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382B1 -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382B1
KR101494382B1 KR20130056521A KR20130056521A KR101494382B1 KR 101494382 B1 KR101494382 B1 KR 101494382B1 KR 20130056521 A KR20130056521 A KR 20130056521A KR 20130056521 A KR20130056521 A KR 20130056521A KR 101494382 B1 KR101494382 B1 KR 10149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nsulating oil
insulation
correlation value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586A (ko
Inventor
송길목
최명일
방선배
김종민
김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2013005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38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76Total acid nu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47Water in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열화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절연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절연유의 상태 및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연유를 진단하기 위해 추출한 절연유를 교반기를 통해 소정시간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절연유에 대해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 열화 인자를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절연유 판정부에서 대표적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유 판정부에서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절연유의 상태 및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며, 절연유 상태 판단을 위한 판단 상관 식을 제공해줌으로써, 변압기 절연유의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former oil}
본 발명은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인 열화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절연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절연유의 상태 및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연유는 고전압설비의 절연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변압기의 전기적 절연과 냉각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변압기에 적용된 절연유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절연 열화가 되며, 절연유의 절연 열화에 따라 변압기의 고장도 다양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 절연유의 절연 열화와 고장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절연유 열화는 제조상에서 void, 이물질, 기밀성 등으로 열화 될 수 있으며, 변압기 시공상에서 기울임, 조임, 접지, 절연 이격 등으로 열화 될 수 있고, 환경상에서 먼지, 수분, 온도, 진동 등으로 열화 될 수 있으며, 시스템상에서 surge, pQ, 과전압, 과전류 등에 의해 열화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연유 사용기간에 따른 열화가 발생하면 변압기에 소음진동, 절연 열화, 부분 방전 등이 유발되며, 이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산화부식, 코로나방전, 지락,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결과적으로 변압기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탄화가 발생하거나 절연 파괴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변압기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그 파급효과가 광범위하고, 경제적 손실과 심리적 불안이 막대하게 되어, 변압기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진단 방법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유입변압기 절연유의 무정전 진단은 매우 다양하다.
변압기 절연유의 열화를 진단하는 종래의 기술이 하기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6-0038282호(2006.05.03. 공개)와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개2011-134906호(2011.07.07) 및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068552호(2011.09.29. 공고)에 개시된다.
개시된 <특허문헌 1>은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에 함침되어 있으며,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 광센서의 수광부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입력부, 수광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LED에 표시하고, 예방진단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로 이루어진 신호처리장치, 데이터 수집장치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특허문헌 1>은 변압기 절연유의 열화 과정을 운전 중에 지속적으로 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절연유의 열화 상태를 상시로 감시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유입변압기의 절연유에 포함되는 유황 화합물의 성분과 농도를 정량 분석하는 방법으로, 절연유 중의 유황 화합물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입 변압기의 열화, 수명 진단을 하게 된다.
아울러 <특허문헌 3>은 권선 최고점 온도를 고려한 열적 열화와 수분 열화를 모두 고려하여 절연지 열화도를 평가함으로써, 절연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하게 평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 절연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평가기준으로서, 수분 함유에 대한 평가(JEC) 방법이 있다. 여기서 수분 함유에 대한 절연유 평가는 하기의 <표1>에 개시된 평가기준을 따른다.
수분 함유에 대한 평가(JEC)
구분, ppm ≤66kv 153kv ~ 200kv 345kv≤
신유 정상(KSC2301) 30

사용유
정상 <50 <40 <30
요주의 50 ~ 60 40 ~ 50 30 ~ 40
이상 60< 50< 40<
또한, 전산가에 의한 절연유 평가(KS C2101, ASTM D-664, 974) 방법이 있다. 하기의 <표2>는 전산가에 의한 절연유 평가 기준이다.
구분 전산가(mg KOH/g) 판정
신유 p ≤ 0.02 적합

사용중 절연유
p ≤ 0.2 적합
0.2 < P < 0.4 적합(요주의)
0.4 ≤ p 부적합
또한, 절연유 색깔로 절연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도 2는 절연유 색깔로 절연유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다.
또한, 절연내력시험에 의한 절연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하기의 <표3>은 절연내력시험에 의한 절연유 판정기준(KS C IEC60156)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kv
전압별 기기의 판정
<50kv 50kv≤
신유 30≤(KS C 2301) 적합 적합

사용유
20≤ 적합 적합
15≤V<20 적합(요주의) 부적합
<15 부적합 부적합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6-0038282호(2006.05.03.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개2011-134906호(2011.07.07)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068552호(2011.09.29.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변압기 절연유의 열화를 판단하는 데 있어, 각 열화 원인별 판정기준은 있으나 각 요인이 절연유를 열화시키는 결정적 원인을 제공하지는 않으므로 현장에서는 신뢰성 및 정확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인 열화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절연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절연유의 상태 및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 열화 인자인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뢰성 분석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절연유의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압기 절연유의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측정법을 제공하여 절연유의 상태 및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 진단방법은 (a) 절연유를 진단하기 위해 추출한 절연유를 소정시간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된 절연유에 대해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 열화 인자를 측정하는 단계; (c) 대표적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 단계의 대표적 열화 인자는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 단계의 상관 값은 하기의 판단 상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1
삭제
여기서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3
는 수분,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4
는 절연내력시험,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5
는 절연유 변색,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6
은 전산가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d) 단계는 상관 값이 0 ~ 50이면 정상, 상관 값이 51 ~ 100이면 관심, 상관 값이 101 ~ 150이면 요주의, 상관 값이 151 이상이면 개선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 진단장치는 열화 진단을 위해 추출한 절연유를 소정 시간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절연유의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한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절연유 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측정기는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인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절연유 판정부는 하기의 판단 상관 식을 이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7
삭제
여기서
Figure 112013044078607-pat00009
는 수분,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0
는 절연내력시험,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1
는 절연유 변색,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2
은 전산가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절연유 판정부는 상관 값이 0 ~ 50이면 정상, 상관 값이 51 ~ 100이면 관심, 상관 값이 101 ~ 150이면 요주의, 상관 값이 151 이상이면 개선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인 열화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절연유를 분석함으로써, 절연유의 상태 및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 열화 인자인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유 상태 판단을 위한 판단 상관 식을 제공해줌으로써, 변압기 절연유의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 절연유 절연 열화 원인 및 고장 메커니즘의 모식도,
도 2는 종래 절연유 색깔 판단법에 적용된 판정 기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절연유 평가에 따른 수명예측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는, 교반기(10), 측정기(20) 및 절연유 판정부(30)를 포함한다.
교반기(10)는 열화 진단을 위해 추출한 절연유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기(20)는 상기 교반기(10)에서 교반된 절연유의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는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유 판정부(30)는 상기 측정기(20)에서 측정한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는 변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은 무정전 상태에서, 변압기로부터 절연유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그리고 채취한 절연유 샘플을 교반기(10)에 넣고, 약 1분 정도 교반시킨다.
이후 교반된 절연유는 측정기(20)에 전달되고, 측정기(20)는 전달되는 절연유에 대해서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로는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을 포함한다.
전산가(TAN, Total Acid Number)는 절연유의 사용에 있어서 높은 온도와 장기간 사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의 하나이다. 산가를 측정하는 장치는 대부분 ASTM D-664에 근거하는 전위차 적정방법에 의해 산가측정이 수행되며, 측정된 전산가는 절연유 판정부(30)에 전달된다. 산가는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이나 연소생성물 등에 의해서 증가하기도 하나, 기본적으로는 산화부식의 진행과 더불어 증가한다. 즉, 변압기 외함의 산화부식이나 내부 산화부식이 증가하면 산가의 변화가 진행된다.
절연유는 오래 시간 동안 사용되거나 내부에서 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탄화되면서 변색 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나타나는 색깔을 이용하여 절연유의 열에 의한 영향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절연유 변색 측정을 위해, 국제표준인 ASTM D 156시리즈에 의해 색상을 판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상에 대한 색도계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유 변색에 대한 측정값도 절연유 판정부(30)에 전달된다.
아울러 절연유의 수분량은 전압별 판단기준을 달리하고 있다. 절연유의 수분함유 원인으로는 제조불량에 의한 기밀성 저하에서 많이 발견이 되며, 절연지에 함유된 수분이 줄 열에 의해 용출된 경우 또는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한 호흡기로의 수분침입 등을 들 수 있다. 측정된 수분 값도 절연유 판정부(30)에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절연유는 절연성능이 우수해야 하므로 절연내력시험을 실시하여 절연내력 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절연내력시험을 위해서는 KS C60156에 의거하여 BAUA사의 DTA 100 절연유 내압시험기를 이용하여 절연파괴 전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절연내력시험에 의해 획득되는 절연내력시험 측정값도 절연유 판정부(30)에 전달된다.
여기서 각각의 측정값들은 서로 다른 단위를 가진 값들이므로, 각각의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한 각각의 측정값을 백분율로 하여, 열화 판정이 되는 부분을 중간값으로 취하고, 단계별 열화 인자로 인한 표준분포를 구하여 각 상관성 또는 그 값에 대한 최고치가 절연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계의 값을 조건으로 한다. 각 수명에 대한 부분은 열화 단계를 가진 통계치를 적용하여 각 인자의 중간값이 되는 부분을 설정하도록 판단 상관 식을 정의한다.
상기 절연유 판정부(30)는 상기와 같이 전달되는 절연유의 대표적 열화 인자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판단 상관 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게 된다.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3
삭제
여기서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5
는 수분,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6
는 절연내력시험,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7
는 절연유 변색,
Figure 112013044078607-pat00018
은 전산가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판단 상관 식은 대표적 열화 인자간의 상호 연관성에 기반하여 도출하였다. 절연내력시험을 실시한 절연유의 수분량과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현장에서 채취한 절연유의 절연내력시험 평균값은 약 27kV정도였으며, 이때 평균 수분량은 40ppm정도로 규정에 의한 요주의 보다는 적합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절연내력시험을 통한 높은 절연내력전압을 가진다 하더라도 수분량의 많고 적음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하나의 시험결과만으로 절연유를 판정하는 것은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교차 검증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수분량이 높을지라도 초기에는 절연내력이 우수하나 장기간 사용 동안 절연유의 절연성능을 약화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절연내력실험결과와 절연유 변색, 절연유 변색과 수분량의 상호연관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확인 결과 절연내력시험이 우수하게 평가된 절연유라 하더라도 절연유 변색 진행이 되었거나 반대인 경우도 확인되었다. 또한, 절연유 변색과 수분량의 상관성도 거의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절연유의 절연내력시험과 전산가 측정결과를 비교한 결과 특이성을 입증할 만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산가 측정결과와 수분량 또는 절연유 변색을 비교하여 특별히 상관성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나, 전산가와 절연유 변색은 일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절연유 사용기간과 각 측정결과에 대한 상호연관성을 비교검토하였다. 절연유 사용기간과 절연내력시험의 결과에 대한 상호연관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부하의 사용이나 부하의 특징, 사용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실험에 따르면 사용기간에 따른 절연내력시험과 상관관계는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과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절연유 변색에 의한 구분은 각각의 절연유 열화를 촉진시키는 인자가 되나 상호 연관성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사용기간에 따른 수분량의 변화에서 확인된 결과에 의하면, 수분량의 변화가 사용기간에 따라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사용기간에 대한 절연유 변색을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변압기 절연유가 장시간 사용되면, 내부 부하에 의한 줄열이 지속적으로 절연유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영향이 변색과정에서 확인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절연유 변색에 의한 단계는 증가하는 특징이 확인된다. 사용기간에 따른 전산가 측정자료 비교에 대해 정리해 보면, 사용기간과 관련은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변압기의 용량에 따라 전산가 변화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1,000kVA이하에서의 설비에서 전산가에 의한 판별이 확인되었다. 각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상호 연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절연유의 변색 단계가 높아지는 특징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관 분석을 토대로 절연유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대표적인 열화 인자인 전산가, 수분, 절연내력, 절연유 변색의 상호 상관을 적용하여 판단 상관 식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판단 상관 식에 적용하여 산출한 상관 값을 기반으로, 상관 값이 0 ~ 50이면 정상, 상관 값이 51 ~ 100이면 관심, 상관 값이 101 ~ 150이면 요주의, 상관 값이 151 이상이면 개선으로 판정한다.
한편, 전국사업소에서 채취한 변압기 절연유 시료를 수거하여 절연유의 전산가 및 수분 측정을 하였고, 절연유내압시험도 병행하였다. 그리고 시험을 통해 확보된 절연유의 수명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뢰성 분석을 하였다.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절연유 색도에 의한 MTTF(Mean Time To Failure)는 17.4541년, 전산가(TAN)에 따른 MTTF는 19.884년, 수분에 의한 MTTF는 20.613년, 절연내력시험에 의한 MTTF는 32.159년으로 수명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절연유의 교체시기를 고려할 수 있다.
절연유 색상에 의한 구분이 가장 빠른 구분이 되며, 다음으로 전산가, 수분, 절연내력 순으로 확인되었다. 절연유 진단에 있어서 단계별 관리 수준을 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절연유의 색상이 변하는 시점에서부터 절연유 산가를 측정하고 이때 절연내력시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에 의해 절연유 교체시기를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뢰성 분석을 통해 도출된 자료를 인용하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확인방법을 도 4에 정리하였다.
절연유 현장 확인은 무정전 진단을 실현하고 절연유의 적정한 교체시기를 산정하여 효율적 절연관리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변압기의 용량에 따라 절연유 교체 시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부하사용량이나 환경 영향 등 사용조건에 따라 교체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변압기 절연유의 상태진단을 통해 신뢰도 95% 국내 현장 자료를 이용하여 수명예측표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22.9kV용 유입변압기에서 사용되는 절연유의 수명은 약 23년 정도로 확인되었다. 이는 1,000kVA내외의 변압기 용량을 평균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확인 방법을 통해 절연유 이력 관리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 진단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절연유를 진단하기 위해 추출한 절연유를 소정시간 교반하는 단계(S10 ~ S20); (b) 상기 교반된 절연유에 대해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 열화 인자를 측정하는 단계(S30 ~ S60); (c) 대표적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는 단계(S70); (d)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은 단계 S10에서 변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은 무정전 상태에서, 변압기로부터 절연유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20에서 채취한 절연유 샘플을 교반기(10)에 넣고, 약 1분 정도 교반시킨다.
이후 단계 S30에서 절연유에 대해서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인 전산가를 측정하고, 단계 S40에서는 수분을 측정하며, 단계 S50에서는 절연내력을 시험하여 절연내력을 측정하고, 단계 S60에서는 오일 컬러를 측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70에서는 상기와 같이 측정된 절연유의 대표적 열화 인자 측정값을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판단 상관 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80에서 판단 상관 식에 적용하여 산출한 상관 값을 기반으로, 상관 값이 0 ~ 50이면 정상, 상관 값이 51 ~ 100이면 관심, 상관 값이 101 ~ 150이면 요주의, 상관 값이 151 이상이면 개선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변압기 절연유의 상태 분석, 수명 예측 등을 통한 이력 관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0… 교반기
20… 측정기
30… 절연유 판정부

Claims (8)

  1. (a) 변압기로부터 추출한 절연유를 교반기를 통해 소정시간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된 절연유에 대해 절연유의 성능을 저하하는 대표적 열화 인자를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c) 대표적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절연유 판정부에서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의 상관 값은 하기의 판단 상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Figure 112014082916375-pat00036

    여기서
    Figure 112014082916375-pat00037
    는 수분,
    Figure 112014082916375-pat00038
    는 절연내력시험,
    Figure 112014082916375-pat00039
    는 절연유 변색,
    Figure 112014082916375-pat00040
    은 전산가를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대표적 열화 인자는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관 값이 0 ~ 50이면 정상, 상관 값이 51 ~ 100이면 관심, 상관 값이 101 ~ 150이면 요주의, 상관 값이 151 이상이면 개선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5. 열화 진단을 위해 추출한 절연유를 소정 시간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절연유의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한 열화 인자 측정값을 절연유 진단을 위한 판단 상관식에 적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관 값을 분석하여 절연유를 판정하는 절연유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유 판정부는 하기의 판단 상관 식을 이용하여 상관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
    Figure 112014082916375-pat00041

    여기서
    Figure 112014082916375-pat00042
    는 수분,
    Figure 112014082916375-pat00043
    는 절연내력시험,
    Figure 112014082916375-pat00044
    는 절연유 변색,
    Figure 112014082916375-pat00045
    은 전산가를 나타낸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대표적 절연 열화 인자인 절연유 변색, 전산가, 절연내력시험 및 수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 판정부는 상관 값이 0 ~ 50이면 정상, 상관 값이 51 ~ 100이면 관심, 상관 값이 101 ~ 150이면 요주의, 상관 값이 151 이상이면 개선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장치.
KR20130056521A 2013-05-20 2013-05-20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KR10149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521A KR101494382B1 (ko) 2013-05-20 2013-05-20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521A KR101494382B1 (ko) 2013-05-20 2013-05-20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586A KR20140136586A (ko) 2014-12-01
KR101494382B1 true KR101494382B1 (ko) 2015-02-24

Family

ID=5245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521A KR101494382B1 (ko) 2013-05-20 2013-05-20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884A (ko) * 2021-05-24 2022-12-02 한국광기술원 광기반 변압기 절연유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9868B (zh) * 2019-12-20 2024-03-29 上海电力大学 考虑绝缘油振动抑制作用的油浸式变压器振动分析方法
CN114034844B (zh) * 2021-11-09 2023-06-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绝缘油的溯源检测方法、介质、电子设备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014A (ko) * 2006-05-18 2007-11-22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절연유중 가스분석장치 및 절연유중 가스의 분석방법
JP2009236665A (ja) * 2008-03-27 2009-10-15 Aichi Electric Co Ltd 油入機器における絶縁油の劣化状態診断方法
JP2009276258A (ja) 2008-05-16 2009-11-26 Aichi Electric Co Ltd 油入機器における絶縁油の劣化状態診断方法
KR100945142B1 (ko) 2009-03-13 2010-03-02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상변압기 점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014A (ko) * 2006-05-18 2007-11-22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절연유중 가스분석장치 및 절연유중 가스의 분석방법
JP2009236665A (ja) * 2008-03-27 2009-10-15 Aichi Electric Co Ltd 油入機器における絶縁油の劣化状態診断方法
JP2009276258A (ja) 2008-05-16 2009-11-26 Aichi Electric Co Ltd 油入機器における絶縁油の劣化状態診断方法
KR100945142B1 (ko) 2009-03-13 2010-03-02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상변압기 점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884A (ko) * 2021-05-24 2022-12-02 한국광기술원 광기반 변압기 절연유 모니터링 장치
KR102504680B1 (ko) * 2021-05-24 2023-03-03 한국광기술원 광기반 변압기 절연유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586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kolov et al. Effective methods of assessment of insulation system conditions in power transformers: a view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CN110297167B (zh) 一种基于多源信息融合的变压器老化状态评价方法
Azis et al. Operational condition assessment of in-service distribution transformers
KR20140041568A (ko) 변압기 잔여 수명을 추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6841941A (zh) 一种油浸式变压器设备取消例行停电试验的状态试验方法
KR102198520B1 (ko) 가스절연기기 진단용 가스센서 모듈
KR101494382B1 (ko) 변압기 절연유의 진단방법 및 그 장치
Ashkezari et al. Multivariate analysis for correlations among different transformer oil parameters to determine transformer health index
Gulski et al. Condition assessment of high voltage power cables
Pukel et al. Transformer diagnostics: Common used and new methods
Ghazali et al. TNB experience in condition assessment and life management of distribution power transformers
Talib et al. Transformer ageing investigation and correlation of furanic compound and degree of polymerization for power transformer life assessment
Kumpalavalee et al. Condition evaluation of power transformers using dissolved gas analysis and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test
Gradnik Physical-chemical oil tests,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oil-filled transformers
JP5550034B2 (ja) 高分子材料の劣化診断方法
Steed Condition monitoring applied to power transformers-an REC experience
Okubo et al. Electrical insulation diagnostic method and maintenance criteria for oil-immersed power transformers
Taib et al. Depolarization Ratio Index (DRI) as alternative method in identifying oil-filled transformer internal faults
Pradhan et al. Diagnostic testing of oil-impregnated paper insulation in prorated power transformers under accelerated stress
CN1451970A (zh) 用于在电源变压器中识别异常情况的方法
Sedighi et al. Aging Assessment of Distribution Transformers Based on Thermal Imaging
Kim et al. Study on decomposition gas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diagnosis for gas-insulated transformer by chemical analysis
Bandyopadhyay Transformer diagnostics in the practical field
KR101293404B1 (ko) 전력용 변압기 내의 수분 이동 특성을 적용한 전력용 변압기 절연물의 수분 진단 장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 내의 수분 이동 특성을 적용한 위험도 평가 방법
Bandyopadhyay Condition monitoring for power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