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28Y1 - 에어 건 - Google Patents

에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28Y1
KR200474528Y1 KR2020130004051U KR20130004051U KR200474528Y1 KR 200474528 Y1 KR200474528 Y1 KR 200474528Y1 KR 2020130004051 U KR2020130004051 U KR 2020130004051U KR 20130004051 U KR20130004051 U KR 20130004051U KR 200474528 Y1 KR200474528 Y1 KR 200474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assage
adapter
port
valv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일
Original Assignee
(주)상진에어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진에어백 filed Critical (주)상진에어백
Priority to KR2020130004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a fluid close to a change of 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백에 간편하게 주입하고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할 수 있는 에어 건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건 바디, 절환튜브, 공기유도관, 밸브기구와 어댑터로 구성되어 있다. 건 바디는, 선단 포트와 후단 포트를 갖는 제1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총신과, 총신의 뒤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와 제1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유출구를 갖는 제2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한쪽에 제2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밸브 스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절환튜브는 제1 공기통로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선단 포트와 후단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할 수 있도록 제1 공기통로 안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 공기통로와, 제1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제1 말단과 제2 말단을 관통하고 있는 안쪽 공기통로와, 바깥쪽 공기통로와 안쪽 공기통로를 연결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 공기통로에서 제1 말단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분출통로들을 구비한다. 공기유도관은 절환튜브를 제1 공기통로 안에 구속하도록 후단 포트에 결합되어 있고, 안쪽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제3 공기통로를 구비한다. 밸브기구는 제2 공기통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밸브 스템 구멍에 장착되어 있는 밸브 스템을 구비한다. 어댑터는 선단 포트에 공기주입구와 접속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선단 포트와 연통되는 보어를 갖는다. 공기주입구의 구멍에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체크밸브를 눌러서 열어줄 수 있는 푸셔가 어댑터의 보어 안에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공기통로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에 의하여 에어백 등에 많은 양의 공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튜브에 의하여 절환하여 에어백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건{AIR GUN}
본 고안은 에어 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백(Air bag) 등에 간편하게 주입하고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할 수 있는 에어 건에 관한 것이다.
에어 건은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등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의 하나이다. 에어 건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다. 에어 스프레이 건(Air spray gun)은 압축공기에 의하여 페인트를 분사하여 도장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에어 더스터 건(Air duster gun)은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에어 인젝터(Air injector)는 타이어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42986호의 에어 건은 제1 및 제2 오링(O-ring)과 패킹(Packing)에 의하여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가 압축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200호의 에어 건은 손잡이에 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레버가 장착되어 있고, 레버의 작동 범위가 나사의 체결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 건은 에어백, 풍선, 애드벌륜(Ad balloon), 에어 매트리스(Air mattress) 등 많은 양의 공기를 한꺼번에 주입해야 하는데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한편, 컨테이너(Container) 등에 적재되는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빈 공간을 포장용 에어백에 의하여 충전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 에어백은 사용 후 공기를 배기하여 다시 사용해야 하는 바, 에어백의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 건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에 의하여 에어백 등에 많은 양의 공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는 새로운 에어 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에어 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의 공기주입구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어 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어 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 건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은, 선단 포트와 후단 포트를 갖는 제1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총신과, 총신의 뒤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와 제1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유출구를 갖는 제2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한쪽에 제2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밸브 스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건 바디와; 제1 공기통로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선단 포트와 후단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할 수 있도록 제1 공기통로 안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 공기통로와, 제1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제1 말단과 제2 말단을 관통하고 있는 안쪽 공기통로와, 바깥쪽 공기통로와 안쪽 공기통로를 연결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 공기통로에서 제1 말단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분출통로들을 구비하는 절환튜브와; 절환튜브를 제1 공기통로 안에 구속하도록 후단 포트에 결합되어 있고, 안쪽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제3 공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도관과; 제2 공기통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밸브 스템 구멍에 장착되어 있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는 밸브기구와; 선단 포트에 공기주입구와 접속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선단 포트와 연통되는 보어를 갖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공기주입구의 구멍에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체크밸브를 눌러서 열어줄 수 있는 푸셔가 어댑터의 보어 안에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은,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공기통로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에 의하여 에어백 등에 많은 양의 공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튜브에 의하여 절환하여 에어백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Adapter)가 에어백의 공기주입구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 의하여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 의하여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서 어댑터와 공기주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6에서 공기주입구의 체크밸브가 열려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건 바디(Gun body: 10)를 구비한다. 건 바디(10)는 총신(Gunbarrel: 12)과, 총신(12)의 뒤쪽에서 아래쪽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14)를 구비한다. 총신(12)은 선단과 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공기통로(16)를 갖는다. 제1 공기통로(16)는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포트(Front end port: 18)와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단 포트(Rear end port: 20)를 연결하고 있다. 암나사(22)가 후단 포트(20)에 형성되어 있다. 멜빵 등을 걸어 맬 수 있는 고리(24)가 총신(12)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4)는 총신(12)의 후단과 이웃하는 총신(12)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다. 제2 공기통로(26)가 손잡이(14)의 하단으로부터 제1 공기통로(16)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기통로(26)는 손잡이(14)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28)와 제1 공기통로(16)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30)를 갖는다. 밸브 스템 구멍(Valve stem hole: 32)이 제1 공기통로(16)와 연통되도록 손잡이(14)의 전면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단(Step: 34)이 유출구(30)와 이웃하도록 제1 공기통로(16)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34)은 후단 포트(20)을 향하도록 선단 포트(18)과 유출구(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튜브 피팅(Tube fitting: 40)이 제2 공기통로(26)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2 공기통로(26)의 유입구(28)에 접속되어 있다. 튜브 피팅(40)은 에어파이프라인(Air pipeline)으로 에어호스(Air hose: 42)에 의하여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연결된다. 압축공기 공급장치는 공지의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압축공기를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봄베(Bomb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은 제2 공기통로(26)를 통하여 제1 공기통로(16)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할 수 있도록 제1 공기통로(16) 안에 장착되어 있는 절환튜브(50)를 구비한다. 절환튜브(50)는 단(34)에 지지되어 제1 공기통로(16) 안에서의 위치가 구속된다. 절환튜브(50)는 제1 말단(52), 제2 말단(54), 제1 공기통로(16)와 연통되도록 제1 말단(52)과 제2 말단(54)을 관통하고 있는 안쪽 공기통로(56)를 구비한다. 단(58)이 제1 말단(52)을 향하도록 안쪽 공기통로(56)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58)은 제2 말단(54)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깥쪽 공기통로(60)가 절환튜브(50)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바깥쪽 공기통로(60)는 채널(Channel) 형태로 절환튜브(5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공기분출통로(62)들이 안쪽 공기통로(56)와 바깥쪽 공기통로(60)를 연결하도록 절환튜브(50)의 외면과 단(58)을 관통하고 있다. 공기는 공기분출통로(62)들을 통하여 단(58)의 앞쪽으로 분출된다. 한 쌍의 오링(O-ring: 64a, 64b)들이 제1 공기통로(16)와 절환튜브(5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절환튜브(50)의 외면 양쪽에 장착되어 있다.
공기유도관(70)이 후단 포트(20)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공기유도관(70)은 제1 공기통로(16)와 연통되는 제3 공기통로(72)를 구비한다. 수나사(74)가 암나사(22)에 체결할 수 있도록 공기유도관(70)의 한쪽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도관(70)의 나사 체결 시 공기유도관(70)의 한쪽 끝은 제1 공기통로(16) 안에 장착되어 있는 절환튜브(50)를 지지하여 절환튜브(50)를 구속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2 공기통로(26)를 여닫는 밸브기구(Valve mechanism: 80)를 구비한다. 밸브기구(80)는 엔드 캡(End cap: 82), 밸브 스템(Valve stem: 84), 버튼(Button: 86), 리턴스프링(Return spring: 88)과 레버(Lever: 90)로 구성되어 있다.
엔드 캡(82)은 밸브 스템 구멍(32)에 결합되어 있다. 엔드 캡(82)은 밸브 스템 구멍(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어(Bore: 82a)와, 외면에 보어(82a)와 유출구(3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82b)를 갖는다. 밸브 스템(84)은 밸브 스템(84)은 제2 공기통로(26)를 여닫는 개방위치(P1)와 폐쇄위치(P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엔드 캡(82)의 보어(82a)를 통하여 밸브 스템 구멍(32)에 끼워져 있다.
밸브체(84a)가 밸브 스템(84)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84a)는 엔드 캡(82)의 보어(82a)를 여닫으며, 엔드 캡(82)의 말단에 밀착되어 밸브 스템(84)의 폐쇄위치(P2)를 구속한다. 밸브 스템(84)의 한쪽 끝은 보어(82a)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버튼(86)은 보어(82a)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밸브 스템(84)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다. 리턴스프링(88)은 밸브 스템 구멍(32)에 장착되어 있고, 밸브 스템(84)이 개방위치(P1)로부터 폐쇄위치(P2)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리턴스프링(88)은 버튼(86)에 지지되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90)는 버튼(86)을 눌러줄 수 있도록 손잡이(14)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총신(12)에 피벗(Pivot: 9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은 총신(12)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어댑터(100)를 구비한다. 어댑터(100)는 공기 주입 대상물, 예를 들면 에어백(110)의 공기주입구(112)에 접속된다. 공기주입구(112)는 공기의 주입을 위한 구멍(114)을 갖는다. 체크밸브(Check valve: 116)가 공기주입구(112)에 구멍(114)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100)는 총신(12)의 선단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어(102)를 갖는다. 총신(12)과 어댑터(100)는 나사 체결에 의하여 결합된다. 어댑터(100)의 선단에 체크밸브(116)를 눌러서 열어줄 수 있는 푸셔(Pusher: 104)가 형성되어 있다. 푸셔(104)는 보어(102) 안에 십자형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리브(Rib: 104a)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100)이 구멍(114)에 끼워질 때 리브(104a)들의 교차부분은 체크밸브(116)를 눌러 체크밸브(116)를 열어주게 된다.
공기주입구(112)의 선단과 연결되어 있는 입구(118a)를 갖는 결합홈(118)이 구멍(114)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06)가 어댑터(10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06)는 입구(118a)를 통하여 결합홈(118)에 끼워진다. 결합돌기(106)가 결합홈(118)에 끼워지면, 어댑터(100)가 공기주입구(112)의 구멍(114)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에어백(11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공기주입구(112)의 구멍(114)에 어댑터(100)를 결합한다. 사용자는 손잡이(14)를 잡고, 입구(118a)에 결합돌기(106)를 맞춘 상태에서 구멍(114) 안으로 어댑터(100)를 끼워 넣은 후, 어댑터(100)를 회전시켜 결합돌기(106)를 결합홈(118)에 결합한다. 이때, 리브(104a)들의 교차부분은 체크밸브(116)를 눌러서 구멍(114)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06)가 결합홈(118)에 끼워지면, 어댑터(100)가 공기주입구(112)의 구멍(114)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주입 중에 어댑터(100)가 공기주입구(1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공기 주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튜브 피팅(40)에 에어호스(42)를 연결하고, 컴프레서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면, 압축공기는 에어호스(42)와 튜브 피팅(40)을 통하여 제2 공기통로(26) 안으로 공급된다. 사용자가 레버(90)를 당기면, 레버(90)가 버튼(86)을 누르게 된다. 버튼(86)이 눌러지면, 밸브 스템(84)이 폐쇄위치(P2)로부터 개방위치(P1)로 이동되고, 제2 공기통로(26)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압축공기는 제2 공기통로(26)를 통하여 공기분출통로(62)로 흐르게 된다.
다음으로, 압축공기는 유출구(30), 절환튜브(50)의 바깥쪽 공기통로(60), 공기분출통로(62)들을 통하여 안쪽 공기통로(56)에 분사된다. 공기분출통로(62)들이 선단 포트(18)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압축공기는 선단 포트(18)를 향하여 안쪽 공기통로(56)에 분사된다. 압축공기는 안쪽 공기통로(56)와 제1 공기통로(16)를 따라 흘러 선단 포트(18)를 통하여 분사된다.
압축공기가 선단 포트(18)를 통하여 분사되면, 후단 포트(20) 주위의 제3 공기통로(72) 안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공기의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공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가 공기유도관(70)의 제3 공기통로(72)에 유입된다. 제3 공기통로(7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안쪽 공기통로(56)에서 압축공기와 합류된 후, 제1 공기통로(16)를 따라 흘러 선단 포트(18)를 통하여 분사된다. 사용자가 당겼던 레버(90)를 놓으면, 리턴스프링(88)이 복원되면서 개방위치(P1)로부터 폐쇄위치(P2)로 밸브 스템(84)을 이동시켜 제2 공기통로(26)를 폐쇄시키게 되고,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 의해서는 에어백(110)의 공기주입구(112)를 통하여 에어백(110)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나사(74)와 암나사의 체결을 풀어 후단 포트(20)로부터 공기유도관(70)을 분리시킨다. 사용자는 절환튜브(50)를 제1 공기통로(16)로부터 분리한 후, 공기분출통로(62)들이 후단 포트(20)를 향하도록 절환튜브(50)를 제1 공기통로(16)에 다시 장착하고, 수나사(74)와 암나사(22)를 체결하여 후단 포트(20)에 공기유도관(70)을 결합시킨다.
사용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112)의 구멍(114)에 어댑터(100)를 결합하여 체크밸브(116)를 열어준 후, 레버(90)를 당겨 제2 공기통로(26)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압축공기는 제2 공기통로(26), 바깥쪽 공기통로(60)와 공기분출통로(62)들을 지나 후단 포트(20)를 향하여 안쪽 공기통로(56)에 분사된 후, 제1 공기통로(16)를 지난 후 제3 공기통로(72)를 통하여 공기유도관(70) 밖으로 분사된다. 후단 포트(20)를 통한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선단 포트(18)의 주위에 공기의 흡입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열려있는 공기주입구(112)의 구멍(114)을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배기되고, 배기되는 공기는 선단 포트(18), 제1 공기통로(16), 안쪽 공기통로(56)와 제3 공기통로(72)를 통하여 압축공기와 함께 공기유도관(70) 밖으로 신속하게 배기된다.
도 6과 도 7에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건에서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도 7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어댑터(120)는 공기주입구(112)의 구멍(114)가 연통되는 보어(122)와, 보어(122) 안에 장착되어 있고 체크밸브(116)를 밀어서 열어주는 푸셔(124)를 구비한다. 보어(122)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관통구멍(126)들이 어댑터(120)의 선단과 이웃하는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Ball: 130)들 각각이 보어(122) 안으로 돌출되어 공기주입구(11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12a)에 맞춤되도록 관통구멍(126)들에 장착되어 있다. 볼(130)들 각각은 관통구멍(126)들에 출몰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Sleeve: 140)가 어댑터(120)의 외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140)는 볼(130)들을 가압하여 볼(130)들이 홈(112)에 맞춤되도록 어댑터(120)의 보어(122) 안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위치(P3)와 볼(130)들의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P4) 사이를 이동한다. 리턴스프링(150)이 어댑터(120)와 슬리브(1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리턴스프링(150)은 슬리브(140)가 볼(130)들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푸싱 핀(Pushing pin: 160)이 푸셔(124)의 중앙을 통과하여 체크밸브(116)를 밀어서 열어줄 수 있도록 보어(122) 안에 추가로 장착되어 있다. 리턴스프링(162)이 푸싱 핀(160)이 체크밸브(116)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보어(122) 안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어댑터(120)는 볼(130)들이 보어(122)의 내면에 돌출되어 홈(112a)에 맞춤되는 것에 의하여 공기주입구(112)에 결합된다. 공기주입구(112)와 어댑터(120)의 결합 시, 푸셔(124)와 푸싱 핀(160)은 체크밸브(116)를 밀어서 열어주게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116)를 통하여 공기의 주입과 배기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돌출위치(P3)로부터 해제위치(P4)로 슬리브(140)를 당겨 이동시키면, 슬리브(140)에 의한 볼(130)들의 가압이 해제된다. 사용자가 에어 건(10)을 당기면, 볼(130)들이 홈(11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공기주입구(112)와 어댑터(12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슬리브(140)를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리턴스프링(160)이 돌출위치(P3)로 복귀되어 볼(130)들을 가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건 바디 12: 총신
14: 손잡이 16: 제1 공기통로
18: 선단 포트 20: 후단 포트
26: 제2 공기통로 28: 유입구
30: 유출구 32: 밸브 스템 구멍
50: 절환튜브 56: 안쪽 공기통로
60: 바깥쪽 공기통로 62: 공기분출통로
70: 공기유도관 72: 제3 공기통로
80: 밸브기구 82: 엔드캡
84: 밸브 스템 86: 버튼
88: 리턴스프링 90: 레버
100: 어댑터 104: 푸셔
110: 에어백 112: 공기주입구
116: 체크밸브 120: 어댑터
130: 볼 140: 슬리브
150: 리턴스프링 160: 푸싱 핀

Claims (5)

  1. 선단 포트와 후단 포트를 갖는 제1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총신과, 상기 총신의 뒤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와 상기 제1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유출구를 갖는 제2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한쪽에 상기 제2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밸브 스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건 바디와;
    상기 제1 공기통로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상기 선단 포트와 상기 후단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기통로 안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 공기통로와, 상기 제1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제1 말단과 제2 말단을 관통하고 있는 안쪽 공기통로와, 바깥쪽 공기통로와 상기 안쪽 공기통로를 연결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쪽 공기통로에서 상기 제1 말단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분출통로들을 구비하는 절환튜브와;
    상기 절환튜브를 상기 제1 공기통로 안에 구속하도록 상기 후단 포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쪽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제3 공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도관과;
    상기 제2 공기통로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스템 구멍에 장착되어 있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는 밸브기구와;
    상기 선단 포트에 공기주입구와 접속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 포트와 연통되는 보어를 갖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의 구멍에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를 눌러서 열어줄 수 있는 푸셔가 상기 어댑터의 보어 안에 구비되어 있는 에어 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밸브 스템 구멍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밸브 스템의 한쪽 끝이 밖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보어가 형성되어 있는 엔드 캡과;
    상기 밸브 스템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버튼과;
    상기 밸브 스템 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스템이 상기 제2 공기통로를 닫아주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버튼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총신에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에어 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선단과 연결되어 있는 입구를 갖는 결합홈이 상기 공기주입구의 구멍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를 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어댑터의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 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선단과 이웃하는 외면에 복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의 보어 안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들 각각에 복수의 볼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볼들을 가압하여 상기 어댑터의 보어 안으로 돌출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복수의 볼들의 가압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어댑터의 외면에 슬리브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복수의 볼들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이 상기 어댑터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중앙에 상기 체크밸브를 눌러서 열어줄 수 있는 푸싱 핀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푸싱 핀이 상기 체크밸브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이 상기 어댑터의 보어 안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건.
KR2020130004051U 2013-05-22 2013-05-22 에어 건 KR200474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051U KR200474528Y1 (ko) 2013-05-22 2013-05-22 에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051U KR200474528Y1 (ko) 2013-05-22 2013-05-22 에어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528Y1 true KR200474528Y1 (ko) 2014-09-29

Family

ID=5199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051U KR200474528Y1 (ko) 2013-05-22 2013-05-22 에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044B1 (ko) * 2022-06-14 2023-01-26 주식회사 남부 멀티 에어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99U (ko) * 1998-11-14 1999-02-25 이황우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KR200390972Y1 (ko) * 2005-05-11 2005-07-28 서성광 에어건용 에어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99U (ko) * 1998-11-14 1999-02-25 이황우 흡입 및 불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건
KR200390972Y1 (ko) * 2005-05-11 2005-07-28 서성광 에어건용 에어량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044B1 (ko) * 2022-06-14 2023-01-26 주식회사 남부 멀티 에어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730B (zh) 喷射装置器械
US9133970B2 (en) Attachment for different air valves
US20030192619A1 (en) Air pump for bicycles
US9550333B2 (en) Sealant dispenser
US9989179B2 (en) Attachment for different air valve
TW201620617A (zh) 補膠器構造
CN103619383A (zh) 无针注射器杆组件
US20150136807A1 (en) Press head assembly
KR102324443B1 (ko) 압축 공기 저장용 카트리지
KR200448964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US7856969B2 (en) Air gun
KR200474528Y1 (ko) 에어 건
US20130126771A1 (en) Attachment for different air valves
KR20180110421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휴대형 구강 세정기
KR100946284B1 (ko) 물총완구
US9702471B1 (en) Attachment for different air valve
TWI509173B (zh) Single mouth type nozzle and direct pressure double valve mouth automatically switch the nozzle head
CN106334640B (zh) 一种弹簧式自动喷涂连体喷头
KR102102602B1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WO2014193053A1 (ko) 다용도 분사장치
US10408203B2 (en) Hand air pump with air accumulation function
KR100855445B1 (ko) 좌우대칭의 버튼식 에어리스펌핑구조
GB2514853A (en) Sealant injection gun
KR20210015019A (ko) 흑채 자동 분사 장치
KR101415618B1 (ko) 캔스프레이용 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