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332B1 -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 Google Patents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332B1
KR102490332B1 KR1020170084729A KR20170084729A KR102490332B1 KR 102490332 B1 KR102490332 B1 KR 102490332B1 KR 1020170084729 A KR1020170084729 A KR 1020170084729A KR 20170084729 A KR20170084729 A KR 20170084729A KR 102490332 B1 KR102490332 B1 KR 10249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recess
annular
outer body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611A (ko
Inventor
기욤 알베르트
크리스토프 몰리에
플라비오-알레시오 포니글리아
빈센조 제라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8000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4Details of conduits, connectors or the adapto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lutch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Abstract

본 발명은 리시버 유압 실린더(1)에 관한 것으로서, 이 리시버 유압 실린더(1)는,
- 환형 안내관(2);
- 안내관(2)의 블라인드 캐비티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X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블라인드 캐비티와 함께 가변적인 부피를 갖는 유압 챔버(8)를 획정하는 환형 피스톤(7);
- 리세스(31)를 구비하는 외부 본체(14)로서 이 리세스는 외부 본체(14)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31)가 오리피스(25)와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 외부 본체(14); 및
- 안내관(2)과 외부 본체(14)의 사이에서 밀봉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한편으로, 공급 채널(26)의 제2 단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리세스(31)를 한정하는 제1 면(32)과, 다른 한편으로, 오리피스(25)의 주위에서, 안내관(2)의 외벽(4)에 형성된 제2 면(35)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고, 리세스(31) 안에 수용되는 밀봉 부재(3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 OF RECEIVER FOR A HYDRAUL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유압 제어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 클러치의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문헌 FR2789140호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시버 유압 실린더를 개시하고 있다. 이 리시버 유압 실린더는 환형 블라인드 캐비티(blind cavity)를 획정하는 안내관 및 블라인드 캐비티 안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변적 부피를 갖는 챔버를 획정하는 환형 피스톤을 포함한다. 안내관의 외벽에는 공급용 오리피스가 존재한다. 리시버 유압 실린더는 안내관을 둘러싸고 차량의 차체에 대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본체(body)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외부 본체는 유체 공급 도관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연결용 수형 선단(male tip)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방사방향으로 외부 본체를 관통하는 외부 본체의 천공(bore)에 의해 안내관의 외벽에 형성된 공급용 오리피스에 연결된다.
한편으로 안내관과 외부 본체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연결용 수형 선단을 수용하는 캐비티와 외부 본체 사이에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외부 본체의 천공 안에 관형 밀봉 카트리지가 설치된다. 관형 밀봉 카트리지는, 한편으로는 안내관의 외벽에 형성된 공급용 오리피스와 마주보고 방사방향으로 열려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용 수형 선단을 수용하는 캐비티와 마주보고 내부 채널이 열려 있도록 구부러진 내부 채널을 포함한다. 관형 밀봉 카트리지는, 연결용 수형 선단을 수용하는 캐비티와 마주보고 열려 있는 내부 채널의 단부의 양쪽에 배치되고 관형 밀봉 카트리지의 외부 둘레에 제공된 환형 요홈 안에 설치되는 2개의 환형 조인트를 구비한다. 또한, 안내관과 외부 본체 사이에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형 밀봉 카트리지의 방사방향 내측 단부와, 공급용 오리피스 주위에서 안내관의 외벽과 마주보는 면의 사이에서 환형 밀봉 조인트가 압축된다. 전술한 환형 밀봉 조인트의 만족스러운 압축을 보장하기 위하여, 관형 고무는 외부 본체의 방사방향 천공 안에서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압축되고, 이어서 이 위치에서 외부 본체에 대하여 용접된다.
전술한 유형의 리시버 유압 실린더는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특히, 밀봉 카트리지를 천공 안으로 압축하는 것 그리고 밀봉 카트리지를 외부 본체 상에 용접하는 것이 O링(O-ring)의 압축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 이것들은 이러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제작의 복잡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간단하면서 외부 본체와 안내관의 사이에서 신뢰할만한 밀봉을 보장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를 제안하는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시버 유압 실린더를 제공하며, 이 리시버 유압 실린더는,
- 원통형 외벽 및 바닥벽에 의해 외벽에 연결되는 원통형 내벽을 구비하는 환형 안내관으로서, 외벽, 내벽 및 바닥벽이 환형 블라인드 캐비티를 획정하고, 외벽이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상기 환형 안내관;
- 블라인드 캐비티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X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블라인드 캐비티와 함께 가변적인 부피를 갖는 유압 챔버를 획정하는 환형 피스톤;
- 안내관을 둘러싸는 내면을 구비한 외부 본체로서, 유체 공급 도관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단부 및 외부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리세스(recess)로 열려 있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가 오리피스와 마주보고 배치된, 상기 외부 본체; 및
- 안내관과 외부 본체의 사이에서 밀봉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한편으로, 공급 채널의 제2 단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리세스를 한정하는 제1 면과, 다른 한편으로, 오리피스의 주위에서, 안내관의 외벽에 형성된 제2 면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고, 리세스 안에 수용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는 간단하고, 밀봉 부재가 직접적으로 외부 본체와 안내관의 외벽 사이에서 압축되어 매개 요소 없이 본체와 안내관의 사이에 밀봉이 보장되므로 추가의 밀봉 카트리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유리한 다른 실시양태들에 따르면, 이러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는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외부 본체의 내면 및 제1 면은 단블록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유리한 방식으로는, 외부 본체는, 본체의 천공 안에 설치되는 관형 밀봉 카트리지를 구비하지 않는 단블록 요소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안내관 및 외부 본체는, 외부 본체 안으로의 안내관의 축방향 삽입에 의해 상기 요소들의 조립이 실행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안내관은 외벽과 바닥의 사이에 챔퍼(chamf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오리피스의 방사방향 외측 에지는 모따기 처리가 되어 있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밀봉 부재는 환형 밀봉 조인트를 포함하고 리세스는 환형 밀봉 조인트의 형태에 맞게 조절된 형태를 가진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환형 밀봉 부재는 환형 조인트를 포함하고, 환형 조인트는 접착에 의해, 간섭(interference)에 의해 또는 서로에 대한 오버몰딩에 의해 리세스 안에서 외부 본체에 고정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외부 본체는 안내관의 바닥벽에 대하여 지지되는 후방 에지를 구비하고, 리세스는 상기 후방 에지에서 개방되어 있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밀봉 부재는,
- 리세스 안에 수용되는 인서트로서, 한편으로 공급 도관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다른 한편으로 오리피스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는, 상기 인서트; 및
- 개구부 안에 수용되고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환형 밀봉 조인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밀봉 부재는,
- 리세스 안에 수용되는 인서트로서, 한편으로 공급 도관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다른 한편으로 오리피스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는, 상기 인서트; 및
- 인서트의 개구부 안에 수용되고 방사방향으로 인서트의 양쪽에서 튀어나와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환형 밀봉 조인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밀봉 부재는,
- 리세스 안에 수용되고, 한편으로 유체 공급 도관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다른 한편으로 오리피스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는 인서트로서, 개구부가 방사방향 외측의 제1 숄더부(shoulder) 및 방사방향 내측의 제2 숄더부를 포함하는, 상기 인서트;
- 제1 숄더부에 대하여 수용되고 인서트와 제1 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1 환형 밀봉 조인트; 및
- 제2 숄더부에 대하여 수용되고 인서트와 제2 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2 환형 밀봉 조인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환형 밀봉 조인트(들)는 접착에 의해, 간섭에 의해 또는 서로에 대한 오버몰딩에 의해 인서트의 개구부 안에서 인서트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밀봉 부재는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로 이루어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환형 밀봉 조인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으로만 주어지는 본 발명의 복수의 특정 실시양태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되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상세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양태에 따른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외부 본체의 내면에 제공된 리세스 및 리세스 안에 수용된 밀봉 부재를 보여주는 도 1 및 도 2의 유압 실린더의 상세한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양태에 따른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압 실린더의 상세한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밀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밀봉 부재의 설치 단계 동안의 도 4 내지 도 6의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6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명세서에 주어지는 정의에 따라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요소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용어 "외부" 및 "내부" 그리고 "축" 및 "방사" 배향을 사용할 것이다. 편의상, "방사" 배향은, "축" 배향을 규정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의 슬라이딩 축 X에 직교하여,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배향된다. 용어 "외부" 및 "내부"는 X축을 기준으로 하여 한 요소의 다른 요소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축에 가까운 요소를 방사방향으로 주변에 위치하는 외부 요소와 대조적으로 내부라 칭한다. 한편, 용어 "후방" AR 및 "전방" AV은 축 방향을 따라 한 요소의 다른 요소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클러치의 제어 시스템의 리시버 유압 실린더(1)를 도시한 것이다. 클러치를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기 위하여, 리시버 유압 실린더(1)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클러치의 다이어프램과 협력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1)는, 유체 공급 도관을 통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에미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유체는 예를 들어 오일이다. 에미터 유압 실린더는 제어봉에 의해 페달 또는 전기 액추에이터와 같은 구동 요소(actuating element)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운전자가 이러한 페달을 밟을 때, 에미터 유압 실린더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1)의 방향으로 유체를 내몰아 클러치를 그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변위시킨다.
리시버 유압 실린더(1)는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같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트랜스미션 샤프트를 통과시키도록 설계된 내부 공간(3)을 제공하는 환형의 금속 안내관(2)을 포함한다. 안내관(2)은 원통형 외벽(4) 및 바닥벽(6)에 의해 외벽(4)에 연결되는 원통형 내벽(5)을 포함한다. 외벽(4)은 내벽(5)의 축방향 치수보다 작은 축방향 치수를 가진다. 내벽(5) 및 외벽(4) 그리고 바닥벽(6)은 함께 블라인드 캐비티를 획정하고 이 블라인드 캐비티의 내부에 환형 피스톤(7)이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환형 피스톤(7)은 블라인드 캐비티와 함께 가변적인 부피를 갖는 환형 챔버(8)를 획정한다.
환형 피스톤(7)은, 그 후단부에, 가변적인 부피를 갖는 환형 챔버(8)의 밀봉을 보장하는 다이나믹 밀봉 조인트(9)를 구비한다. 또한, 환형 피스톤(7)은 그 전단부에 회전 베어링(10)을 구비한다. 회전 베어링(10)은 환형 피스톤(7)에 고정되는 하나의 링(11), 클러치의 다이어프램의 핑거들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설계된 다른 하나의 링(12) 및 2개의 링(11, 12) 사이에 삽입되는 볼과 같은 전동체(rolling body)(13)를 포함한다. 환형 피스톤(7)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주조된다.
또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1)는 차량의 차체에 대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1)의 고정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외부 본체(14)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외부 본체(14)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어부(ear)(15)를 포함하며, 이들 이어부에는 각각 기어박스 하우징의 벽과 같은 차량 벽에 대한 고정 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오리피스(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외부 본체(14)는 안내관(2)을 둘러싸는 내면을 구비하는 것이 관찰된다. 외부 본체(14)는 또한 이 안내관(2)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외부 본체(14)는 한편으로 안내관(2)의 바닥벽(6)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는 후방 에지(17) 및 다른 한편으로 플라스틱 레그(18)를 포함하고, 이 플라스틱 레그의 단부는 안내관(2)의 외벽(4)의 외면에 제공되는 요홈에 맞물린다. 외부 본체는 폴리아미드 6-6과 같은 폴리머로 주조된다.
외부 본체(14)는, 전방쪽으로, 외부 본체(14)와 환형 피스톤(7)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사전부하 스프링(20)을 위한 지지 숄더부(19)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전부하 스프링(20)은 클러치의 다이어프램의 핑거들에 대하여 회전 베어링(10)의 링들 중 하나(12)의 지속적인 지지를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리시버 유압 실린더(1)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 벨로즈(protective bellows)(21)를 포함하며, 이것은 불순물에 의한 블라인드 캐비티의 오염을 방지한다. 보호 벨로즈(21)는 사전부하 스프링(20)을 둘러싸고, 외부 본체(14)에 제공된 요홈 안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갖는 후단부(22) 및 환형 피스톤(7)과 결합하는 소켓(24)에 제공된 요홈 안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갖는 전단부(23)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1)의 유압 챔버(8)의 유압 유체 공급 도관이 관찰된다. 안내관(2)의 외벽(4)은 바닥벽(6)의 근처에 오리피스(25)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본체(14)는 공급 채널(26)을 포함하고, 이의 일부는 에미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관에 리시버 유압 실린더(1)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용 수형 선단(27)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수형 선단(27)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6과 같은 폴리머로 주조된다. 수형 선단(27)은, 그 외면에, 환형 조인트(28)가 설치되는 환형 요홈을 구비한다. 환형 조인트(28)는 공급 채널(26)의 내면에 대하여 압축되어 수형 선단(27)과 외부 본체(14)의 사이에서 밀봉을 보장한다.
수형 선단(27)은 연결 핀(29)에 의하여 공급 채널(26)의 내부에 맞물린 위치에서 유지된다. 연결 핀(29)은 실질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는 2개의 분기를 포함한다. 연결 핀(29)의 각각의 분기는, 외부 본체(14)에 제공되고 공급 채널(26)의 내부로 열려 있는 각각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통과한다. 또한, 수형 선단(27)은 수형 선단(27)이 공급 채널(26) 안에 설치될 때 외부 본체(14)에 제공된 오리피스와 마주보게 될 수 있는 환형 그루브(groove)(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 핀(29)의 2개의 분기가, 외부 본체(14) 안에 제공된 개구부들에 맞물릴 때, 환형 요홈(30) 안에 위치설정될 수 있어, 공급 채널(26)의 내부에서 수형 선단(27)을 차단할 수 있다. 연결 핀(29)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연결 핀(29)은 예를 들어 문헌 FR2808071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공급 채널(26)의 제2 부분은, 외부 본체(14)의 내면에 형성된 리세스(31)로 열려 있고 방사 배향을 가진다. 리세스(31)는 오리피스(25)와 마주보고 배치된다. 리세스(31)는 여기서 방사방향으로 외측의 벽(32) 및 둘레 벽(peripheral wall)(33)에 의해 획정된다. 리세스(31)의 벽들(32, 33)은 외부 본체(14)와 일체형이다.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리세스(31)의 내부에 수용되고, 오리피스(25) 주위에서 안내관(2)의 외벽(6)에 형성된 면(35)과 리세스(31)의 방사방향 외측 벽(32)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안내관(2)과 외부 본체(14)의 사이에서 밀봉을 보장한다.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로 제작된다.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원환형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모든 다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는, 리세스(31)는 환형 밀봉 조인트(34)의 형태에 맞게 조절된 형태를 가져 이것의 적당한 위치설정을 보장한다.
리시버 유압 실린더(1)의 조립시,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안내관(2)이 외부 본체(14) 안에 끼워지기 전에, 리세스(31) 안에 배치된다. 리세스(31)의 내부에서 환형 밀봉 조인트(34)의 유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외부 본체(14)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리세스(31)의 방사방향 외측 벽(32)에 대하여 접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리세스(31) 안에 힘으로 설치되어, 간섭에 의해 고정이 보장된다. 끝으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외부 본체(14) 및 환형 밀봉 조인트(34)가 서로 고정되도록 외부 본체(14)가 환형 밀봉 조인트(34) 상에 오버몰딩되거나 또는 환형 밀봉 조인트가 외부 본체 상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의 바닥벽(6)이 외부 본체(14)의 후방 에지(17)에 대하여 밀어붙여질 때까지, 안내관(2)이 X축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외부 본체(14)의 내부로 슬라이딩한다. 유리한 방식으로는, 안내관(2)의 바닥벽(6)은 챔퍼(36)에 의해 외벽(4)에 연결된다. 따라서, 안내관(2)이 외부 본체(14)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는 동안, 환형 밀봉 조인트(34)와 챔퍼(36)의 접촉은, 환형 밀봉 조인트(34)를 리세스(31)의 방사방향 외측 벽(32)에 대하여 점차로 압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안내관(2)의 오리피스(25)의 방사방향 외측 에지(37)가 모따기 처리되어 있는 것은 도 3에서도 관찰된다. 그래서, 안내관(2)을 외부 본체(14)의 내부로 끼울 때 환형 밀봉 조인트(34)와 접촉하게 되기 쉬운 안내관(2)의 구역들은 환형 밀봉 조인트(34)를 손상시킬 수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은 제2 실시양태에 따른 리시버 유압 실린더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외부 본체(14) 및 안내관(2)이 서로 조립된 후 밀봉 부재(38)의 도입이 가능하도록 리세스(31)가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외부 본체(14)의 후방 에지(17)에서 열려 있다.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밀봉 부재(38)는 인서트(39) 및 환형 밀봉 조인트(34)를 포함한다. 인서트(39)는 그 내부에 환형 밀봉 조인트(34)가 설치되는 개구부(40)를 포함한다. 개구부(40)는 환형 밀봉 조인트(34)의 외부 형태에 맞게 조절된다. 인서트(39)는 리세스(31)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포함하므로 외부 본체(14)의 후부에 의해 리세스(3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위치에서 환형 밀봉 조인트(34)가 오리피스(25) 주위에서의 안내관(2)의 외벽(6)에 형성된 면(35)과 리세스(31)의 방사방향 외측 벽(32)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개구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 및 외부 본체(14)가 서로에 대해 미리 고정된 후, 인서트(39) 및 환형 밀봉 조인트(34)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38)가 축방향으로 리세스(31) 안으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삽입된다.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인서트(39)에 고정되고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또는 힘에 의한 설치에 의해 그 개구부(40)의 내부에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인서트(39) 및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서로 오버몰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39)가 리세스(31) 안에 설치될 때 환형 밀봉 조인트(34)가 날카로운 모서리에 직면하지 않도록 안내관(2)은 전술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개시한 것과 동일한 특징들을 가진다.
또한, 유리한 방식으로는, 인서트(39)의 후단부는 인서트(39)가 리세스(31) 안에 설치될 때 후방 에지(17)의 후방면과 수평을 이룬다. 따라서, 리시버 유압 실린더(31)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될 때, 외부 본체(14)의 리세스(31) 안에서 인서트(39)의 정위치 유지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1)가 고정되는 기어박스의 하우징의 벽에 의해 보장된다.
한편으로 도 8 및 도 9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도 9 및 도 10은 도 4 내지 도 7의 외부 본체(14)의 리세스(3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밀봉 부재(38)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환형 밀봉 조인트(34)의 축에서 방사 평면을 따라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양태에서, 환형 밀봉 조인트(34)의 환형 둘레는, 개구부(4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태의 환형 돌출부(42)를 수용하는 환형 요홈(41)을 구비한다. 이렇게, 환형 밀봉 조인트(38) 및 개구부(40)는, 인서트(39)의 개구부(40)의 내부에 환형 밀봉 조인트(38)의 고정 및 정확한 상대적 위치설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적응된 형태를 가진다.
도 12 및 도 13의 실시양태는, 밀봉 부재(38)가 오리피스(25)의 주위에 리세스(32)의 방사방향 외측 벽(32)과 인서트(39)의 사이에서 그리고 인서트(39)와 안내관(2)의 외벽(4)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각각 설계된 2개의 환형 밀봉 조인트(34a, 34b)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의 실시양태들과 상이하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개구부(40)는 각각 외측 및 내측의 두 숄더부(43, 44)를 구비하며, 이들 숄더부에 대하여 2개의 환형 밀봉 조인트(34a, 34b)의 하나 및 다른 하나가 각각 위치한다.
도 14 및 도 15의 실시양태는, 외측 환형 밀봉 조인트(34a)가 방사 방향을 따라 다른 환형 밀봉 조인트(34b)와 정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2 및 도 13의 실시양태와 상이하다. 이러한 배치는 공급 채널(26)이 방사 방향에 대하여 큰 경사를 갖고 리세스(31) 안으로 열려 있을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을 복수의 특정 실시양태들과 연관하여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간다면 본 발명은 개시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 등가 및 그 조합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동사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내포하다" 및 그 활용형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언급된 것과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의 모든 참조 부호는 청구범위의 한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1)

  1. 리시버 유압 실린더(1)에 있어서,
    원통형 외벽(4) 및 바닥벽(6)에 의해 상기 외벽(4)에 연결되는 원통형 내벽(5)을 구비하는 환형 안내관(2)으로서, 상기 외벽(4), 상기 내벽(5) 및 상기 바닥벽(6)이 환형 블라인드 캐비티를 획정하고, 상기 외벽(4)이 오리피스(25)를 구비하는, 상기 안내관(2);
    상기 블라인드 캐비티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X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 캐비티와 함께 가변적인 부피를 갖는 유압 챔버(8)를 획정하는 환형 피스톤(7);
    상기 안내관(2)을 둘러싸는 내면을 구비한 외부 본체(14)로서, 유체 공급 도관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단부 및 상기 외부 본체(14)의 내면에 형성된 리세스(31)로 열려 있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 채널(26)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31)가 상기 오리피스(25)와 마주보고 배치된, 상기 외부 본체(14); 및
    상기 안내관(2)과 상기 외부 본체(14)의 사이에서 밀봉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한편으로, 상기 공급 채널(26)의 제2 단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상기 리세스(31)를 한정하는 제1 면(32)과, 다른 한편으로, 상기 오리피스(25)의 주위에서, 상기 안내관(2)의 외벽(4)에 형성된 제2 면(35)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리세스(31) 안에 수용되는 밀봉 부재(34, 34a, 34b, 38)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본체(14)의 내면 및 상기 제1 면(32)이 단블록 단일 부재로 형성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2)이 상기 외벽(4)과 상기 바닥벽(6) 사이에 챔퍼(36)를 포함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25)의 방사방향 외측 에지(37)는 모따기 처리된
    리시버 유압 실린더.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환형 밀봉 조인트(34)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환형 밀봉 조인트(34)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환형 밀봉 조인트(34)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밀봉 조인트(34)는 접착에 의해, 간섭에 의해 또는 서로에 대한 오버몰딩에 의해 상기 리세스(31) 안에서 상기 외부 본체(14)에 고정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14)는, 상기 안내관(2)의 바닥벽(6)에 대하여 지지되는 후방 에지(17)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후방 에지(17)에서 개방되어 있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38)는,
    상기 리세스(31) 안에 수용되는 인서트(39)로서, 한편으로 상기 공급 채널(26)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오리피스(25)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개구부(40)가 제공되어 있는, 상기 인서트(39); 및
    상기 인서트의 개구부(40) 안에 수용되고 방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39)의 양쪽에서 튀어나와 상기 제1 면(32)과 상기 제2 면(35) 사이에서 압축되는 환형 밀봉 조인트(34)를 포함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38)는,
    상기 리세스(31) 안에 수용되고, 한편으로 상기 공급 채널(26)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오리피스(25)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개구부(40)가 제공되어 있는 인서트(39)로서, 상기 개구부(40)가 방사방향 외측의 제1 숄더부(43) 및 방사방향 내측의 제2 숄더부(44)를 포함하는, 상기 인서트(39);
    상기 제1 숄더부(43)에 대하여 수용되고 상기 인서트(39)와 상기 제1 면(32)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1 환형 밀봉 조인트(34a); 및
    상기 제2 숄더부(44)에 대하여 수용되고 상기 인서트(39)와 상기 제2 면(35)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2 환형 밀봉 조인트(34b)를 포함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밀봉 조인트(들)(34, 34a, 34b)는 접착에 의해, 간섭에 의해 또는 서로에 대한 오버몰딩에 의해 상기 인서트(39)의 개구부(40) 안에서 상기 인서트(39)에 고정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의 환형 밀봉 조인트(34, 34a, 34b)를 포함하는
    리시버 유압 실린더.
KR1020170084729A 2016-07-06 2017-07-04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KR102490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6457 2016-07-06
FR1656457A FR3053753B1 (fr) 2016-07-06 2016-07-06 Cylindre hydraulique recepteur pour un systeme de commande hydraul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611A KR20180005611A (ko) 2018-01-16
KR102490332B1 true KR102490332B1 (ko) 2023-01-18

Family

ID=5728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29A KR102490332B1 (ko) 2016-07-06 2017-07-04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0332B1 (ko)
FR (1) FR3053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6301B2 (ja) 2001-12-04 2007-10-03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による密封構造および密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935Y2 (ko) * 1984-11-10 1990-07-16
US4765507A (en) * 1986-01-24 1988-08-23 Ecodyne Corporation Pressure vessel with an improved sidewall structure
JPH0783248A (ja) * 1993-09-14 1995-03-28 Daikin Mfg Co Ltd 液圧式クラッチレリーズシリンダ装置
FR2712946B1 (fr) * 1993-09-29 1996-01-05 Valeo Embrayage de véhicule automobile du type tiré et à actionnement hydraulique.
KR960017985U (ko) * 1994-11-16 1996-06-19 압력형 전자펌프의 토출노즐 고정구조
FR2738886B1 (fr) * 1995-09-14 1997-10-24 Valeo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pour 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FR2780121B1 (fr) * 1998-06-19 2000-08-18 Valeo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dotee d'un tube de guidage et procede d'obtention d'un tel tube
FR2789140B1 (fr) * 1999-01-29 2001-03-02 Valeo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DE102013211083A1 (de) * 2012-07-12 2014-01-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s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Doppelkupp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6301B2 (ja) 2001-12-04 2007-10-03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による密封構造および密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53753B1 (fr) 2019-05-24
FR3053753A1 (fr) 2018-01-12
KR20180005611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370A (en) Hydraulic clutch release bearing for a motor vehicle diaphragm clutch
WO2016092917A1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16176496A (ja) 動力伝達軸
EP2775156B1 (en) Slip yoke assembly
US6289790B1 (en) Clutch hydraulic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car
JP4532747B2 (ja) 油圧制御式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
KR102490332B1 (ko)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JP5211999B2 (ja) カップシール
US9746111B2 (en) Hydraulic tube for vehicle
KR102490333B1 (ko) 클러치의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CN114222871A (zh) 传动轴及其制造方法
JP6527738B2 (ja) ダクト
JP4616532B2 (ja) 自動車用クラッチのための簡略化された液圧制御装置
CN1615412A (zh) 用于动力转向的粘接型活塞密封件
JP4516461B2 (ja) グロメット
JP6276558B2 (ja) 管継手
CN110494657B (zh) 用于液压或气压控制装置的致动器
KR101338790B1 (ko) 자동 변속기용 실링 부재
JP2006266284A (ja) 車両用流体式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679608A (zh) 电磁开关及车辆起动机
CN106481786B (zh) 双离合变速箱及其密封装置
KR102531640B1 (ko) 밸브용 다이어프램 및 다이어프램 밸브
CN204573384U (zh) 连接件和连接件座
US10711926B2 (en) Sealing assembly with retention sleeve for fluid conduit connector
KR102328426B1 (ko) 유압 제어식 클러치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