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054B1 -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054B1
KR100474054B1 KR10-2003-0013496A KR20030013496A KR100474054B1 KR 100474054 B1 KR100474054 B1 KR 100474054B1 KR 20030013496 A KR20030013496 A KR 20030013496A KR 100474054 B1 KR100474054 B1 KR 10047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ank
initial
pavement
va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706A (ko
Inventor
최상일
한무영
서용식
박준형
소정현
Original Assignee
한무영
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무영, 최상일 filed Critical 한무영
Priority to KR10-2003-001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0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를 정화하여 중수도로 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로서, 초기빗물배제수단, 정화수단, 침전조 및 저장조으로 구성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내부에 초기빗물배제판이 설치되고, 상기 침전조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내부에 정화수단과 유분방지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도가 높은 초기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고, 입자크기가 큰 것은 물론 작은 것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으며, 부유하는 오염물질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사가 용이하고, 설치 후 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저장된 빗물의 수질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Utilizing system of rainwater from the paving area and valley}
본 발명은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이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면 유출 빗물 또는 계곡수를 수집하는 집수수단, 오염정도가 심한 초기의 빗물을 배제하는 초기빗물배제수단, 배제된 이후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용도에 맞게 정화하는 정화수단, 정화된 빗물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저장수단으로 구성된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빗물 정화 및 이용장치는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조에 담고 저장조 내에서 침전기법을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단순한 설비가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빗물의 수질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어 다양한 용도로 빗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빗물의 침전시설과 저장시설을 별도로 설치하는 방법과 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빗물의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오염도가 높은 빗물을 정화하여야 하는 경우와, 오염물질 중 부유하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빗물의 수질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장치로서, 오염도가 높은 초기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고, 입자크기가 큰 것은 물론 작은 것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으며, 부유하는 오염물질도 차단할 수 있는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공사가 용이하고, 설치 후 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저장된 빗물의 수질 관리가 가능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로서, 초기빗물배제수단, 정화수단, 침전조 및 저장조으로 구성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빗물유입관, 초기빗물배제판 및 침전조유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기빗물배제판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된 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기빗물배제판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판으로, 일단이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의 벽면에 힌지 결합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입된 빗물이 많아짐에 따라 부력의 작용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을 이룰 때까지 떠오르며, 수평이 된 후에는 회전제한수단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초기에 유입된 빗물과 수평을 이룬 이후에 유입된 빗물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은 청소용배출관, 월류관 및 개폐 가능한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전조유입관에는 수위에 따라 상기 침전조유입관을 개폐하는 개폐제어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 상기 정화수단이 고정되는 정화수단 고정조; 상기 정화수단 고정조에 고정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 상기 정화수단을 통과하고도 남아있는 유분을 차단하기 위한 유분방지수단; 상기 정화수단에서 걸러지는 오염물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제거수단; 침전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밸브; 및 처리된 빗물을 저장조로 이송하기 위한 방류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화수단는,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몸체 및 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빗물유입구, 처리수 방류관 및 오염물질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빗물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상기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 상기 처리수 방류관을 통하여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은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는 여기서, 상기 정화수단는,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 입자 크기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서로 크기가 다르게 다단으로 설치되고,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된 다단 스크린; 상기 다단 스크린을 통과하여 처리된 빗물을 방류하는 방류관 및 입자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저장조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 유입되는 빗물을 소독할 수 있는 소독수단; 유입되어 저장된 빗물의 전기전도도, pH, 탁도, 잔류염소, 유분 및 수위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 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저장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밸브 및, 빗물 유입량이 저장조의 용량을 넘는 경우에 빗물을 월류시킬 수 있는 월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는, 포장면을 굴착하여 지하에 매설되거나, 계곡수가 흐르는 곳의 지하에 매설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는 초기빗물배제수단(10), 정화수단(20), 침전조(40), 빗물저장조(50) 및 모니터링 시스템(60)으로 구성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에 있어서의 초기빗물배제수단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빗물유입관(11), 초기빗물배제판(14) 및 침전조유입관(15)으로 구성된다.
포장면의 빗물이 상기 빗물유입관(11)을 통하여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로 유입되고,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에 유입된 빗물의 수위가 상기 침전조유입관(15)의 높이에 이르기 전까지는 빗물이 침전조유입관(15)으로 흐르지 않는다.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 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된 판일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은 일단이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의 벽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빗물 유입 초기에 상기 힌지 결합부(18)와 마주보는 벽면에 설치된 회전제한수단(19a)에 걸쳐진다. 상기 힌지 결합부(18)는 상기 침전조유입관(15)과 높이가 같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 내의 빗물의 수위가 상기 회전제한수단(19a)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은 부력에 의해 힌지 결합부(18) 주위로 회동하면서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이 수평이 될 때까지 떠오르게 된다. 상기 침전조유입관(15)이 설치되는 곳의 벽면에는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이 수평이 될 때 거치되어, 수위가 더 높아져도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제한수단(19b)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힌지 결합부(18)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이 수평이 된 이후에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초기빗물배제판(14)이 수평이 된 후에는 초기빗물배제판(14) 위의 빗물이 상기 침전조(4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침전조유입관(15)에는 상기 침전조유입관(15)을 수위에 따라 상기 침전조유입관(15)을 개폐하는 개폐제어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개폐제어기로 부표(17)를 이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의 바닥은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어 침전되는 오염물질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에는 바닥의 경사에서 가장 낮은 곳에 청소용배출관(1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용배출관(16)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 바닥의 이물질이 많이 포함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에는 꼭대기 가까이에 월류관(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관(13)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로의 빗물 유입량이 많아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빗물이 월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에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12)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12)을 열고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 내에 유입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에서는 유입수의 오염물질을 50 내지 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침전조(4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40)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10)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41), 상기 정화수단이 고정되는 정화수단 고정조(42), 상기 정화수단 고정조(42)에 고정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 상기 정화수단을 통과하고도 남아있는 유분을 차단하기 위한 유분방지수단(44), 상기 정화수단에서 걸러지는 오염물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제거밸브(43), 상기 침전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밸브(45) 및 처리된 빗물을 상기 저장조(50)로 이송하기 위한 방류밸브(46)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침전조(40)의 바닥은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어 아직 여과되지 않고 남은 오염물질이 침전될 때 한 곳으로 모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청소용밸브(45)는 상기 침전조(40) 바닥의 경사에서 가장 낮은 곳에 설치된다.
상기 정화수단 고정조(42)는 상기 정화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화수단에서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배출될 때 상기 저장조(50)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침전조(40) 내에서 벽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화수단 고정조(42)의 하부에는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에서 가장 낮은 곳에는 정화수단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배출될 수 있는 오염물질제거수단(43)이 구비된다.
상기 유분방지수단(44)은, 오염물질이 미세하거나 콜로이드 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와 입자 비중이 작은 경우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이 저장조(5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부에서는 빗물의 흐름이 차단되는 벽의 형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침전조(40)에는 상기 저장조로 연결되는 상기 방류밸브(46) 앞에 필요에 따라 별도의 여과장치(47)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에서는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약 40 내지 50% 가량 제거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정화수단의 일실시예로서, 하이드로사이클론(2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트론(20)은,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몸체(24) 및 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26)으로 구성되고, 빗물유입구(21), 처리수 방류관(22) 및 오염물질 배출구(25)가 구비되어, 상기 빗물유입구(21)로 유입된 물이 상기 스크린(26)에 의해 걸러져, 상기 배출구(25)로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배출되고, 상기 처리수방류관(22)으로는 상기 스크린(26)에서 정화된 빗물이 상기 침전조(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트론(20)에는 연결고리(23)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26)을 분리하여 상기 스크린(26)에 남는 오염물질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의 사이즈는 1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유입수의 오염물질을 50 내지 60%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정화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단 스크린 정화수단(3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스크린 정화수단(30)는,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31), 입자 크기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서로 크기가 다르게 다단으로 설치되고,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된 다단 스크린(33a, 33b, 33c), 상기 다단 스크린(33a, 33b, 33c)을 통과하여 처리된 빗물을 상기 침전조(40) 내로 방류하는 방류관(34) 및 유입된 빗물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밸브(32)로 구성된다.
상기 다단 스크린 정화수단(30)는, 상향류식으로 작동하여 하단의 스크린(30a)으로부터 상단의 스크린(30c)을 거친 정화된 빗물이 상기 침전조(40)로 유입되고 상기 다단 스크린에 일부 오염물질이 남으며, 상기 배출밸브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배출된다.
상기 다단 스크린(33a, 33b, 33c)에는 연결고리(35)가 구비되어 스크린에 남은 오염물질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단 스크린(33a, 33b, 33c)은 하단으로부터 각각 50㎛, 33㎛ 및 11㎛로 점점 거를 수 있는 입자의 크기가 작게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사이즈로 배열된 실시에어서는,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50 내지 80% 제거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저장조(5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51), 유입되는 빗물을 소독할 수 있는 소독수단(55), 유입되어 저장된 빗물의 전기전도도, pH, 탁도, 잔류염소 및 유분 등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57) 및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50) 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펌프(56)로 구성된다.
상기 소독수단(55)은 처리된 빗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장균 등의 수인성 병원균을 소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 시스템은 저장된 빗물의 상태를 측정하고, 외부의 모니터링 시스템(60)으로 측정된 값의 정보를 전송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조(50)의 바닥은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어 침전되는 오염물질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조(50)에는 바닥의 경사에서 가장 낮은 곳에 상기 저장조(50)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밸브(5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50)에는, 빗물 유입량이 상기 저장조(50)의 용량을 넘는 경우에 빗물을 월류시킬 수 있는 월류관(52) 및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는 수위계(54)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면을 굴착하여 정화수단을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설치 공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포장면의 토양이 침하되더라도 포장면에 설치된 여과수단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포장면의 유출수를 계속 정화할 수 있으며, 정화 후에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를 중수도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물을 공업용수, 농업용수, 수세식 화장실용수, 세차용수, 조경용수 등 여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저장조를 포장면에 많이 설치하는 경우, 홍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구성하는 초기빗물배제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구성하는 침전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구성하는 정화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구성하는 정화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를 구성하는 저장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초기빗물배제수단 11: 빗물유입관
12: 뚜껑 13: 월류관
14: 초기빗물배제판 15: 침전조유입관
16: 청소용 배출관 17: 부표
18: 힌지 결합부 19a, 19b: 회전제한수단
20: 하이드로사이클론 21: 빗물유입구
22: 처리수 방류관 23: 연결고리
24: 스크류 25: 배출구
26: 스크린 30: 다단 스크린 정화수단
31: 빗물유입구 32: 배출밸브
33a, 33b, 33c: 다단 스크린 34: 처리수 방류관
35: 연결고리 40: 침전조
41: 빗물유입관 42: 처리장치고정조
43: 오염물질제거밸브 44: 유분방지벽
45: 청소용밸브 46: 방류밸브
47: 여과장치 50: 저장조
51: 빗물유입관 52: 월류관
53: 청소용밸브 54: 수위계
55: 소독수단 56: 펌프
57: 센서시스템 60: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10)

  1.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로서,
    오염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된 초기빗물이 상기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초기초기빗물배제수단;
    상기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내로 유입된 빗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화수단;
    상기 정화수단을 거친 빗물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거나 침전되지 않고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차단시키는 침전조; 및
    상기 침전조로부터 정화된 빗물을 받아들여 각종 용수로 쓸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저장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빗물유입관, 초기빗물배제판 및 침전조유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빗물배제판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된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빗물배제판은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판으로, 일단이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의 벽면에 힌지 결합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입된 빗물이 많아짐에 따라 부력의 작용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을 이룰 때까지 떠오르며, 수평이 된 후에는 회전제한수단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초기에 유입된 빗물과 수평을 이룬 이후에 유입된 빗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은 청소용배출관, 월류관 및 개폐 가능한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전조유입관에는 수위에 따라 상기 침전조유입관을 개폐하는 개폐제어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상기 초기빗물배제수단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
    상기 정화수단이 고정되는 정화수단 고정조;
    상기 정화수단 고정조에 고정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
    상기 정화수단을 통과하고도 남아있는 유분을 차단하기 위한 유분방지수단;
    상기 정화수단에서 걸러지는 오염물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제거수단;
    침전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밸브; 및
    처리된 빗물을 저장조로 이송하기 위한 방류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는,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몸체 및 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빗물유입구, 처리수 방류관 및 오염물질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빗물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상기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 상기 처리수 방류관을 통하여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고, 오염물질은 상기 오염물질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는,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
    입자 크기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서로 크기가 다르게 다단으로 설치되고,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된 다단 스크린;
    상기 다단 스크린을 통과하여 처리된 빗물을 상기 침전조로 방류하는 방류관; 및
    입자 크기가 큰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
    유입되는 빗물을 소독할 수 있는 소독수단;
    유입되어 저장된 빗물의 전기전도도, pH, 탁도, 잔류염소, 유분 및 수위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 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저장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밸브 및, 빗물 유입량이 저장조의 용량을 넘는 경우에 빗물을 월류시킬 수 있는 월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면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KR10-2003-0013496A 2003-03-04 2003-03-04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KR10047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96A KR100474054B1 (ko) 2003-03-04 2003-03-04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96A KR100474054B1 (ko) 2003-03-04 2003-03-04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06A KR20040078706A (ko) 2004-09-13
KR100474054B1 true KR100474054B1 (ko) 2005-03-10

Family

ID=3736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496A KR100474054B1 (ko) 2003-03-04 2003-03-04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311B1 (ko) * 2011-12-05 2012-08-01 녹스 코리아(주) 빗물 재이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511B (zh) * 2019-07-29 2024-04-26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弃流和回收利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311B1 (ko) * 2011-12-05 2012-08-01 녹스 코리아(주) 빗물 재이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06A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402B1 (ko)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0459753Y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14553B1 (ko)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66939B1 (ko) 초기우수배제, 역세척, 폭우 시 월류 기능이 있는 무동력 빗물여과 및 포집장치
KR200431389Y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0784496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20110032200A (ko)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오일 및 슬러지분리처리장치
KR20030069935A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474054B1 (ko) 포장면 유출 빗물 및 계곡수 활용 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13397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777586B1 (ko) 관체형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