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730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730B1
KR102491730B1 KR1020170180346A KR20170180346A KR102491730B1 KR 102491730 B1 KR102491730 B1 KR 102491730B1 KR 1020170180346 A KR1020170180346 A KR 1020170180346A KR 20170180346 A KR20170180346 A KR 20170180346A KR 102491730 B1 KR102491730 B1 KR 102491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unit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091A (ko
Inventor
안대윤
장동선
우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K2370/11
    • B60K237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Psychological state; Stress level or work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손과 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음악을 재생하고,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장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 위험한 상황에 대응하여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검출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동부, 경보부,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길 안내 기능(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촬영 기능(블랙박스 기능) 외부의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또한 차량은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컨텐츠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통화 기능, 및 위치 검색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은 주행의 안전성을 위해 운전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주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예로, 차량을 이용하여 도심을 운전할 경우에는 도심의 운전 패턴이 다양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졸음운전의 우려가 크지 않으나, 고속도로나 국도와 같이, 단조로운 구간을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집중력을 상실하면서 졸음 운전을 하기 쉽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생체정보들을 측정 및 분석하여, 운전자가 졸음에 빠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빠지려고 할 경우, 이를 경고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전자 상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신체에 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 측면은 사용자의 손과 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제동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경보부,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에 표출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의 변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의 행동은 사용자의 손, 발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포함하고, 차량의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의 가격, 흔들림, 파지, 두드림 및 접촉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콘솔의 두드림, 암 레스트의 두드림과 가격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헤드 레스트의 파지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타이어의 가격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스마트 키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한 타이어 가격으로 판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브레이크의 민감도가 조절되도록 제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내장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 밝기 및 조명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위험한 상황에 대응하여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경보부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된 경보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악을 재생하고,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판단된 감성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을 검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재생 중인 음악을 검색된 음악으로 변경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손, 발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음악을 재생하고,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장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 위험한 상황에 대응하여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검출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동부, 경보부,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감정 상태는,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긴장한 상태,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 스티어링 휠의 보스의 사용자의 얼굴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콘솔과 암레스트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검출하는 음파 검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헤드 레스트의 측면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외력에 의한 타이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스마트 키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한 타이어 가격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표출된 사용자의 사용자의 손, 발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검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감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내비게이션 모드의 수행 중이면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새로운 경로를 출력하고, 음악 재생 중이면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 장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음악 장르에 대응하는 음악을 재생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획득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의 조명 밝기, 조명 색상을 조절하고, 획득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긴장한 상태,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이면 경보부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고, 경보부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경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스티어링 휠의 림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압력의 크기, 압력의 인가 시간, 압력의 인가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긴장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의 보스의 사용자의 머리 접촉을 검출하고, 스티어링 휠의 림의 파지와 머리 접촉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한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콘솔과 암레스트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파의 주파수와 음파의 음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긴장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헤드 레스트의 측면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타이어의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압력이 상승한 후 감소하였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감정 상태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경로 변경, 음악 재생, 조명 변경, 보조 기능의 활성화 등 운전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빠르게 안정화시킬 수 있고 차량의 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추정하기 때문에 차량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장에서 노출된 장치나 센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를 심플하게 디자인할 수 있고, 노출된 장치나 센서에 의한 차량 내부 디자인의 설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시트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검출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콘솔과 암레스트에 마련된 검출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6에 도시된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의 주파수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에서 검출된 압력 예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시트의 예시도다.
차량(100)은 외장(110)과 내장(120)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차량의 정면과 후면에 고정 설치된 창문(116)을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117)와,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랑(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8)를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GPS 위성, 방송국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차량과의 통신(V2V) 및 인프라와의 통신(V2I) 등의 무선 차량 네트워크(V2X: Vehicle to everything)를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119)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유닛(125)과,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시동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버튼과,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외부 장치인 저장 장치 및 단말기가 연결되는 멀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21)는 차량 내부의 공간에 탑승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앉을 수 있도록 만든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시트는 배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가 닿는 패드부(121a)와,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는 지지부(121b)와, 지지부(121b)의 상측에 마련되고 사고 발생 시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막아주면서 베개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 레스트(head rest, 121c)와, 지지부(121b)와 헤드 레스트(121c) 사이에 마련되고 헤드 레스트(121c)의 높이를 조절하는 폴대(121d)를 포함한다. 여기서 폴대(121d)는 두 개일 수 있다.
시트는 측면에 마련된 레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레버를 당기고 밀거나, 뒤로 젖힘으로써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조작 위치를 입력받는 변속 레버와, 변속 레버의 주변 또는 헤드 유닛(125)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차량의 구현 예에 따라 차량에는 주차 버튼이 아닌 사이드 브레이크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마련된 콘솔(1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솔(126)에는 변속 레버와 사이드 브레이크(또는 주차 버튼)가 마련될 수 있고, 컵과 같은 물건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은 콘솔(126)과 인접하게 마련되고, 운전자나 동승자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암 레스트(arm rest, 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레스트(127)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 내부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 팔을 올려 놓도록 한 부분이다.
차랑(100)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헤드 유닛(125) 및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차랑(100)은 헤드 유닛(125)에 마련되고,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 컨텐츠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대시 보드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표시부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디스플레이 패널만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현된 경우,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차체(110, 120)를 지지하는 틀로,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복수 개의 차륜(141)과, 복수 개의 차륜(141)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부, 조향부, 전후좌우의 차륜(141)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부 및 차량의 서스펜션을 조절하기 위한 현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륜(141)은 회전을 수행하여 차량이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휠(141a)과 타이어(141b)를 각각 포함한다.
휠(141a)은 타이어(141b)와 함께 차량의 전체 중량을 분담하여 차량을 지지하고 구동 및 제동 시의 토크,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선회할 때의 원심력과 차량이 기울었을 때 발생하는 옆 방향의 힘 등을 견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휠(141a)에는 차륜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휠 속도 검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타이어(141b)는 휠(141a)에 끼워져 휠(141a)과 일체로 회전하고, 주행 중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고, 제동, 구동 및 선회할 때에 노면과의 슬립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타이어(141b)는 제조 회사 및 모델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이는 제조 회사 및 모델에 따라 크기, 중량, 트레드(Tread) 패턴, 트레드 고무, 사이드월(Sidewall), 비드(Bead)부 등의 고무와 스틸(Steel) 및 패브릭(Fabric)의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타이어(11b)에는 내부의 공기압을 검출하기 위한 공기압 검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부의 스티어링 휠(142)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43)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44)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스티어링 휠(142)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스티어링 휠(142)은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2a)과, 차량(100)의 차대와 연결되고 림(142a)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즉, 조향 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사운드 출력부(133), 검출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61), 통신부(170), 제동부(180) 및 조명부(19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보를 입력받고, 차량에서 수행 중인 모드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입력부(131)와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1)는 내비게이션 모드 및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31)는 맵 표시 모드,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방송 모드, 전화 통화 모드 등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고, 각 모드의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동작 제어 정보는, 채널, 음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는, 헤드 유닛(125)에 마련된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된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2)는 내비게이션 모드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는 내비게이션 모드가 수행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일정 범위 내의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가 매치된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는 맵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일정 범위 내의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32)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3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32)는 헤드 유닛에 마련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클러스터에 마련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수행 중인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행 중인 기능은 라디오 기능, 컨텐츠 재생 및 음악 재생에 대응하는 오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 출력부(133)는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증폭된 저주파의 음성 신호를 오리지널의 음파로 변환시키고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사운드로 출력한다.
검출부(150)는 사용자인 운전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표출되는 사용자의 손과 발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즉 검출부(150)는 사용자의 손과 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감정 상태는,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긴장한 상태,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정 정보는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및 짜증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와,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와, 긴장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와,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및 짜증난 상태에 대한 사람의 표출 방법이 유사하고,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에 대한 사람의 표출 방법이 유사하며,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에 대한 사람의 표출 방법이 유사하다.
즉,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및 짜증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지루한 상태와 피곤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및 짜증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격할 때에 발생하는 가격 정보와, 손을 이용하여 물체를 흔들 때에 발생하는 흔들림(또는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머리를 물체에 댔을 때 발생하는 접촉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손을 이용하여 물체를 강하게 파지할 때 발생하는 파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긴장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물체를 두드릴 때 발생하는 두드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는 손을 이용하여 물체를 강하게 파지할 대 발생하는 파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이 표출되는 물체는,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것들로서, 스티어링 휠(142), 콘솔(126), 암 레스트(127), 시트의 헤드 레스트(121c), 차륜의 타이어(141b) 등이 있을 수 있다.
검출부(150)는 스티어링 휠(142)에 표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151), 콘솔(126)에 표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152), 암레스트(127)에 표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제3검출부(153), 시트의 헤드 레스트(121c)에 표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제4검출부(154), 차륜의 타이어(141b)에 표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제5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차량에 5개의 검출부가 모드 마련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검출부(151)는 스티어링 휠의 림을 가격하였을 때 스티어링 휠의 림에 인가된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한 압력과, 스티어링 휠의 림을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과, 스티어링 휠의 림을 파지하고 흔들었을 때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와, 스티어링 휠에 사용자의 머리를 접촉하였을 때 머리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검출부는 정전용량 방식 등과 같은 터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물체(즉, 사용자의 머리)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42)은 스티어링 휠의 외곽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원형의 림(142a)과, 림(142a)의 중앙에 배치된 보스(142b)와, 림과 보스를 연결하는 스파이더(142c)를 포함한다.
제1검출부(151)는 스티어링 휠의 림(142a)에 마련된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142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검출부(151)는 스티어링 휠의 보스(142b)에 마련된 접촉 검출부(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검출부(151b)는 스티어링 휠의 보스(142b)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검출부(151)는 스티어링 휠을 두드리는 것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검출하기 위한 음파 검출부와, 스티어링 휠의 림을 흔들었을 때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파 검출부와 진동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142a) 또는 스티어링 휠의 보스(142b)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음파 검출부의 개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진동 검출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음파 검출부는 마이크로 폰일 수 있고, 진동 검출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검출부(152)는 콘솔(126)을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콘솔(126)의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검출하는 음파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검출부(152)는 콘솔(126)을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콘솔(126)에 인가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검출부(152)는 콘솔(126)을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콘솔(126)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검출부(152)는 음파 검출부, 압력 검출부 및 접촉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검출부(153)는 암 레스트(127)를 가격하였을 때 암 레스트(127)에 인가된 사용자의 손의 힘에 발생된 음파와, 암 레스트(127)를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암 레스트(127)의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검출하는 음파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검출부(153)는 암 레스트(127)를 가격하였을 때 암 레스트(127)에 인가된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한 압력과, 암 레스트(127)를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암 레스트(127)에 인가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검출부(153)는 암 레스트(127)를 손가락으로 두드렸을 때 암 레스트 (127)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검출부(153)는 음파 검출부, 압력 검출부 및 접촉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검출부(152)와 제3검출부(153)가 음파 검출부로 구현되는 경우, 제2검출부(152)와 제3검출부(153)는 하나의 음파 검출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파 검출부(152a)는 콘솔(126)과 암레스트(127) 사이에 배치되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음파 검출부(152a)는 콘솔(126)의 두드림에 의한 음파, 암 레스트(127)의 두드림에 의한 음파, 암 레스트(127)의 가격에 의한 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음파 검출부(152a)는 콘솔(126)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암레스트(127)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음파 검출부(152a)는 스티어링 휠의 가격,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검출부(154)는 헤드 레스트(121c)의 사이드 측에 마련되고 헤드 레스트(121c)를 파지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검출부(154)는 헤드 레스트(121c)의 사이드 측에 마련되고 헤드 레스트(121c)를 접촉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검출부(155)는 타이어(141b)를 발로 가격하였을 때 타이어(141b)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5검출부의 압력 검출부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압력 검출부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모드의 온 명령이 수신되고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지도 정보에 생성된 경로 정보를 매칭시키며 매칭된 지도 정보와 경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길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경로 정보 생성 시 복수 개의 경로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경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지도 정보, 경로 정보, 길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정보는 도로명, 도로 번호, 도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음악 재생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용 단말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음악 파일 또는 저장부(161)에 저장된 음악 파일 내 음악 재생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복수 개의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인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제동부(180), 조명부(190) 및 경보부(195)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검출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 제동부의 출력 정보, 조명부의 출력 정보를 변경하고,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제1, 3, 5 검출부(151, 153, 155)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 암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 여부를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 암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 짜증난 상태, 흥분한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1검출부(151)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 여부를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이 흔들렸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 짜증난 상태, 흥분한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1, 2, 3 검출부(151, 152, 153)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 콘솔 및 암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 콘솔 및 암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서 두드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긴장한 상태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1검출부(151)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이 파지되고 스티어링 휠에 사용자의 머리가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 4검출부(15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121c)가 파지되었는지 판단하고 헤드 레스트(121c)가 파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지루한 상태, 피곤한 상태라고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검출부(151)의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의 크기와, 압력의 인가 시간과, 압력의 인가 횟수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가격, 흔들림, 두드림, 파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검출부의 접촉 검출에서 검출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접촉을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1검출부(151)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가격, 두드림 여부를 판단하고, 진동 검출부에서 검출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2검출부(152)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기초하여 콘솔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하고, 제2검출부(152)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콘솔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2검출부(152)의 접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콘솔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제3검출부(153)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기초하여 암 레스트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하고, 제3검출부(153)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암레스트의 두드림 및 가격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3검출부(153)의 접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암 레스트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에 하나의 음파 검출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60)는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진동과 음량에 대응하는 음파를 확인하고, 확인된 음파의 음파 패턴을 생성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음파 패턴과 생성된 음파 패턴을 비교하여 암 레스트의 두드림 및 가격 여부와 콘솔의 두드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음파 패턴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 물체이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파수, 음량,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음파 검출부(152a)에서 검출된 음파가 제1 기준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를 가지면, 즉 검출된 음파가 저주파이고 기준 음량보다 큰 음량을 가진 음파이면 암 레스트에 가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음파 검출부(152a)에서 검출된 음파가 제2기준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를 가지면, 즉 검출된 음파가 저주파이고 기준 음량보다 작은 음량을 가지며 제1기준 시간 동안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암 레스트(127)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음파 검출부(152a)에서 검출된 음파가 제3기준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를 가지면, 즉 검출된 음파가 고주파이고 기준 음량보다 작은 음량을 가지며 제1기준 시간 동안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콘솔(126)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4검출부(154)에서 검출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의 파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운전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고 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이면 스마트 키의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제5검출부에서 검출된 복수 개의 타이어의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가격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차량은 운전자의 승하차를 검출하기 위한 탑승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검출부는 안전 벨트의 탈착을 확인하는 탈착 검출부, 시트에 인가되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마트 키의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와의 거리를 확인하며, 스마트 키와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내이면 제5검출부에서 검출된 복수 개의 타이어의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가격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복수 개의 타이어의 압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복수 개의 타이어의 압력 중 어느 하나의 타이어의 압력이 기준 타이어 압력 이상 상승하였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타이어의 압력이 하강하는지 확인하고 어느 하나의 타이어의 압력이 이전 압력으로 하강하였다고 판단되면 타이어의 가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1초 내에 10psi이상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였다고 판단되면 타이어의 가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모드의 수행 중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새로운 경로가 매칭된 내비게이션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며, 음악 재생 모드의 수행 중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 장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르의 음악의 재생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조명 밝기와 조명 색상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명 밝기와 조명 색상으로 조절되도록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상태의 경보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경보부의 동작을 온 제어한다.
저장부(161)는 스티어링 휠 및 암 레스트의 가격을 인식하기 위한 제1기준 압력을 저장하고,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과 연관된 스티어링 휠의 파지를 인식하기 위한 제2기준 압력 및 제1기준 시간을 저장하며, 스티어링 휠, 콘솔 및 암 레스트의 두드림을 인식하기 위한 제3기준 압력 및 기준 횟수를 저장하며, 스티어링 휠의 접촉과 연관된 스티어링 휠의 파지를 인식하기 위한 제4기준 압력과 스티어링 휠의 접촉 시간을 인식하기 위한 제3기준 시간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기준 압력은 제 3, 4 기준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저장부(161)는 스티어링 휠과 암 레스트의 가격을 인식하기 위한 제1기준 음파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스티어링 휠과 암레스트의 재질이 동일할 경우, 스티어링 휠의 가격을 인식하기 위한 제1기준 음파 정보와 암레스트의 가격을 인식하기 위한 제1기준 음파 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저장부(161)는 타이어의 가격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 타이어 압력을 저장한다.
저장부(161)는 스티어링 휠 및 암 레스트의 두드림 시에 발생되는 제2기준 음파 정보와, 콘솔의 두드림 시에 발생되는 제3기준 음파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과 암레스트의 재질이 동일할 경우, 스티어링 휠의 두드림 시에 발생되는 제2기준 음파 정보와 암 레스트의 두드림 시에 발생되는 제2기준 음파 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기준 음파 정보의 제1음량은 제2기준 음파 정보의 제2음량보다 크기가 크고, 제1, 2 기준 음파 정보의 제1, 2 주파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준 음파 정보의 제1 주파수는 제3기준 음파 정보의 제3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이다.
제3기준 음파 정보의 제3음량은 제2기준 음파 정보의 제2음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저장부(161)는 헤드 레스트의 파지를 인식하기 위한 제5기준 압력과 제2기준 시간을 저장한다.
저장부(161)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민감도를 저장하고 운전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 장르를 저장하며, 운전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조명 밝기와 조명 색상을 저장한다.
통신부(170)는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과,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 키(200), 서버(미도시), 사용자용 단말기(미도시), 저장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위치 수신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수신부(17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와, GPS 수신부에서 획득한 GPS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한다. 이 안테나 모듈은 차량의 외장에 마련된 안테나(119)에 마련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위치 수신부(171)는 현재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제동부(180)는 브레이크 페달(143)에 인가된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제동력을 차륜에 인가한다.
제동부(180)는 차량의 언더 스티어, 오버 스티어,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요 컨트롤 시 복수 개의 차륜에 인가되는 제동력을 각각 발생시키고, 복수 개의 차륜에 서로 다른 제동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제동부(180)는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조절한다.
브레이크의 민감도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조명부(190)는 차량 내부의 실내등, 헤드 유닛에 마련된 복수 개의 버튼 및 표시부의 조명등, 클러스터의 조명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90)는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등 및 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한다.
조명부(190)는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등 및 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보부(195)는 주행의 위험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등을 포함하고, 주행의 위험을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운드 출력부(133)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보부(195)는 자 차로의 이탈을 알리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와, 운전자가 졸음 상태임을 알리는 졸음 경보 장치, 자 차로의 좌우 차로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사각지대 경보 장치(Blind Spot Warning System: BSW, BSA 또는 BSD), 자 차로의 전후방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충돌 경보 장치(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S, Back Warning System: BWS)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키(200)는 원격 제어기로, 카드(Card) 타입의 원격 제어기, 포브(Fob) 타입의 원격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100)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키(200)는 차량(10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일 때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은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는 카메라로,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과 같은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영상 처리된 영상에서 운전자를 인식하며, 인식된 운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차량 내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 내부의 사운드는 사용자의 음성일 수 있다.
사운드 입력부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폰은 물체의 두드림, 가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검출하기 위한 음파 검출부일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일 수 있고, 하나의 마이크로 폰은 지향성일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 폰은 마이크로 폰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은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은 내비게이션 모드의 온 명령이 수신되고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지도 정보에 생성된 경로 정보를 매칭시키며 매칭된 지도 정보, 경로 정보,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차량은 경로 정보 생성 시 복수 개의 경로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경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지도 정보, 경로 정보, 길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정보는 도로명, 도로 번호, 도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음악 파일이 저장된 사용자용 단말기, 저장 매체 및 저장부(16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음악 재생 모드가 선택된 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음악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악을 재생한다. 이때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음악이 출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를 통해 재생 중인 음악의 음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정보는, 곡명, 가수명, 장르,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복수 개의 검출부(151-155)의 검출 정보를 획득(301)하고,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스티어링 휠의 가격, 두드림, 흔들림, 파지 및 머리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정보를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콘솔의 두드림을 감정 정보로 획득하고 제3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암 레스트의 가격, 두드림을 감정 정보로 획득하며, 제4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헤드 레스트의 파지를 감정 정보로 획득하고, 제5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가격을 감정 정보로 획득(302)한다.
차량은 획득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303)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제동부(180), 조명부(190) 및 경보부(195)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304)한다.
이하,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감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동작 302-303)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 중 제1 기준 압력 이상이면 스티어링 휠이 가격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가격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음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주파수 및 음량과 제1기준 음파 정보의 주파수 및 음량을 각각 비교하고,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음량이 제1기준 음파 정보의 주파수와 음량에 매칭된다고 판단되면 스티어링 휠(142)이 가격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가격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3검출부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및 음량과 제1기준 음파 정보의 주파수 및 음량을 각각 비교하고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음량이 제1기준 음파 정보의 주파수와 음량에 매칭된다고 판단되면 암 레스트(127)가 가격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암레스트의 가격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여기서 제1기준 음파 정보는 스티어링 휠(142)과 암 레스트(127)가 가격되었을 때 발생하는 제1주파수와 제1음량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제3검출부(153)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 기준 압력 이상이면 암레스트가 가격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암 레스트의 가격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통신부(170)에 수신된 스마트 키의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200)와의 통신 가능 상태를 판단하고,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제5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을 확인하고, 제5검출부의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 중 어느 하나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기준 타이어 압력 이상으로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타이어를 가격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타이어의 가격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제1, 3, 5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 암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 여부를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 암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 짜증난 상태, 흥분한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 중 제2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되는 압력 검출부의 위치를 제1기준 시간 동안 확인하고, 제1기준 시간 동안의 압력 검출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압력 검출부의 위치가 교대로 변화하였는지 판단하고, 제2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되는 압력 검출부의 위치가 교대로 변화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을 흔들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진동 검출부에서 검출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흔들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 짜증난 상태, 흥분한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3기준 압력 이상이고 제3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의 발생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스티어링 휠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와 제2기준 음파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두드림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60)는 검출된 음파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의 주파수와 음량이 제2기준 음파 정보의 제2주파수와 제2음량에 매칭되면 스티어링 휠에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2검출부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와 제3기준 음파 정보에 기초하여 콘솔의 두드림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은 검출된 음파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의 주파수와 음량이 제3기준 음파 정보의 제3주파수 및 제3음량에 매칭되면 콘솔(126)에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콘솔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2검출부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3기준 압력 이상이고 제3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의 발생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콘솔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콘솔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2검출부의 접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접촉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콘솔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콘솔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3검출부의 음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파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와 제2기준 음파 정보에 기초하여 암 레스트(127)의 두드림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은 검출된 음파에 대응하는 음파 정보의 주파수와 음량이 제2기준 음파 정보의 제2주파수 및 제2음량에 매칭되면 암레스트(127)에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암레스트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3검출부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3기준 압력 이상이고 제3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의 발생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암레스트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암레스트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3검출부의 접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접촉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암 레스트의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암레스트의 두드림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스티어링 휠, 콘솔 및 암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두드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긴장한 상태라고 판단한다.
차량은 제1검출부의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4기준 압력 이상이고, 제1검출부의 접촉 검출부에서 접촉 정보가 제3기준 시간 이상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스티어링 휠에 접촉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파지 및 동시 접촉을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스티어링 휠이 파지되고 동시에 스티어링 휠에 사용자의 머리가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차량은 제4검출부(154)의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5기준 압력 이상이고 파지 시간이 제2기준 시간 이상이면 사용자가 헤드 레드스트를 파지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차량은 헤드 레스트의 파지를 사용자의 감정 정보로 획득한다.
차량은 제 헤드 레스트(121c)가 파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지루한 상태, 피곤한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하,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제동부(180), 조명부(190) 및 경보부(195)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304)하는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량은 내비게이션 모드의 수행 중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새로운 경로가 매칭된 내비게이션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며, 음악 재생 모드의 수행 중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 장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르의 음악의 재생을 제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지루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자연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국도를 이용하는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현재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추천하고자 하는 감정 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표시하며 탐색된 새로운 경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도착 예정시간 등을 더 표시한다.
그리고 차량은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경로가 선택되면 선택된 경로가 반영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라고 판단되면 교통 사고 발생률이 적은 도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도로가 포함된 새로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화남, 지루함 등의 감정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최소화하고 감정을 개선할 수 있는 경로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을 빠르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졸린 상태이거나 지루한 상태일 때 락(Rock) 음악, 재즈 음악, 댄스 음악 등과 같은 경쾌한 장르의 음악을 재생한다.
아울러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졸린 상태라고 판단되면 창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라고 판단되면 클래식 음악과 같은 조용하고 차분한 음악을 재생하고, 조명부의 조명 밝기를 낮춰 차량 내부가 부드러운 느낌이 연출되도록 하고, 사고의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높이며, 비활성화된 경보부를 확인하고 비활성된 경보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즉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조명 밝기와 조명 색상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명 밝기와 조명 색상으로 조절되도록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조절한다.
차량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라디오 채널을 확인하고 확인된 라디오 채널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은 비활성화 상태의 경보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경보부의 동작을 온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로 이탈 경보 장치(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와, 졸음 경보 장치, 사각지대 경보 장치(Blind Spot Warning System: BSW, BSA 또는 BSD), 충돌 경보 장치(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S, Back Warning System: BWS)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차량은 언더 스티어, 오버 스티어,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안티록브레이크 시스템 등의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운전자의 현재 감정을 개선할 수 있도록 차량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음악 재생, 비디오 재생, 컨텐츠 재생 등), 조명 기능 등 차량 내에서 운전자에게 간접적으로 개선 감정을 이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을 빠르게 안정화시키고, 이를 통해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어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감정상태에 따라 주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화남, 좌절, 긴장 등의 감정에서는 사고 방지를 위해 비활성화된 차량의 보조기능(경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브레이크의 민감도 등을 향상하여 갑작스러운 사고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 향상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100: 차량 200: 스마트 키

Claims (25)

  1. 복수 개의 타이어들;
    상기 복수 개이 타이어들의 압력을 각각 검출하는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들;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승하차를 검출하는 탑승 검출부;
    스마트 키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의 변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상기 스마트 키의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들에서 검출된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타이어의 가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타이어의 가격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은 사용자의 손, 발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가격, 흔들림, 파지, 두드림 및 접촉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콘솔의 두드림, 상기 암 레스트의 두드림과 가격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파지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브레이크의 민감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내장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 밝기 및 조명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위험한 상황에 대응하여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부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된 경보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악을 재생하고,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감성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재생 중인 음악을 상기 검색된 음악으로 변경하고,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손, 발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사용자의 승하차를 검출하는 탑승 검출부;
    스마트 키와 통신하는 통신부;
    음악을 재생하고,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장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부;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
    위험한 상황에 대응하여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검출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동부, 상기 경보부, 상기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상기 스마트 키의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의 가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타이어의 가격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상태는,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긴장한 상태,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
    상기 스티어링 휠의 보스의 사용자의 얼굴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콘솔과 상기 암 레스트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검출하는 음파 검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측면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타이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18. 삭제
  19. 스티어링 휠, 콘솔,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및 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표출된 사용자의 손, 발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검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감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내비게이션 모드의 수행 중이면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고 새로운 경로를 출력하고,
    음악 재생 중이면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음악 장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악 장르에 대응하는 음악을 재생하고,
    상기 검출된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감정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탑승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통신부에 수신된 스마트 키의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복수 개의 압력 검출부들에서 검출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가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타이어의 가격에 대응하는 감정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의 조명 밝기, 조명 색상을 조절하고,
    상기 획득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브레이크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긴장한 상태,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이면 경보부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경보부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경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의 크기, 압력의 인가 시간, 압력의 인가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긴장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보스의 사용자의 머리 접촉을 검출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의 파지와 머리 접촉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좌절한 상태, 실망한 상태, 우울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콘솔과 상기 암 레스트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파의 주파수와 음파의 음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긴장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헤드 레스트의 측면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지루한 상태 및 피곤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타이어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상승한 후 감소하였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키와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키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타이어가 가격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화난 상태, 흥분한 상태, 짜증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70180346A 2017-12-27 2017-12-2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346A KR102491730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346A KR102491730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091A KR20190088091A (ko) 2019-07-26
KR102491730B1 true KR102491730B1 (ko) 2023-01-27

Family

ID=6746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346A KR102491730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334A (zh) * 2020-10-29 2022-05-1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和相关装置
CN112829755B (zh) * 2021-02-08 2022-02-22 浙江大学 通过乘员脚部位置压力分布识别乘员状态的系统与方法
WO2024042677A1 (ja) * 2022-08-25 2024-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色表示制御装置および色表示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3066A1 (en) * 2013-08-20 2015-02-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iver assistance system
JP2016135665A (ja) 2015-01-23 2016-07-28 デンソ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用先進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109635A (ja) * 2015-12-17 2017-06-22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乗員の感性向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417B1 (ko) * 2011-08-29 2018-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성기반 안전운전 자동차 서비스 시스템, 안전운전 서비스를 위한 감성인지 처리 장치 및 안전운전 서비스 장치, 감성기반 차량용 안전운전 서비스 방법
US9149236B2 (en) * 2013-02-04 2015-10-06 Intel Corpor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emotional state of a vehicle op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3066A1 (en) * 2013-08-20 2015-02-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iver assistance system
JP2016135665A (ja) 2015-01-23 2016-07-28 デンソ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用先進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109635A (ja) * 2015-12-17 2017-06-22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乗員の感性向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091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1064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US10513184B2 (en)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KR10230941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7317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output of music information to an operator
KR101959300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KR102491730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038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9698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5270292A (zh) 控制对车辆内人机界面的访问
KR10205637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552873B1 (ko) 차량,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484343B (zh) 车辆上安装的车辆控制设备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102480702B1 (ko)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Fleming Advances in automotive electronics [automotive electronics]
KR20210143344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80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TWI701568B (zh) 跨坐型車輛用資訊提示支援裝置、及跨坐型車輛用資訊提示系統
JP2008256420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9129441A (ja) 楽曲提供システム及び楽曲提供方法
KR20220159646A (ko)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JP3855840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736105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US202400252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in a motor vehicle
JP2019111909A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JP7269763B2 (ja) 機能説明装置、車両、及び機能説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