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488B1 -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 Google Patents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488B1
KR102491488B1 KR1020200112264A KR20200112264A KR102491488B1 KR 102491488 B1 KR102491488 B1 KR 102491488B1 KR 1020200112264 A KR1020200112264 A KR 1020200112264A KR 20200112264 A KR20200112264 A KR 20200112264A KR 102491488 B1 KR102491488 B1 KR 10249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bstrate
contact member
shaf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656A (ko
Inventor
전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텍
Priority to KR102020011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4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는 프레임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 및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기판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송시키는 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에는 그루브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roller of conveyor for transferring display panel}
본 발명은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관한 것으로, 기판 이송 시 롤러의 표면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마찰력을 유지시켜 기판을 안정적으로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 글래스,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하는 평판 형태의 기판(S)은 공정 라인에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도 1에는 기판(S)을 이송하는 일반적인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컨베이어는 프레임(P), 프레임(P)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기판(S)을 이송시키는 롤러(13)가 복수개 구비된 이송롤러(10), 롤러(13)에 의해 이송방향(D1)으로 이송되는 기판(S)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롤러(10)는 구동부(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어, 이송롤러(10)에 접촉된 기판(S)을 이송방향(D1)으로 이송시키는데, 롤러(13)와 기판(S)과의 마찰력이 존재하여야 기판(S)이 원활하게 이송되게 된다.
이를 위해, 롤러(13)의 외주면에 기판(S)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 우레탄, 실리콘, 고분자 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찰부재는 장시간 사용되면서, 표면이 마모되고 경면화 되어 마찰계수가 감소함에 따라 마찰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각 롤러(13)마다 구비된 마찰부재의 마찰력에 편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기판(S)의 이송 시 기판(S)이 직진 방향(D1)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사선 방향(D2)으로 이송되기도 하며, 사선 방향(D2)으로 이송 시 프레임(P) 등에 기판(S)이 충돌하여 기판(S)의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에도 마찰력을 유지시켜 기판을 직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송시켜, 이송 중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롤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판 이송 시 롤러의 표면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마찰력을 유지시켜 기판을 안정적으로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는 프레임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 및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기판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송시키는 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에는 그루브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내측 바디;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바디에 결합되는 외측 바디;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연결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의 단면 형상은 V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의 중앙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제1그루브 패턴이 형성되는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제1접촉부재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2그루브 패턴이 형성되는 제2접촉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루브 패턴은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1접촉부재에 사선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그루브 패턴은 상기 제1그루브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그루브 패턴은 상기 제1그루브 패턴과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샤프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종그루브; 및 상기 샤프트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그루브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횡그루브; 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따르면 장시간 사용에도 접촉부재(14)의 마찰력이 유지되어 기판(S)을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고, 이송 중 기판(S)의 파손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G)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G)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P)은 컨베이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P)에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가 구비된다. 프레임(P)에는 이송롤러(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P)에는 에어 플로팅 노즐(air floating nozzle)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에어 플로팅 노즐은 기판(S)을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상시켜, 기판(S)의 하중에 의해 기판(S)과 이송롤러(10)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는 프레임(P)에 구비된다.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는 기판(S)이 접촉된다.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는 기판(S)을 이송방향(D1)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방향(D1)은 기판(S)이 이송되는 직진 방향(D1)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는 프레임(P)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모듈(11), 상기 연결모듈(11)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모듈(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12), 상기 샤프트(12)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12)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13), 및 기판(S)에 접촉되고, 상기 롤러(1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13)의 회전 시 상기 기판(S)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방향(D1)으로 상기 기판(S)을 이송시키는 접촉부재(14)를 포함한다.
연결모듈(11)은 프레임(P)에 결합된다. 연결모듈(11)은 프레임(P)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모듈(11)은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연결모듈(11)은 후술하는 샤프트(12)에 결합되어, 샤프트(12)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샤프트(12)는 연결모듈(11)에 결합된다. 샤프트(12)는 연결모듈(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롤러(13)는 샤프트(12)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롤러(13)는 샤프트(12)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롤러(13)는 샤프트(12)의 회전 시 샤프트(12)와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11)은 상기 샤프트(12)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P)에 고정 결합되는 내측 바디(111), 상기 샤프트(12)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바디(1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바디(111)에 결합되는 외측 바디(112), 및 상기 프레임(P)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2)의 단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연결로드(113)를 포함한다.
내측 바디(111)는 프레임(P)에 고정 결합된다. 내측 바디(111)의 저면에는 프레임 결합부(111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1111)는 프레임(P)과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바디(111)에는 샤프트(12)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내측 바디(111)에 샤프트(12)의 단부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바디(111)와 샤프트(12)의 단부 사이에 제1베어링(1113)이 구비되어, 샤프트(12)의 단부가 내측 바디(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바디(112)는 내측 바디(111)의 외측에 구비된다. 외측 바디(112)는 내측 바디(1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바디(111)의 저면에는 외측 바디 결합부(111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바디 결합부(1112)는 내측 바디(111)와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바디(112)에는 샤프트(12)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외측 바디(112)에 샤프트(12)의 단부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바디(112)와 샤프트(12)의 단부 사이에 제2베어링(1121)이 구비되어, 샤프트(12)의 단부가 외측 바디(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2)의 단부는 외측 바디(112)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결로드(113)는 프레임(P)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로드(113)는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로드(113)는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연결로드(113)는 샤프트(12)의 단부에 결합된다. 연결로드(113)는 샤프트(12)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로드(113)는 샤프트(12)의 단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볼트가 샤프트(12)의 단부를 관통하여 연결로드(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모듈(11)이 구비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1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롤러(13)의 파손 또는 후술하는 접촉부재(14)의 교체 시 연결모듈(11)로부터 샤프트(12)를 분리시킨 후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촉부재(14)는 롤러(13)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접촉부재(14)는 롤러(13)의 외주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접촉부재(14)는 기판(S)에 접촉된다. 접촉부재(14)는 롤러(13)의 회전 시 기판(S)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방향(D1)으로 기판(S)을 이송시킨다.
접촉부재(14)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실시될 수 있다. 접촉부재(14)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고분자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14)는 기판(S)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마찰부재는 상술한 것과 같이 장시간 사용되면 마찰부재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경면화되어 마찰계수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마찰부재의 마찰력이 감소되거나 각 마찰부재마다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기판(S)이 직진 방향(D1)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사선 방향(D2)으로 이송되어 기판(S)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재(14)의 표면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루브(G)(groove)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G)는 접촉부재(14)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이 평탄한 일반적인 마찰부재와 달리 본 발명의 접촉부재(14)에 형성된 그루브(G)가 마모되어 소멸될 때까지 접촉부재(14)의 표면이 경면화되지 않으므로, 접촉부재(14)의 장시간 사용에도 마찰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에도 접촉부재(14)의 마찰력이 유지되어 기판(S)을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고, 이송 중 기판(S)의 파손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루브(G)는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그루브(G)의 단면 형상은 V자(V)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G)는 접촉부재(14)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G)의 단면 형상이 V자(V)로 접촉부재(14)의 외주면을 따라 실시되는 경우, 그루브(G)의 형상이 마모되어 소멸될 때가지 접촉부재(14)와 기판(S)의 마찰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그루브(G)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G)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그루브(G)의 단면 형상은 W자 또는 U자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루브(G)에 의한 접촉부재(14)의 마찰력이 장시간 유지되므로, 기판(S)을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그루브(G)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모양(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루브(G)의 단부에는 돌출부(T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T1)는 기판(S)의 하중을 받아 기판(S)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기판(S)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접촉부재(14)가 기판(S)에 제공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S)을 직진방향으로 더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e)를 참조하면 그루브(G)의 중앙에 리브(T2)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d)와 같이 그루브(G)가 사다리꼴 모양(T)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루브(G)의 중앙에 리브(T2)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T2)는 그루브(G)의 돌출부(T1)와 함께 기판(S)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재(14)가 기판(S)에 제공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G)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부재(14)는 제1그루브 패턴(G1)이 형성되는 제1접촉부재(141), 및 상기 제1접촉부재(141)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2그루브 패턴(G2)이 형성되는 제2접촉부재(142)를 포함한다.
제1접촉부재(141)에는 제1그루브 패턴(G1)이 형성된다. 제1그루브 패턴(G1)은 제1접촉부재(14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그루브 패턴(G1)은 상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그루브(G) 중 어느 하나가 제1접촉부재(141)에 사선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제1그루브 패턴(G1)은 그루브(G)의 단면 형상이 V자(V)로 형성되고, 접촉부재(14)에 사선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 그루브(G)가 서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접촉부재(142)는 제1접촉부재(141)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제2접촉부재(142)에는 제2그루브 패턴(G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그루브 패턴(G2)은 제1그루브 패턴(G1)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도 6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그루브 패턴(G2)은 제1그루브 패턴(G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그루브 패턴(G2)은 제2접촉부재(142)에 제1그루브 패턴(G1)이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그루브 패턴(G1)과 제2그루브 패턴(G2)에 의해 접촉부재(14)가 기판(S)에 제공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그루브 패턴(G2)은 제1그루브 패턴(G1)과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그루브 패턴(G2)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이 제1그루브 패턴(G1)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과 상쇄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그루브 패턴(G1) 및 제2그루브 패턴(G2)에 의해 접촉부재(14)가 기판(S)에 제공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마찰력의 방향이 서로 상쇄되어 직진성이 유지되므로 기판(S)이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G)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그루브 패턴(G1)은 상기 제1접촉부재(141)의 표면에 형성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그루브(G11), 및 상기 제1접촉부재(141)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그루브(G11)에 인접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그루브(G1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그루브(G12)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그루브(G)는 접촉부재(14)의 표면에 복수개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그루브(G11) 및 제2그루브(G12)는 접촉부재(14)의 표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그루브(G12)는 제1그루브(G11)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도 7의 (a) 및 (b)와 같이, 제2그루브(G12)는 제1그루브(G11)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그루브(G12)는 제1그루브(G1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2그루브(G12)는 제2그루브(G12)의 연장선이 제1그루브(G11)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그루브(G11)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그루브(G12)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그루브(G12)가 제1그루브(G1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접촉부재(141)에 형성된 제1그루브(G11) 및 제2그루브(G12)가 기판에 제공하는 마찰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그루브 패턴(G2)은 상술한 제1그루브 패턴(G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그루브 패턴(G2)은 제2접촉부재(142)에 제1그루브 패턴(G1)이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그루브 패턴(G2)은 상술한 제1그루브 패턴(G1)과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그루브 패턴(G2)은 제2접촉부재(142)에 제1그루브 패턴(G1)이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그루브 패턴(G2)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이 제1그루브 패턴(G1)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과 상쇄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그루브 패턴(G1) 및 제2그루브 패턴(G2)에 의해 접촉부재(14)가 기판(S)에 제공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마찰력의 방향이 서로 상쇄되어 직진성이 유지되므로, 기판(S)이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G)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루브(G)는, 상기 샤프트(12)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종그루브(GV), 및 상기 샤프트(1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그루브(GV)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횡그루브(GH)를 포함한다.
종그루브(GV)는 샤프트(12)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종그루브(GV)는 접촉부재(14)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횡그루브(GH)는 샤프트(1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횡그루브(GH)는 종그루브(GV)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기판(S)의 하중에 의해 종그루브(GV)가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종그루브(GV)가 형성하는 공동(cavity)가 순간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그루브(GV)가 기판(S)에 제공하는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이때, 횡그루브(GH)가 기판(S)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즉, 기판(S)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GH)가 종그루브(GV)의 마찰력을 보조하여 기판(S)에 추가적인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S)을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종그루브(GV)는 횡그루브(GH)에 교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종그루브(GV)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와 같이, 종그루브(GV)는 횡그루브(GH)에 교각을 형성하되, 일측 횡그루브(GH) 및 타측 횡그루브(GH)는 종그루브(GV)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 횡그루브(GH)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이 타측 횡그루브(GH)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과 상쇄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그루브(GH)에 의한 마찰력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면서, 각 횡그루브(GH)에 의한 마찰력의 방향이 서로 상쇄되어 직진성이 유지되므로 기판(S)이 이송방향(D1)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이송롤러 12 : 샤프트
13 : 롤러 14 : 접촉부재

Claims (10)

  1. 프레임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 및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기판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송시키는 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내측 바디;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바디에 결합되는 외측 바디;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연결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에는 그루브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제1그루브 패턴이 형성되는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제1접촉부재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2그루브 패턴이 형성되는 제2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루브 패턴은 상기 제1접촉부재의 표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그루브; 및 상기 제1접촉부재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그루브에 인접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그루브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그루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루브 패턴은 상기 제1그루브 패턴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 패턴은 상기 그루브의 단면 형상이 W자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부재에 사선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2264A 2020-09-03 2020-09-03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KR10249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64A KR102491488B1 (ko) 2020-09-03 2020-09-03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64A KR102491488B1 (ko) 2020-09-03 2020-09-03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56A KR20220030656A (ko) 2022-03-11
KR102491488B1 true KR102491488B1 (ko) 2023-01-25

Family

ID=8081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64A KR102491488B1 (ko) 2020-09-03 2020-09-03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4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5610A (ja) * 2012-09-20 2014-04-17 Artecon Sagi D ローラ搬送システム
KR101821806B1 (ko) * 2015-10-07 2018-01-24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반송롤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반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12A (ko) * 2009-11-25 2011-06-01 세메스 주식회사 반송 샤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5610A (ja) * 2012-09-20 2014-04-17 Artecon Sagi D ローラ搬送システム
KR101821806B1 (ko) * 2015-10-07 2018-01-24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반송롤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반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56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0113204A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и гусениц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им средством
KR102491488B1 (ko) 기판 이송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US20180016102A1 (en) Adjustable idler support system for conveyor belt
CN105564885A (zh) 可变角度的输送带装置
US2797794A (en) Conveyor belt guide
US9637317B2 (en) Conveyor belt idler systems
US6102194A (en) Pallet type transfer device
KR101195861B1 (ko) 판유리 이송장치
CN105555687A (zh) 用于对载货空间进行装载的转移板
CN206255555U (zh) 皮带运输机的纠偏装置及皮带运输机
AU2021223280B2 (en) Conveyor-belt drum with sliding regions
US2746595A (en) Conveyor belt
CN211034267U (zh) 输送机衔接结构
CN213620699U (zh) 一种应用于贴标机的料带传送辊
KR100826138B1 (ko) 컨베이어용 내마모성 롤러
KR102501880B1 (ko)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KR101811198B1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이탈 방지 장치
KR10184900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US6074723A (en) Rotating mat with holding flaps, for switching machines
CN218260527U (zh) 一种易碎品的物流传送线防偏机构
KR102160851B1 (ko) 대면적 패널용 반송플레이트
KR101185630B1 (ko)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조립체
US8590696B2 (en) Transport apparatus
WO2018072044A1 (es) Rodillo para correa transportadora
KR101339479B1 (ko) 이송장치의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