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174B1 -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174B1
KR102151174B1 KR1020170114039A KR20170114039A KR102151174B1 KR 102151174 B1 KR102151174 B1 KR 102151174B1 KR 1020170114039 A KR1020170114039 A KR 1020170114039A KR 20170114039 A KR20170114039 A KR 20170114039A KR 102151174 B1 KR102151174 B1 KR 10215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pillar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232A (ko
Inventor
신명규
이재호
김도학
박종헌
김군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유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유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1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기둥(1) 및 기초(2)를 포함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에 매립된 기둥 매립철근(100); 상기 기초(2)에 일부가 매립됨과 아울러 상단부(210)가 노출된 기초 매립철근(200); 및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과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을 일체화 시키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기둥(1)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21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Joint for Precast Columns and Founda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생산된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에 연결함에 있어서,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PC(Precast Concrete)공법은 미리 건축물의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등의 부재를 별도의 장소에서 생산한 후 건축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공법으로, 콘크리트 작업이 용이하고 외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장소에서 생산할 수 있어 양질의 부재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기계화 작업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PC공법은 각 부재들을 견고하게 연결 접합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워 접합이음부에 대한 기술적인 처리가 요구되며, 특히 PC 기둥 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을 연결 시공하는 경우 이를 연결, 접합시키기 위한 적절한 기술이 필요한데, 종래 PC 기둥 구조물과 보 구조물의 연결접합은 대체로 수직으로 제작되는 PC기둥구조물의 외측면 상부에 철근들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매립설치하고 수평으로 제작되는 PC 보 구조물의 좌우양측에 철근들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매립설치한 다음 PC기둥구조물의 상부에 PC 보 구조물의 일 측면이 근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PC기둥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의 철근들을 서로 용접하거나 통상의 커플러로 연결 고정하고 그 연결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PC 기둥 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이 서로 연결 접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시공은 PC 기둥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의 내부에 매설되는 철근의 배근위치가 서로 정확히 일치되어야만 PC 기둥 구조물과 PC 보 구조물의 연결될 수 있어 철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어긋나는 경우 PC기둥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PC 보 구조물의 수평이 맞지 않아 건축물이 큰 하자가 발생될 뿐 아니라 위치가 틀어진 철근을 임의로 절곡시켜 서로 연결하는 경우 연결접합부분의 내구성 및 강도가 저하되고 PC기둥구조물과 PC보구조물간의 접합부위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부착되지 않아 여름철 및 겨울철 기온변화에 따른 결로현상과 틈새에 스며든 물기의 동결에 따른 수축, 팽창 등으로 각종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PC기둥구조물과 보구조물의 연결시공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098693호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보가 접합되는 보-기둥 접합부를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로서, 양단에 판 부재로 이루어진 단부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보강 철근이 보의 배치 방향으로 보-기둥 접합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단부판이 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매립 배치하여 접합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지진하중 작용시 상기 단부판의 외측 위치에서 보에 소성힌지가 생성되도록 하여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의 연성을 향상시키고 보-기둥 접합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진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보강 철근에 의해 그 접합부가 보강되도록 되어 있어 접합부의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하고 시공시 기둥의 상단부 위에 보의 일측끝단을 올려놓은 상태로 시공되어 콘크리트타설 부분이 증대되어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프리캐스트 기둥을 기초에 연결함에 있어서, 기둥 내부에 매립된 기둥철근과 기초 내부에 매립된 기초철근이 일체화 되지 않아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저하되고 시공시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하고 공사를 진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기둥에 매립된 기둥철근과 기초에 매립된 기초철근을 일체화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시공 과정에 있어 별도의 지지구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자립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시공 과정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고, 기초에 대한 기둥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식 커플러의 사용에 있어 충진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기둥의 자립을 위한 강도 발현을 조기에 가능토록 하는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기둥(1) 및 기초(2)를 포함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에 매립된 기둥 매립철근(100); 상기 기초(2)에 일부가 매립됨과 아울러 상단부(210)가 노출된 기초 매립철근(200); 및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과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을 일체화 시키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기둥(1)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21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인입공간(31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며, 일단은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인입공간(310)으로 노출된 충전식 커플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일단에는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이 결합되는 철근 결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타단에는 상기 상단부(210)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공간(4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는,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충진재를 주입하는 주입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는, 상기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제1 관통홀(410)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210)가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을 폐쇄하는 마감캡(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내면에는 상기 주입구(430)를 통해 주입된 상기 충진재와의 일체화를 위한 전단키(4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공간(310)을 형성하는 단부부재(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부부재(320)는, 기 기둥(1)의 하단면(a)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하부 플레이트(32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와 결합된 측면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에는 상기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3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상단부(210)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관통홀(32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높이 조절 너트(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상단부(210)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마감캡(440)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너트(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210)는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과 연결되며, 상기 기초(2)의 상면으로 노출된 노출부(211); 일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철근(212); 및 상기 연결철근(212)의 일단과 상기 노출부(211)를 결합시키는 커플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1)은 각형이며, 상기 단부부재(320)는 상기 기둥(1)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310)에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의 노출부(211)가 인입되도록 상기 기둥(1)을 상기 기초(2) 상부에 거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높이 조절 너트(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기둥(1)의 레벨을 맞추는 제2 단계(S200); 상기 커플러(213)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철근(212)의 일단과 상기 노출부(211)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212)의 타단을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에 삽입시키는 제3 단계(S300); 상기 주입구(430)를 통해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상기 충진재를 주입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연결부(300)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을 상기 마감캡(440)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상기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기둥에 매립된 기둥철근과 기초에 매립된 기초철근을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기초의 연결시공 과정에 있어 별도의 지지구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자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시공 과정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고, 기초에 대한 기둥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식 커플러의 사용에 있어 충진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기둥의 자립을 위한 강도 발현이 조기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단부부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단부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충전식 커플러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캡이 포함된 충전식 커플러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분해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공법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 사례 중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실시예의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기둥(1) 및 기초(2)를 포함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결구조는 기둥(1)과 기초(2)에 매립된 철근을 일체화시키지 못하여,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저하되고 시공시 별도의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기둥의 기립을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특유의 연결부(300)의 구조를 이용하여 해결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는 기둥(1)에 매립된 기둥 매립철근(100), 기초(2)에 일부가 매립됨과 아울러 상단부(210)가 노출된 기초 매립철근(200) 및 기둥 매립철근(100)과 기초 매립철근(200)을 일체화 시키는 연결부(300)를 포함한다(도 1, 도 3).
이 경우 연결부(300)는 기둥(1) 단부에 형성되되 상단부(21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10)을 포함한다.
인입공간(310)에서는 기둥 매립철근(100)과 기초 매립 철근(200)의 일체화를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는 곳으로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시공의 편의를 위해 노출구조를 취한다.
즉, 인입공간(31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도 1).
또한, 인입공간(310)의 하부에서는 기초 매립철근(200)의 상단부(210)가 인입되며, 인입공간(310)의 상부에는 일단이 기둥 매립철근(100)과 결합된 충전식 커플러(400)의 철근 삽입공간(420)이 노출된다(도 3).
기초 매립철근(200)의 상단부(210)가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삽입되면,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콘크리트와 같은 충전재를 충진한다. 이 경우 기둥 매립철근(100)과 기초 매립철근(200)을 일체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시공을 수행함에 있어 각 구성의 매립철근이 연결되어 일체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거푸집 설치 및 현장타설 등과 같은 후속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별도의 강재 보강구조를 형성하지 아니하고도 기둥(1)을 자립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물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충전식 커플러(400)는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충진재를 주입하는 주입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철근 삽입공간(420)에 충진재가 완충된 경우 내부의 충진재를 배출하는 배출구(4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커플러(400)의 내면에는 주입구(430)를 통해 주입된 충진재와의 일체력을 높이기 위한 전단키(4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식 커플러(400)는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제1 관통홀(410)이 형성되며, 상단부(210)가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철근 삽입공간(420)을 폐쇄하는 마감캡(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이 경우 충진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유동성이 높은 충진재의 사용을 가능토록 할 뿐만 아니라, 평탄화 작업이 끝난 기초(2) 상부면을 보호하는 별도의 캡핑 작업을 수행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감캡(440)의 지지를 위해 연결부(300)는 상단부(210)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마감캡(440)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너트(34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지지너트(340)의 경우 마감캡(440)이 생략된 상태에서도 상단부(210)와를 연결부(300)에 고정시킴으로써 기둥 부재가 자립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르면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마감캡 관통홀(4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캡 관통홀(441)의 직경은 상단부(21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현장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 경우 실시예 1과 달리 상단부(210)가 마감캡(440)에 의해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상단부(210)를 마감캡(440)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너트(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감캡(440)을 중심으로 내부너트(350)와 지지너트(340)가 설치됨으로서 상단부(210)가 마감캡(4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는 내부너트(350) 및 지지너트(34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와셔(341, 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르면 충전식 커플러(400)가 기초(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철근 삽입공간(420)에는 기둥 매립철근(100)의 단부(110)가 삽입되고, 철근 결합부(410)에는 기초(2)에 매립된 기초 매립철근(200)이 결합된다.
이외의 결합구조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의 상술된 인입공간(310)은 기둥(1)의 하단부를 블록아웃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작업 품질을 보장하고 추가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에서의 인입공간(310)은 단부부재(320)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부부재(320)는 기둥(1)의 하단면(a)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하부 플레이트(321) 및 하부 플레이트(321)와 결합된 측면 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도 4, 도 5).
이 경우 기둥(1)의 하단면(a)과 하부 플레이트 (321) 사이 공간에 외부로 개방된 형태의 인입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321)에는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의 하부에는 상단부(210)에 삽입 결합된 높이 조절 너트(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조절 너트(330)의 직경은 제2 관통홀(323)의 직경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너트(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기둥(1)의 수직도를 보정할 수 있다.
즉, 기둥(1)이 각형으로 형성된 경우 모서리에 단부부재(320)를 형성하고, 단부부재(320)에 하부에 위치된 높이 조절 너트(330)의 위치를 상부 또는 하부로 조절함으로써, 기둥(1)의 모서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기둥(1)이 갖는 현장에서의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상단부(210)는 기초 매립철근(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210)는 기초 매립철근(200)과 연결되며 기초(2)의 상면으로 노출된 노출부(211), 일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철근(212) 및 연결철근(212)의 일단과 노출부(211)를 결합시키는 커플러(213)를 그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1)을 기초(2)의 상부에 거치시킨 후 연결철근(212)과 커플러(213)를 이용하여 기초 매립철근(200)과 기둥 매립철근(100)를 일체화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연결부(300)의 인입공간(310)에 기초 매립철근(200)의 노출부(211)가 인입되도록 기둥(1)을 기초(2) 상부에 거치하는 제1 단계(S100), 높이 조절 너트(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기둥(1)의 레벨을 맞추는 제2 단계(S200), 커플러(213)를 이용하여 연결철근(212)의 일단과 노출부(211)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연결철근(212)의 타단을 충전식 커플러(400)의 철근 삽입공간(420)에 삽입시키는 제3 단계(S300), 주입구(430)를 통해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충진재를 주입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연결부(300)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단계(S400)는, 철근 삽입공간(420)을 마감캡(440)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단계 및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기둥
2 : 기초
100 : 기둥 매립철근
200 : 기초 매립철근
300 : 연결부
400 : 충전식 커플러

Claims (13)

  1. 프리캐스트 기둥(1) 및 기초(2)를 포함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에 매립된 기둥 매립철근(100);
    상기 기초(2)에 일부가 매립됨과 아울러 상단부(210)가 노출된 기초 매립철근(200); 및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과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을 일체화 시키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기둥(1)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21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10); 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공간(31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며,
    일단은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인입공간(310)으로 노출된 충전식 커플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일단에는 상기 기둥 매립철근(100)이 결합되는 철근 결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타단에는 상기 상단부(210)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공간(420)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공간(310)을 형성하는 단부부재(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부부재(320)는,
    상기 기둥(1)의 하단면(a)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하부 플레이트(32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와 결합된 측면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에는 상기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3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는,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충진재를 주입하는 주입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는,
    상기 상단부(210)가 통과되는 제1 관통홀(410)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210)가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을 폐쇄하는 마감캡(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내면에는 상기 주입구(430)를 통해 주입된 상기 충진재와의 일체화를 위한 전단키(4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상단부(210)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플레이트(32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관통홀(32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높이 조절 너트(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상단부(210)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마감캡(440)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너트(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210)는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과 연결되며, 상기 기초(2)의 상면으로 노출된 노출부(211);
    일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철근(212); 및
    상기 연결철근(212)의 일단과 상기 노출부(211)를 결합시키는 커플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은 각형이며,
    상기 단부부재(320)는 상기 기둥(1)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12. 제10항의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310)에 상기 기초 매립철근(200)의 노출부(211)가 인입되도록 상기 기둥(1)을 상기 기초(2) 상부에 거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높이 조절 너트(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기둥(1)의 레벨을 맞추는 제2 단계(S200);
    상기 커플러(213)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철근(212)의 일단과 상기 노출부(211)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철근(212)의 타단을 상기 충전식 커플러(400)의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에 삽입시키는 제3 단계(S300);
    상기 주입구(430)를 통해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상기 충진재를 주입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연결부(300)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을 상기 마감캡(440)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 삽입공간(420)으로 상기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KR1020170114039A 2017-09-06 2017-09-06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KR10215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039A KR102151174B1 (ko) 2017-09-06 2017-09-06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039A KR102151174B1 (ko) 2017-09-06 2017-09-06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32A KR20190027232A (ko) 2019-03-14
KR102151174B1 true KR102151174B1 (ko) 2020-09-02

Family

ID=6575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039A KR102151174B1 (ko) 2017-09-06 2017-09-06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12A (ko) * 2020-10-23 2022-05-02 현대건설주식회사 세그먼트 플러그인 방식의 기둥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기둥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206A1 (ko) * 2018-12-21 2020-06-2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KR102055090B1 (ko) * 2019-05-07 2019-12-11 정세학 건축물용 기둥모듈
KR102213802B1 (ko) * 2020-09-09 2021-02-05 송재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KR102574831B1 (ko) 2021-03-30 2023-09-06 송성민 복합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72Y1 (ko) * 2003-01-16 2003-05-09 박태영 개량된 소일 네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468B2 (ja) * 1992-02-25 2002-04-22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ーブ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鉛直部材の接合方法
JP3504305B2 (ja) * 1993-10-22 2004-03-08 東京鐵鋼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柱の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72Y1 (ko) * 2003-01-16 2003-05-09 박태영 개량된 소일 네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12A (ko) * 2020-10-23 2022-05-02 현대건설주식회사 세그먼트 플러그인 방식의 기둥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기둥 구조물
KR102418610B1 (ko) 2020-10-23 2022-07-06 현대건설주식회사 세그먼트 플러그인 방식의 기둥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기둥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32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174B1 (ko)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WO2018219024A1 (zh) 一种外包钢板的装配式混凝土柱脚节点及其施工方法
KR101131679B1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020865B1 (ko) 증가된 시공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기둥과 보의 건식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71273B1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들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545936B1 (ko)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US10688685B2 (en) Formwork for providing a concrete foundation plinth with expose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plinth provided with such formwork, and structure comprising such plinth
KR101720473B1 (ko) 내진성능이 개선된 Partial-PC 벽체를 이용한 지하 PC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1339946B1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KR101770381B1 (ko) 슬리브이음을 위한 모르타르 주입 방법
JP2543667B2 (ja) 雨水貯溜槽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JP6225479B2 (ja) 貯蔵タンクの施工方法
KR102130000B1 (ko) 2개층 동시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하측 pc기둥 간 공간보강 구조를 갖는 pc 구조물 시공 방법
JP496682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
KR102570449B1 (ko) 스마트 중간연결체를 이용한 조립식 pc기둥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0130206A1 (ko)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ITVR20100206A1 (it) Struttura di fondazione particolarmente per edifici prefabbricati
JP2017014713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JPH0754396A (ja) 柱・梁の接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