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660B1 -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660B1
KR102492660B1 KR1020220066607A KR20220066607A KR102492660B1 KR 102492660 B1 KR102492660 B1 KR 102492660B1 KR 1020220066607 A KR1020220066607 A KR 1020220066607A KR 20220066607 A KR20220066607 A KR 20220066607A KR 102492660 B1 KR102492660 B1 KR 102492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vertical
assembly hole
dr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만
Original Assignee
(주)베셀
주식회사 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셀, 주식회사 휴팩 filed Critical (주)베셀
Priority to KR102022006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B65D90/146Detachable combined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용접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로만으로 연결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판을 가지는 수평빔이 건식패드의 상판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빔과 건식패드의 상판을 볼팅 체결을 통해 연결하는 체결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연결수단은 상기 건식패드의 상판의 일측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과,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에 형성된 빔 조립홀과, 상기 상판의 상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측에는 상기 상판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직 조립홀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빔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평 조립홀이 형성된 수직 연결부재와, 상기 수직 조립홀과 상판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직 연결볼트와, 상기 수평 조립홀과 빔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평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Fastening and coupling apparatus between dry pad and water tank lower frame}
본 발명은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용접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로만으로 연결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물탱크는 아파트, 빌라 등의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각종 건물 등에서 식수나 세정수 또는 소화용수 등의 상수(上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지하실이나 옥상 등에 조립식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조립식 물탱크는 주로 스테인리스(stainless), FRP, SMC(sheet molding compound) 재질의 사각체의 단위패널을 상자 형상으로 조립시켜 물을 저장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사각체의 단위패널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물탱크를 제조하는 조립식 물탱크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종래에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 현장에서는 최근 중대재해 처벌법의 강화 및 시공 현장의 안전강화로 인하여 99%의 볼팅 작업을 통해 조립식 물탱크를 조립하고 있는데, 부득이 건식패드들의 상판과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은 1%의 용접 작업을 통해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시에는 건식패드의 상판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1%의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하여, 용접 전문공이 필요하고 용접 작업시 안전을 위하여 용접공 이외에 별도의 안전전문 인력을 투입해야 함으로써 물탱크의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시에는 건식패드의 상판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1%의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하여, 용접허가, 용접에 관한 안전용구 비치 등의 용접 작업여건의 제공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회사에서 한 종류의 건식패드가 납품되고 다른 회사에서 건식패드를 제외한 물탱크를 시공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의 PDF 물탱크, SMC 물탱크, STS 물탱크 등을 제조하는 회사가 다양함에 따라, 물탱크의 많은 종류로 인해 용접 방식 및 용접 전단면적의 계산이 상이하여 용접 작업의 방법이 다양함으로써, 건식패드와 물탱크의 납품 업체가 다르면 건식패드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시에, 물탱크의 가로, 세로 면적이 큰 경우에는 수평작업(레벨링 작업)시 오차범위가 정확하지 않음(약 5mm이상 차이남)에 따라, 물탱크의 시공 완료 후 건식패드의 상부면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 간극 차이가 생기됨으로써 용접시 간극차이 때문에 용접 각장에 의한 용접 전단 유효면적의 보장이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시에는, 건식패드들이 설계도면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지만, 건식패드들의 상부에 시공되는 물탱크는 볼트 조립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볼팅 유격에 의한 오차가 발생되어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정확한 외부규격의 조립에 어려움이 있음에 따라, 물탱크의 조립 상태로 건식패드들의 상부에 용접으로 연결하게 되면 물탱크의 외부 규격의 치수가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물탱크는 내진 설계의 경우 용접 전단면적의 계산에 의하여 수평 지진력에 대응하는 용접 길이가 나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물탱크의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프레임의 연결 용접시 용접 전단면적을 용접 유효길이로 산정하게 되는데, 실제 용접시 이론적인 계산 결과치에 대하여 용접 각장 및 용접 길이의 결과 판단이 명확하지 않아 내진의 실제 계산과 내진의 실제 시공의 검증이 불가능함으로써 설계와 같이 정확한 내진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31218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볼트 체결로 연결 결합되는 체결 결합장치로 결합함으로써,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용접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로만으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연결력이 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회사에서 한 종류의 건식패드만 납품하고 PDF 물탱크, SMC 물탱크, STS 물탱크 등을 제조하는 다양한 회사 중 하나에서 건식패드를 제외한 물탱크를 납품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에 건식패드를 호환적으로 연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의 가로, 세로 면적이 큰 경우에 수평작업(레벨링 작업)시 오차범위가 정확하지 않음(약 5mm이상 차이남)에 따라, 물탱크의 시공 완료 후 건식패드의 상부면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 간극 차이가 생기게 되나,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볼트 조립에 의한 체결 결합장치로 결합함에 따라, 볼트 조립시 체결 조립힘이 가해짐으로써 건식패드의 상부면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진 설계의 경우 수평 지진력에 대응하게 위한 규격화 된 볼트 전단력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운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가 관통되는 조립홀들을 장홀로 형성함에 따라, 건식패드의 상부를 모든 종류의 물탱크 하부프레임에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 연결부재의 외측 끝단에 상면이 건식패드의 상판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건식패드의 상부를 물탱크 하부프레임에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볼트들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는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판을 가지는 수평빔이 건식패드의 상판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빔과 건식패드의 상판을 볼팅 체결을 통해 연결하는 체결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연결수단은 상기 건식패드의 상판의 일측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과,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에 형성된 빔 조립홀과, 상기 상판의 상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측에는 상기 상판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직 조립홀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빔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평 조립홀이 형성된 수직 연결부재와, 상기 수직 조립홀과 상판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직 연결볼트와, 상기 수평 조립홀과 빔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평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볼트 체결로 연결 결합되는 체결 결합장치로 결합함에 따라,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용접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로만으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연결력이 강하게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용접 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물탱크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회사에서 한 종류의 건식패드만 납품하고 PDF 물탱크, SMC 물탱크, STS 물탱크 등을 제조하는 다양한 회사 중 하나에서 건식패드를 제외한 물탱크를 납품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에 건식패드를 호환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에 다양한 종류의 건식패드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의 가로, 세로 면적이 큰 경우에 수평작업시 오차범위가 정확하지 않음에 따라, 물탱크의 시공 완료 후 건식패드의 상부면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 간극 차이가 생기게 되더라도, 볼트 조립시 체결 조립힘이 가해짐으로써 건식패드의 상부면과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함르로써 탱크의 내진 성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 설계의 경우 수평 지진력에 대응하게 위한 규격화 된 볼트 전단력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움으로써, 건식패드의 상부와 물탱크의 하부프레임의 결합 시공시 작업자가 내진이 계산된 볼트 수량으로 체결 작업을 하기 때문에 내진의 실제 계산과 내진의 실제 시공의 검증이 쉬워 설계와 같이 정확한 내진 시공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가 관통되는 조립홀들을 장홀로 형성함에 따라, 건식패드의 상부를 모든 종류의 물탱크 하부프레임에 연결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연결부재의 외측 끝단에 상면이 건식패드의 상판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을 구비하여 건식패드의 상부를 물탱크 하부프레임에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볼트들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건식패드와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의 연결력을 최대로 향상시켜 내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가 포함된 건식패드들의 설치 상태를 일부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H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A-A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수평 연결부재와 수직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H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B-B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디귿자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기역자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D-D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가 포함된 건식패드들의 설치 상태를 일부 나타낸 정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H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수평 연결부재와 수직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이하, "체결 결합장치"라 한다.)는 건식패드(100)의 상부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용접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로만으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연결력이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체결 연결수단(1)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에 포함되는 체결 연결수단(1)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구성하는 수직판(210)을 가지는 수평빔(200)이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빔(200)과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을 볼팅 체결을 통해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건식패드(100)는 여러 종류로 공지된 것으로, 상판이 승강이 가능한 건식패드, 상판이 승강이 가능하고 틸팅(각도조절)이 가능한 건식패드 등이 알려져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판이 승강이 가능하고 틸팅이 가능한 건식패드를 도시하였다.
상기 수평빔(200)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의 종류나 하부 프레임(301)의 구성에 따라, 수직판(210)을 가지고 수직판(210)의 상,하부에 수평판(220)이 구비된 H형 빔(200a)(도 2 참조), 수직판(210)을 가지고 수직판(210)의 상,하부에 수평판(220)이 구비된 디귿자형 빔(200b)(도 5 참조), 수직판(210)을 가지고 수직판(210)의 상부에 수평판(220)이 구비된 기역자형 빔(200c)(도 6 참조)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부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체결 연결수단(1)은, 건식패드(100)의 상부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연결력이 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판 조립홀(2), 빔 조립홀(3), 수평 연결부재(4), 수직 연결부재(5), 수직 연결볼트(6), 수평 연결볼트(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조립홀(2)은 후술할 수직 연결볼트(6)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것으로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101) 조립홀(2)은 후술할 수평 연결부재(4)와 수직 연결부재(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빔 조립홀(3)은 후술할 수평 연결볼트(7)의 나사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4)는 상기 상판(101)의 상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외측에는 상기 상판 조립홀(2)과 상응되는 위치에 후술할 수직 연결볼트(6)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수직 조립홀(4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 조립홀(41)은 후술할 수평 연결부재(4)와 수직 연결부재(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연결부재(4)는 수평 연결부재(4)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내측이 상기 H형 빔(200a)이나 디귿자형 빔(200b)의 하부에 위치된 수평판(220)의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에 형성되어 상판(101)에 밀착되는 밀착 수평판(42)과, 상기 밀착 수평판(42)의 내측 끝단에 내측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43)과, 상기 경사판(43)의 내측 끝단에서 내측의 방향으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는 상기 수직 연결부재(5)가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내측 수평판(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 끝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하향지게 경사져 상면이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8)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 끝단에 상면이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43)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쐐기식 경사판(43)으로 인하여 수평 연결부재(4)와 수직 연결부재(5)에는 항상 상부 방향의 힘이 작용됨으로써 건식패드(100)의 상부를 물탱크(300) 하부 프레임(301)에 연결한 상태에서 후술할 수직 연결볼트(6)와 수평 연결볼트(7)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43)을 더 구비하여 후술할 수직 연결볼트(6)와 수평 연결볼트(7)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건식패드(100)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의 연결력을 최대로 향상시켜 물탱크의 내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연결부재(5)는 수평 연결부재(4)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빔(200)을 구성하는 수직판(210)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 연결부재(5)에는 상기 빔 조립홀(3)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평 조립홀(51)이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평 조립홀(51)은 수평 연결부재(4)와 수직 연결부재(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연결볼트(6)는 수평 연결부재(4)의 수직 조립홀(41)과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2)에 나사축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나사축에는 너트(N)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 연결볼트(6)는 수평 연결부재(4)와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 연결볼트(7)는 수직 연결부재(5)의 수평 조립홀(51)과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에 형성된 빔 조립홀(3)에 나사축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관통된 나사축에는 너트(N)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 연결볼트(7)는 수직 연결부재(5)와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51)이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4)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41)이 횡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연결부재(5)에 형성된 수평 조립홀(51)이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함에 따라, 수평 연결부재(4)와 수직 연결부재(5)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건식패드(100)의 상부를 모든 종류의 물탱크(300) 하부 프레임(301)에 연결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결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100)의 상판(101)과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구성하는 수평빔(200)을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구성하는 수평빔(200)을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상부에 종방향으로 배치시켜 올려놓는다.
다음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에 형성된 밀착 수평판(42)을 외측에서 내측의 방향으로 밀어 넣어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의 상부 일측에 밀착시키고,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 하부에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쐐기식 경사판(43)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켜 쐐기식 경사판(43)의 상면이 쐐기식으로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외측의 하부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 연결부재(5)를 수평빔(200)을 구성하는 수직판(210)의 일측면에 밀착시킨다.
다음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41)과 상판(101)의 일측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2)에 수직 연결볼트(6)의 나사축을 관통시킨 다음 나사축에 너트(N)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수평 연결부재(4)를 건식패드(100)의 상부 일측에 고정시킨다.
다음 상기 수직 연결부재(5)에 형성된 수평 조립홀(51)과 상기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에 형성된 빔 조립홀(3)에 수평 연결볼트(7)의 나사축을 관통시킨 다음 나사축에 너트(N)를 체결하여 수직 연결부재(5)를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의 일측면에 밀착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건식패드(100)의 상판(101)과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을 견고하게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건식패드(100)와 수평빔(200)을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전,후,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건식패드(100)들과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구성하는 수평빔(200)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식패드(100)의 상부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체결 연결수단(1)을 포함하는 체결 결합장치로 결합함에 따라, 건식패드(100)의 상부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용접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로만으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연결력이 강하게 결합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회사에서 한 종류의 건식패드(100)만 납품하고 PDF 물탱크, SMC 물탱크, STS 물탱크 등을 제조하는 다양한 회사 중 하나에서 건식패드(100)를 제외한 물탱크(300)를 납품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에 건식패드(100)를 호환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물탱크(300)의 가로, 세로 면적이 큰 경우에 수평작업시 오차범위가 정확하지 않음에 따라, 물탱크(300)의 시공 완료 후 건식패드(100)의 상부면과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의 사이에 간극 차이가 생기게 되더라도, 볼트 조립시 체결 조립힘이 가해짐으로써 건식패드(100)의 상부면과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탱크의 내진 성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 설계의 경우 수평 지진력에 대응하게 위한 규격화 된 볼트 전단력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움으로써, 건식패드(100)의 상부와 물탱크(300)의 하부프레임의 결합 시공시 작업자가 내진이 계산된 볼트 수량으로 체결 작업을 하게 때문에 내진의 실제 계산과 내진의 실제 시공의 검증이 쉬워 설계와 같이 정확한 내진 시공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건식패드(100)의 상판(101)과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을 구성하는 수평빔(200)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 하부에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쐐기식 경사판(43)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켜 쐐기식 경사판(43)의 상면이 쐐기식으로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외측의 하부에 밀착됨에 따라, 건식패드(100)의 상부를 물탱크(300) 하부프레임에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볼트들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건식패드(100)와 물탱크(300)의 하부 프레임(301)의 연결력 최대로 향상시켜 내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H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디귿자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결합장치를 통해 건식패드와 기역자형 빔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체결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체결 연결수단(1)은,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의 타측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2)과, 상기 상판(101)의 상부 타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측에는 상판(101)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상판 조립홀(2)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직 조립홀(41)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재(4)와,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빔(200)의 수직판(210)의 타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빔 조립홀(3)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평 조립홀(51)이 형성되어 이 수평 조립홀(51)에는 상기 수평 연결볼트(7)의 나사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수직 연결부재(5)와, 상기 수직 조립홀(41)과 상판 조립홀(2)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N)가 체결되는 수직 연결볼트(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판 조립홀(2)은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조립홀(41)은 횡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조립홀(51)은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에 형성된 조립홀이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연격부재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41)이 횡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연결부재(5)에 형성된 수평 조립홀(51)이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함에 따라, 수평 연결부재(4)와 수직 연결부재(5)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건식패드(100)의 상부를 모든 종류의 물탱크(300) 하부프레임에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수평 연결부재(4)는 수평 연결부재(4)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내측이 상기 H형 빔(200a)이나 디귿자형 빔(200b)의 하부에 위치된 수평판(220)의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에 형성되어 상판(101)에 밀착되는 밀착 수평판(42)과, 상기 밀착 수평판(42)의 내측 끝단에 내측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43)과, 상기 경사판(43)의 내측 끝단에서 내측의 방향으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는 상기 수직 연결부재(5)가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내측 수평판(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결부재(4)의 외측 끝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하향지게 경사져 상면이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8)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건식패드(100)의 상판(101)의 상부 양측에 수평, 수직 연결부재(4)(5)를 대칭되게 각각 설치함으로써, 건식패드(100)의 상판(101)과 수평빔(200)이 구비된 수직판(210)의 연결 강도를 더 향상시켜 물탱크의 내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체결 연결수단
2 : 상판 조립홀
3 : 빔 조립홀
4 : 수평 연결부재
41 : 수직 조립홀
42 : 밀착 수평판
43 : 경사판
44 : 내측 수평판
5 : 수직 연결부재
51 : 수평 조립홀
6 : 수직 연결볼트
7 : 수평 연결볼트
8 : 쐐기식 경사판
N : 너트
100 : 건식패드
101 : 상판
200 : 수평빔
200a : H형 빔
200b : 디귿자형 빔
200c: 기역자형 빔
210 : 수직판
220 : 수평판
300 : 물탱크
301 : 하부 프레임

Claims (6)

  1. 물탱크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판을 가지는 수평빔이 건식패드의 상판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빔과 건식패드의 상판을 볼팅 체결을 통해 연결하는 체결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연결수단은 상기 건식패드의 상판의 일측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과,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에 형성된 빔 조립홀과, 상기 상판의 상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측에는 상기 상판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직 조립홀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빔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평 조립홀이 형성된 수직 연결부재와, 상기 수직 조립홀과 상판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직 연결볼트와, 상기 수평 조립홀과 빔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평 연결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빔은 수직판을 가진 H형 빔, 수직판을 가진 디귿자형 빔, 수직판을 가진 기역자형 빔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 조립홀은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조립홀은 횡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조립홀은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연결부재는 외측에 형성되어 상판에 밀착되는 밀착 수평판과, 상기 밀착 수평판의 내측 끝단에 내측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 끝단에서 내측의 방향으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는 상기 수직 연결부재가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내측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외측 끝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하향지게 경사져 상면이 상기 건식패드의 상판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연결수단은
    상기 건식패드의 상판의 타측에 형성된 상판 조립홀과, 상기 상판의 상부 타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측에는 상판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상판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직 조립홀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빔의 수직판의 타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빔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수평 조립홀이 형성되어 이 수평 조립홀에는 상기 수평 연결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수직 연결부재와, 상기 수직 조립홀과 상판 조립홀에 나사축이 관통되어 나사축에 너트가 체결되는 수직 연결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 조립홀은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조립홀은 횡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조립홀은 종방향으로 긴 장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연결부재는 외측에 형성되어 상판에 밀착되는 밀착 수평판과, 상기 밀착 수평판의 내측 끝단에 내측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 끝단에서 내측의 방향으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는 상기 수직 연결부재가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내측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외측 끝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하향지게 경사져 상면이 상기 건식패드의 상판 둘레의 하부에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쐐기식 경사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66607A 2022-05-31 2022-05-31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KR10249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07A KR102492660B1 (ko) 2022-05-31 2022-05-31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07A KR102492660B1 (ko) 2022-05-31 2022-05-31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660B1 true KR102492660B1 (ko) 2023-01-30

Family

ID=8510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607A KR102492660B1 (ko) 2022-05-31 2022-05-31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6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60B1 (ko) * 2007-11-22 2008-02-29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자기수평조정식 물탱크시공방법
WO2011108990A1 (en) * 2010-03-05 2011-09-09 Kai Chye Stephen Seow Method and staging system for constructing a floating cover for a storage tank
KR101898619B1 (ko) * 2017-03-27 2018-09-17 주식회사 삼양테크 내진기능을 갖는 물탱크의 클램핑장치
JP6727090B2 (ja) * 2016-09-30 2020-07-22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KR20200122125A (ko) * 2019-04-17 2020-10-27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고정브래킷 어셈블리
KR200492719Y1 (ko) * 2020-02-10 2020-11-30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KR102312188B1 (ko)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60B1 (ko) * 2007-11-22 2008-02-29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자기수평조정식 물탱크시공방법
WO2011108990A1 (en) * 2010-03-05 2011-09-09 Kai Chye Stephen Seow Method and staging system for constructing a floating cover for a storage tank
JP6727090B2 (ja) * 2016-09-30 2020-07-22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KR101898619B1 (ko) * 2017-03-27 2018-09-17 주식회사 삼양테크 내진기능을 갖는 물탱크의 클램핑장치
KR20200122125A (ko) * 2019-04-17 2020-10-27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고정브래킷 어셈블리
KR200492719Y1 (ko) * 2020-02-10 2020-11-30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KR102312188B1 (ko)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9482A (en) Bolted connector for connecting beams to columns
US7703244B2 (en) Joint structure using a gusset plate, a building using the joint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or reinforcing a building
US6474902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eams to columns
US6532713B2 (en) Joint structure for joining composite beam and column
US1970965A (en) Structural connection
JPH09209450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鉄骨架構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JP2002070326A (ja) 鉄骨構造材の補強構造
KR102492660B1 (ko) 건식패드와 물탱크 하부 프레임의 체결 결합장치
KR102172323B1 (ko)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JP6445279B2 (ja) ソーラーカーポート用基礎構造
KR20150138986A (ko) 모듈러 구조물
JP2019027151A (ja) 梁接合構造
KR20180012589A (ko) 리브펜스,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4220695U (zh) 梁柱节点加固连接结构
JP3265167B2 (ja) 柱・梁接合部構造
KR101980662B1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JP5033387B2 (ja) 制振補強構造
CN111021538A (zh) 一种不等高钢梁的连接结构的施工方法
KR102296125B1 (ko)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US20230193620A1 (en)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KR102407718B1 (ko) 댐퍼구조물 및 기둥부재 및 보부재의 접합구조
KR102401560B1 (ko) 장스팬 구조 및 낮은 층고 구현을 위한 빔
JPH09228520A (ja) 波板製壁材の耐震壁構造
KR101877857B1 (ko)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