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277B1 -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3277B1 KR101133277B1 KR1020090063896A KR20090063896A KR101133277B1 KR 101133277 B1 KR101133277 B1 KR 101133277B1 KR 1020090063896 A KR1020090063896 A KR 1020090063896A KR 20090063896 A KR20090063896 A KR 20090063896A KR 101133277 B1 KR101133277 B1 KR 101133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inlet
- rainwater inlet
- filter
- treate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측면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초기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에 설치하여 비점오염물이 포함된 노면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의 내저면 및 내측면에 적어도 몸체의 선단이 수밀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는 하부 우수유입부와 상부 처리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와 상기 처리수배출부 사이의 계면에 이들 간의 통수를 허용하는 필터수납실이 형성되고, 이 필터수납실에는 교체가능하게 필터가 충진되며,
상기 우수유입부는 선단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 및 필터수납실 후단은 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장치는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에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을 정화함으로써 보다 확실하면서도 안전한 청정우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초기우수, 정화, 배수도관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 측면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초기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에 설치하여 비점오염물이 포함된 노면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로 나눌 수 있다.
위와 같은 오염물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 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빗물과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비점오염물은 빗물에 대한 비중과 비교하여 빗물보다 비중이 커서 침전이 가능한 침전성 오염물과 빗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빗물과 섞이지 않고 그 상단부에 떠있게 되는 예컨대, 기름띠나 나무 등과 같은 부유성 오염물로 구분되는 데, 비점오염물의 경우에는 우천시 특히 초기빗물과 함께 하천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에 유입되어 오염요인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초기 우수를 하천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기한 오염물질은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 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협잡물이나 부유물질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것들로 이루어지며, 통상 우천시에 빗물에 쓸려 하천, 강, 내만, 호수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생태계의 파괴는 물론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비점오염물은 우리 나라의 경우 수량적 측면에서는 홍수로, 또한 수질적 측면에는 강우시 비점오염물 유출로 인한 공공수역의 수질악화가 초래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불투수성 포장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우시 피크 유출량도 커지고, 이에 따라 비점오염물의 이동력도 증가하여 수질과 수량적인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4대 강 오염부하의 22~37%에 달할 뿐만 아니라 팔당상수원의 경우 오염부하의 약 절반인 44.5%가 비점오염원으로 조사 되는 등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면배수에 함유되는 오염물질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자동차 특히 디젤엔진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나, 타이어의 마모에 의한 먼지, 아스팔트의 마모에 의한 먼지, 공장 매연, 분진 등의 환경오염물질을 말하며, 이것들에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계 오염물질이나 카드늄 등의 중금속류 외에, 질소나 인 등의 부영양화염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환경호르몬과 같은 내분비 교란작용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도 있다. 이들 오염물질은 도로의 노면에 퇴적되어, 강우에 의한 도로배수에 의해 운반되고 도로 측구에 다다른다. 초기 강우를 통한 도로배수에 의해 운반되어 도로 측구에 이르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노면배수는 도로의 일정한 지점에서 집수된 후 경사진 배수 도관을 통해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유입된다.
종래 도로노면 배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하수처리의 부담을 줄이고, 각종 수역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초기우수 정화장치는 도로 측면 배수구 또는 도로 배수로의 집수지점에 설치되는 수직구조의 장치가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등록 제10-614766호에는 노면 배수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상단 개방부 양측면에 초기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부를 형성하여 노면 배수를 저류시키며, 일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수로가 구비된 우수받이; 상기 우수받이의 내면에 설치되며, 대향하는 양측 하단부분이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유입구와, 우수받이의 상단개방부를 통해 유입되는 노면배수가 유입구를 통해 내부측으로 상승하여 배출되도록 상부 일측에 배출개구가 형성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 일측에 설치되어 그의 배출개구를 통해 월류되는 처리수와 도로노면을 통해 직접 유입되는 과잉수를 저류시켜 배수로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박스; 상기 처리조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처리조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는 노면 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 및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여과수단; 및 상기 우수받이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며 노면 배수를 우수받이의 내부공간부로 유입하기 위한 개방통로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겉뚜껑을 포함하는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그레이팅 뚜껑을 통하여 유입부 안으로 유입한 도로배수가 유입부 하측에 설치된 연결부를 통하여 처리조로 유입하고, 처리조 안에서 상승한 우수가 여재 충전조를 통과하는 동안에 여재에 의해 오염물질의 제거처리가 수행된다.
한국특허등록 제10-795918호에는 외부용기를 관통하는 일단이 내부용기에 연결되어 우수를 유입 받도록 된 유입관; 내부용기의 내부 중앙에 위치시켜 와류형성을 돕도록 된 관축; 상기 관축과 내부용기의 하측에 호퍼형상으로 설치되어 침전물을 바닥중심부 쪽으로 유도시켜 하부의 침전물 저장조에 수용되도록 하는 벤칭스커트; 상기 벤칭스커트의 상측,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환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미세 고형물을 필터링하도록 된 필터 여재층; 상기 필터 여재층의 상측, 환형공간과 연통되도록 외부용기에 연결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우수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825944호에는 교량의 배수구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우수 유입구와 처리수 배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걸림턱, 상기 스크린 일측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 등록 제10-562168호에는 도로변에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에 우수받이가 결합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들이 모이는 집수로와; 상기 집수로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집수 맨홀과; 그리고, 상기 집수 맨홀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 맨홀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출하는 정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집수 맨홀과 연결되는 유입구가 바닥측에 형성되고 하천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정화 맨홀, 상기 정화 맨홀 내부에 부유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제거 및 침전물과 부유물로 분리하는 필터체로 구성된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는 도로 측면 배수구 또는 도로 배수로의 집수지점에서만 초기 우수의 정화가 가능하여 처리수를 안심하고 하천이나 호소에 방류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로는 정화가 되지 않는 지점, 특히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에서 초기 우수를 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노면 초기 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는,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의 내저면 및 내측면에 적어도 몸체의 선단이 수밀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는 하부 우수유입부와 상부 처리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와 상기 처리수배출부 사이의 계면에 이들 간의 통수를 허용하는 필터수납실이 형성되고, 이 필터수납실에는 교체가능하게 필터가 충진되며,
상기 우수유입부는 선단에 우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 및 필터수납실 후단은 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유입부의 선단과 상기 처리수배출부의 선단은 상기 경사진 배수도관의 수류방향 수평면과 예각으로 경사진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유입부의 선단이 상기 처리수배출부의 선단 보다 길게 돌출된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유입부의 입구가 선단과 상면에 형성된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유입구는 망상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후방 처리수배출구와 연통되게 협잡물 포집부가 더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초기우수 정화장치는 종래 초기 우수의 정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던 위치인,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에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을 정화함으로써 보다 확실하면서도 안전하게 청정우수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어 슬러지 및 필터를 제거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일 실시예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포집부 및 도어의 조립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도어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도어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도어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1)는,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도관(2) 내의 임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예시되는 초기우수 정화장치(1)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사진 배수도관(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의도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1)는 몸체 하부에 우수유입부(10)가 형성되고, 상부에 처리수배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우수유입부(10)와 상기 처리수배출부(20) 사이의 계면에 이들 간의 통수를 허용하는 필터수납실(30)이 형성되고 이 필터수납실(30)에는 필터(31)가 교체가능하게 충진된다.
상기 우수유입부(10)는 선단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의 출구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1)는 상기 입구(11)가 경사진 배수도관(2)의 상류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우수유입부(10)의 선단부와 상기 처리수배출부(20)의 선단은 상기 경사진 배수도관(2)의 수류방향(또는 길이방향) 수평면과 예각(θ)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본 장치에 의해 배수도관(2)내 우수 흐름이 최대한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우수유입부(10)의 선단과 상기 처리수배출부(20)의 선단은 경사각도는 45。이하의 각도로 서로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선단 경사부는 곡면형(바람직하게 유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우수유입부(10)의 선단은 상기 처리수배출부(20)의 선단 보다 길게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부위의 선단과 상면에 입구(11)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입수가 최대한 우수유입부(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수유입구(11)는 망상 구조를 갖도록 하여 망상의 메시보다 큰 협잡물이 우수유입부(10)내로 유입되지 않고 처리수배출부(20)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협잡물을 포집하기 위해 처리수배출부(20) 후방에 포집망 등과 같은 협잡물 포집부(4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유입부(10)는 하부 전,후방에 본 발명의 정화장치(1)를 배수도관(2) 바닥면에 앙카볼트(B) 등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플랜지(12)가 돌출되는데, 상기 플랜지(12)에는 앙카볼트(B)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12a)이 관통된다.
상기 우수유입부(10)는 후단부의 출구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도어는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2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첫 번째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우수유입부(10) 후단부 및 필터수납실(30)의 후단부 각 출구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식 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회 전식 도어(50)는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방식으로 조립되는데, 본 발명의 정화장치(1)가 경사진 배수도관(2)에 설치되고 이 배수도관(2)을 흐르는 우수의 수압을 감안하면 회전식 도어(50)가 임의대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은 회전식 도어(50)를 개폐하는 잠금부재(51)가 회전식 도어(5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51)를 회전시켜 회전식 도어(50)를 차단하게 되면 회전식 도어(50)는 폐쇄되고, 회전시켜 도어에서 제거하면 회전식 도어(50)는 자유상태가 되어 개방된다.
두 번재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첫 번째 실시예의 잠금수단은 장시간 사용하면 우수유입부(10) 및 필터수납실(30)에 유입된 우수의 수압에 의해 잠금부재(51)가 헐거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8의 슬라이드식 도어(60)를 몸체 후단부에 형성된 슬롯(61)에 삽입 또는 제거하여 우수유입부(10) 및 필터수납실(30)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60)는 하부가 폐쇄되어 우수유입부(10) 및 필터수납실(3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상기 처리수배출부(20)와 대응되게 유로(60a)가 관통되어 사용시 처리수배출부(20)를 항상 개방토록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60)가 삽입되는 슬롯(61) 양측단부 수직방향에는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60)가 빠지지 않도록 안내레일(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61)에 삽입된 슬라이드식 도어(60)는 양측단부가 안내레일(62)에 견고하게 지지 되므로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거나 임의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필터수납실(30)은 우수유입부(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후방에는 슬러지가 필터수납실(30)로 빠지지 않도록 차단벽(32)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32) 전방에는 필터수납실(30)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갖도록 관통부(33)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부(33)는 망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수납실(30) 상부 전방에는 여재로 구성된 필터(31)를 내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덮개(34)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34)의 후방은 필터(31)를 통과한 우수가 처리수배출부(20)로 흐를 수 있도록 통로(35)가 형성되는데, 상기 통로(35)는 망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처리수배출부(20)는 필터(31)를 통과한 처리수 및 협잡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터널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후방, 즉 처리수배출부(20) 후방에는 협잡물을 포집하는 협잡물 포집부(40)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데, 상기 착탈가능한 조립구조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스크류(S)를 이용한 체결방식을 채택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협잡물 포집부(40)는 협잡물을 포집하고 처리수는 배출될 수 있도록 망상형태로 구성되고, 그 전방은 처리수배출부(20)를 지난 처리수 및 협 잡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관통된다.
상기 협잡물 포집부(40)는 그 전방 상하단부에 몸체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래킷(41)이 돌출된다. 상기 브래킷(41)은 스크류 또는 보울트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41a)이 관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1)는 적어도 몸체의 선단이 경사진 배수도관(2)의 내저면 및 내측면과 수밀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초기 우수가 정화되지 않고 몸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정화장치(1)를 경사진 배수도관(2)에 고정하는 방법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의 저면에서 연장하는 플랜지(12)를 형성하고 앙카볼트(B)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랜지(12)와 배수도관(2)의 저면을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으나 별도의 설치 구조물 또는 설치 수단을 이용하여 경사진 배수도관에 본 발명의 정화장치를 고정하는 방법, 배수도관의 측면 또는 상면에 본 장치를 고정하는 방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장치(1)의 높이는 경사진 배수도관(2)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하여 협잡물이 협잡물 포집부(40)로 원활하게 이송되고, 또한 집중 호우 등으로 인해 우수의 유량이 많을 경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필터(31)는 단일 여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다양한 여재를 적절히 조합하거나 또는 다양한 여재와 정화제를 적절히 조합한 복합 필터를 사용하여 보다 확실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필터들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통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우수유입부(10)의 회전식 도어(50) 및 슬라이드식 도어(60)는 우수유입부(10) 내부에 슬러지가 쌓인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점검창을 마련하거나 또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그 자체가 투명창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단면의 배수도관(2)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고, 원형 단면이나 기타 단면 형상의 배수도관(2)에 적합한 구조로도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의 배수도관(2)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장치의 단면형상이 반원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장치는 원할 경우 배수구 또는 집수지점에 설치하는 기존의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초기 우수로부터 비점오염원이 보다 확실하게 정화되어 보다 안전한 청정우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초기 우수가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유입되기 전에 경사진 배수도관(2)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본 장치에 도달하면, 초기 우수는 우수유입구(11)를 통과하면서 우수유입구(11)에 있는 망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져 장치 후방으로 이송되어 처리수배출부(20)를 통해 협잡물 포집망(40) 에 포집된다. 우수유입구(11)를 통과한 초기 우수는 우수유입부(10) 내에 채워지면서 초기 우수에 동반된 슬러지가 차단벽(32)에 의해 우수유입부(10)의 후방에 침전되어 쌓이고 침전되지 않은 비점오염물을 함유하는 초기우수는 수압에 의해 필터(31)를 통해 처리수배출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필터(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이 정화된다.
본 발명의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는 일정 기간 사용하여 정화기능이 떨어진 필터(31)를 회전식 도어(50) 또는 슬라이드식 도어(60)를 개방하여 출구를 통해 새것으로 교체해주고, 우수유입부(10) 후방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하는 관리를 통해 항상 적정한 정화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어 슬러지 및 필터를 제거한 상태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의 일 실시예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포집부 및 도어의 조립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도어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도어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5의 도어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10 : 우수유입부
11 : 입구 12 : 플랜지
20 : 처리수배출부 30 : 필터수납실
31 : 필터 32 : 차단벽
33 : 관통부 34 : 덮개
35 : 통로 40 : 협잡물 포집부
41 : 브래킷 50 : 회전식 도어
60 : 슬라이드식 도어
Claims (6)
-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의 내저면 및 내측면에 적어도 몸체의 선단이 수밀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상기 몸체에는 하부 우수유입부와 상부 처리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와 상기 처리수배출부 사이의 계면에 이들 간의 통수를 허용하는 필터수납실이 형성되고, 이 필터수납실에는 교체가능하게 필터가 충진되며,상기 우수유입부는 선단에 우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 및 필터수납실 후단은 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여기서, 상기 우수유입부의 선단이 상기 처리수배출부의 선단 보다 길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도로상의 배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하천이나 호소지역으로 안내하는 경사진 배수 도관의 내저면 및 내측면에 적어도 몸체의 선단이 수밀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상기 몸체에는 하부 우수유입부와 상부 처리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와 상기 처리수배출부 사이의 계면에 이들 간의 통수를 허용하며 필터수납실이 형성되고, 이 필터수납실에는 교체가능하게 필터가 충진되며,상기 우수유입부는 선단에 우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유입부 및 필터수납실 후단은 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상기 처리수배출부와 연통되는 몸체 후방에 협잡물 포집부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며,여기서, 상기 우수유입부의 선단이 상기 처리수배출부의 선단 보다 길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3896A KR101133277B1 (ko) | 2009-07-14 | 2009-07-14 |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3896A KR101133277B1 (ko) | 2009-07-14 | 2009-07-14 |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318A KR20110006318A (ko) | 2011-01-20 |
KR101133277B1 true KR101133277B1 (ko) | 2012-04-05 |
Family
ID=4361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3896A KR101133277B1 (ko) | 2009-07-14 | 2009-07-14 |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32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1639B1 (ko) * | 2012-12-03 | 2013-08-01 |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
KR102599308B1 (ko) * | 2023-01-30 | 2023-11-06 | 이세홍 | Lid 겸용 호우유도 배수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2625B1 (en) | 2003-02-18 | 2003-10-17 | Bluegrenlink Co Ltd |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
KR20030094556A (ko) * | 2002-06-04 | 2003-12-18 | 주식회사 에코썸 | 도로노면 배수 처리장치 |
KR100420222B1 (ko) * | 2003-04-23 | 2004-02-26 | 엘지건설 주식회사 |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
KR100662520B1 (ko) * | 2005-10-12 | 2007-01-02 | 블루그린링크(주) | 강우수 정화장치 |
-
2009
- 2009-07-14 KR KR1020090063896A patent/KR101133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4556A (ko) * | 2002-06-04 | 2003-12-18 | 주식회사 에코썸 | 도로노면 배수 처리장치 |
KR100402625B1 (en) | 2003-02-18 | 2003-10-17 | Bluegrenlink Co Ltd |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
KR100420222B1 (ko) * | 2003-04-23 | 2004-02-26 | 엘지건설 주식회사 |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
KR100662520B1 (ko) * | 2005-10-12 | 2007-01-02 | 블루그린링크(주) | 강우수 정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318A (ko) | 201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9325B1 (ko) |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
AU2006238940B2 (en) | Storm drain filter | |
KR100718719B1 (ko) |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 |
KR20050080107A (ko) |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 |
KR100681408B1 (ko) |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 |
KR101252736B1 (ko) |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564083B1 (ko) |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 |
KR100562168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KR20150114224A (ko) |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 |
KR100491866B1 (ko) |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KR101582931B1 (ko) | 비점오염 저감 장치 | |
KR100904287B1 (ko) |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 |
KR100516951B1 (ko) |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101036944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133277B1 (ko) | 노면 초기우수 정화장치 | |
KR100429768B1 (ko) |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 |
KR200343186Y1 (ko) |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 |
KR101851938B1 (ko) |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614766B1 (ko) |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 |
KR100980412B1 (ko) | 초기 우수 처리 장치 | |
KR100824268B1 (ko) | 배수처리장치 | |
JP2003286741A (ja) | 雨水浄化構築物 | |
KR101219791B1 (ko) |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KR101227150B1 (ko) |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 | |
KR200357071Y1 (ko) |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