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372B1 - 압력조절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조절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372B1
KR102490372B1 KR1020220146982A KR20220146982A KR102490372B1 KR 102490372 B1 KR102490372 B1 KR 102490372B1 KR 1020220146982 A KR1020220146982 A KR 1020220146982A KR 20220146982 A KR20220146982 A KR 20220146982A KR 102490372 B1 KR102490372 B1 KR 10249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hose
compression sleeve
rubber
inner diameter
slee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림
Original Assignee
최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림 filed Critical 최창림
Priority to KR102022014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1Joining by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호스의 복원력과 탄성력에 의해서,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게 하는 제작기법과, 고무본드를 고무호스의 내부에, 일정 양을 주입하여, 그 고무호스 양쪽을 밀봉하여서, 고무호스 내부에 주입이 되었던, 고무본드에 합성이 되어있는 석유 화학 성분은, 고무호스의 내부 및 내경에서, 그 외부로 배출이 되면서, 물리적인 특성들이 발생되고, 그 특성에 의해서 고무호스가 실리콘성의 재질화로 변질되며, 본 재질에서 심하게 연질화가 되면서 강해지고, 부드러워 지며, 또한 고무본드는, 그 고무호스의 내부 및 내경에서, 점착이 되면서 굳어지게 되고, 코팅이 되어 지면서, 탄력성과 복원력이 월등히 강해지는, 물리적인 특성에 현상들을 기능화하며, 인용 되도록 해서, 창의적인 주액고착의 제작법으로 결합이 되게 하여, 종래의 현가장치에 대비하여, 새로운 현가장치의 기능과, 성능으로 작동을 이루게 하는, 발명 제작된 충격완화 장치이며,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라고 한다면, 스프링과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 등, 충격 완화에 기능을 이루게 하는, 각기의 부속 체들이 합체가 되고, 결합이 되면서, 각 부속 체의 기능들이, 서로 합성 일체화를 이루며, 원만한 충격 완화의 기능을 이루면서도, 원활하게 복원이 될 수가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에 구성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 현가장치는 금속에 구성 부재들이 아닌, 대부분 탄성 고무에 구성 부재들로, 결합을 이루고 있지만, 압력조절 기능 및 고무성의 탄력성과, 압력 주입에 의해서 늘어나고 줄어드는 고무호스의 특성 및 내부고무호스에 응축현상, 그리고 그에 따른 반동력의 변화, 이런 모든 특성들이, 기술적인 부속에 기능이 되도록 하고, 구성체를 이루게 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핵심 공법이 되게 하여, 보다 완벽한 충격완화 장치를 제작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고무본드를 고무호스의 내부에 주입하고 밀봉을 하여서, 고무호스재질이 실리콘성에 연질화가 되면서 강해지며, 복원력과 탄성력 또한, 그 본 재질에 대비하여, 월등히 강해지는, 물리적인 특성에 현상들을, 기술적인 기능화가 되게 하였던, 새로운 제작기법이며, 대부분의 결합과정이 각 구성 부재들의 '끼워 맞춤고박' 이후에, 고무호스의 내부 및 그 외경에서 발생이 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해서,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그 간접결합이 된, 상부 하부 압착슬리브관의 양쪽 종단 부를, 최종 압착을 함으로 해서,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을, 동시에 이루는, 주액고착의 기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패킹이 결합되며 제작되었던, 종래에 피스톤 작동방식의,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와 같은, 현가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힘을 흡수하며 완화되도록 하고, 다시 복원이 되도록 하는 기능 과정에서, 수많은 반복 작동이 되어도, 마모가 되면서 기능 상실을 유발하는 패킹(packing)에 결합은, 존재하지가 않기 때문에, 현가장치로서의 작동 기능과 성능이,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며, 종래의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와 같은, 패킹결합에 현가장치의 작동성과 기능성에 대비하여, 보다 향상되고 창의적인, 현가장치의 기능과 성능으로 작동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무본드와 고무호스를, 합성일체화가 되게 하여, 압력완충기에 기능을 이루게 하는, 기술적인 제작법에 대해서는, 새로운 발명 기술이라고, 인정 되어야 될 것이며, 향후 진보적인 개발과, 완충기에 무한 발전에 대해서도, 사회적 관심을 받기에는, 충분한 발명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현가장치의 제작 과정을, 첨부된 사진을 참조하여, 간추려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호스(6)하부의 내부에는, 팝너트 봉(3)을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팝너트 봉(3)의 머리 둘레와, 고무호스(6)하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고무호스(6)상부의 내부에는, 고무본드(7)를 주입하고, 내부고무호스(4)를 삽입하고, 슈레더 밸브(5)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슈레더 밸브(5)의 원통 둘레와, 고무호스(6)상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에, 테이프(8)를 감고 난후, 테이프(8)가 감겨진,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부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부의 내경이, 각기 서로 삽입되며 교차가 되도록 해서,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상부 하부 압착슬리브관(9)(10) 상단과 하단의 내경과,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 부와,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 부를, 압착을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을 동시에 이루며, 제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이며, 오토바이와 자동차 및 자전거 등, 현가장치의 기능을 필요로 하는 부속체로 결합이 돼서, 상용화 되는 것이 적합하며, 고무본드 주입에 의해서, 고무호스가 실리콘성에 연질화로, 변질이 되는 특성에 의해서, 본 현가장치는 지속적인 복원력과 탄력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쿠션 의자와 침구류 및 소파 등, 압력 조절 방식에 완충기능을 필요로 하는, 일반 가구 및 생활 용품들의 부속체로 결합되며 상용화 되는 것도 무난할 것이다.

Description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
본 발명은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호스의 복원력과 탄성력에 의해서,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게 하는 제작기법과, 고무본드를 고무호스의 내부에, 일정 양을 주입하여, 그 고무호스 양쪽을 밀봉하여서, 고무호스 내부에 주입이 되었던, 고무본드에 합성이 되어있는 석유 화학 성분은, 고무호스의 내부 및 내경에서, 그 외부로 배출이 되면서, 물리적인 특성들이 발생되고, 그 특성에 의해서, 고무호스가 실리콘성의 재질화로 변질되며, 본 재질에서 심하게 연질화가 되면서 강해지고, 부드러워 지며, 또한 고무본드는, 그 고무호스의 내부 및 내경에서, 점착이 되면서 굳어지게 되고, 코팅이 되어 지면서, 탄력성과 복원력이 월등히 강해지는, 물리적인 특성에 현상들을 기능화하며, 인용 되도록 해서, 창의적인 주액고착의 제작법으로 결합이 되게 하여, 종래의 현가장치에 대비하여, 새로운 현가장치의 기능과, 성능으로 작동을 이루게 하는, 발명 제작된 충격완화 장치이며,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라고 한다면, 스프링과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 등, 충격 완화에 기능을 이루게 하는, 각기의 부속 체들이 합체가 되고 결합이 되면서, 각 부속 체의 기능들이, 서로 합성 일체화를 이루며, 원만한 충격 완화의 기능을 이루면서도, 원활하게 복원이 될 수가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에 구성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 현가장치는, 금속에 구성 부재들이 아닌, 대부분 탄성 고무에 구성 부재들로 결합을 이루고 있지만, 압력조절 기능 및 고무성의 탄력성과, 압력 주입에 의해서 늘러나고 줄어드는 고무호스의 특성 및, 내부고무호스에 응축 현상, 그리고 그에 따른 반동력의 변화, 이런 모든 특성들이, 기술적인 기능의 부속이 되도록 하고, 구성체를 이루게 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에, 핵심 공법이 되게 하여, 보다 완벽한 충격완화 장치를 제작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종래에 가장 완벽한 완충기라고 한다면, 금속 봉을 나선 코일 방식으로 제작하여, 완충기능을 이루는, 스프링이라고 할 수 있다. 스프링은 아주 오래전부터 현재 지금까지도, 영원불변 하게 완충기능의 부속 체로 사용 되고 있으며, 그래서 향후에도 스프링을 대등하는 완충기는, 이제 더 이상은, 발명이 되서 나올 수가 없을 것이다, 라고 판단이 될 정도로, 완벽한 완충기 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과 같은, 완충기의 기능 및 복원과 반동력과 탄력이 원만하게 조절이 되는,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도록 하기위한 목적으로, 발명이 되어 졌으며, 고무호스의 복원력과 탄력성에 의한 반동력에 의해서 작동이 되며, 무엇보다 고무호스 양쪽을 밀봉하여, 그 내부에 주입이 되는, 공기(가스) 압력에 의해서, 반동력과 복원력이 조절이 되며,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게 하는 제작법으로서, 물리적인 특성에 현상들을 기능화 하여서, 그 구성체를 이루었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라고 한다면, 고무본드를 고무호스의 내부에, 주입을 하는 것으로서, 고무본드 주입이, 첨부된 사진속의 호스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아무리 투박하고 비 연질성에 일반 고무호스라고 할지라도, 그 본 재질이 고무의 재질이라면, 고무본드를 내부에 주입하고 밀봉을 하고나면, 그 고무호스는 실리콘성에 연질화로, 변질이 되면서 부드러워지고, 단지 고무호스는 반드시, 밀봉이 되어져 있어야 지만이, 고무호스가 실리콘성의 재질화로 변질이 되면서, 주입된 고무본드에 의한, 물리적인 특성의 현상이 발생되며, 연질화가 될 수 있다.
고무본드와 고무호스를, 합성일체화가 되게 하여, 압력완충기에 기능을 이루게 하는, 기술적인 제작법에 대해서는, 새로운 발명 기술이라고 인정 되어야 될 것이며, 향후 진보적인 개발과, 완충기에 무한 발전에 대해서도, 사회적 관심을 받기에는, 충분한 발명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현가장치의 내부에 주입이 되는, 공기(가스) 압력에 의해서, 고무본드와 그 내부에 삽입이 되는, 내부고무호스에 수축과 응축 현상에 의해서, 모든 탄성력과 반동력과 복원력이, 조절이 될 수가 있다는 것이, 본 발명 현가장치의 기능에 장점이자,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스프링은 복원력이 완벽하다, 라고 하지만, 충격에서 받은 힘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다시 반동력으로 되돌려 보낼 수밖에 없도록 제작되어 졌기 때문에, 최고의 반동완충기 기능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반동기가 아닌, 충격완화 장치라고 하는, 현가장치의 기능성을 이루는 데에는, 더 추가적인 기술 장치에 결합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며, 그래서 그런 단점과, 독보적인 단독 부속 체로서는, 최상에 반동완충기의 기능을, 실행할 수가 있다는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똑같은 공간 부피 내에서, 완충 작동이 될 때, 금속 재질의 스프링에 대비하여, 본 현가장치는 그 강도와 반동력의 힘과 기능은 약하지만, 실리콘 재질에 합성 고무호스 또한, 그 복원력이 영구적이다, 할 정도로 매우 우수하며,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는 데에는, 충격에서 받은 힘을 고무의 탄성과 압력에 의해서, 흡수가 되고 완화가 되면서, 충격의 힘이 그대로 소멸이 되기 때문에, 충격에서 받은 힘을, 스프링과 같은 조건 반사적으로, 똑같은 힘에 반동력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 아니라, 주입된 압력과 고무호스의 장력에 의한 탄성력으로, 충격의 힘은 완화가 되고, 압력과 고무호스 그 자체적인 복원력으로, 다시 복원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충격에서 받은 힘을, 똑같은 힘으로 되돌려 보내는, 반동 완충기로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스프링의 반동력에 대비하여 부족하지만,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는 데에는, 압력주입에 의한 조절력과, 고무 재질 특유에 탄력성과 푹신함, 그리고 그에 따른 우수한 복원력이 장점이며, 슈레더 밸브에 압력을 주입하는 기능으로서, 탄성력과 반동력이 다양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발명특허, (문헌1) - KR 제10-1769698호 B1(2017,08,21)의 발명에 대하여, 부족함을 발견하고, 또한 그 기능에 대하여, 실질적인 사회적 상용성을 이루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을 발견하게 되면서, 그 단점을 보완하며 진보성을 이루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문헌1)의 제작법에 대비하여 본 발명 제작법은, 순간접착제를 고무호스의 내부와 그 외경에서 발생이 되는, 틈 사이에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이후 상부와 하부 압착슬리브 관의 양쪽 종단 부를, 압착을 함으로 해서,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이, 동시에 시공 될 수가 있도록 하는, 창의적인 주액고착의 결합법으로서, 그래서 제작법에 있어서는, (문헌1)의 제작법에 대비하여 매우 간편하면서도 완벽하고,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이, 동시에 시공 되면서도, 더욱더 완벽하고 강력하게, 시공 될 수가 있도록 하는 제작법으로, (문헌1)의 제작법에 대비하여, 실용가치적인 상용성과, 보다 발전된 기능과 성능의 작동을 이루는, 실질적인 제작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헌1)의 제작법을 보게 되면, 그 고무호스의 하부에는, 팝너트 봉이, 결합 되질 않기 때문에, 완충기가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작동되게 되면, 그 고무호스는 휘어지면서, 꺽 여지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완충기로서의 기능은, 그 한 가지의 기술적인 문제점 때문에, 영구히 상실된다.
그런 비 실질적인 발명 구성에 의한 기술력으로 인하여, (문헌1)의 발명은, 약식 완충기로서의 부속기능에 실용가치성을 이루는 것조차 부적합한, 비실용적인 완충기능의 발명으로 검증되며 제작법도, 실질적인 결합 과정으로서는, 이행불가적인 용접결합 내지, 나사 결합의 기법으로, 그 제작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특수한 제작법인데도 불구하고, 그 밀폐시공과 결합시공 또한, 부실함과 부적합의 발명구성체로 발견되며, 또한 그 탄성고무호스 내부에는, 내부고무호스가 삽입이 되질 않고, 고무본드가 주입 되질 않기 때문에, 탄성력과 반동력이 다양하게 조절이 될 수가 없기 때문에, 현가장치로서의 기능을 이루는 데에도, 부적합하다, 라는 검증이 되면서 (문헌1)의 제작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부적합 하였던 제작법과. 그로 인한 완충기로서의 실용가치성이 상실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순간접착제를 틈 사이에 주입하고 굳어지게 해서, 이후 압착결합 하는, 주액고착의 기법과, 고무호스의 내부에 고무본드를 주입하여, 고무호스가 실리콘성에 연질화가 되면서도, 강해 질수 있도록 하고, 재질 변화의 특성을 이루는, 창의적인 공법으로, (문헌1)의 제작법에 대비하여, 월등한 진보성을 이루는 데에, 그 목적을 이루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헌1)의 발명이 인용 발명된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부적합 하였던 제작법과, 완충기로서의 기능을 이루는, 실용가치성에서도 부적합 하였던, 기술력이 보완되고 완벽해 질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이고 공학적인 특성들을, 합성일체화가 되게 하여, 완충기의 기능 및 현가장치의 기능과, 성능을 이루는 모든 기술적인 관점에서도, (문헌1)의 발명 기술과 제작법에 대비하여, 보다 진보되고 발전성을 이루는, 새로운 발명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문헌2) - JP 제03-024304호 A( 1991,02,01 )의 발명 기술에 대하여 부족함을 발견하고, 또한 그 기능성에 대하여 실질적인 사회적 상용성을 이루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을 발견하게 되면서, 그 단점을 보완하며 진보성을 이루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문헌2)의 제작법에 대비하여, 본 제작법은 순간접착제를 고무호스의 내부와 외경의 틈 사이에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이후 압착결합을 하는, 주액고착의 제작법으로, 결합이 되는 것에 대비해서, (문헌2)의 결합법은, 그 구성체의 양쪽 종단부가, 나사식에 연결결합이 되는 것으로 발견되며, 슈레더 밸브가 결합이 돼서, 공기 압력 주입으로 반동력이 조절되는, 본 현가장치의 기능성에 대비하여. (문헌2)의 발명은, 그 기능성 및 결합 방식들이, 본 발명과는 전혀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 현가장치는, (문헌2)의 발명이 인용발명된 것이라고는 할 수가 없으며, 실질적인 발명 기능성으로도, 현가장치의 구성체라고는 부적합한, 비실용가치적인 발명으로 단정되며, 따라서 본 발명 현가장치와는, 전혀 다른 용도의, 부속기능 및 작동기능의 구성체로 검증되며, 하지만 본 발명 현가장치의 제작법과 발명 기술들을 검증하여, (문헌2)의 발명 기술에서, 인용 발명된 기술적인 부분들이 미세하게라도 발견이 된다면, 그것은 (문헌2)의 발명에 단점들을 보완하고, 실용가치적인 현가장치의 기능과, 성능을 이루게 하는 혁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문헌1)과 (문헌2)의 발명기술에 대비하여, 진보성과 발전성을 이루는, 실질적인 제작법의 발명 기술과, 실용적인 현실성의 현가장치에 기능을 이루도록 하는, 새로운 발명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문헌1) - KR 제10-1769698호 B1( 2017,08,21 ) (문헌2) - JP 제03-024304호 A( 1991,02,01 ) (문헌3) - JP 제05-486393호 B2( 2014,05,07 ) (문헌4) - KR 제20-1995-0001111호( 1995,01,03 )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에는, 그 실린더 내부에 주입이 되었던. 공기(가스) 압력 차단의 목적으로, 작동이 되는 피스톤에는, 반드시 패킹(packing)이 결합 되어, 그 주입이 되었던 압력이, 그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결정적인 핵심기능의 부속체로 결합이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의 제작법에 의해서, 결합이 되었던 패킹에 대해서는, 많은 단점들이 발생하였다. 그것은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가 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힘을 흡수하며 완화 되게 하고, 다시 복원을 이루도록 하는 과정에서, 압력 차단의 목적으로 결합 되었던 패킹은, 수많은 반복 작동을 하게 되고, 그 반복 작동의 과정에서, 패킹의 표면과 실린더 내경과의 표면은, 반복 작동에 의한 수많은 마찰이 발생하고, 그 과정에서 압력차단의 목적으로, 결합이 된 패킹(packing)의 표면은, 마모가 되면서 파손이 되어 질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되면 패킹(packing)은, 압력 차단에 기능이 상실되고,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더 이상 유지 되게 할 수도 없고, 그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압력 차단의 기능도, 모두다 상실이 되면서, 흔히 쓰는 표현법으로,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가 터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렇게 되면 고단가의 에어쇼바 및 쇽 업쇼바는 교체가 되어져야 되고, 무엇보다 어느 한쪽의 쇼바가 먼저 터지게 되면, 다른 쪽의 쇼바 또한, 충격의 힘이 몰아지게 되면서, 고 압력이 발생되고, 패킹에 압력 차단의 기능은, 그 한계선을 넘어서게 되면서 파손이 되고, 다른 쪽의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 또한, 빠른 시간 내에 모두 터질 수밖에 없도록, 진행이 되는 것이다. 에어쇼바는 현가장치의 기능을 이루는 데에 있어서는, 최고의 승차감과 안전성을 검증하지만, 패킹의 표면이 마모가 되면서, 압력 차단의 기능이, 완벽하게 실행 화 되질 못한다면, 결국 그 한가지의 문제점 때문에, 현가장치로서의 기능은, 모두 상실이 된다는 결론으로 단정된다.
따라서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의 피스톤에 결합이 되었던 패킹(packing)은, 그 현가장치의 사용 수명을 결정짓는, 매우 중대한 기능을 갖지만, 그 표면이 마모가 되어 짐으로 해서, 현가장치로서의 기능은, 영구히 상실되기 때문에, 결국 교체가 될 수밖에 없게 되고, 패킹의 표면이 마모가 되었다고 해서, 고 단가의 에어쇼바 및 쇽 업쇼바가 폐기 품이 된다는 것은, 사회적인 차원과 물질적인 차원에서도, 매우 허망하고 안타까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현가장치는, 종래에 패킹(packing)결합의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와 같은, 피스톤식의 현가장치가 아니라, 고무호스의 내부에, 고무본드를 주입하고, 내부고무호스를 삽입하고, 슈레더 밸브를 맞춤고박 하여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 간접결합 하고, 그 간접결합 부를, 다시 압착슬리브 관의 상단과 하단 부를, 압착함으로 해서, 제작이 되는 주액고착의 제작법으로, 패킹이 결합되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에어쇼바와 같은, 공기(가스) 압력 주입에 의해서, 작동을 이루는 현가장치이기 때문에, 수많은 반복 작동이 되어도, 마모가 되면서 기능 상실을 유발하는 패킹에 결합은, 존재 하지가 않기 때문에, 현가장치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 될 수가 있으며, 종래의 쇽 업쇼바 및 에어쇼바와 같은, 패킹이 결합되는, 피스톤 작동방식의 현가장치에 대비하여, 보다 오랜 사용수명과, 안전성을 유지하며, 보다 창의적이고 발전된 현가장치의 기능과, 성능으로 작동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의 간단한 설명]
(사진1) - 본 발명에 제작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들을 나타낸 사진,
(사진2) - 본 발명에 제작 과정을 나타낸 사진,
(사진3) - 본 발명에 제작 과정을 나타낸 사진,
(사진4) - 본 발명에 제작 과정을 나타낸 사진,
(사진5) - 본 발명에 기술 상황을 나타낸 사진,
(사진6) - 본 발명에 기술 상황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을 첨부된 사진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옴과 같다. 본 발명 현가장치의 제작 기법이 완벽하게 검증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을 이루는 각 고무호스들의 내부는, 그 내부가 분명하고 확실하게, 잘 보여 질수가 있도록 하는, 투명 고무호스들을 결합하여 제작이 된다.
(사진1) - 볼트 봉(1)과, 팝너트(2)를, 연결 결합하여서, 팝너트 봉(3)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사진2) - 팝너트 봉(3)을, 고무호스(6)하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나면, 팝너트 봉(3)의 머리 둘레로 인하여, 팝너트 봉(3)의 머리 둘레와, 고무호스(6)하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는 '틈이 발생되며' 그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 (001) * 사진 하단에 부호를 참조합니다. *
그리고 고무호스(6)상부의 내부에는, 고무본드(7)를 주입하고, 내부고무호스(4)를 삽입하고, 슈레더 밸브(5)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슈례더 밸브(5)의 원통 둘레로 인하여, 슈레더밸브(5)의 원통 둘레와, 고무호스(6)상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는 '틈이 발생되며' 그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 (002)(003) 그리고 (사진3) - 간접결합이 된,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에는,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과,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이, 각기 서로 삽입되며 끼워 맞춤고박이 될 수 있도록, 테이프(8)를 감아서, 외경의 크기를 늘린다. - (004), 그리고 (사진4) - 테이프(8)가 감겨진,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과,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이, 각기 서로 삽입되며 교차가 되도록 해서,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고무호스(6)상부 하부의 외경에 감겨진, 테이프(8)의 두께로 인하여,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과,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에 공간 사이에는 '틈이 발생되며' 그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 부와,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 부를, 유압 압착기로 압착을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을, 동시에 이루며,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가 제작이 된다. - (005)(006)
그리고 (사진5) - 제작이 된 현가장치이며, - (007) 결합이 되었던 슈레더 밸브(5)에, 공기(가스) 압력을 주입하게 되면, 고무호스(6)가 상하로 늘어나게 되고, - (008)(009) (사진6) - 또 주입이 되었던 공기(가스) 압력을 빼고 나면, 고무호스(6)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는 것인데, - (010) 그래서 압력 주입에 의해서, 늘어난 고무호스(6)를, 기술적으로, 상세하게 확인을 해 보면, (사진6) - 고무호스(6)와, 내부고무호스(4)와의 사이에, 서로 간에, '단차(N)가' 발생 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 (011)
* 기술적인 차원으로 확인 되었던 (사진6)의 (011)는, 고무호스(6)가 모형적인 제작 상황으로 만들어 진 것이 아니라, 실제 간접결합이 되었던 고무호스의 내부에, 공기 압력을 주입하여서, 간접결합 된 고무호스가, 실제 늘어나는 특성 현상이, 사진화가 된 것이며, 간접결합 상태에서 약한 압력 주입에 의해서, 그 늘어나는 특성의 현상이, 별로 심하지 않게 되었지만, 최종결합 이후에, 더욱 강한 압력을 주입 한다면, 그 늘러나는 특성의 현상은, 매우 심하게 발생된다. * 그래서 본 현가장치가 충격의 힘을 받아서, 완화기능을 이룰 때, 압력주입에 의해서 생성되는 단차(N)로 인하여, 반동력과 탄력성이 기능적으로 조절이 되는 것이며, 그래서 내부고무호스를 어떤 고무호스를, 삽입해서 결합 하느냐에 따라서, 강 약 조절의 폭을 크게 늘릴 수가 있다.
그리고 고무호스(6)의 내부에 주입이 되었던 고무본드에 의해서, 조절의 폭은 더욱더 다양하게 형성이 되는 것이며, 하지만 고무본드의 주입 없이도, 본 첨부된 사진속의 스프링호스와, 일반 나선호스는, 압력 주입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그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고무호스이다.
고무호스 내부에 주입되는 고무본드에 의해서, 고무호스가 실리콘성의 재질화로, 더욱 강하게 변질이 되면서, 늘어나고 줄어드는 특성의 현상은 매우 강해지며. 주입되는 고무본드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연질화로 변질되는 특성은 심해지기 때문에, 이런 특성의 현상들을, 기술적 차원의 기능성으로, 인용이 되도록 하여서 발명 제작된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 이다.
본 발명 현가장치에 제작 과정들을, 간추려서 설명 한다면 다음과 같다.
고무호스(6)하부의 내부에는, 팝너트 봉(3)을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팝너트 봉(3)의 머리 둘레와, 고무호스(6)하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고무호스(6)상부의 내부에는, 고무본드(7)를 주입하고, 내부고무호스(4)를 삽입하고, 슈레더 밸브(5)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슈레더 밸브(5)의 원통 둘레와, 고무호스(6)상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에, 테이프(8)를 감고 난후, 테이프(8)가 감겨진, 고무호스(6) 상부와 하부의 외경과,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이, 각기 서로 삽입되며 교차가 되도록 해서,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과,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 부와,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 부를, 압착을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을, 동시에 이루며, 제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 이다.
(1) - 볼트 봉 (6) - 고무호스
(2) - 팝 너트 (7) - 고무본드
(3) - 팝너트 봉 (8) - 테이프
(4) - 내부고무호스 (9) - 상부 압착슬리브 관
(5) - 슈레더 밸브 (10) - 하부 압착슬리브 관

Claims (1)

  1.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에 있어서,
    고무호스(6)하부의 내부에는, 팝너트 봉(3)을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팝너트 봉(3)의 머리 둘레와, 고무호스(6)하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고무호스(6)상부의 내부에는, 고무본드(7)를 주입하고, 내부고무호스(4)를 삽입하고, 슈레더 밸브(5)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슈레더 밸브(5)의 원통 둘레와, 고무호스(6)상부의 내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에, 테이프(8)를 감고 난후, 테이프(8)가 감겨진,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이, 각기 서로 삽입되며 교차가 되도록 해서, 끼워 맞춤고박 하고 난후,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의 내경 및,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의 내경과, 고무호스(6)상부와 하부의 외경과에 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사이에, 순간접착제를 주입하고, 굳어지게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간접결합이 되게 하고, 간접결합이 된, 상부 압착슬리브 관(9)상단 부와, 하부 압착슬리브 관(10)하단 부를, 압착을 하여서, 각 구성 부재들이, 밀폐시공과 최종결합을, 동시에 이루며, 제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 현가장치(suspension).
KR1020220146982A 2022-11-07 2022-11-07 압력조절 현가장치 KR10249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982A KR102490372B1 (ko) 2022-11-07 2022-11-07 압력조절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982A KR102490372B1 (ko) 2022-11-07 2022-11-07 압력조절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372B1 true KR102490372B1 (ko) 2023-01-19

Family

ID=8507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982A KR102490372B1 (ko) 2022-11-07 2022-11-07 압력조절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3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04A (ja) * 1989-06-20 1991-02-01 Bridgestone Corp 弾性伸長体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KR950001111U (ko) 1993-06-28 1995-01-03 임홍현 자전거 안장의 완충장치
KR200418958Y1 (ko) * 2006-04-05 2006-06-14 김효인 자전거의 짐받이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WO2008140032A1 (ja) * 2007-05-11 2008-11-20 Chuo University 流体注入型アクチュエータ
JP5486393B2 (ja) 2010-05-07 2014-05-0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空圧緩衝器
KR101769698B1 (ko) 2016-01-25 2017-08-21 최창림 공압 완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04A (ja) * 1989-06-20 1991-02-01 Bridgestone Corp 弾性伸長体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KR950001111U (ko) 1993-06-28 1995-01-03 임홍현 자전거 안장의 완충장치
KR200418958Y1 (ko) * 2006-04-05 2006-06-14 김효인 자전거의 짐받이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WO2008140032A1 (ja) * 2007-05-11 2008-11-20 Chuo University 流体注入型アクチュエータ
JP5486393B2 (ja) 2010-05-07 2014-05-0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空圧緩衝器
KR101769698B1 (ko) 2016-01-25 2017-08-21 최창림 공압 완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8153B2 (ja) 拡開可能なプラグ及び制御方法
KR101424994B1 (ko) 복합스프링을 이용한 맥동감쇄기
KR102490372B1 (ko) 압력조절 현가장치
CN102458960B (zh) 齿条式转向机构
JP5312581B2 (ja) 燃料噴射装置のための遮断エレメント
US20100072010A1 (en) Hydraulic pressure sp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306384B (zh) 一种低刚度抗冲击高可靠性的弧形挠性接管
JPS6014219B2 (ja) 懸架式緩衝器における可変絞り弁装置
US6691991B1 (en) Shock absorber
JP2017002935A (ja) 緩衝ストッパ
JPWO2018135461A1 (ja) 緩衝器
TWI625477B (zh) Damper
JP2009287752A (ja) 流体圧緩衝器
JP7461283B2 (ja) 緩衝器
KR20090089621A (ko) 수격방지기
CN214835226U (zh) 一种变附加刚度黏滞阻尼器
KR100803155B1 (ko) 현가장치용 에어스프링
CN110273957A (zh) 一种驱动力外接的气弹簧
US1019504A (en) Shock-absorber.
AU2010246348B2 (en) Regulator dampening device and method
US20040046060A1 (en) Fuel injection valve
KR0164645B1 (ko) 수격방지기
CN210920184U (zh) 一种楔形石墨填料的硬密封结构
JP6128652B2 (ja) 緩衝器
KR20170089054A (ko) 공압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