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57B1 -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857B1
KR101877857B1 KR1020180017427A KR20180017427A KR101877857B1 KR 101877857 B1 KR101877857 B1 KR 101877857B1 KR 1020180017427 A KR1020180017427 A KR 1020180017427A KR 20180017427 A KR20180017427 A KR 20180017427A KR 101877857 B1 KR101877857 B1 KR 10187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column
composite gird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억
Original Assignee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8Profile filled with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또는 콘크리트로 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강결하여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고 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 위에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 이음단면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를 가진 연결강형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수평부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 연결단면은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를 가진 연결단부와, 상기 연결강형의 선단 이음단면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의 선단 연결단면을 서로 대응되게 연결하고 연결부분 외측면에 이음판을 맞댄 다음 이음판을 관통하여 볼트체결하는 수단으로 강결되게 하며, 상기 연결단부의 콘크리트 충전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개구된 연결강형의 중공부에 채워져서 일체로 콘크리트 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본 발명은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골 또는 콘크리트로 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강결하여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고 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근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방식은 이음판과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강형의 상하 플랜지와 복부판을 강하게 체결하는 모멘트 연결방식이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구조적 안전성이 입증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연결부가 완성되기까지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지지할 가설 벤트와 가설 벤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설 기초가 요구되므로 형하공간 활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공사비 및 공사 기간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된 기둥에 연결함에 있어 중간 부재로 연결 강형을 사용하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기둥 위에 설치된 연결 강형 사이에 정밀하게 끼우는 방식으로 가설해야 되므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또는 연결강형의 제작 길이의 오차나 벽체의 설치위치 오차 등이 발생될 경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또는 연결 강형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보정작업이 추가로 필요하다.
따라서 정밀작업이 요구되어 시공성이 불량하며, 시공오차 발생에 따른 보정작업으로 인해 공사비 및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공오차는 선반작업이 아닌 대규모 작업이고, 콘크리트와 강재의 재료 특성상 각각 건조 수축과 온도변화에 민감하므로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를 감안하여 먼저 시공된 벽체 위에 높이가 낮은 받침강형을 설치하고, 지간에 맞춰 제작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받침강형 위에 얹는 단순거치방식으로 가설하는 수단은 가설이 편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둥과 받침강형 사이의 이종 연결부는 시공이음부로서 콜드조인트가 발생되고, 바로 인접하여 커플러를 사용하는 철근 이음부가 있으며, 구속되지 않은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받침부가 회전변위를 허용하는 패드에 얹힌 강재 연결부 등 각종 연결부가 중첩되어 있어 공용 중 우각부 벽체 외측에 균열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KR 제10-1580194호 KR 제10-1064731호 KR 제10-1204583호 KR 제10-0869568호 KR 제10-1714160호 KR 제10-1613150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철골 또는 콘크리트로 된 기둥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이 개구된 중공부를 가진 연결강형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에 이음판을 맞대어 강결하며,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에 콘크리트 충전공간부가 형성되어 연결강형의 중공부와 콘크리트 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으로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고 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기초 위에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 이음단면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를 가진 연결강형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수평부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 연결단면은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를 가진 연결단부와, 상기 연결강형의 선단 이음단면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의 선단 연결단면을 서로 대응되게 연결하고 연결부분 외측면에 이음판을 맞댄 다음 이음판을 관통하여 볼트체결하는 수단으로 강결하며, 상기 연결단부의 콘크리트 충전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강형의 중공부에 채워져서 일체로 콘크리트 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은 전방 및 후방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H빔 단면을 갖는 철골 기둥으로 구비되고, 상측부에 수평으로 돌출된 연결강형을 부착하되 연결강형이 부착되는 위치에 있는 철골 기둥의 전,후방 플랜지 단부에 수직으로 강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은 수직으로 복수개의 철근이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 콘크리트 기둥으로 구비되고, 상측부에 배근되는 철근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벽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외향 절곡되어 확대된 철근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철근확장부에 하향 개구되고 함체로 이루어진 강판의 내측이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로 합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강형의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은 폐합단면이 형성되고 외측은 개구된 선단 이음단면이 형성되며, 연결강형의 선단 이음단면과 인접한 외측벽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볼트로 이음판을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는 사각관체로 된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가 구성되어 상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충전구멍을 통해 콘크리트 충전부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충전부의 일측은 폐합 단면으로 된 결합단면이 형성되어 수평부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의 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부착하고, 콘크리트 충전부에 위치하는 결합단면 중앙에 수평부의 웨브와 대응하는 수직지지대가 부착되고, 수직지지대에 스터드볼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충전부의 타측은 개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연결강형의 선단 이음단면에 맞닿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 연결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부의 선단 연결단면과 인접한 외측벽면에는 연결강형의 관통구멍과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이음판을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측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 이음단면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를 가진 연결강형이 구비된 기둥을 준비하는 단계와;
수평부의 양측에 연결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 연결단면은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를 가진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시공현장에 운반한 다음 기둥을 양측 지점에 각각 직립시킨 상태로 양측 연결강형이 서로 마주보게 한 다음 연결강형의 선단 이음단면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의 선단 연결단면을 서로 대응되게 연결하고 연결부분 외측면에 이음판을 맞댄 다음 이음판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하는 수단으로 강결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연결강형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슬래브 시공을 하되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충전구멍을 통해 콘크리트 충전부에 콘크리트 타설을 동시에 진행하여 콘크리트 충전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선단 결합단면의 개구부분을 통해 연결강형의 중공부로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일체로 합성이 됨과 아울러 슬래브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철골 또는 콘크리트로 된 기둥의 연결강형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를 강결하는 수단으로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고, 기둥의 연결강형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의 연결부분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체로 합성된 구성이므로 단면강성과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각부 보강기능으로 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골로 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골로 된 기둥에 구비되는 강판 및 연결강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수평단부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단부 및 연결단부의 일측 결합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골로 된 기둥의 연결강형에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를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골로 된 기둥의 연결강형에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단부가 이음판으로 강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철골로 된 기둥의 연결강형에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가 연결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철골로 된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가 연결된 상태에서 슬래브 시공이 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로 된 기둥의 상측에 연결강형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로 된 기둥의 상측부에 적용되는 함체로 이루어진 강판 및 연결강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로 된 기둥을 구성하기 위해 철근이 배치되고 철근확장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로 된 기둥의 제작시에 강판으로 된 함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상,하측을 뒤집어서 몰드 성형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초 위에 설치되는 기둥(100)과, 상기 기둥(100)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 이음단면(132)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134)를 가진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수평부(210)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 연결단면(226)은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230)를 가진 연결단부(220)와, 상기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220)의 선단 연결단면(226)을 서로 대응되게 연결하고 연결부분 외측면에 이음판(140)을 맞댄 다음 이음판(140)을 관통하여 볼트(142) 체결하는 수단으로 강결되게 하며, 상기 연결단부(220)의 콘크리트 충전부(230)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개구된 연결강형(130)의 중공부(134)에 채워져서 일체로 콘크리트 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둥(100)은 철골 기둥(110) 또는 콘크리트 기둥(120)으로 이루어지되 이러한 기둥(10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기둥(10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를 연결하여 구조물을 시공한다.
상기 철골 기둥(110)은 전방 및 후방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H빔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고, 상측부에 수평으로 돌출된 연결강형(130)을 부착하되 연결강형(130)이 부착되는 위치에 있는 철골 기둥(110)의 전,후방 플랜지 단부에 수직으로 강판(112)이 구비되어 철골 기둥(110)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작용하는 모멘트 저항을 갖도록 한다.
상기에서 철골 기둥(110)의 전방 및 후방 플랜지의 단부에 구비되는 강판(112)은 도면에서와 같이 먼저 철골 기둥(110)에 박스형으로 된 강판(112)을 먼저 일체로 부착한 다음 별도로 연결강형(130)을 부착하는 과정으로 연결강형(13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강판(112)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로서 연결강형(130)이 철골 기둥(110)의 웨브에 접촉될 수 있는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한 다음 그 연결강형(130)의 연장부분 내측에 강판(112)을 일체로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주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기둥(120)은 수직으로 복수개의 철근(124)이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되 콘크리트 기둥(120)의 상측부에 배근되는 철근(124)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벽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외향 절곡되어 확대된 철근확장부(126)를 구비하고 이러한 철근확장부(126)에 하향 개구되고 함체로 이루어진 강판(132)의 내측이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둥(120)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콘크리트 기둥(120)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철근확장부(126)에 하향 개구되고 함체로 이루어진 강판(112)을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둥(120)을 제작하게 될 때에는 도 12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120)의 상,하측을 뒤집은 형태로 함체로 이루어진 강판(112)이 하부에 놓여지도록 하여 함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게 한 다음 이어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 콘크리트 기둥(120)을 완성한 다음 하부에 놓여진 함체를 상측으로 뒤집어서 도 9와 같이 직립된 기둥을 이용하여 시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근 기둥(100) 또는 콘크리트 기둥(120)은 연결강형(130)이 연결되는 부분의 기둥(100)에 수직으로 폐합단면을 형성하는 강판에 의해 기둥(100)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작용하는 모멘트 저항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강형(130)의 내부는 중공부(134)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은 폐합단면을 형성하고 외측은 개구된 선단 이음단면(132)이 형성되어 개구부분을 통해 연결강형(130)의 중공부(134)에 콘크리트가 채워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과 인접한 외측 벽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6)이 형성되어 볼트(14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와 상부 및 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H빔 단면을 갖도록 갖는 수평부(210)와, 상기 수평부(210)의 양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기둥(100)의 연결강형(13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는 사각관체로 된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230)가 구성되어 상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충전구멍(232)을 통해 콘크리트 충전부(230)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충전부(230)의 일측은 폐합 단면으로 된 결합단면(221)이 형성되어 수평부(210)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의 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부착하고, 콘크리트 충전부(230)에 위치하는 결합단면(221) 중앙에 수평부(210)의 웨브와 대응하는 수직지지대(222)가 부착되어 수직력 및 수평력에 강한 모멘트 저항을 갖도록 하고, 수직지지대(222)에 스터드볼트(223)가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로 합성되도록 한다.
또,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는 수평부(210)에 비해 상하 높이가 높게 형성하되 수평부(210)와 연결단부(220)의 단면은 상단면이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은 수평부(210)와 맞닿는 연결단부(220) 부분에 경사면(2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충전부(230)의 타측은 개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에 맞닿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 연결단면(226)이 형성되어 연결단부(220)의 콘크리트 충전부(23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개구부분을 통해 연결강형(130)의 내부에 채워져서 일체로 합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연결단부(220)의 선단 연결단면(226)과 인접한 외측벽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228)이 형성되어 이음판(140)을 관통하여 볼트(142) 결합하는 수단으로 이음판(140)에 의해 기둥(100)의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를 볼트 결합하여 이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연결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철골 기둥(110)에 구비된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철근 또는 콘크리트로 된 기둥(10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를 공장에서 각각 제작하되 상측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 이음단면(132)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134)를 가진 연결강형(130)이 구비된 기둥(100); 및 수평부(210)의 양측에 연결단부(220)가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 연결단면(226)은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230)를 가진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를 각각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기둥(10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를 시공현장에 운반한 다음 기둥(100)을 양측 지점에 각각 직립시킨 상태로 양측 연결강형(130)이 서로 마주보게 한 다음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220)의 선단 연결단면(226)을 서로 대응되게 연결하고 연결부분 외측면에 이음판(140)을 맞댄 다음 이음판(140)을 관통하여 볼트(142) 체결하는 수단으로 강결한다.
상기와 같이 기둥(100)의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슬래브 시공을 하되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에 형성된 충전구멍(232)을 통해 콘크리트 충전부(230)에 콘크리트 타설을 동시에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연결단부(220)의 콘크리트 충전부(23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선단 연결단면(226)의 개구부분을 통해 연결강형(130)의 중공부(134)로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기둥(100)의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가 일체로 콘크리트 합성이 됨과 아울러 슬래브(300)의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콘크리트 기둥(120)에 구비되는 연결강형(130) 및 연결강형(130)의 제작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기둥(120)에 구비된 연결강형(130)을 이용하여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와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철골 기둥(110)을 이용하여 연결 및 시공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철골 또는 콘크리트로 된 기둥(100)의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를 강결하는 수단으로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고, 기둥(100)의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의 연결부분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체로 합성된 구성이므로 단면강성과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각부 보강기능으로 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기둥 110 : 철골 기둥
112 : 강판 120 : 콘크리트 기둥
122 : 강판 124 : 철근
126 : 철근확장부 130 : 연결강형
132 : 이음단면 134 : 중공부
136 : 관통구멍 140 : 이음판
142 : 볼트 200 :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210 : 수평부 220 : 연결단부
221 : 결합단면 222 : 수직지지대
223 : 스터드볼트 224 : 경사면
226 : 연결단면 228 : 관통구멍
230 : 콘크리트 충전부 232 : 충전구멍
300 : 슬래브

Claims (8)

  1. 기초 위에 설치되는 기둥(100)과,
    상기 기둥(100)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선단 이음단면(132)은 개구되어 있는 중공부(134)를 가진 연결강형(130)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수평부(210)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 연결단면(226)은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230)를 가진 연결단부(220)와,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충전부(230)의 일측은 폐합 단면으로 된 결합단면(221)이 형성되어 수평부(210)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의 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부착하며, 콘크리트 충전부(230)에 위치하는 결합단면(221) 중앙에 수평부(210)의 웨브와 대응하는 수직지지대(222)가 부착되고, 수직지지대(222)에 스터드볼트(2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220)의 선단 연결단면(226)을 서로 대응되게 연결하고 연결부분 외측면에 이음판(140)을 맞댄 다음 이음판(140)을 관통하여 볼트(142) 체결하는 수단으로 강결하며,
    상기 연결단부(220)의 콘크리트 충전부(230)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강형(130)의 중공부(134)에 채워져서 일체로 콘크리트 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0)은 전방 및 후방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H빔 단면을 갖는 철골 기둥(110)으로 구비되고, 상측부에 수평으로 돌출된 연결강형(130)을 부착하되 연결강형(130)이 부착되는 위치에 있는 철골 기둥(110)의 전,후방 플랜지 단부에 수직으로 강판(1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0)은 수직으로 복수개의 철근(124)이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기둥(120)으로 구비되고, 상측부에 배근되는 철근(124)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벽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외향 절곡되어 확대된 철근확장부(126)를 구비하고 상기 철근확장부(126)에 하향 개구되고 함체로 이루어진 강판(112)의 내측이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로 합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강형(130)의 내부는 중공부(134)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은 폐합단면이 형성되고 외측은 개구된 선단 이음단면(132)이 형성되며,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과 인접한 외측벽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6)이 형성되어 볼트(142)로 이음판(140)을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는 사각관체로 된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부(230)가 구성되어 상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충전구멍(232)을 통해 콘크리트 충전부(230)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200)의 연결단부(220)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 충전부(230)의 타측은 개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연결강형(130)의 선단 이음단면(132)에 맞닿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 연결단면(22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부(220)의 선단 연결단면(226)과 인접한 외측벽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228)이 형성되어 이음판(140)을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8. 삭제
KR1020180017427A 2018-02-13 2018-02-13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KR10187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27A KR101877857B1 (ko) 2018-02-13 2018-02-13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27A KR101877857B1 (ko) 2018-02-13 2018-02-13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57B1 true KR101877857B1 (ko) 2018-07-12

Family

ID=6291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27A KR101877857B1 (ko) 2018-02-13 2018-02-13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145A (ko) * 2009-07-09 2011-01-17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459036B1 (ko) * 2013-05-07 2014-11-07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층고저감형 단부보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수평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626010B1 (ko) * 2015-11-03 2016-05-31 (주)나엘에스피 합성보의 접합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145A (ko) * 2009-07-09 2011-01-17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459036B1 (ko) * 2013-05-07 2014-11-07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층고저감형 단부보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수평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626010B1 (ko) * 2015-11-03 2016-05-31 (주)나엘에스피 합성보의 접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847A (en) Junction structure between steel member and structural member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713862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2151174B1 (ko)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0741248B1 (ko)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KR20190027230A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JP5217428B2 (ja) 橋梁の柱頭部または桁端部の複合中空構造
JP2000170285A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壁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部構造
KR20090105512A (ko) 철판거푸집과 보의 연결구조
CN210117927U (zh) 一种用于混凝土梁加大截面的组合式钢模架
KR101877857B1 (ko) 기둥과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연결구조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CN112663788A (zh) 一种装配式快速施工方法
KR102158021B1 (ko) 사각단면 강재 기둥과 합성거더의 접합 구조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CN219587229U (zh) 混凝土结构定型用组合模板
JP2003041516A (ja) 連続桁橋の上下部一体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617482A (ja) 建築用鋼板製永久型枠
JPH0327583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続構造
CN214786002U (zh) 一种可拆卸的预制外墙板加固装置
JP2748008B2 (ja) 建築物の梁の施工方法
KR102485294B1 (ko) 모듈러 유닛
JP7400270B2 (ja) 柱の接合構造及び柱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