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665B1 -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665B1
KR102491665B1 KR1020197003713A KR20197003713A KR102491665B1 KR 102491665 B1 KR102491665 B1 KR 102491665B1 KR 1020197003713 A KR1020197003713 A KR 1020197003713A KR 20197003713 A KR20197003713 A KR 20197003713A KR 102491665 B1 KR102491665 B1 KR 10249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rame
locking pin
branches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865A (ko
Inventor
마르코 다민
Original Assignee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2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045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for varying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6Lock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프레임(2)의 구성 부품들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장치가 제공되는바,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제1 구성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부착 요소로서, 상기 프레임의 제2 구성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부착 요소 안으로 끼워질(plug) 수 있는 제1 부착 요소; 및 상기 제1 부착 요소와 제2 부착 요소 사이에서 작용하는 잠금 핀(locking pin)(9)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구성 부품과 제2 구성 부품을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기 위하여 끼움 방향(X)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잠금 핀(9);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착 요소는 공통의 베이스(base)(11)로부터 거리를 두고 동일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지부(limb)(10a, 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착 요소는 안착부(seat)(13)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안착부의 대향된 내벽들(14a, 14b, 15a, 15b) 사이에서 상기 가지부(10a, 10b)들의 쌍을 축방향의 끼움 방향(X)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3)는 상기 끼움 방향(X)에 대한 횡방향에서 내부에 잠금 핀(9)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개구(20)와 교차되고, 상기 잠금 핀(9)은 상기 가지부들이 안착부(13) 안에 삽입된 때에 상기 가지부(10a, 10b)들 사이에 개재된 채로 유지될 수 있는 핀 중간 부분(9b)을 구비하며,
상기 핀 중간 부분(9b)은, 상기 잠금 핀(9)이 제1 위치로 회전된 때에 상기 가지부(10a, 10b)들에 대한 간섭없이 상기 가지부(10a, 10b)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잠금 핀(9)이 제2 위치로 회전된 때에는 핀 중간 부분(9b)이 상기 가지부(10a, 10b)들과 간섭을 일으켜 상기 가지부들의 탄성적인 변형을 유발함으로써 상기 가지부들이 상호간에 확산하는 형태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써 각각의 가지부(10a, 10b)가 상기 안착부(13)의 대응되는 벽에 가압되어 상기 부착 요소들 간의 상대적 부착을 유발하게끔 설계된다.

Description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구성을 가진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항에 기재된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이 상호 간 부착 수단 및 장치에 의하여 조립되는 안경 분야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의 구성 부품"이라는 용어는 안경 프레임에 있는 모든 식별가능한 부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인바, 여기에는 예를 들어 안경 아암들의 조인트 러그(joint lug), 렌즈를 지지하는 테두리들 또는 전방에서 렌즈를 지지하는 프레임 절반부들 각각의 사이에서 중앙 연결을 제공하도록 연장된 코 지지 브리지(nose support bridge), 프레임 절반부들 각각의 아암 또는 부품 각각, 상기 조인트 러그에 상기 아암을 결합시키는 힌지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한 상기 구성 부품들의 쌍들은 안경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합한 부착 수단에 의해서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서로에 대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을 서로 부착시켜 상기 프레임의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영구적인 부착 시스템의 경우와 가역적인 부착이 요망되는 경우 모두에서 결합된 부품들이 적절하게 유지됨을 보장하는 장치를 제공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는바, 이것은 아래에서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되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안경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도 1 의 프레임의 구성 부품의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는 도 2 의 구성 부품의 정면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부착 장치에 의하여 도 2 의 구성 부품에 결합되는, 도 1 의 안경 프레임의 제2 구성 부품의 부분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본 발명의 부착 장치의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도 6 의 상세 사시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는 도 7 의 VIII-V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는 도 6 의 상세 사시도의 변형예로서, 도 8 의 모습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에는 도 5 에 도시된 모습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도 6 에 도시된 부착 장치가 끼워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을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들의 작업 순서의 개략적인 모습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 에는 도 15 에 도시된 부착 단계에 관한, 상기 장치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에는 도 16 에 도시된 부착 단계에 관한, 상기 장치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다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 에는 각각, 상기 장치의 변형 실시예에 관한 별도의 부착 단계들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 에는 각각, 상기 장치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관한 별도의 부착 단계들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서, 참조부호 1 은 구성 부품들의 하나 이상의 쌍이 부착 장치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프레임(2)을 포함하는 안경 전체를 지시하는바, 상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서 그 전체는 참조부호 3 으로 지시된다.
프레임(2)은 (도시되지 않은) 개별의 렌즈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렌즈 보유 테(lens-holder rim)(5)들을 구비한 전방 프레임(4), 한 쌍의 관절식 아암(articulated arm)(6)들, 및 상기 렌즈 보유 테들 사이에 중앙 연결을 제공하는 중앙 브리지(central bridge)(7)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의 대향된 측방 단부들 각각에서, 각각의 관절식 아암(6)은 본 특정 기술 분야에서 "러그(lug)"라고도 알려져 있는 소정의 힌지 요소(hinge element)(8)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힌지 결합은, 예를 들어 서로 대면하는 러그/아암 쌍 각각의 대응되는 단부들에 만들어지는 눈구멍(eyelet)에 결합된 힌지 핀(hinge pin)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의 구성 부품"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전방 프레임(또는 특정 렌즈 보유 테의 개별의 프레임 절반부), 중앙의 연결 브리지, 이들의 아암들 또는 부품들 각각(예를 들어 아암 단부), 각각의 조인트 러그, 상기 아암들의 결합을 위한 각각의 힌지, 등의 모든 개별 부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인바, 본 발명은 서로의 옆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의 부품들의 쌍을 서로 결합시키는 공통의 부착 장치(3)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중앙 브리지(7)를 전방 프레임(4)의 렌즈 보유 테(5)들 각각에 부착시키도록 설계된 부착 장치(3)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위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부착 장치(3)가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을 각각의 쌍을 서로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중앙 브리지(7)는 중앙 브리지(7)의 대향된 단부들 각각에서 소정의 렌즈 보유 테(5) 각각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것이므로 한 쌍의 부착 장치가 제공되지만, 이들을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중앙 브리지(7)의 중앙 대칭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적인 위치에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그 중 하나에 대해 설명한다.
각각의 부착 장치(3)에 포함된 중앙 브리지(7)와 관련된 제1 부착 요소는 X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대응되는 렌즈 보유 테(5)와 관련된 제2 부착 요소 안으로 축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바, 상기 부착 장치(3)에 포함된 잠금 핀(9)은 상기 끼움 방향(X)에 대해 횡방향에서 상기 제1 부착 요소와 제2 부착 요소 사이에 작용하여, 중앙 브리지(7)와 이에 대응되는 렌즈 보유 테(5)를 서로에 대해 부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착 요소는 한 쌍의 가지부(10a, 10b)를 포함하는바, 이 가지부(10a, 10b)들은 공통의 베이스(11)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중앙 브리지(7)의 일 단부에 통합되며 동일 방향으로(equidirectionally) 구성된다.
상기 가지부(10a, 10b)들은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한 한 쌍의 종장형 아암의 형상을 갖도록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바, 그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부터 제1의, 주된 직각 종장형 섹션으로 시작되어 부착 베이스(11)에서 제2의, 소형 섹션으로 끝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지부들의 형상 및 크기는, 특히 가지부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여 확산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가지부(10a, 10b)는 제1의 섹션을 따라서 톱니형 프로파일(12)을 가진 특정의 표면 부분을 구비하는바, 상기 톱니형 프로파일(12)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톱니형 프로파일은 도 3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부(10a, 10b)들의 대향된 외측 표면 부분들에 만들어진다.
제2 부착 요소는 안착부(13)를 포함하는데, 안착부(13)는 상기 축방향 끼움 방향(X)으로의 끼움에 의하여 상기 가지부(10a, 10b)들의 쌍을 유지하기 위하여, 렌즈 보유 테(5)의 대응되는 위치에 만들어진다. 안착부(13)는 렌즈 보유 테(5)의 두께 범위 안에서 막힌 공동(blind cavity)의 형태로 만들어지는바, 이로써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입구부(mouth)(13a)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13a)로부터는 두 쌍의 대향된 벽들(14a, 14b 및 15a, 15b)이 공동 저부(16)를 향하여 상기 공동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지부(10a, 10b)들은 상기 대향된 벽들의 쌍들 사이에 소량의 결합 유격(coupling play)을 두고 안착부(13)에 유지되고, 각 가지부(10a, 10b)의 톱니형 표면 프로파일은 대응되는 벽(15a, 15b)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탱되도록 상기 벽(15a, 15b)을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안착부(13)의 공동에서는 개구(20)가 상기 축방향 끼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교차하게 형성되는바, 상기 개구(20) 안에는 잠금 핀(9)이 회전가능하게 보유된다. 상기 개구는 렌즈 보유 테(5)의 두께를 횡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공동을 기준으로 대향된 측부들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한 쌍의 동축상 구멍들(20a, 20b)에 의해 형성되는바, 상기 동축상 구멍들(20a, 20b) 모두가 상기 공동의 내부와 소통된다. 구멍(20a)은 막힌 구멍으로서 형성되지만, 구멍(20b)은 관통 구멍으로서 만들어져서렌즈 보유 테(5)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며, 이로써 잠금 핀의 삽입이 허용된다. 유리하게는, 구멍(20b)이 전방 프레임(4)의 내측에서 개방되고, 이로써 잠금 핀(9)이 개구(20)에 끼워진 때에 시야로부터 보이지 않게 유지된다.
상기 구멍들(20a, 20b)은 잠금 핀(9)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적합하게는 원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잠금 핀은 서로에 대해 동축을 이루고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세 개의 부분을 포함하는바, 즉 잠금 핀의 헤드를 형성하는 제1의, 원통형 부분(9a); 제2의, 중간 부분(9b); 및 원통형인 제3의, 단부 부분(9c)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들(9a, 9c)은 개구(20)의 구멍들(20b, 20a) 각각에 대한 회전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동일한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핀 부분(9a)의 자유 단부에는 잠금 핀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업 도구와 맞물리도록 적합한 형상을 가진 표면이 포함된다. 상기 표면은,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를 위한 슬롯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부분(9b)은 상기 부분들(9a, 9c) 각각보다 작으며, 이로써 중간 부분(9b)의 횡단면의 외측 윤곽 프로파일을 축방향으로 투영하여도 상기 부분들(9a, 9c) 각각의 외측 원형 프로파일 내부에 유지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하여 잠금 핀(9)이 상기 핀 중간 부분(9b)에 의한 간섭 없이 개구(20)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때 핀 중간 부분(9b)은 안착부(13)의 공동 안에 수용된 채로 유지된다.
상기 핀 중간 부분(9b)은, 상기 가지부들이 안착부(13) 안에 삽입된 때에 가지부(10a, 10b)들의 쌍 사이에 위치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중간 부분(9b)의 형상은 상기 잠금 핀(9)이 제1 위치로 회전된 때에 상기 가지부(10a, 10b)들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되, 상기 잠금 핀이 제2 위치로 회전된 때에는 상기 가지부들과 간섭을 일으켜서 상기 가지부들이 탄성적으로 그리고 서로 확산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각각의 가지부가 안착부(13)의 대응되는 벽(15a, 15b)에 맞물리게끔 선택되는바, 이로써 제1 부착 요소와 제2 부착 요소 간의 상대적인 잠금이 이루어진다.
전술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핀 중간 부분(9b)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이지 않은 프포파일을 갖도록 적합하게 설계된다. 핀 중간 부분(9b)의 횡단면은 바람직한 예로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 형상(oval shape)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는 핀 중간 부분(9b)의 타원형 프로파일의 중심이 잠금 핀(9)의 축에 배치된다.
도 9 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핀 중간 부분(9b)의 횡단면은 원의 일부분(sector)에 해당되는 형상을 갖는바,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기저부를 가진 원형 분절(circular segment)에 해당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단면의 프로파일에서, 한 쌍의 대향된 원호(9e)들이 보이는데, 이 원호(9e)들은 상기 원형 분절의 기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직선형 분절(9f)에 연결된다.
상기 부착 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조립 단계에서, 잠금 핀(9)은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0) 안으로 삽입되어 핀 부분들(9a, 9c)이 개구(20)의 구멍들(20b, 20a) 안에 회전가능한 맞물림으로서 결합된다. 이 위치에서는, 핀 중간 부분(9b)이 상기 안착부의 대향된 벽들(15a, 15b) 사이에 작은 횡방향 치수(예를 들어, 도 8 의 타원형 프로파일의 단축 치수 또는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분절의 베이스들 사이의 거리)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바, 이것은 상기 가지부들이 간섭없이 상기 안착부 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 브리지(7)를 특정의 렌즈 보유 테(5)로 이동시킴으로써(도 13), 상기 가지부(10a, 10b)들이 입구부(13a)를 통해서 안착부(13) 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바, 이 때 각각의 가지부는 핀 중간 부분(9b)과 대응되는 벽들(15a, 15b) 사이에서 작은 정도의 결합 유격을 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 예를 들어 상기 헤드의 슬롯에 맞물린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기 잠금 핀(9)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핀 중간 부분(9b)이 상기 가지부들과 간섭을 일으키며, 이로써 가지부들 사이에 큰 횡방향 치수(예를 들어, 상기 타원형 프로파일의 장축 치수 또는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분절 프로파일의 원호들 사이의 직경 거리)를 가진 잠금 핀의 중간 부분이 개재된다. 이 위치에서는, 잠금 핀(9)으로 인하여 가지부(10a, 10b)들이 탄성적으로 확산되며, 이 때 상기 가지부들 각각이 상기 안착부의 대응되는 벽(15a, 15b)에 대해 가압되어 서로에 대해 접촉하는 표면들이 마찰-잠금(friction-lock)된다, 즉 마찰력에 의해 잠겨진다.
만일 톱니형 프로파일(12)이 제공된다면, 개별의 벽(15a, 15b)의 표면에 가압되는 톱니들이 상기 안착부의 벽들에 대한 표면 파지력(surface grip)이 향상된다.
상기 잠금은 영구적인 것이거나 또는 가역적인 것일 수 있는바, 이것은 상기 장치에 연결될 부품들의 재료들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중앙 브리지(7)가 예를 들어 금속 재료와 같이 상당히 경질인 재료로 만들어지고, 이것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연질이거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테(또는 전방 절반부)와 조합된다면, 중앙 브리지(7)의 가지부(10a, 10b)들 각각에 톱니형 프로파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프로파일의 톱니들이 상대적 맞물림을 위해 플라스틱에 침입하기 때문에) 유리하게도 일종의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잠금이 얻어진다
만일 전방 프레임(4)도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매우 경질인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상당히 경질인 재료로 만들어진다면, 가역적인 잠금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톱니형 프로파일을 사용하지 않는 방안도 가능한데, 이 때에는 양자간의 잠금 작용이 전적으로 가지부들에 대한 잠금 핀의 압력에만 의존한다.
만일 가역적인 부착이 얻어진다면, 상기 부착 장치(3)는 잠금 핀(9)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시켜 가지부(10a, 10b)들에 대한 잠금 핀(9)의 가압력을 해소시킴으로써 잠금해제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지부들이 핀 중간 부분(9b) 상에 위치한 때에는, 상기 가지부들로 인하여, 즉 상기 잠금 핀의 단부 부분(9c)과 가지부들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잠금 핀이 이전에 삽입되었던 통로인 개구(20)로부터 밖으로 나옴도 방지된다는 점에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잠금 핀의 단부 부분(9c)은 렌즈 보유 테(5)의 두께 내에 만들어진 (핀 삽입 구멍(20b)의 반대측에 있는) 구멍(20a)에 구속되기 때문에, 상기 핀의 측방향으로의 움직임도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지부(10a, 10b)들이 안착부 안에 삽입된 때에는, 상기 잠금 핀이 잠금 핀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의 자유 위치와 제2의 잠금 위치 간으로만 회전될 수 있을 뿐이다.
도시된 상세부분들의 치수들이 이해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는 도 20 및 도 2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부착 장치는 대향된 벽들(15a, 15b)의 프로파일들이 저부를 향하여 가면서 확산되게끔 구성됨으로써, 입구부(13a)로부터 저부(16)를 향하여 가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안착부(13)를 구비한다. 도 21 에는 이 실시예의 잠금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본 예에서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핀 중간 부분(9b)이 가지부(10a, 10b)들을 대응되는 벽들(15a, 15b)에 대해 가압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가지부들의 탄성 변형이 발생한다).
도 22 및 도 23 에는 부착 장치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변형예는 안착부(13)가 입구부로부터 저부(16)를 향하여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진다는 점에서 이전의 예와 상이한데, 이것은 대향된 벽들(15a, 15b)의 프로파일들이 상기 저부를 향하여 가면서 수렴하게끔 구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상기 가지부(10a, 10b)들 각각의 (안착부(13)와 맞물리도록 의도된) 단부 섹션들은 자유 단부를 향하여 가면서 테이퍼(taper)지도록 구성되며, 각 가지부의 테이퍼는 (가지부들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22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의 벽들(15a, 15b)의 경사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경사 프로파일 선을 갖는다. 도 23 에는 잠금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타원형 단면을 갖는) 핀 중간 부분(9b)은 대응되는 벽들(15a, 15b)에 대해 가지부(10a, 10b)들을 가압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가지부들의 탄성 변형이 발생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렌즈 보유 테(또는 전방 프레임 절반부)에 대한 중앙 브리지의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의 한 쌍의 예에 해당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의 가능한 조합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 조합으로서, 상기 전방 프레임 절반부에 부착될 수 있는 상측 브리지에 상기 잠금용 가지부들이 통합될 수 있는데, 이 프레임에서 안착부는 상기 잠금 핀과 함께 제공된다. 상기 상측 브리지는 상기 프레임에서 순수히 심미적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땀 차단(sweat guard)" 요소를 위한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조합으로서, 상기 잠금용 가지부들은 측부 러그(힌지 지지 구조물)에 배치되어 전방 프레임 절반부(또는 단일 부재의 전방 프레임)에 제공된 안착부와 맞물릴 수 있다. 이 러그는 전방 프레임 절반부(또는 전방 프레임) 안에 끼워지고, 상기 아암은 힌지에 의하여 상기 러그에 관절식으로 결합된다. 다른 조합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물에 전방 프레임(또는 프레임 절반부)에의 잠금을 위한 안착부와 맞물리도록 의도된 잠금용 가지부들과, 상기 아암에 대한 잠금을 위한 안착부가 제공된다. 이 때 힌지에는 한편으로는 상기 전방부를 위한 끼움부(plug)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아암을 위한 끼움부가 제공된다. 다른 조합으로서, 상기 힌지에 상기 아암에 만들어져 있는 안착부와의 맞물림을 위해 의도된 잠금용 가지부들이 제공된다. 이 때 힌지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러그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아암에 대한 끼움에 의하여 상기 전방부에 부착된다.
다른 조합으로서, 상기 아암에는 상기 힌지 구조물에 만들어져 있는 안착부와 맞물리도록 의도된 잠금용 가지부들이 제공된다. 이 힌지는 한편으로는 상기 러그에 부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아암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끼움부를 구비한다.
또 다른 조합으로서, 상기 아암이 아암 단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아암 단부는 아암 몸체와 분리된 것으로서, 아암 단부에는 상기 아암 몸체에 만들어져 있는 잠금용 안착부 안으로 끼워지도록 의도된 잠금용 가지부들이 제공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제안 목적을 달성하는바, 종래 기술의 방안들에 대한 전술된 장점들을 갖는다.
주된 장점은 본 발명의 부착 장치에 의하여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의 서로 간의 끼움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상기 부착 장치가 서로 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의 가능한 복수의 쌍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상기 구성 부품들의 부착이 영구적이거나 또는 가역적으로 될 수 있게 설계가능하다는 사실에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부착 장치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과정의 복잡성이 낮고 준비되어야 하는 세부 구성요소들의 갯수가 극히 적다는 사실에 있다.

Claims (10)

  1. 안경 프레임(2)의 구성 부품들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장치로서,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제1 구성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부착 요소로서, 상기 프레임의 제2 구성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부착 요소 안으로 끼워질(plug) 수 있는 제1 부착 요소; 및 상기 제1 부착 요소와 제2 부착 요소 사이에서 작용하는 잠금 핀(locking pin)(9)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구성 부품과 제2 구성 부품을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기 위하여 끼움 방향(X)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잠금 핀(9);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부착 요소는 공통의 베이스(base)(11)로부터 거리를 두고 동일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지부(limb)(10a, 10b)를 포함하며,
    - 상기 제2 부착 요소는 안착부(seat)(13)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안착부의 대향된 벽들(14a, 14b, 15a, 15b) 사이에서 상기 가지부(10a, 10b)들의 쌍을 축방향의 끼움 방향(X)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 상기 안착부(13)는 상기 끼움 방향(X)에 대한 횡방향에서, 내부에 잠금 핀(9)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개구(20)와 교차되고,
    - 상기 잠금 핀(9)은 상기 가지부들이 안착부(13) 안에 삽입된 때에 상기 가지부(10a, 10b)들 사이에 개재된 채로 유지될 수 있는 핀 중간 부분(9b)을 구비하며,
    - 상기 핀 중간 부분(9b)은, 상기 잠금 핀(9)이 제1 위치로 회전된 때에 상기 가지부(10a, 10b)들에 대한 간섭없이 상기 가지부(10a, 10b)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잠금 핀(9)이 제2 위치로 회전된 때에는 핀 중간 부분(9b)이 상기 가지부(10a, 10b)들과 간섭을 일으켜 상기 가지부들의 탄성적인 변형을 유발함으로써 상기 가지부들이 상호간에 확산하는 형태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써 각각의 가지부(10a, 10b)가 상기 안착부(13)의 대응되는 벽에 가압되어 상기 부착 요소들 간의 상대적 부착을 유발하게끔 설계되고,
    상기 개구(20)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 구성 부품에서 상기 안착부(13)의 대향된 측부들에 만들어지고 동축을 이루는 한 쌍의 원형 구멍(20a, 20b)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멍들은 상기 핀 중간 부분(9b)의 대향된 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잠금 핀의 한 쌍의 축방향 부분(9a, 9c)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원형 구멍들(20a, 2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20) 안으로 잠금 핀(9)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서 설계되며,
    상기 핀 중간 부분(9b)의 횡단면은, 축방향으로의 투영시에 상기 핀 중간 부분(9b)에 대향되는 핀 부분들(9a, 9c) 각각의 횡단면의 외측 윤곽 프로파일(outer contour profile) 내부에 유지되는 외측 윤곽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중간 부분(9b)은 축방향에서 비대칭적인 프로파일(asymmetrical profile)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중간 부분(9b)의 횡단면은 타원형인, 부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중간 부분(9b)의 횡단면은 원형의 일부분인 형상을 갖는, 부착 장치.
  6. 삭제
  7.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중간 부분(9b)에 대향된 상기 핀 부분들 중 하나(9a)는 상기 핀 부분(9a)의 자유 단부들 중 하나에, 상기 잠금 핀(9)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으로 회전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작업 도구와 맞물리게끔 설계된 표면을 갖는, 부착 장치.
  8.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10a, 10b)들은 주된 길이방향을 가지며, 가지부들이 상기 안착부 안에 삽입된 때에 안착부의 개별적인 벽들과 대면하도록 의도된 개별적인 표면 부분(surface portion)들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부분들은 각각의 톱니형 프로파일(serrated profile)(12)을 구비하며, 상기 톱니형 프로파일(12)은 상기 잠금 핀(9)이 제2 위치로 움직여진 때에 접촉하는 표면들 간의 맞물림 작용을 증대시키는, 부착 장치.
  9.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된 벽들(15a, 15b)은 공동의 입구부(13a)로부터 상기 공동의 저부(16)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벽들은 상기 저부(16)를 향하여 가면서 수렴(converge) 또는 확산(diverge)하는 프로파일을 가진, 부착 장치.
  10. 개별의 렌즈들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프레임(4) 및 상기 전방 프레임(2)에 힌지 결합된 측방 아암(lateral arm)(6)들을 구비한 프레임(2)을 포함하는 안경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구성 부품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만들어진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KR1020197003713A 2016-07-07 2017-06-27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KR102491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70985A IT201600070985A1 (it) 2016-07-07 2016-07-07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i parti componenti di montature per occhiali ed occhiali includenti detto dispositivo di fissaggio
IT102016000070985 2016-07-07
PCT/IB2017/053822 WO2018007899A1 (en) 2016-07-07 2017-06-27 Device for attaching component parts of spectacles frames and spectacles comprising said attach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865A KR20190026865A (ko) 2019-03-13
KR102491665B1 true KR102491665B1 (ko) 2023-01-25

Family

ID=5761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713A KR102491665B1 (ko) 2016-07-07 2017-06-27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76569B2 (ko)
EP (1) EP3482249A1 (ko)
JP (1) JP7086871B2 (ko)
KR (1) KR102491665B1 (ko)
CN (1) CN109477974B (ko)
IT (1) IT201600070985A1 (ko)
WO (1) WO2018007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2632B1 (fr) * 2018-06-19 2023-02-10 Minima Monture de lunettes a element insere lateralement
EP3913423A1 (en) * 2020-05-19 2021-11-2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Adjustable lens holder for protective eyewear
CN112540466B (zh) * 2020-12-02 2022-05-03 浙江天明眼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更换镜片的环抱式运动眼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8205A (ja) 1997-04-02 2001-10-09 シェン,リシャール 超偏平拡開可能丁番
JP2001324700A (ja) 2000-03-07 2001-11-22 Takeda Kikaku:Kk 眼鏡の蝶番構造
CN201097005Y (zh) * 2007-09-07 2008-08-06 李照教 快拆式眼镜架
US20160124244A1 (en) * 2013-05-09 2016-05-05 Luxottica S.R.L. Hinge with circular cam eyelets, for the elastic articulated joining of the temples to the front of an eyeglass fr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4U (ja) * 1992-06-12 1994-01-14 株式会社村井 眼鏡枠のリム固定構造
JP3082153B2 (ja) * 1992-06-19 2000-08-28 清水建設株式会社 水中ジャッキ取付装置
US5323189A (en) * 1992-10-20 1994-06-21 Occm Expansion Systems, Inc. Adjustable anatomical spectacle framework systems and methods
JP2003156717A (ja) * 2001-11-21 2003-05-30 Foo System Kk 眼鏡のネジ無し蝶番機構
US7137700B2 (en) * 2003-03-20 2006-11-21 Liberty Sport, Inc. Impact resistant eyewear frame assembly having a split frame and fastener reinforcement
US7066593B1 (en) * 2004-12-22 2006-06-27 High Rainbow Ent. Co., Ltd. Eyeglasses frame assembly
CN101776805A (zh) * 2010-02-24 2010-07-14 泰诺意大利(香港)有限公司 眼镜架弹簧铰链
CH710138A2 (de) * 2014-09-22 2016-03-31 Sandra Kaufmann Brillengest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8205A (ja) 1997-04-02 2001-10-09 シェン,リシャール 超偏平拡開可能丁番
JP2001324700A (ja) 2000-03-07 2001-11-22 Takeda Kikaku:Kk 眼鏡の蝶番構造
CN201097005Y (zh) * 2007-09-07 2008-08-06 李照教 快拆式眼镜架
US20160124244A1 (en) * 2013-05-09 2016-05-05 Luxottica S.R.L. Hinge with circular cam eyelets, for the elastic articulated joining of the temples to the front of an eyeglass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86871B2 (ja) 2022-06-20
EP3482249A1 (en) 2019-05-15
JP2019519817A (ja) 2019-07-11
US10976569B2 (en) 2021-04-13
WO2018007899A1 (en) 2018-01-11
CN109477974B (zh) 2021-03-09
KR20190026865A (ko) 2019-03-13
US20190310491A1 (en) 2019-10-10
IT201600070985A1 (it) 2018-01-07
CN109477974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665B1 (ko)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JP6711809B2 (ja) マルチアングル式湾曲眼鏡用脚部
AU2005301009B2 (en) A spectacle folded into box-shaped
JP5661654B2 (ja) テレスコピックヒンジ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及び当該フレームのヒンジ
CN112137256B (zh) 附装链的装置
US10795179B2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 frames
KR10147789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ITPD20100056U1 (it) Cerniera per occhiali
JP2007523380A5 (ko)
KR20190000982A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EP1194808B1 (fr) Charniere elastique de grande souplesse
WO2016033093A1 (en) Twist and pivot eyeglasses
EP1588063B1 (fr) Systeme d'articulation, notamment pour equipements utilises en robotique et montures de lunettes
KR101296407B1 (ko) 조립식 완구 연결용 커넥터
US10724590B2 (en) Hinge for eyeglasses
KR101664666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JP2016517969A (ja) 眼鏡フレーム用ヒンジ
KR102151667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JP5709116B1 (ja) 蝶番構造
KR200437816Y1 (ko) 안경다리의 귀걸이 회동장치
JP4022564B1 (ja) 眼鏡
KR10221497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US20160231591A1 (en) Eyewear having compression hinges
EP1835327A1 (en) Hinge, particularly for a frame for spectacles
CH695719A5 (fr) Bracelet à maillons articulés comportant des vis de mon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6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323

Effective date: 202209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