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822B1 -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 Google Patents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22B1
KR102492822B1 KR1020220097059A KR20220097059A KR102492822B1 KR 102492822 B1 KR102492822 B1 KR 102492822B1 KR 1020220097059 A KR1020220097059 A KR 1020220097059A KR 20220097059 A KR20220097059 A KR 20220097059A KR 102492822 B1 KR102492822 B1 KR 10249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water
sens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102022009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지센서를 통해 강우시 빗물을 감지하되, 일정시간 또는 일정 강우량 이후의 빗물을 초기우수저류조에 집수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빗물보다 상대적으로 수질이 높은 빗물을 집수하고,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우수의 수질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수질이 기설정된 수질보다 좋으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조 및 사용수저류조로 이동시키는 한편,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수질이 기설정된 수질보다 나쁘면 관리부에 경보알람을 송신하여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시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다시 빗물을 집수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Multi-purpose water tank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and safety using a hemispherical finish cap and sensor}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지센서를 통해 강우시 빗물을 감지하되, 일정시간 또는 일정 강우량 이후의 빗물을 초기우수저류조에 집수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빗물보다 상대적으로 수질이 좋은 빗물을 집수하고,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우수의 수질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수질이 기설정된 수질보다 좋으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조 및 사용수저류조로 이동시키는 한편,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수질이 기설정된 수질보다 나쁘면 관리부에 경보알람을 송신하여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시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다시 빗물을 집수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45㎜로 세계평균 880㎜보다 14배 높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 강수량은 2,591㎜으로, 세계 1인당 연 강수량의 1/8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범국가적인 물 부족 개선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나, 빗물의 빠른 배수에만 주력해온 이른바 사막형 물 관리 시스템에 따른 결과로 인해 도심에서는 배수능력 저하로 배수구에서 역류가 발생하여 대규모 침수가 잦고, 농촌에서는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농작물의 막대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매년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겪는 재해 발생 특성상 물 관리하기가 가장 어려운 국가 중 하나이며, 여름에 집중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저류시설을 통한 유출저감을 통해 그 빗물을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우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하지 않고 우수를 받아서 침전물과 부상물을 필터링해서 그 우수를 일정한 용적을 갖는 저류조에 저장하였다가 정원용수와 일반 준 생활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수단이 개발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우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하지 않고 우수를 받아서 침전물과 부상물을 필터링해서 그 우수를 일정한 용적을 갖는 저류조에 저장하였다가 정원용수와 일반 준 생활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수단이 개발되어 있다. 그 일례로 한국특허공보제10-0485527에 개시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우수유입관의 우수유입구 전면 우수저장탱크의 침전조 상부에 미세여과망이 설치된 여과장치와, 그 일측에 다수의 타공홀의 천공된 와류방지판을 설치하였으며, 이류관을 통해 저장조로 넘어가는 길목에 소독제가 내장된 확산형소독장치를 설치하고, 침전물흡입배출관을 저장탱크의 침전조와 저장조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하며 침전물 배출펌프와 침전물 흡입배출관 사이에 침전물배출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저장탱크를 지중에 매립한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우수의 부유물질을 침전시키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여 깨끗한 빗물을 사용할수 있도록 할 뿐 집수되는 빗물의 수질과 집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체크하고 있지 않아 장시간 저류될시 쉽게 부패할 수 있어 우수의 사용이 어려우며, 우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인 우수의 관리가 필요한 실정으로 관리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579호(2012.09.1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우수를 재사용하기 위한 저류조 시스템은 최초 빗물이 집수될 때 지표면의 각종 오염물질 및 부유물질이 집수되어 우수의 정화가 어렵고, 집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어려워 쉽게 부패할 수 있는 우수를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감지센서를 통해 초기 빗물보다 상대적으로 수질이 높은 빗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우수의 수질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기설정된 수질보다 좋으면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방시켜 사용수저류조로 우수를 이동시키는 한편, 초기우수저류조와 저장저류조의 우수의 수질이 기설정된 수질보다 나쁘면 관리부에 경보알람을 송신하여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시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다시 수질이 좋은 빗물을 집수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해 연결되는 맨홀의 내측 상부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하여 추락방지 기능과 맨홀내 점검시 출입이 용이하게 하는 안전손잡이를 구비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용도 물탱크는 밸브박스, 전기통신박스 등 다양한 점검탱크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초기우수저류조(10);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저류조(20);와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조(30); 및 상기 정수조(3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정수조(30)에서 정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사용수저류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탱크(11);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11a);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되,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와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 및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빗물이 감지된 강우정보와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제1수질정보를 전달받는 초기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지 않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강우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센서(12)는 수분감지센서 또는 강우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분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감지시간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고, 강우량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강우량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21);와 상기 저장탱크(2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22); 및 상기 제1연결관(22)을 개폐하는 유입밸브(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전달받은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유입밸브(23)를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유입밸브(23)를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는 탁도계센서 또는 전기전도도센서(EC센서) 또는 pH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수조(30)는 상기 저장저류조(2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탱크(31);와 상기 정수탱크(3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저장저류조(20)의 측면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32); 및 상기 제2연결관(32)을 개폐하는 정수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24);와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측정된 우수의 측정수위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미만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이상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메인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정센서(24)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저장된 우수가 접촉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위측정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 내부에 저장된 우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압력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우수의 제2수질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정보와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를 수시로 관리부(50)에 전송하고,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우수가 저류되는 탱크본체(100);와 상기 탱크본체(100)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지상에 노출되는 맨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탱크본체(10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외주면 상부에 보수홀(112)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후방과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볼록부(121)가 형성되며, 우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은 후면 또는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123);과 전면 또는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 구조는 상기 마감캡(120)의 제1내입홈(123) 또는 제2내입홈(124)에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된 후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125);과 상기 결합홀(125)에 용융상태로 충진되는 합성수지용액(126); 및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홀(125)에 설치되는 지지볼트(1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비드(120a);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보다 크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비드(120b); 및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와 제2보강비드(120b)를 관통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되,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3보강비드(12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후방 또는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우수 또는 오수가 배출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 또는 전방이 전방 또는 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수홀(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재(210);와 상기 하부지지부재(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입상관(220);과 상기 입상관(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24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주면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손잡이(250); 및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손잡이(25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측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재(251);와 상기 브라켓부재(251)의 내측에 외측이 결합되고,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체결부재(252); 및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부재(251)는 상기 맨홀(200)의 내측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251a);과 상기 제1브라켓(251a)의 내측에 후방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길이조절되어 결합되는 제2브라켓(251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252)는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재(253)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재(25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부고정홀(252a);과 상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재(253)가 후방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관통형성되는 상부고정홀(252b); 및 상기 하부고정홀(252a) 또는 상부고정홀(252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고정핀(252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부재(253)는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외측수직프레임(253a);과
상기 한 쌍의 외측수직프레임(253a)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외측수평프레임(253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지면과 수평할 때, 하부말단 모서리 중 상부에 위치한 모서리가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에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과 상기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의 상부를 연결하는 내측수평프레임(253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은 하부 말단에 이탈방지턱(253c-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이탈방지핀(253a-1)으로 내측수직프레임(253c)이 외측수직프레임(253a)에서 이탈 방지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측수평프레임(253d)은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안내판(253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한 쌍의 제1브라켓(251a)은 연결하여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는 감지센서를 통해 지표면에 장기간 쌓여있던 오염물질과 부유물이 포함된 초기 빗물이 하수관으로 이동된 후 상기 초기 빗물에 비해 비교적 수질이 좋은 빗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재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질모니터링센서를 통해 초기우수저류조의 우수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비교적 높은 수질의 우수를 저장저류조로 이동시킴으로써, 빗물의 재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저류조에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저장저류조에 저장된 우수의 수질이 사용불가능한 수질로 저하되기 전에 경보알림을 관리부에 송신하여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최대한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빗물을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우수저류조에 빗물을 집수하거나, 상기 초기우수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를 저장저류조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저장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를 정수조 및 사용수저류조로 이동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높은 수질의 우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는 탱크본체의 몸체의 전방과 후방에 상기 탱크본체의 몸체 외측방향 즉, 후방과 전방으로 볼록부가 돌출되도록 을 결합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몸체에 저류된 즉, 저장된 우수 또는 오수에 의한 압력이 상기 볼록부에 의해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중에 의한 압력 또한 상기 볼록부에 의해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반구형 마감캡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환경파괴와 생태계 교란 등을 일으키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탈 탄소화 정책에 따른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탱크본체의 몸체와 반구형 마감캡을 결합한 뒤 상기 몸체와 마감캡을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홀에 합성수지용액을 충진한 다음 상기 합성수지용액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합성수지용액에 수용되도록 지지볼트를 설치함으로써, 몸체와 마감캡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탱크본체를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할 때, 상기 반구형 마감캡을 뒤집어 상기 탱크본체의 몸체에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탱크본체의 몸체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부가 지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맨홀과 연결설치되고,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가 탱크본체내부의 유지보수 또는 점검시 작업자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세워져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에 접근시 손잡이 역할을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내 표지판 등의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자 또는 행인 및 차량들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류조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류조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초기우수저류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장저류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류저장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류저장조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탱크본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감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감캡을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몸체와 마감캡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맨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맨홀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손잡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손잡이의 외측수직프레임과 내측수평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장저류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초기우수저류조(10)에 빗물을 집수시키되, 감지센서(12)를 이용하여 강우가 시작된 후 일정시간 이후에 빗물이 집수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깨끗한 빗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질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의 수질과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수질보다 좋은 수질의 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수저류조(4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기설정된 수질보다 나쁘면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소인하여 조치가 이루어지거나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오염된 빗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초기우수저류조(10);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저류조(20);와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조(30); 및 상기 정수조(3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정수조(30)에서 정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사용수저류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탱크(11);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11a);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되,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와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 및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빗물이 감지된 강우정보와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제1수질정보를 전달받는 초기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지 않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강우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센서(12)는 수분감지센서 또는 강우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분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감지시간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고, 강우량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강우량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21);와 상기 저장탱크(2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22); 및 상기 제1연결관(22)을 개폐하는 유입밸브(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전달받은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유입밸브(23)를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유입밸브(23)를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는 탁도계센서 또는 전기전도도센서(EC센서) 또는 pH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수조(30)는 상기 저장저류조(2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탱크(31);와 상기 정수탱크(3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저장저류조(20)의 측면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32); 및 상기 제2연결관(32)을 개폐하는 정수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24);와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측정된 우수의 측정수위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미만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이상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메인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정센서(24)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저장된 우수가 접촉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위측정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 내부에 저장된 우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압력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우수의 제2수질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정보와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를 수시로 관리부(50)에 전송하고,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우수가 저류되는 탱크본체(100);와 상기 탱크본체(100)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지상에 노출되는 맨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탱크본체(10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외주면 상부에 보수홀(112)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후방과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볼록부(121)가 형성되며, 우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은 후면 또는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123);과 전면 또는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 구조는 상기 마감캡(120)의 제1내입홈(123) 또는 제2내입홈(124)에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된 후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125);과 상기 결합홀(125)에 용융상태로 충진되는 합성수지용액(126); 및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홀(125)에 설치되는 지지볼트(1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비드(120a);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보다 크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비드(120b); 및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와 제2보강비드(120b)를 관통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되,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3보강비드(12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후방 또는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우수 또는 오수가 배출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 또는 전방이 전방 또는 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수홀(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재(210);와 상기 하부지지부재(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입상관(220);과 상기 입상관(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24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주면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손잡이(250); 및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손잡이(25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측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재(251);와 상기 브라켓부재(251)의 내측에 외측이 결합되고,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체결부재(252); 및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부재(251)는 상기 맨홀(200)의 내측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251a);과 상기 제1브라켓(251a)의 내측에 후방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길이조절되어 결합되는 제2브라켓(251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252)는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재(253)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재(25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부고정홀(252a);과 상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재(253)가 후방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관통형성되는 상부고정홀(252b); 및 상기 하부고정홀(252a) 또는 상부고정홀(252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고정핀(252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부재(253)는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외측수직프레임(253a);과
상기 한 쌍의 외측수직프레임(253a)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외측수평프레임(253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지면과 수평할 때, 하부말단 모서리 중 상부에 위치한 모서리가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에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과 상기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의 상부를 연결하는 내측수평프레임(253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은 하부 말단에 이탈방지턱(253c-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이탈방지핀(253a-1)으로 내측수직프레임(253c)이 외측수직프레임(253a)에서 이탈 방지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측수평프레임(253d)은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안내판(253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한 쌍의 제1브라켓(251a)은 연결하여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초기우수저류조(10)는
강우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수 개의 저장저류조(20)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침전된 부유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청소할 수 있도록 측면 또는 상부면에 맨홀 등과 같은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빗물이 집수되어 저장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초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초기우수저류조(10)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탱크(11)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11a)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되,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와,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 및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빗물이 감지된 강우정보와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제1수질정보를 전달받는 초기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수탱크(11)는 하부가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상부가 지표면에 노출되어 상기 유입구(11a)를 통해 빗물이 내부에 집수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측면 또는 상부면에 맨홀 등과 같은 출입구가 형성되어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저장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 하부 또는 측면 중단부에 초기배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초기배출구에는 초기배출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배출밸브는 상기 초기제어부(14)에 제어되는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에 의해 측정된 우수의 수질이 나빠지면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초기배출밸브를 개방하여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키고, 측정된 우수의 수질의 좋으면 상기 초기배출밸브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유입구(11a)는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강수시 개방되어 상기 집수탱크(11)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거나 강수가 없을시 폐쇄되어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이물질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감지센서(12)는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 즉,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여 강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초기제어부(14)에 전달한다.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는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탱크(11)에 집수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제1수질정보를 상기 초기제어부(14)에 전달한다.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아 강우가 시작된 것을 판단하고,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제1수질정보를 전달받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관리부(50)에 상기 제1수질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초기우수저류조(10) 내부에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유입구(11a)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지 않으면 강우가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유입구(11a)를 폐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평상시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부유물질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빗물이 집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2)는 수분감지센서 또는 강우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수분감지센서 또는 강우량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지센서(12)가 수분감지센서 하나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감지시간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여 초기제어부(14)에 상기 강우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감지센서(12)가 강우량센서 하나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강우량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여 초기제어부(14)에 상기 강우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12)는 일정시간 동안 비가 내리거나 일정양 만큼 비가 내린 뒤 강우정보를 생성하여 초기제어부(14)에 강우정보를 전달하는데, 이는 강우가 시작되고 일정시간동안 지표면의 부유물 또는 오염물질 또는 화학물질(이하, '오염물질'이라 통칭한다.)이 하수관으로 이동된 후 비교적 수질이 좋은 빗물을 집수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12)는 수분감지센서와 강우량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기설정된 기준감지시간 이상 빗물이 감지되어도 강우량이 적으면 지표면의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하수관으로 이동되지 않아 오염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집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는 탁도계센서 또는 전기전도도센서(EC센서) 또는 pH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탁도계센서 또는 전기전도도센서(EC센서) 또는 pH센서 중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는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수질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금씩 다른 종류의 수질 즉,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보다 신뢰도 높은 수질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초기제어부(14)는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전달받은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저장저류조(20)와 초기우수저류조(10)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22)을 개폐하는 유입밸브(23)를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의 우수가 저장저류조(20)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유입밸브(23)가 폐쇄도록 하여 상기 저장저류조(20)의 내부로 수질이 나쁜 우수가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 하나에 복수 개가 연결설치될 수 있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정수조(30)를 거쳐 사용수저류조(40)로 우수가 이동되기 전에 우수가 저장되어 보관되도록 하며, 보관되는 동안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 또는 이물질의 자연스러운 침전이 이루어져 보다 좋은 수질의 우수가 사용수저류조(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20)는 초기우수저류조(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하는 저장탱크(21)와, 상기 저장탱크(2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22) 및 상기 제1연결관(22)을 개폐하는 유입밸브(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21)는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초기우수저류조(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되도록 하며, 측면 또는 상부면에 맨홀 등과 같은 출입구가 형성되어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저장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 하부 또는 측면 중단부에 저장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관(22)은 상기 저장탱크(21)의 측면 상부와 초기우수저류조(10)의 측면 상부 즉, 집수탱크(11)의 측면 상부와 연결되어 이물질 또는 침전물이 가라앉아 비교적 수질이 좋은 우수가 저장저류조(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입밸브(23)는 제1연결관(22)을 개폐하여 앞서 설명된 초기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되어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제1연결관(22)을 통해 저장저류조(20)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의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유입밸브(23)를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가 저장저류조(20)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유입밸브(23)를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가 저장저류조(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염된 빗물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초기제어부(14)는 감지센서(12)를 통해 유입구(11a)를 제어하여 비교적 수질이 높은 빗물을 집수하고,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를 통해 집수된 빗물 즉, 우수의 제1수질정보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상기 제1수질정보가 좋으면 유입밸브(23)를 개방하여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제1기준수질보다 상기 제1수질정보가 나쁘면 유입밸브(23)를 폐쇄하는 한편,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관리부(50)에서 초기우수저류조(10)의 수질을 상시 확인하여 상기와 같이 유입밸브(23)가 폐쇄상태로 제어되면 초기배출밸브를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좋지 않은 수질의 우수가 배출되어 재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초기배출밸브의 제어는 관리부(50)에서 개폐입력정보를 상기 초기제어부(14)에 송신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개폐입력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정수조(30)는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사용수저류조(40)로 우수가 이동되어 사용되기 전에 한번더 우수를 정화하여 수질을 높임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수조(30)는 저장저류조(2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탱크(31)와, 상기 정수탱크(31)의 측면 상부오 상기 저장저류조(20)의 측면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32) 및 상기 제2연결관(32)을 개폐하는 정수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앞서 설명된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는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일정수위만큼 우수가 저장되면 자동으로 상기 정수밸브(33)가 제어되어 정수조(3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연결관(32)이 연결되는 상기 저장저류조(20)의 측면 하부는 침전물이 침전될 수 있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임은 자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20)는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24)와,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측정된 우수의 수위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미만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이상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메인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저장저류조(20)로부터 정수조(30)로 우수가 이동되는 시스템은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는 상기 측정센서(24)를 통해 수위가 측정되어 측정된 수위정보 즉, 측정수위정보가 메인제어부(25)에 전달되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이상이면 상기 메인제어부(25)를 통해 상기 정수밸브(33)가 개방되어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가 정수조(30)로 이동되어 정화된다.
이때, 상기 측정센서(24)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저장된 우수가 접촉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위측정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 내부에 저장된 우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압력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센서는 수위측정센서 또는 수위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두종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는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제2수질정보를 상기 메인제어부(25)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강제로 폐쇄하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제2수질정보를 측정수위정보보다 우선하여 정수밸브(33)의 개폐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제2수질정보를 통해 정수밸브(33)가 개방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면 측정수위정보를 통해 정수밸브(33)의 개방조건을 판단함으로써, 수질이 나쁜 우수가 정수조(3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저장된 우수의 수질이 나쁘면 우수의 수위가 아무리 높아도 정수조(30)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낮은 수질의 우수의 재사용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측정센서(24)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정보와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를 수시로 관리부(50)에 전송하고,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부(50)는 상기 메인제어부(25)로부터 경보알람을 수신하면 정수밸브(33)와 저장배출밸브를 강제로 제어하여 저장된 우수가 재사용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앞서 설명된 초기제어부(14) 또한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전달받은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송신하여 집수된 빗물 즉, 저장된 우수가 재사용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11a)와 초기배출밸브 및 유입밸브(23)가 관리부(50)를 통해 강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관리부(50)는 앞서 설명된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에서 측정된 제1수질정보와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에서 측정된 제2수질정보를 각각 초기제어부(14)와 메인제어부(25)를 통해 전달받아 상시 초기우수저류조(10)와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확인할 수 있고, 만약 경보알람을 수신받은 경우 초기우수저류조(10)와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재사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수질의 우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제어부(14)와 메인제어부(25)는 제1수질정보와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수질보다 나빠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송신하는 경우 자동으로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초기배출밸브와 저장배출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부(50)에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수저류조(40)는
정수조(3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정수조(30)에서 정수 즉, 정화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저장된 우수가 바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지상에 있는 사용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종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초기우수저류조(10)에 강우 초기에 내리는 빗물보다 비교적 오염물질이 적은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설정된 수질정보보다 높은 수질의 우수를 저장저류조(20)에 자동으로 이동시켜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저류조(20)에 이동되어 저장된 우수 또한 기설정된 수질정보보다 높은 수질의 우수를 정수조(30) 및 사용수저류조(40)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높은 수질의 우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20)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20)는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우오수가 저류되는 탱크본체(100);와 상기 탱크본체(100)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지상에 노출되는 맨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탱크본체(10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외주면 상부에 보수홀(112)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후방과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볼록부(121)가 형성되며, 우오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은 후면 또는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123);과 전면 또는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 구조는 상기 마감캡(120)의 제1내입홈(123) 또는 제2내입홈(124)에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된 후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125);과 상기 결합홀(125)에 용융상태로 충진되는 합성수지용액(126); 및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홀(125)에 설치되는 지지볼트(1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캡(120)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비드(120a);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보다 크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비드(120b); 및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와 제2보강비드(120b)를 관통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되,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3보강비드(12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후방 또는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우오수가 배출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 또는 전방이 전방 또는 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수홀(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재(210);와 상기 하부지지부재(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입상관(220);과 상기 입상관(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24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주면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손잡이(250); 및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100)는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우오수(이하, '우수'라 통칭한다.)가 유입되어 저류되며,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마감캡(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는 맨홀부(200)가 연결설치되어 지상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맨홀부(200)를 통해 유지보수 및 내부 점검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저장저류조(20)는 탱크본체(100)가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외주면 상부에 보수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후방과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볼록부(121)가 형성되며, 우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보수홀(112)은 맨홀부(200)가 연결설치됨으로서, 내부의 유지보수 또는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캡(120)은 어느 하나의 후방에 상기 몸체(110)의 전방이 내입되어 결합되고, 다른 어느 하나의 전방에 상기 몸체(110)의 후방이 내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시켜 우수가 저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122)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우수가 집수되어 저장되도록 하거나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몸체(110)의 전방으로 우수가 집수되는 경우, 상기 마감캡(120) 중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 결합된 마감캡(120)의 관통홀(122)에 유입관이 연결되어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마감캡(120) 중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결합된 마감캡(120)의 관통홀(122)에 배출관이 연결되어 우수가 배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마감캡(120)은 후면 또는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내입홈(123)은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 즉, 상기 몸체(110)가 내입되는 후면 또는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안정적을 정확한 위치에 내입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수밀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120)은 전면 또는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갖으며,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내입홈(124)은 상기 마감캡(120)을 뒤집어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본체(100)의 몸체(110)를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할 때, 상기 마감캡(120)이 뒤집어지면 상기 볼록부(121)가 상기 몸체(11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마감캡(120)이 상기 몸체(110)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 후 수밀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 구조는 상기 마감캡(120)의 제1내입홈(123) 또는 제2내입홈(124)에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된 후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125)과, 상기 결합홀(125)에 용융된 상태로 충진되는 합성수지용액(126) 및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홀(125)에 설치되는 지지볼트(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은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제1내입홈(123) 또는 제2내입홈(124) 및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125)에 용융된 상태로 합성수지용액(126)이 충진되어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사이에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이 채워져 수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결합은 상기 결합홀(125)에 상기 합성수지용액(126)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지지볼트(127)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결합홀(125)에서 경화된 합성수지용액(126)의 강도를 향상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마감캡(120)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비드(120a)와,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도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보다 크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비드(120b) 및 상기 볼록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또는 전면에 상기 제1보강비드(120a)와 제2보강비드(120b)를 관통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되,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3보강비드(12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보강비드(120a)와 제2보강비드(120b) 및 제3보강비드(120c)는 볼록부(121)가 형성됨에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마감캡(120)의 후면 또는 전면에 형성되어 마감캡(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121)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우수 또는 지중에 의한 압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우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후방 또는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는데, 다시 말해, 상기 몸체(110)의 전방으로 우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마감캡(120)은 상기 몸체(110)의 전방이 후방에 내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관통홀(122)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10)의 내부로 우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우수가 배출되는 방향의 마감캡(120)은 상기 관통홀(122)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 또는 전방이 전방 또는 후방에 내입되는 결합되는데, 다시 말해, 상기 몸체(110)의 전방으로 우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마감캡(120)은 상기 몸체(110)의 후방이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관통홀(122)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우수가 몸체(110)의 내부에 원활하게 저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침전된 후 보다 양질의 우수가 배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맨홀부(200)는 상기 탱크본체(100)의 외주면 상부 즉, 상기 탱크본체(100)의 몸체(1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보수홀(112)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지상에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탱크본체(100)의 유지보수 또는 점검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상기 탱크본체(100)의 몸체(1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맨홀부(200)는 상기 탱크본체(100)의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수홀(112)의 상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용접 등으로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재(210)와, 하부에 상기 하부지지부재(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입상관(220)과, 입상관(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24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주면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손잡이(250) 및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입상관(220)은 하부지지부재(210)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내측입상관(230)으로도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210)는 상기 입상관(220)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판(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입상관(220)은 상기 하부지지부재(210)의 측면에 위치하되, 외측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판(212)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상관(220)을 상기 지지판(212)의 상부에 안착되되도록 설치한 후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마감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콘크리트(240)는 상기 외측입상관(220)과 내측입상관(230)의 상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10)의 보수홀(112)의 상부에 상기 외측입상관(220)과 내측입상관(230)이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맨홀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맨홀의 내부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사다리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손잡이(250)는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맨홀뚜껑(262)이 외부의 충격으로 이탈되거나 내부 점검을 위해 제거되었을 때, 작업자의 추락 및 작업 물품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점검시 작업자가 사다리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세워져 설치됨으로써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전손잡이(250)는 맨홀 즉,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측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재(251)와, 상기 브라켓부재(251)의 내측에 외측이 결합되고,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체결부재(252) 및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브라켓부재(251)는 상기 체결부재(252)와 손잡이부재(253)가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재(251)는 상기 맨홀 즉, 기초콘크리트(240)의 내측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251a)과, 상기 제1브라켓(251a)의 내측에 후방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길이조절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브라켓(25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한 쌍의 제1브라켓(251a)은 연결하여 일체화되고, 일체화된 제1브라켓(251a)은 맨홀(200)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한 쌍의 제1브라켓(252a)을 연결하는 부분은 맨홀의 형상에 따라 라운드형 또는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맨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의 체결홀을 관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부재(252)는 ㄷ자 형상으로 일측의 중간부분을 절개한 내입홈(252d)을 형성하여 손잡이부재(253)가 세워질 경우 외측수평프레임(253b)이 삽입되도록 하되, 내입홈(252d)은 입구가 큰 사다리형상으로써 상기 외측수평프레임(253b)의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52) 하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걸림턱(252e)이 설치되어 손잡이부재(252)를 눕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52)는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재(253)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즉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재(25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부고정홀(252a);과 상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재(253)가 후방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즉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재(25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상부고정홀(252b); 및 상기 하부고정홀(252a) 또는 상기 상부고정홀(252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고정핀(252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핀(252c)은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252)의 측면에 체인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253)는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맨홀뚜껑(262)의 이탈 또는 제거시 추락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내부 점검시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가 내부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손잡이부재(253)는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외측수직프레임(253a)과, 상기 한 쌍의 외측수직프레임(253a)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외측수평프레임(25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재(253)는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과 외측수평프레임(253b)에 의해 작업자 또는 작업 물품 등이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지면과 수평할 때를 기준으로, 하부말단 모서리 중 상부에 위치한 모서리가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에서 후방 상부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방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후 후방 하부방향으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체결부재(252)의 내측 하부면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후방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하부말단 모서리 중 하부에 위치한 모서리가 만곡되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후방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253)는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에 하부가 내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과, 상기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의 상부를 연결하는 내측수평프레임(25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내측수직프레임(253c)은 손잡이부재(253)가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때, 하부가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의 중공에 내입되어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의 강성을 보강하고, 손잡이부재(253)가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때, 하부가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의 중공으로부터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어 작업자가 보다 원활하게 내측수평프레임(253d)을 잡고 맨홀 즉, 기초콘크리트(240)의 내부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은 하부 말단에 이탈방지턱(253c-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수직프레임(253a)은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이탈방지핀(253a-1)으로 내측수직프레임(253c)이 외측수직프레임(253a)에서 이탈 방지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의 이탈방지턱(253c-2)에 외측수직프레임(253a)의 통공에 삽입 결합된 이탈방지핀(253a-1)이 걸려 외측수직프레임(253a)d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된 내측수직프레임(253c)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핀(253a-1)을 조이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외측수평프레임(253d)은 손잡이부재(253)가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일 때,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이 상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하부에 상부가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안내판(253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안내판(253f)은 미리 설치되어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이 상부로 인출되면 지상에서 쉽게 식별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내측수직프레임(253c)이 상부로 인출된 후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내측수평프레임(253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253)가 수평일 때, 후방에 결합되는 사다리형태의 보조프레임(253g)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프레임(253g)은 기초콘크리트(240)의 관통홀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로막아 작업자 또는 작업 물품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출입시 작업자가 보다 깊은 위치까지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맨홀뚜껑부재(26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61)과, 상기 지지프레임(261)의 상부를 개폐하는 맨홀뚜껑(26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맨홀뚜껑(262)을 제거한 후 상기 안전손잡이(250)를 세워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탱크본체(100)의 유지보수 또는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슬러지포집부(114)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우오수와 함께 흘러들어온 낙엽, 진흙 등의 슬러지가 슬러지포집부(114)에 모이게 되고, 다용토 물탱크의 청소, 보수 등을 할 때 슬러지포집부(114)에 모인 슬러지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저장저류조(20)는 볼록부(121)가 형성된 마감캡(120)을 이용하여 우수의 압력과 지중의 압력을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몸체(110)와 마감캡(120)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125)과 상기 결합홀(125)에 충진되는 합성수지용액(126) 및 지지볼트(127)를 통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는 한편, 맨홀부(200)에 안전손잡이(250)를 설치하여 추락방지 및 유지보수 또는 점검시 출입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초기우수저류조 11 : 집수탱크
11a : 유입구 12 : 감지센서
13 : 제1수질모니터링센서 14 : 초기제어부
20 : 저장저류조 21 : 저장탱크
22 : 제1연결관 23 : 유입밸브
24 : 측정센서 25 : 메인제어부
26 : 제2수질모니터링센서 30 : 정수조
31 : 정수탱크 32 : 제2연결관
33 : 정수밸브 40 : 사용수저류조
50 : 관리부
100 : 탱크본체 110 : 몸체
112 : 보수홀 114 : 슬러지포집부
120 : 마감캡 120a : 제1보강비드
120b : 제2보강비드 120c : 제3보강비드
121 : 볼록부 122 : 관통홀
123 : 제1내입홈 124 : 제2내입홈
125 : 결합홀 126 : 합성수지용액
127 : 지지볼트 200 : 맨홀부
210 : 하부지지부재 212 : 지지판
220 : 입상관 230 : 내측입상관
240 : 기초콘크리트 250 : 안전손잡이
251 : 브라켓부재 251a : 제1브라켓
251a-1 : 제1체결홀 251b : 제2브라켓
251b-1 : 제2체결홀 252 : 체결부재
252a : 하부고정홀 252b : 상부고정홀
252c : 제1고정핀 252d : 내입홈
252e : 걸림턱 253 : 손잡이부재
253a : 외측수직프레임 253b : 외측수평프레임
253c : 내측수직프레임 253c-2 : 이탈방지턱
253d : 내측수평프레임 253f : 안내판
253g : 보조프레임 260 : 맨홀뚜껑부재
261 : 지지프레임 262 : 맨홀뚜껑

Claims (9)

  1.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초기우수저류조(10);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저류조(20);와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저장저류조(20)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조(30); 및
    상기 정수조(3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정수조(30)에서 정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사용수저류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탱크(11);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11a);와
    상기 집수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되,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와
    상기 집수탱크(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 및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빗물이 감지된 강우정보와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제1수질정보를 전달받는 초기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지 않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강우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입구(11a)를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우수가 저류되는 탱크본체(100);와
    상기 탱크본체(100)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지상에 노출되는 맨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탱크본체(10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외주면 상부에 보수홀(112)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후방과 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볼록부(121)가 형성되며, 우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2)는
    수분감지센서 또는 강우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분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감지시간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고,
    강우량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강우량 이상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강우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21);와
    상기 저장탱크(2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초기우수저류조(10)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22); 및
    상기 제1연결관(22)을 개폐하는 유입밸브(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기제어부(14)는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로부터 전달받은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유입밸브(23)를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유입밸브(23)를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질모니터링센서(13)는
    탁도계센서 또는 전기전도도센서(EC센서) 또는 pH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조(30)는
    상기 저장저류조(2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탱크(31);와
    상기 정수탱크(31)의 측면 상부와 상기 저장저류조(20)의 측면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32); 및
    상기 제2연결관(32)을 개폐하는 정수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24);와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측정된 우수의 측정수위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미만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측정수위정보가 기설정된 수위정보 이상이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메인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24)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저장된 우수가 접촉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위측정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 내부에 저장된 우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압력센서 또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저류조(20)는
    상기 저장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우수의 제2수질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좋으면 상기 정수밸브(33)를 폐쇄하고, 상기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제2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정수밸브(33)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25)는
    상기 측정센서(24)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정보와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를 수시로 관리부(50)에 전송하고,
    상기 제2수질모니터링센서(26)로부터 전달받은 제2수질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수질보다 나쁘면 상기 관리부(50)에 경보알람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9. 삭제
KR1020220097059A 2022-08-04 2022-08-04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KR102492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59A KR102492822B1 (ko) 2022-08-04 2022-08-04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59A KR102492822B1 (ko) 2022-08-04 2022-08-04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822B1 true KR102492822B1 (ko) 2023-01-27

Family

ID=8510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59A KR102492822B1 (ko) 2022-08-04 2022-08-04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8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79B1 (ko) 2010-12-06 2012-09-24 이경섭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20120104852A (ko) * 2011-03-14 2012-09-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와 회귀모델을 이용한 응집제 주입량 결정방법과 그를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101243415B1 (ko) * 2012-07-04 2013-03-13 최중철 빗물정화장치
KR101935498B1 (ko) * 2018-05-29 2019-01-04 (주)이앤씨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79B1 (ko) 2010-12-06 2012-09-24 이경섭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20120104852A (ko) * 2011-03-14 2012-09-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와 회귀모델을 이용한 응집제 주입량 결정방법과 그를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101243415B1 (ko) * 2012-07-04 2013-03-13 최중철 빗물정화장치
KR101935498B1 (ko) * 2018-05-29 2019-01-04 (주)이앤씨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7209B (zh) 地埋式高效初期雨水处理装置
AU2006238940B2 (en) Storm drain filter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1032421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655313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102492822B1 (ko) 반구형 마감캡과 센서를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KR102131749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409378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20150010529A (ko) 다기능 프레임이 구비된 맨홀덮개
KR102541588B1 (ko) 반구형 마감캡을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CN110206119A (zh) 一种路面水与路基水相隔离的道路双排水系统
JP3873255B2 (ja) 雨水集水処理方法および雨水集水装置、ならびに飲料水製造装置
CN210946482U (zh) 一种旧桥桥面排水应急改造系统及桥梁
KR101133277B1 (ko)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CN207003624U (zh) 多功能雨水箅
KR100485527B1 (ko) 초기우수배제 (雨水排除)장치를 가진 다목적 우수처리시스템
KR100474054B1 (ko)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KR102095891B1 (ko)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KR200494625Y1 (ko)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