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170B1 -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170B1
KR102493170B1 KR1020200090819A KR20200090819A KR102493170B1 KR 102493170 B1 KR102493170 B1 KR 102493170B1 KR 1020200090819 A KR1020200090819 A KR 1020200090819A KR 20200090819 A KR20200090819 A KR 20200090819A KR 102493170 B1 KR102493170 B1 KR 10249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gas
concentration
nitrogen oxide
rota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941A (ko
Inventor
유이치 이시이
세이이치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009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1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37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NO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39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O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회전 기기(1)의 고정자 코일(7)로부터 발생하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장치(21)이다.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25)와, 회전 기기와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는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27)를 구비하고 있으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회전 기기 사이에, 내부를 통과하는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을 흡수하는 오존 흡수 필터(28)가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GAS DETECTION DEVICE OF ROTARY MACHINE, GAS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EGRADATION OF STATOR COIL}
본 발명은 고압 회전 기기 등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의 열화를 감시할 때에 사용하는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압 회전 기기 등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은, 절연 피막이 실시된 도선을 복수개 묶은 소선 코일과, 소선 코일을 마이카 테이프 등으로 권취하여 마련한 절연층과, 반도전층을 구비하고, 고정자 철심의 슬롯에 수용되어 결선되어 있고, 이것들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함침, 경화되어 있다.
고정자 코일은, 운전 중에 전기적, 열적, 기계적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절연층과 반도전층은 경년 열화를 야기하기 쉽다.
고정자 코일의 절연층의 열화는, 절연층 중의 미소한 보이드에 있어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에 의해 경년적으로 침식되어 가, 이윽고 기기 고장(절연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가동 중의 회전 기기의 부분 방전의 발생 레벨을 검출하여, 고장 전에 메인터넌스나 갱신을 재촉하는 부분 방전 감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특허문헌 1은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 중, 일산화탄소, 2산화질소,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회전자 코일의 절연층의 열화를 탐지하여, 회전 기기의 예방 보전을 행하는 기술이다.
특허문헌 2는 부분 방전 전하량과 오존의 발생 농도의 관계로부터, 오존을 측정함으로써, 고주파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회전 기기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의 발생 상황을 검지하여, 회전자 코일의 절연층의 열화를 감시하는 방법이다.
한편,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은, 절연층과 반도전층 사이의 미소한 보이드에 있어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에 의해 열화된다. 반도전층이 열화되면, 부분 방전이 발생하여, 반도전층의 열화가 촉진된다. 여기서, 고정자 코일의 절연층 및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체에서 부분 방전이 발생하지만, 본원에서는, 반도전층의 열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 표면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표면 방전」이라고 칭한다.
반도전층에서 발생하는 표면 방전에 의해 열화가 촉진되면, 그때에 오존(O3), 질소 산화물(NO, NO2)이라고 하는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고, 부식성 가스와 공기 중의 수분이 결부되어 질산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회전 기기의 금속 구조 부품의 녹이나 부식에 의한 강도 저하를 초래하여, 2차적인 고장을 야기하며, 회전 기기의 안정적인 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반도전층의 열화는 표면 방전을 수반하기 때문에,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부분 방전 시험에 의해 열화의 경향을 살피는 것은 가능하지만, 절연층 중에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 쪽이 지배적인 경우에는, 반도전층의 열화를 판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반도전층의 열화의 평가는, 회전 기기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회전자를 발출하여, 고정자 코일을 육안으로 보아 점검하는 방법이 주가 된다. 반도전층의 열화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회전 기기의 프레임을 제거하고, 회전자를 발출하여, 고정자 코일이 육안으로 보아 점검 가능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고압 회전 기기는, 발전소나 공장에 있어서의 주요 기기이며, 운전 정지에 의한 반도전층의 열화의 평가는, 공장의 조업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12-50346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8-200179호 공보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2의 기술은, 회전 기기의 회전자 코일의 절연체의 열화나 부분 방전을 감시하는 것이며, 육안 점검 이외의 방법으로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의 열화를 평가하는 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의 열화를 감시하는 것은, 회전 기기의 안정 운전에 있어서 중요하며, 종래의 육안 점검과 같이 회전 기기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회전 기기가 운전된 상태(온라인)에서,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의 열화를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의 열화를 감시함으로써 회전 기기의 안정 운전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는,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장치로서,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와, 회전 기기와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는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회전 기기 사이에, 내부를 통과하는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을 흡수하는 오존 흡수 필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방법은,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 및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방법으로서, 회전 기기에 오존 농도 검출부를 접속하고,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오존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오존 농도 검출부가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는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고, 회전 기기에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를 접속하고,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가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회전 기기 사이에,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을 흡수하는 오존 흡수 필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회전 기기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은,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와, 회전 기기와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는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회전 기기 사이에 접속되고, 내부를 통과하는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을 흡수하는 오존 흡수 필터와,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오존용 흡인 장치와, 회전 기기와 상기 오존용 흡인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를 구비한 가스 검지 장치와, 가스 검지 장치로 검출한 오존(또는 질소 산화물, 또는 오존 및 질소 산화물)의 농도에 기초하여 반도전층의 침식이 진전하는 정도를 판정하고, 침식이 진전하여 반도전층이 열화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고정자 코일의 상태를 통지하는 열화 감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의 열화를 감시함으로써 회전 기기의 안정 운전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전 기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회전 기기에 있어서의 고정자 철심의 슬롯에 수용된 고정자 코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의 농도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의 열화 감시부가 행하는 열화 감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고정자 코일의 반도전층이 표면 방전의 발생에 따라 침식이 진전하는 정도(침식 면적의 변화)와, 반도전층의 침식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오존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회전 기기의 운전 시간의 경과와 함께, 회전 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존, 질소 산화물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스 검지 장치에 있어서,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스 검지 장치에 있어서,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두께나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회전 기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회전 기기(1)를 나타내는 것이다.
회전 기기(1)는, 기기 본체(2)와, 이 기기 본체(2)의 외주를 덮고 있는 기기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기기 본체(2)는, 회전자(4)와, 고정자(5)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4)는, 기기 프레임(3)의 양단에 형성된 단판(3a 및 3b)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6)과, 회전축(6)에 고정된 회전자 코일(7)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자(5)는, 회전자 코일(7)의 외주에 소정의 갭을 통해 대향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고정자 철심(8)과, 고정자 철심(8)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9)에 수용된 고정자 코일(1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고정자 철심(8)의 슬롯(9)에 수용된 고정자 코일(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고정자 코일(10)은, 절연 피막이 실시된 도선(11)을 복수개 묶은 소선 코일(12)과, 소선 코일(12)의 외주를 마이카 테이프 등으로 권취하여 마련한 절연층(13)과, 절연층의 주위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 경화하여 마련한 반도전층(14)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웨지(15)로 슬롯(9) 내부에 수용되어 결선되어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함침, 경화되어 있다.
고정자 코일(10)에는, 3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급전된다.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회전 기기(1)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을 나타내는 것이다.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은, 반도전층(14)의 열화에 따른 표면 방전에 의해 발생한 오존(O3), 질소 산화물(NO, NO2)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장치로서의 농도 측정부(21)와, 농도 측정부(21)에서 측정한 오존, 질소 산화물의 측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측정 데이터 기록부(22)와, 측정 데이터 기록부(22)에서 기록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고정자 코일(10)의 열화 감시를 행하는 열화 감시부(23)와, 열화 감시부(23)에 있어서 회전 기기(1)의 감시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농도 측정부(2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기체 흡인 장치(25) 및 제2 기체 흡인 장치(26)와, 제1 기체 흡인 장치(25)와 회전 기기(1) 사이에 접속한 질소 산화물 검지관(27)과, 질소 산화물 검지관(27) 및 회전 기기(1) 사이에 접속한 오존 흡수 필터(28)와, 제2 기체 흡인 장치(26) 및 회전 기기(1) 사이에 접속한 오존 검지관(29)을 구비하고 있다.
오존 검지관(29)은, 밀폐된 튜브형의 용기 속에, 오존 가스와 반응하여 변색되는 약제가 수납되어 있고,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과 반응하여 변색되고, 그 변색의 정도에 따라 오존의 농도를 측정한다.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은, 밀폐된 튜브형의 용기 속에, 질소 산화물과 반응하여 변색되는 약제가 수납되어 있고,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고 있는 질소 산화물과 반응하여 변색되고, 그 변색의 정도에 따라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오존 흡수 필터(28)는, 밀폐된 튜브형의 용기 속에,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오존을 흡수 또는 분해하는 성질을 갖은 재료가 수납되어 있다.
다음에, 농도 측정부(2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기체 흡인 장치(25)를 구동하면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가 흡인되어, 오존 흡수 필터(28),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을 통과하고, 이들을 통과한 가스가 제1 기체 흡인 장치(25)로부터 외부에 배출된다. 이때, 제1 기체 흡인 장치(25)는,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을 통과하는 내부 분위기 가스에 대하여 알맞은 유속 및 적산 유량으로 조정하여, 질소 산화물(NO, NO2)의 농도 검출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오존 흡수 필터(28)를 통과한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이 흡수되어, 질소 산화물을 포함한 내부 분위기 가스만이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을 통과하고,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의 변색의 정도에 따라 질소 산화물의 농도가 측정된다.
또한, 제2 기체 흡인 장치(26)를 구동시키면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가 흡인되어, 오존 검지관(29)을 통과하고, 오존 검지관(29)을 통과한 가스는 제2 기체 흡인 장치(26)로부터 외부에 배출된다. 이때, 제2 기체 흡인 장치(26)는, 오존 검지관(29)을 통과하는 내부 분위기 가스에 대하여 알맞은 유속 및 적산 유량으로 조정하여, 오존의 농도 검출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오존 검지관(29)의 변색의 정도에 따라 오존의 농도가 측정된다.
그리고, 농도 측정부(21)의 오존 검지관(29)에서 측정한 오존의 농도(오존 농도 측정값)(OC)와,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에서 측정한 질소 산화물의 농도(질소 산화물 농도 측정값)(NC)는, 측정 데이터 기록부(22)에 기록된다.
다음에, 도 3에서 나타낸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의 열화 감시부(23)는, 농도 측정부(21)에서 측정한 오존 농도 및 질소 산화물에 기초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의 침식 진전성, 수명의 각 판단을 행한다. 열화 감시부(23)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연산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나, 측정, 데이터 처리의 일부를 작업원이 수동으로 행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열화 감시부(23)가 행하는 열화 감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화 감시부가 행하는 열화 감시 처리]
이 열화 감시 처리는, 먼저, 단계 ST1에서, 측정 데이터 기록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오존 농도 측정값(OC)과, 질소 산화물 농도 측정값(NC)을 읽어들이고 나서 단계 ST2로 이행한다.
단계 ST2에서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에 기초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의 침식 정도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서는, 질소 산화물 농도 측정값(NC)이, 즉대응(卽對應) 레벨 임계값(NTS)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한다. 그리고, NC≥NTS일 때에는, 고정자 코일(10)을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반도전층(14)의 침식이 진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T3으로 이행하여, 「고정자 코일의 교환이 필요」의 취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하고 나서 열화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T2에 있어서 NC<NTS일 때에는, 단계 ST4로 이행한다.
단계 ST4에서는, 오존의 농도에 기초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의 침식 정도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서는, 오존 농도 측정값(OC)이, 즉대응 레벨 임계값(OT3S)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한다. 그리고, OC≥OT3S일 때에는, 고정자 코일(10)을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반도전층(14)의 침식이 진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T3으로 이행하여, 「고정자 코일의 교환이 필요」의 취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하고 나서 열화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T4에 있어서 OC<OT3S일 때에는, 단계 ST5로 이행한다.
단계 ST5도, 오존의 농도에 기초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의 침식 정도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서는, 오존 농도 측정값(OC)이, 경계 레벨 임계값(OT2S)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한다. 여기서, 경계 레벨 임계값(OT2S)은, 즉대응 레벨 임계값(OT3S)보다 작은 값이다. 그리고, OC≥OT2S일 때에는, 반도전층(14)의 침식이 서서히 진전되고 있기 때문에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T3으로 이행하여, 「경계 레벨(고정자 코일 교환의 검토가 필요)」의 취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하고 나서 열화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T5에 있어서 OC<OT2S일 때에는, 단계 ST7로 이행한다.
단계 ST7도, 오존의 농도에 기초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의 침식 정도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서는, 오존 농도 측정값(OC)이, 요감시 레벨 임계값(OT1S)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한다. 여기서, 요감시 레벨 임계값(OT1S)은, 경계 레벨 임계값(OT2S)보다 작은 값이다. 그리고, OC≥OT1S일 때에는, 반도전층(14)이 침식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자 코일(10)의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T8로 이행하여, 「요감시 레벨(고정자 코일의 보수 검토가 필요)」의 취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하고 나서 열화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T5에 있어서 OC<OT1S일 때에는, 열화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이 표면 방전의 발생에 따라 침식이 진전하는 정도(침식 면적의 변화)와, 반도전층(14)의 침식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오존 농도의 관계를 실험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있어서 반도전층(14)의 초기 단계의 침식인 침식 면적(S1)일 때에 발생하는 오존 농도를, 전술한 열화 감시부(23)가 행하는 열화 감시 처리의 요감시 레벨 임계값(OT1S)으로 하였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반도전층(14)의 중기 단계의 침식인 침식 면적[S2(S2>S1)]일 때에 발생하는 오존 농도를, 열화 감시 처리의 경계 레벨 임계값(OT2S)으로 하였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반도전층(14)이 말기 단계의 침식인 침식 면적[S3(S3>S2)]일 때에 발생하는 오존 농도를, 열화 감시 처리의 즉대응 레벨(OT3S)로 하였다.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은, 정기적으로, 농도 측정부(21)를 사용하여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 중의 오존, 질소 산화물의 농도 측정을 행한다. 이때, 오존, 질소 산화물의 채취 위치는, 농도 측정부(21)의 오존 흡수 필터(28), 오존 검지관(29)을 회전 기기(1)의 기기 프레임(3)을 관통하는 볼트의 구멍이나 급배기용의 통기구 부분 등, 내부 분위기를 직접 채취할 수 있는 개소이면, 임의의 장소를 선택하여도 좋다.
농도 측정부(21)의 제1 기체 흡인 장치(25)를 구동시키면,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가 흡인되어, 오존 흡수 필터(28),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을 통과한다. 오존 흡수 필터(28)를 통과한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이 흡수되기 때문에, 질소 산화물을 포함한 내부 분위기 가스만이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을 통과하고,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은, 고정밀도로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제2 기체 흡인 장치(26)를 구동하면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가 흡인되어 오존 검지관(29)을 통과하고, 오존 검지관(29)이 오존의 농도를 측정한다.
도 7은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의 경과와 함께, 회전 기기(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존, 질소 산화물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 기기(1)의 고정자 코일(10)의 절연층(13)의 열화에서는, 미소한 보이드 내에서 부분 방전이 발생하고, 열화가 진행되면 미소 보이드의 크기나 수가 증가하여, 부분 방전의 강도나 발생량이 증가한다. 절연층(13)의 미소한 보이드 내에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은, 고정자 코일(10)을 형성하고 있는 마이카 테이프나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 방전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나 질소 산화물이라고 하는 가스는,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에 누출되는 일은 없다.
이에 대하여, 반도전층(14)의 열화에서는, 표면 방전에 의해 반도전층(14)이 침식되어 소실된다. 침식되어 소실된 반도전층 방전의 열화가 진행되면, 침식되어 소실된 반도전층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표면 방전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고정자 코일(10)의 표면에는, 냉각풍이 흐르고 있고, 냉각풍은 회전 기기(1)의 내부를 순환한다. 이 때문에, 반도전층(14)의 열화에 따른 표면 방전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나 질소 산화물은, 냉각풍을 타고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속을 순환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의 증대에 따라 반도전층(14)이 침식해 가면, 오존은 서서히 발생하여 농도가 증대해 간다. 그러나, 질소 산화물은, 반도전층(14)의 말기 단계의 침식으로 발생하여 농도가 급격하게 증대한다.
도 7에 있어서,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의 초기에는,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에서는 표면 방전이 발생하지 않아, 침식이 진전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이 증대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반도전층(14)에서 표면 방전이 발생하여 초기 단계의 침식이 진전한다. 이때, 정기적인 농도 측정부(21)의 오존, 질소 산화물의 농도 측정에 기초하여, 열화 감시부(23)는, 오존 농도(OC)가 요감시 레벨 임계값(OT1S)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의 보수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요감시 레벨」을 표시한다(단계 ST7, 단계 ST8).
또한,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이 더욱 증대하여, 반도전층(14)의 표면 방전의 발생으로 중기 단계의 침식이 진전한다. 이때, 열화 감시부(23)는, 오존 농도(OC)가 경계 레벨 임계값(OT2S)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경계 레벨」을 표시한다(단계 ST5, 단계 ST6).
그리고,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이 더욱 증대하여, 반도전층(14)이 말기 단계의 침식이 되면, 열화 감시부(23)는, 오존 농도(OC)가 즉대응 레벨 임계값(OT3S)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즉대응 레벨」을 표시한다(단계 ST4, 단계 ST3).
여기서, 반도전층(14)이 말기 단계의 침식이 되면, 열화 감시부(23)는, 질소 산화물 농도(NC)가 즉대응 레벨 임계값(NTS)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즉대응 레벨」을 표시한다(단계 ST2, 단계 ST3).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의 효과]
제1 실시형태의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농도 측정부(2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농도 측정부(21)는,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제1 기체 흡인 장치(25) 및 제2 기체 흡인 장치(26)의 흡인 동작으로, 질소 산화물 검지관(27) 및 오존 검지관(29)에 통과시키고, 이들의 변색의 정도로 농도를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측정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가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을 통과하기 전에는, 오존 흡수 필터(28)가 오존을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오존의 영향으로 질소 산화물 검지관(27) 내부가 탈색하여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질소 산화물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음에,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을 구성하는 열화 감시부(23)가 행하는 열화 감시 처리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이 증대하여 반도전층(14)의 초기 단계의 침식이 진전하면, 열화 감시부(23)는, 오존 농도(OC)가 요감시 레벨 임계값(OT1S)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고정자 코일(10)의 보수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요감시 레벨」을 표시한다. 또한,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이 더욱 증대하여, 반도전층(14)의 중기 단계의 침식이 진전하면, 열화 감시부(23)는, 오존 농도(OC)가 경계 레벨 임계값(OT2S)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경계 레벨」을 표시한다. 그리고, 회전 기기(1)의 운전 시간이 더욱 증대하여, 반도전층(14)이 말기 단계의 침식이 되면, 열화 감시부(23)는, 오존 농도(OC)가 즉대응 레벨 임계값(OT3S)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즉대응 레벨」을 표시한다. 또한, 반도전층(14)이 말기 단계의 침식이 되면, 열화 감시부(23)는, 질소 산화물 농도(NC)가 즉대응 레벨 임계값(NTS)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고정자 코일(10)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하여 표시부(24)에 있어서 「즉대응 레벨」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은, 종래의 육안 점검과 같이 회전 기기(1)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반도전층(14)의 열화를 감시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기기(1)의 안정 운전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20)은, 오존 및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고정자 코일(10)의 교환 시기에 대해서 감시하고 있지만, 오존의 농도만을 측정하여 고정자 코일(10)을 감시, 또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만을 측정하여 고정자 코일(10)을 감시하여도, 회전 기기(1)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반도전층(14)의 열화를 감시를 계속할 수 있어, 회전 기기(1)의 안정 운전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농도 측정부(21)에 있어서,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변색의 정도로 농도를 측정하는 오존 검지관(29)을 사용하였지만, 오존 모니터, 적외 분광 장치 등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열화 감시부가, 고정자 코일의 수명이 다 되어 간다고 하는 취지를 통지한다고 하는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열화 감시부(23)가 행하는 열화 감시 처리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연산 처리 장치의 표시부(24)에 있어서 「요감시 레벨」, 「경계 레벨」 및 「즉대응 레벨」을 표시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작업원이, 오존 농도 측정값(OC) 및 질소 산화물 농도 측정값(NC)을 육안으로 보아 확인하고, 서면으로 반도전층(1N)의 침식 상황을 통지하는 방법을 행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농도 측정부의 구성]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은 농도 측정부(21)이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질소 산화물을 검지하는 장치이며, 회전 기기(1)의 기기 프레임(3)에 형성한 회전 기기(1)의 내부 및 외부에 연통하는 가스 채취 구멍(3c)에 가스 채취관(30)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스 채취관(30)은,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 방지가 가능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실리콘제의 마개(31)에 관통되어 있다. 이 마개(31)가 가스 채취 구멍(3c)에 끼워짐으로써, 가스 채취관(30)은 회전 기기(1)의 내부 및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가스 채취관(30)의 외측의 일단에는, 접속관(32)을 통해 연장관(3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접속관(32) 및 연장관(33)은,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 방지가 가능한 테플론(상표 등록)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관이다.
연장관(33)의 타단에 오존 흡수 필터(28)의 일단이 접속되고, 오존 흡수 필터(28)의 타단에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의 타단에, 제1 기체 흡인 장치(25)가 접속되어 있다.
오존 흡수 필터(28)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가스 취입구 및 가스 배기구를 마련한 중공관이고, 이 중공관에, 도 9에 나타내는 다수의 입상의 알루미늄(AL)이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오존 흡수 필터(28)의 중공관 형상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치수(L)가 160 ㎜이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직경 치수(D)가 19 ㎜이다. 그리고, 수납되어 있는 입상의 알루미늄(AL)은, 2∼5 ㎜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기기(1)의 내부로부터 가스 채취관(30)을 통해 흡인된 내부 분위기 가스는 가스 취입구로부터 오존 흡수 필터(28)를 통과하고, 2∼5 ㎜ 정도의 크기로 설정한 알루미늄(AL)이 내부 분위기 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높임으로써,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을 흡수 또는 분해한다. 또한, 오존 흡수 필터(28)에 수납되어 있는 알루미늄(AL)은, 2∼5 ㎜ 정도의 펠릿상 또는 1변이 5 ㎜∼10 ㎜ 정도인 인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오존 흡수 필터(28)에 수납되는 재료는 알루미늄(AL)에 한정되지 않고, 철 등의 오존을 흡수 또는 분해하는 성질을 갖은 재료여도 좋다.
또한, 제1 기체 흡인 장치(25)는,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의 변색의 정도가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유속이 50 ㎖/min, 적산 유량이 100 ㎖로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기체 흡인 장치(25)가 알맞은 유속 및 적산 유량으로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기 때문에, 질소 산화물의 농도 검출이 고정밀도로 검출된다.
또한, 도 10은 오존을 검지하는 장치이며, 회전 기기(1)의 기기 프레임(3)에 형성한 가스 채취 구멍(3c)에 마개(31)를 끼움으로써, 가스 채취관(30)이 회전 기기(1)의 내부 및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이 가스 채취관(30)의 외측의 일단에, 접속관(32)을 통해 연장관(3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관(33)의 타단에 오존 검지관(29)의 일단이 접속되고, 오존 검지관(29)의 타단에 제2 기체 흡인 장치(26)가 접속되어 있다.
제2 기체 흡인 장치(26)는, 오존 검지관(29)의 변색의 정도가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유속이 100 ㎖/min, 적산 유량이 1000 ㎖로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기체 흡인 장치(26)가 알맞은 유속 및 적산 유량으로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기 때문에, 오존의 농도 검출이 고정밀도로 검출된다.
[농도 측정부의 효과]
다음에, 농도 측정부(2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기체 흡인 장치(25)가, 질소 산화물 검지관(27)의 변색의 정도가 정확하게 표시되는 것 같은 유속 및 적산 유량으로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질소 산화물의 농도 검출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체 흡인 장치(26)가, 오존 검지관(29)의 변색의 정도가 정확하게 표시되는 것 같은 유속 및 적산 유량으로 회전 기기(1)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존의 농도 검출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채취관(30)이 스테인레스 등의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 방지가 가능한 금속 재료이며, 접속관(32), 연장관(33)도 테플론(상표 등록) 등의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 방지가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농도 측정부(2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존 흡수 필터(28)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가스 취입구 및 가스 배기구를 마련한 중공관에, 2∼5 ㎜ 정도의 크기의 입상, 펠릿상 또는 1변이 5 ㎜∼10 ㎜ 정도인 인편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AL)이나 철 등의 오존 흡수재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관을 통과하는 내부 분위기 가스는 오존 흡수재와의 접촉 면적을 높임으로써, 높은 오존의 흡수, 분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회전 기기
2 기기 본체
3 기기 프레임
3c 가스 채취 구멍
4 회전자
5 고정자
6 회전축
7 회전자 코일
8 고정자 철심
9 슬롯
10 고정자 코일
11 도선
12 소선 코일
13 절연층
14 반도전층
15 웨지
20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21 농도 측정부(가스 검지 장치)
22 측정 데이터 기록부
23 열화 감시부
24 표시부
25 제1 기체 흡인 장치(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
26 제2 기체 흡인 장치(오존용 흡인 장치)
27 질소 산화물 검지관(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
28 오존 흡수 필터
29 오존 검지관(오존 농도 검출부)
AL 알루미늄

Claims (22)

  1.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장치로서,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와,
    상기 회전 기기와 상기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그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는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
    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상기 회전 기기 사이에,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을 흡수하는 오존 흡수 필터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는,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유속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의 유속을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검지 장치는, 상기 고정자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 및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 가스 검지 장치로서,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오존용 흡인 장치와,
    상기 회전 기기와 상기 오존용 흡인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그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
    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는, 밀폐된 튜브형의 용기 속에 약제가 수납되고,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질소 산화물과 반응하여 변색되고, 상기 약제의 변색의 정도에 따라 질소 산화물 농도를 측정하는 질소 산화물 검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는, 밀폐된 튜브형의 용기 속에 약제가 수납되고,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오존과 반응하여 변색되고, 상기 약제의 변색의 정도에 따라 오존 농도를 측정하는 오존 검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산화물용 흡인 장치는,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적산 유량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의 적산 유량을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용 흡인 장치는,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의 오존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유속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의 유속을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용 흡인 장치는,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의 오존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적산 유량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도록,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의 적산 유량을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장치는,
    상기 회전 기기에 마련한 가스 채취 구멍에 삽입되는 가스 채취관과,
    상기 가스 채취관의 상기 회전 기기 외측의 일단 및 상기 오존 흡수 필터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갖는 연장관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채취관은,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 가능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흡수 필터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가스 취입구 및 가스 배기구를 형성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의 오존 흡수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흡수재는, 2∼5 ㎜의 크기의 입상, 또는 1변이 5∼10 ㎜인 인편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장치는,
    상기 회전 기기에 마련한 가스 채취 구멍에 삽입되는 가스 채취관과,
    상기 가스 채취관의 상기 회전 기기 외측의 일단 및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갖는 연장관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채취관은,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 가능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오존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17. 회전 기기의 고정자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 및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검지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 기기에 오존 농도 검출부를 접속하고,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가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된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고,
    상기 회전 기기에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를 접속하고,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가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검출하며,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와 상기 회전 기기 사이에,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로부터 오존을 흡수하는 오존 흡수 필터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킬 때에는,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유속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방법.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킬 때에는, 상기 질소 산화물 농도 검출부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적산 유량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방법.
  20.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킬 때에는,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의 오존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유속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기의 내부 분위기 가스를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에 통과시킬 때에는,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의 오존의 농도 검출에 알맞은 적산 유량으로 상기 내부 분위기 가스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방법.
  22. 제2항에 기재된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와,
    상기 가스 검지 장치로 검출한 오존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자 코일을 구성하는 반도전층의 침식이 진전하는 정도를 판정하고, 침식이 진전하여 상기 반도전층이 열화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고정자 코일의 상태를 통지하며, 상기 가스 검지 장치로 검출한 질소 산화물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반도전층의 침식이 진전하는 정도를 판정하여, 상기 고정자 코일의 수명이 다 되어 간다고 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열화 감시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회전 기기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KR1020200090819A 2020-07-22 2020-07-22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KR10249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19A KR102493170B1 (ko) 2020-07-22 2020-07-22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19A KR102493170B1 (ko) 2020-07-22 2020-07-22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41A KR20220011941A (ko) 2022-02-03
KR102493170B1 true KR102493170B1 (ko) 2023-01-27

Family

ID=8026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19A KR102493170B1 (ko) 2020-07-22 2020-07-22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819A (ja) * 2010-02-05 2011-08-25 Sharp Corp ガス分析装置
JP2013160525A (ja) * 2012-02-01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窒素酸化物計測器
JP6583577B1 (ja) * 2019-02-27 2019-10-02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転機器のガス検知装置、ガス検知方法及び固定子コイル劣化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388B2 (ja) * 1996-12-26 2005-02-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全窒素計
EP2166649B1 (fr) 2008-09-18 2018-09-05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Méthode et dispositif de suivi de la détérioration des isolants d'une machine tournante
JP2018200179A (ja) 2017-05-25 2018-12-20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部分放電監視装置及び部分放電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819A (ja) * 2010-02-05 2011-08-25 Sharp Corp ガス分析装置
JP2013160525A (ja) * 2012-02-01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窒素酸化物計測器
JP6583577B1 (ja) * 2019-02-27 2019-10-02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転機器のガス検知装置、ガス検知方法及び固定子コイル劣化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41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3577B1 (ja) 回転機器のガス検知装置、ガス検知方法及び固定子コイル劣化監視システム
JP5653922B2 (ja) 回転機械中の絶縁体の劣化を探知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2018200179A (ja) 回転電機の部分放電監視装置及び部分放電監視方法
CN110672644B (zh) 电缆缓冲层状态评价方法及系统
JP5681283B2 (ja) 流体を案内または収容するための部材、およびその部材の点検方法
KR102493170B1 (ko) 회전 기기의 가스 검지 장치, 가스 검지 방법 및 고정자 코일 열화 감시 시스템
JP3272933B2 (ja) 回転電機巻線の余寿命評価方法
US20090146655A1 (en) Eddy current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JP6460003B2 (ja) 電気設備の診断方法
TWI760757B (zh) 旋轉機器的氣體檢測裝置、氣體檢測方法及定子線圈劣化監視系統
JP2021144034A (ja) 絶縁劣化診断方法
CN113970542A (zh) 旋转设备的气体探测装置和方法、定子线圈劣化监视系统
EP3671189A2 (en) Testcomponent for non-destructive testing
KR101494382B1 (ko)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JP7127629B2 (ja) 電動回転機の絶縁体劣化診断装置及び絶縁体劣化診断方法
CN112858853B (zh) 一种酸性环境下车载epr电缆受潮程度实验与检测方法
JP7192031B2 (ja) オゾン濃度測定を利用した回転機の絶縁劣化診断方法
JP2015072183A (ja) 巻線機器の巻線層間絶縁診断方法
JP2003172494A (ja) 潤滑剤劣化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転動装置
JP4712572B2 (ja) 油浸絶縁ケーブルの放射線照射による診断方法
CN104076127A (zh) 一种六氟化硫湿度传感器准确度检测装置
Aakervik et al. Design of a high voltage penetrator for high pressure and temperature laboratory testing
EP3922848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early fault detection in a wind turbine generator
JP3949800B2 (ja) 高圧反応容器の腐食検出方法および腐食検出装置
JP2000155150A (ja) 絶縁劣化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