 주순환라인(30)의 배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며, 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제1 실시 예와 같다.
상기 방사선검출수단(50)는 상기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검출한다.
상기 일반방수라인(130)는 일단부가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타단부가 펌프수단(9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과 연통되게 분기되어 연결되고, 주순환라인(30)의 입수단부를 통해 이송되는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을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방수한다.
상기 제2 밸브수단(110)은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일반방수라인(13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4 밸브수단(140)은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일반방수라인(1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일반방수라인(1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펌프수단(90), 방사선검출수단(50), 제2 밸브수단(110) 및 제4 밸브수단(140)과 각각 연결되어 방사선검출수단(50)으로 부터 수신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검출값에 의거 상기 펌프수단(90) 및 제2 및 제4 밸브수단(110)(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조작반(80)은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고, 제어부(70)에 대한 명령의 입력,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조작반(80)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10)의 제4 실시 예는 도 5에 예시된 제3 실시 예의 구성에 더하여, 방사선검출라인(100)과, 제5 밸브수단(150)과, 제3 밸브수단(12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은 일단부가 집수조(20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펌프수단(90)과 일반방수라인(130) 사이의 주순환라인(30)과 연통되게 분기되고,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측정값이 측정되는 동안 주순환라인(30)의 입수단부로 부터 흡수되는 액체폐기물을 집수조(200) 내로 배수한다.
상기 제5 밸브수단(150)은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과 일반방수라인(13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3 밸브수단(120)은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아울러, 방사선검출수단(50)은 펌프수단(90)과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주순환라인(30) 및 방사선검출라인(100)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부(70)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는 설비단가 및 운영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손쉽게 이동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별도건물의 집수조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을 방수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집수조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성물질 감쇄처리를 실시하여 방사선 측정값을 기준값 미만으로 낮추어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방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 폐기물의 처리장치
20: 처리조 30: 주순환라인
40: 필터링장치 50: 방사선검출수단
60: 제1 밸브수단 70: 제어부
80: 조작반 90: 펌프수단
100: 방사선검출라인 110: 제2 밸브수단
120: 제3 밸브수단 130: 일반방수라인
140: 제4 밸브수단 150: 제5 밸브수단

Claims (10)

  1. 하단부에 배수구(21)를 갖고, 별도건물의 집수조(200) 내에 집수된 액체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집수조(200)의 액체폐기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임시 저장하는 처리조(20)와; 흡수단부 및 배수단부가 모두 상기 처리조(20)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을 이송하는 주순환라인(30)과; 상기 주순환라인(30)의 흡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을 펌핑하여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시키는 펌프수단(90)과; 상기 주순환라인(30)의 배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고, 그 입수구(41a) 및 배수구(41b)가 주순환라인(30)와 각각 병렬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필터모듈(41)로 구성되는 필터링장치(40)와; 상기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수단(50)과; 상기 처리조(20)의 배수구(21)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구(21)를 개폐하는 제1 밸브수단(60)과; 상기 펌프수단(90), 제1 밸브수단(60) 및 방사선검출수단(50)과 각각 연결되어 방사선검출수단(50)으로 부터 수신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검출값에 의거 상기 펌프수단(90) 및 제1 밸브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고, 제어부(70)에 대한 명령의 입력,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조작반(80)으로 구성된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41)은,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입자형 방사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활성탄필터(42)와;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입자형 방사성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활성탄필터(43)와;
    상기 제1 및 제2 활성탄필터(42)(43) 사이에 유로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를 통과한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방사성 이온화물질을 제거하는 탈이온장치(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는,
    일단부가 처리조(2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펌프수단(9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과 연통되게 분기되고, 처리조(2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 측정값이 측정되는 동안 주순환라인(30)의 입수단부로 부터 흡수되는 액체폐기물을 처리조(20) 내로 배수하는 방사선검출라인(100)과,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2 밸브수단(110)과,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3 밸브수단(120)을 더 포함하며;
    방사선검출수단(50)은,
    펌프수단(90)과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주순환라인(30) 및 방사선검출라인(100)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부(7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6. 흡수단부 및 배수단부가 모두 별도건물의 집수조(200) 내에 배치되고,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을 이송하는 주순환라인(30)과; 상기 주순환라인(30)의 흡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을 펌핑하여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시키는 펌프수단(90)과; 상기 주순환라인(30)의 배수단부 측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고, 그 입수구(41a) 및 배수구(41b)가 주순환라인(30)와 각각 병렬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필터모듈(41)로 구성되는 필터링장치(40)와; 상기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수단(50)과; 일단부가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타단부가 펌프수단(9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과 연통되게 분기되어 연결되고, 주순환라인(30)의 입수단부를 통해 이송되는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을 별도건물의 일반 배수라인으로 방수하는 일반방수라인(130)과;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일반방수라인(130)과 필터링장치(4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2 밸브수단(110)과;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일반방수라인(1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일반방수라인(1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4 밸브수단(140)과; 상기 펌프수단(90), 방사선검출수단(50), 제2 밸브수단(110) 및 제4 밸브수단(140)과 각각 연결되어 방사선검출수단(50)으로 부터 수신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검출값에 의거 상기 펌프수단(90) 및 제2 및 제4 밸브수단(110)(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고, 제어부(70)에 대한 명령의 입력,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조작반(80)으로 구성된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41)은,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입자형 방사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활성탄필터(42)와;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입자형 방사성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활성탄필터(43)와;
    상기 제1 및 제2 활성탄필터(42)(43) 사이에 유로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활성탄필터(42)를 통과한 액체폐기물 내에 포함된 방사성 이온화물질을 제거하는 탈이온장치(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는,
    일단부가 집수조(20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펌프수단(90)과 일반방수라인(130) 사이의 주순환라인(30)과 연통되게 분기되고, 집수조(200) 내의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측정값이 측정되는 동안 주순환라인(30)의 입수단부로 부터 흡수되는 액체폐기물을 집수조(200) 내로 배수하는 방사선검출라인(100)과,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과 일반방수라인(13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순환라인(3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5 밸브수단(150)과,
    제어부(7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3 밸브수단(120)을 더 포함하며;
    방사선검출수단(50)은,
    펌프수단(90)과 상기 방사선검출라인(100) 사이의 주순환라인(30) 상에 장착되고, 주순환라인(30) 및 방사선검출라인(100)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액체폐기물에 대한 방사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부(7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20210046380A 2021-04-09 2021-04-09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249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80A KR102493666B1 (ko) 2021-04-09 2021-04-09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80A KR102493666B1 (ko) 2021-04-09 2021-04-09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94A KR20220140194A (ko) 2022-10-18
KR102493666B1 true KR102493666B1 (ko) 2023-01-31

Family

ID=8380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80A KR102493666B1 (ko) 2021-04-09 2021-04-09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6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294A (ja) * 1998-06-30 2000-01-21 Toshiba Eng Co Ltd 放射性廃液の貯蔵,移送設備
KR100250557B1 (ko) * 1996-01-11 2000-04-01 니시무로 타이죠 방사선 폐액처리설비
KR101904931B1 (ko) * 2017-12-05 2018-10-05 (주)엔에이시 가동 중 원전 또는 폐로 시 발생되는 방사성 농축폐액 처분을 위한 방사성 농축폐액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557B1 (ko) * 1996-01-11 2000-04-01 니시무로 타이죠 방사선 폐액처리설비
JP2000019294A (ja) * 1998-06-30 2000-01-21 Toshiba Eng Co Ltd 放射性廃液の貯蔵,移送設備
KR101904931B1 (ko) * 2017-12-05 2018-10-05 (주)엔에이시 가동 중 원전 또는 폐로 시 발생되는 방사성 농축폐액 처분을 위한 방사성 농축폐액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94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CN106862180A (zh) 一种cip在线清洗系统控制方法
CN203165478U (zh) 一种全自控序批式放射性污水处理装置
CN112433037A (zh) 一种户外水质监测站
KR102493666B1 (ko) 원자력발전소의 별도건물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처리장치
JP2003305454A (ja) 取水水質管理装置
CN112233831A (zh) 放射性污、废水衰变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4475410A (zh) 一种洗瓶过程中洗液循环处理系统及其工艺
JPS637357B2 (ko)
CN205307944U (zh) 一种纸浆废液循环处理且可自动化排放的处理装置
RU2507156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от объекто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и бытов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и робот-пробоотборник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CN110794445B (zh) 一种在线测量工艺料液放射性的系统
CN102798702B (zh) 带有气室温度调控系统的人造板甲醛释放量测试装置
JPH0894608A (ja) 取水水質管理装置
CN105905962A (zh) 一种cod稳定达标排放装置
EP2873466B1 (en) Apparatus for abatement of vapors for washing machines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apparatus
JPWO2009157057A1 (ja) 紫外線吸光度測定装置
KR101495678B1 (ko) Plc 기술을 활용한 공정진단 기반의 지능형 수처리 원격제어시스템
KR101700890B1 (ko) 단계별 하수처리 진단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N208270553U (zh) 一种自动化污水水质检测设备
CN110491539B (zh) 地下核电站严重事故废液收集处理系统
CN205773454U (zh) 一种cod稳定达标排放装置
JPH08226923A (ja) 自動分析装置
CN201895007U (zh) 具有污水处理功能的实验通风柜
KR102666861B1 (ko) 폐수 자동 채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