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044B1 - 멀티 에어건 - Google Patents

멀티 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044B1
KR102491044B1 KR1020220072302A KR20220072302A KR102491044B1 KR 102491044 B1 KR102491044 B1 KR 102491044B1 KR 1020220072302 A KR1020220072302 A KR 1020220072302A KR 20220072302 A KR20220072302 A KR 20220072302A KR 102491044 B1 KR102491044 B1 KR 10249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ischarge
gas
unit
compress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to KR102022007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기체를 일단부로 흡입하여 타단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부, 압축기체를 공급시켜 대상기체와 함께 토출시키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노즐부를 조작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조작부의 압축기체를 노즐부로 공급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체를 공급하여 토출시킴에 따라 어느 한 단부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다른 한 단부로 토출력을 발생시키되, 흡입되는 기체와 함께 토출됨에 따라, 토출력을 더욱 향상시킬 있으며, 향상된 토출력에 의해 흡입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토출 또는 흠입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에어건{Multi air gun}
본 발명은 멀티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체를 공급하여 토출시킴에 따라 어느 한 단부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다른 한 단부로 토출력을 발생시키되, 흡입되는 기체와 함께 토출됨에 따라, 토출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향상된 토출력에 의해 흡입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노즐부를 회전시켜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목적에 따라, 토출 또는 흡입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즐이란 액체 또는 기체를 고속으로 자유공간에 분출시키기 위하여 유체가 유동되는 소정의 유로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재를 의미하며, 다양한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건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94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에어건의 본체 전방과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의 하측을 관통하여 유로가 형성된다.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된 레버 또는 버튼에 의해 밸브가 작동어 유로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기체가 분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에어건은 단순히 압축공기의 토출로 인해 분사범위로만 분사되고, 공기의 압력이 약하므로 소정 부위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대상기체를 일단부로 흡입하여 타단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부, 압축기체를 공급시켜 대상기체와 함께 토출시키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노즐부를 조작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조작부의 압축기체를 노즐부로 공급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여 압축기체를 공급하여 토출시킴에 따라 어느 한 단부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다른 한 단부로 토출력을 발생시키되, 흡입되는 기체와 함께 토출됨에 따라, 토출력을 더욱 향상시킬 있으며, 향상된 토출력에 의해 흡입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토출 또는 흠입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 에어건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대상기체를 일단부로 흡입하여 타단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부, 압축기체를 공급시켜 대상기체와 함께 토출시키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노즐부를 조작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조작부의 압축기체를 노즐부로 공급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부는, 상기 회전연결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타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대상기체가 일단부로 흡입되어 타단부로 토출되고, 타단부가 일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대상기체가 타단부로 흡입되어 일단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는,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상기 회전연결부가 결합되는 노즐블럭, 내부에 메인유로를 갖고, 상기 노즐블럭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노즐유입부, 내부에 토출유로를 갖고, 상기 노즐블럭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노즐토출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기체를 상기 노즐토출부의 토출유로로 공급하도록 상기 노즐유입부에 형성되는 과급토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과급토출로에 의해 과급되는 압축기체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와 토출유로에 송풍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대상기체가 노즐유입부으로 유입되어 압축기체와 함께 노즐배출관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노즐유입부과 노즐토출부은 상기 노즐블럭의 설치공간부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과급토출로는, 상기 노즐유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과급토출로, 일단부가 상기 제1과급토출로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노즐토출부의 토출유로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과급토출로, 및 상기 제2과급토출로에서 토출되는 압축기체를 상기 토출유로로 가이드하도록 토출유로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회전공간부와 압축기체가 공급되기 위한 기체이송로를 갖는 조작몸체, 상기 조작몸체를 파지하기 위한 몸체손잡이, 상기 기체이송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밸브, 및 상기 조작밸브를 조작하여 기체이송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밸브는, 상기 기체이송로 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조작몸체에 형성되는 밸브설치공, 상기 밸브설치공에 설치되기 위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단부가 밸브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밸브샤프트, 상기 밸브샤프트 하단부에 구비되어 밸브몸체와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밸브패킹, 및 상기 밸브샤프트를 상측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밸브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레버에 의해 밸브샤프트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밸브패킹이 밸브몸체와 이격되어 압축기체가 기체이송로로 공급되며, 반대로, 밸브샤프트가 하측으로 눌러진 상태가 해제될 경우, 밸브스프링에 의해 밸브샤프트와 밸브패킹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밸브몸체와의 사이를 밀폐시켜 압축기체의 이송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는, 하단부가 상기 노즐블럭에 체결되고, 상기 조작몸체의 회전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상단부가 조작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연결몸체, 상기 조작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연결몸체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회전연결몸체가 회전공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연결캡, 및 상기 회전연결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기체이송로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상기 과급토출로와 연통되어 압축기체를 공급시키기 위한 회전연결로,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에어건에 의하면, 압축기체를 공급하여 토출시킴에 따라 어느 한 단부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다른 한 단부로 토출력을 발생시키되, 흡입되는 기체와 함께 토출됨에 따라, 토출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향상된 토출력에 의해 흡입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노즐부를 회전시켜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목적에 따라, 토출 또는 흡입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건 사용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건 사용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에어건(10)은 노즐부(100)와 조작부(200), 및 회전연결부(300)를 포함한다.
노즐부(100)는 대상기체를 일단부로 흡입하여 타단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조작부(200)는 압축기체를 공급시켜 대상기체와 함께 토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압축기체는 일 실시 예로,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며, 압축기나 탱크의 압축기체가 공급됨이 당연하다.
회전연결부(300)는 노즐부(100)를 조작부(200)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조작부(200)의 압축기체를 노즐부(100)로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노즐부(100)는 회전연결부(300)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타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대상기체가 일단부로 흡입되어 타단부로 토출된다.
반대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부(100)의 타단부가 일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대상기체가 타단부로 흡입되어 일단부로 토출된다.
다시 말해, 멀티 에어건(10)은 노즐부(1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 단부가 사용자의 전측으로 향하냐에 따라, 기체를 분사시키거나 흡입시키는 것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노즐부(100)를 회전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멀티 에어건(10)은 기체뿐만 아니라, 액체와 고체도 분사 및 흡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를 위한, 노즐부(100)는 노즐블럭(110)과 노즐유입부(120), 노즐토출부(130) 및 과급토출로(140)를 포함한다.
노즐블럭(110)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회전연결부(300)가 결합된다.
그리고 노즐유입부(120)는 내부에 메인유로(122)를 갖고, 노즐블럭(110)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된다.
노즐토출부(130)는 내부에 토출유로(132)를 갖고, 노즐블럭(110)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된다.
또한 과급토출로(140)는 회전연결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기체를 노즐토출부(130)의 토출유로(132)로 공급하도록 노즐유입부(120)에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부(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과급토출로(140)에 의해 과급되는 압축기체에 의해 메인유로(122)와 토출유로(132)에 송풍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대상기체가 노즐유입부(120)로 유입되어 압축기체와 함께 노즐토출부(130)로 토출된다.
여기서, 노즐유입부(120)와 노즐토출부(130)는 노즐블럭(110)의 설치공간부에 나사결합되며, 설치공간부와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이 형성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과급토출로(140)는 제1과급토출로(142)와 제2과급토출로(144) 및 토출가이드로(146)를 포함한다.
제1과급토출로(142)는 노즐유입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제2과급토출로(144)는 복수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제1과급토출로(14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노즐토출부(130)의 토출유로(132)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토출가이드로(146)는 복수의 제2과급토출로(144)에서 토출되는 압축기체를 토출유로(132)로 가이드하도록 토출유로(132) 내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에, 조작부(200)와 회전연결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기체가 토출유로(132) 방향으로 토출시킴에 따라, 노즐부(100)의 일단부로 흡입력이 발생되고, 타단부로 토출력이 발생되되, 흡입력보다 높은 토출력을 발생시킨다.
물론, 토출력이 향상되면 흡입력도 향상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조작부(200)는 조작몸체(210)와 몸체손잡이(220), 조작밸브(230) 및 조작레버(240)를 포함한다.
조작몸체(210)는 회전연결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회전공간부(212)와 압축기체가 공급되기 위한 기체이송로(214)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손잡이(220)는 조작몸체(210)를 파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조작밸브(230)는 기체이송로(214)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조작레버(240)는 조작밸브(230)를 조작하여 기체이송로(214)를 개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조작밸브(2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설치공(231)과 밸브몸체(232), 밸브샤프트(233), 밸브패킹(234) 및 밸브스프링(235)을 포함한다.
밸브설치공(231)은 기체이송로(214) 일부와 연통되도록 조작몸체(210)에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몸체(232)는 밸브설치공(231)에 설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밸브샤프트(233)는 밸브몸체(232)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단부가 밸브몸체(2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밸브패킹(234)은 밸브샤프트(233) 하단부에 구비되어 밸브몸체(232)와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밸브스프링(235)은 밸브샤프트(233)를 상측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부(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조작레버(240)에 의해 밸브샤프트(233)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밸브패킹(234)이 밸브몸체(232)와 이격되어 압축기체가 기체이송로(214)로 공급된다.
반대로, 밸브샤프트(233)가 하측으로 눌러진 상태가 해제될 경우, 밸브스프링(235)에 의해 밸브샤프트(233)와 밸브패킹(234)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밸브몸체(232)와의 사이를 밀폐시켜 압축기체의 이송이 차단된다.
그리고 회전연결부(300)는 회전연결몸체(310)와 회전연결캡(320) 및 회전연결로(330)를 포함한다.
회전연결몸체(310)는 하단부가 노즐블럭(110)에 체결되고, 조작몸체(210)의 회전공간부(2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상단부가 조작몸체(2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회전연결캡(320)은 조작몸체(2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연결몸체(31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회전연결몸체(310)가 회전공간부(2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회전연결캡(320)은 풀림방지너트를 사용하며, 조작몸체(210)와의 사이에 접시스프링와셔가 구비되어 노즐부(100)가 의도하지 않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회전연결로(330)는 회전연결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단부는 기체이송로(214)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과급토출로(140)와 연통되어 압축기체를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연결몸체(310)는 회전공간부(2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회전공간부(212)의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이 형성됨이 당연하다.
10 : 멀티 에어건 100 : 노즐부
110 : 노즐블럭 120 : 노즐유입부
130 : 노즐토출부 140 : 과급토출로
200 : 조작부 210 : 조작몸체
220 : 몸체손잡이 230 : 조작밸브
240 : 조작레버 300 : 회전연결부

Claims (6)

  1. 대상기체를 일단부로 흡입하여 타단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부;
    압축기체를 공급시켜 대상기체와 함께 토출시키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노즐부를 조작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조작부의 압축기체를 노즐부로 공급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회전연결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타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대상기체가 일단부로 흡입되어 타단부로 토출되고,
    타단부가 일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대상기체가 타단부로 흡입되어 일단부로 토출되는 것이며,
    상기 노즐부는,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상기 회전연결부가 결합되는 노즐블럭;
    내부에 메인유로를 갖고, 상기 노즐블럭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노즐유입부;
    내부에 토출유로를 갖고, 상기 노즐블럭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노즐토출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기체를 상기 노즐토출부의 토출유로로 공급하도록 상기 노즐유입부에 형성되는 과급토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과급토출로에 의해 과급되는 압축기체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와 토출유로에 송풍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대상기체가 노즐유입부으로 유입되어 압축기체와 함께 노즐배출관으로 토출되며,
    상기 과급토출로는,
    상기 노즐유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과급토출로;
    일단부가 상기 제1과급토출로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노즐토출부의 축소 단면부분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과급토출로; 및
    상기 제2과급토출로에서 토출되는 압축기체를 상기 토출유로로 가이드하도록 토출유로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하단부가 상기 노즐블럭에 체결되고, 조작몸체의 회전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상단부가 조작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연결몸체;
    상기 조작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연결몸체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회전연결몸체가 회전공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연결캡; 및
    상기 회전연결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단부는 기체이송로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상기 과급토출로와 연통되어 압축기체를 공급시키기 위한 회전연결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회전공간부와 압축기체가 공급되기 위한 기체이송로를 갖는 조작몸체;
    상기 조작몸체를 파지하기 위한 몸체손잡이;
    상기 기체이송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밸브; 및
    상기 조작밸브를 조작하여 기체이송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멀티 에어건.
  6. 삭제
KR1020220072302A 2022-06-14 2022-06-14 멀티 에어건 KR10249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02A KR102491044B1 (ko) 2022-06-14 2022-06-14 멀티 에어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02A KR102491044B1 (ko) 2022-06-14 2022-06-14 멀티 에어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044B1 true KR102491044B1 (ko) 2023-01-26

Family

ID=8511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02A KR102491044B1 (ko) 2022-06-14 2022-06-14 멀티 에어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99U (ko) * 1998-11-14 1999-02-25 이황우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JP2004298765A (ja) * 2003-03-31 2004-10-28 Ikeuchi:Kk 気液混合装置
JP2006167599A (ja) * 2004-12-16 2006-06-29 Ikeuchi:Kk 二流体ノズル
KR200474528Y1 (ko) * 2013-05-22 2014-09-29 (주)상진에어백 에어 건
KR200480921Y1 (ko) * 2015-04-07 2016-07-22 번-와이 랴오 흡입 전환 및 고압 분사 기능을 갖는 노즐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99U (ko) * 1998-11-14 1999-02-25 이황우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JP2004298765A (ja) * 2003-03-31 2004-10-28 Ikeuchi:Kk 気液混合装置
JP2006167599A (ja) * 2004-12-16 2006-06-29 Ikeuchi:Kk 二流体ノズル
KR200474528Y1 (ko) * 2013-05-22 2014-09-29 (주)상진에어백 에어 건
KR200480921Y1 (ko) * 2015-04-07 2016-07-22 번-와이 랴오 흡입 전환 및 고압 분사 기능을 갖는 노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2777B2 (en) Single valve ready to use hose end sprayer
JPH01123650A (ja) 吹付け器の塗料容器・蓋組立体
KR200239294Y1 (ko) 다기능용 에어건.
US20090004028A1 (en) Device for Guiding Powdery Fluidic Media
US7325752B2 (en) Single valve ready to use hose end sprayer
KR20050041951A (ko) 호스 단부용 스프레이어
EP1634652A1 (en) Cap with a suction type spray head
KR102491044B1 (ko) 멀티 에어건
TW202000313A (zh) 美工噴塗槍
WO2002047155A1 (fr) Support
TWM549070U (zh) 噴霧式鼻腔清洗裝置
JPH07265750A (ja) エアスプレーガン
KR10189266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JP5995317B2 (ja) スプレーガン
JP3181949U (ja) スプレーガン
CN209347833U (zh) 一种雾化装置
KR200236655Y1 (ko) 흡입포트에 개폐밸브를 장착한 스프레이건
JP2620758B2 (ja) 建築用吹付ガン
CN219129602U (zh) 一种倒喷喷雾阀
JPH0341812Y2 (ko)
CN109350811A (zh) 一种雾化装置
JP2665871B2 (ja) 噴霧器
JPS6146240Y2 (ko)
WO2019140590A1 (zh) 一种喷雾仪
KR20020001082A (ko) 다목적 살포기의 약제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