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323B1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323B1
KR102490323B1 KR1020200171016A KR20200171016A KR102490323B1 KR 102490323 B1 KR102490323 B1 KR 102490323B1 KR 1020200171016 A KR1020200171016 A KR 1020200171016A KR 20200171016 A KR20200171016 A KR 20200171016A KR 102490323 B1 KR102490323 B1 KR 10249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user
control system
blockchain network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695A (ko
Inventor
정안수
Original Assignee
정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안수 filed Critical 정안수
Priority to KR102020017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3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출입 통제 시스템은,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집합시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 상기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에 설치된 차단 시설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부;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조작부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 및 출입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상응하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출입 영상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에 의하면, 건물 등 집합시설에 대한 출입 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형태로 저장할 수 있어, 출입 기록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쉬운 열람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BLOCKCHAIN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건물 등 집합시설에 대한 출입 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출입 기록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쉬운 열람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영업비밀 등 보안을 유지해야 하는 정보가 많은 기업에서는, 시설에 대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기 위해 출입문 통제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설에 대하 출입자들은 미리 발급된 출입카드를 소지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 인증을 기반으로 한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시설에 대한 출입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 출입 시마다 이러한 확인이 요구되기도 한다. 또한, 시설의 출입구에는 출입자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CCTV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건물이나 시설의 출입에 대해 엄격한 제한을 운용하는 경우에도, 출입문 통제 시스템의 출입 기록은 해당 출입문 통제 시스템의 장치 자체 또는 이와 연결된 기업 내부의 하나의 서버에 저장하여 중앙집중형으로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가 출입 기록에 접근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출입 기록이 외부에 의해 위변조되는 등 기록의 신뢰성이 훼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445599호는 얼굴인식형 스마트 페이퍼출입증 자동 발급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1445599호의 시스템에서 출입증을 이용하여 발생된 출입 기록을 건물중앙관리서버에 집중화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건물중앙관리서버에 대한 해킹 등에 의하여 출입 기록이 위변조될 위험을 안고 있으며, 저장 용량이나 기간의 문제로 인하여 출입 기록을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559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등 집합시설에 대한 출입 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한 출입 기록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출입 기록을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은,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집합시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 상기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에 설치된 차단 시설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부;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조작부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 및 출입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상응하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출입 영상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해쉬(hash)값을 생성하고,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상기 해쉬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형태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며, 상기 출입 영상을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사이드체인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은, 상기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집합시설 내의 사람의 유무 또는 위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는 상태에서 발생된 출입 이벤트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된 출입 이벤트를 서로 상이한 종류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정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차단 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토큰(token)을 차감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급 주소에 상기 토큰을 입금하는 계약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작부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용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은, 집합시설에 설치된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집합시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에 설치된 차단 시설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 및 출입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상응하여 촬영된 출입 영상을,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해쉬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상기 해쉬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영상을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사이드체인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집합시설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상기 집합시설 내의 사람의 유무 또는 위치를 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는 상태에서 발생된 출입 이벤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된 출입 이벤트를 서로 상이한 종류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정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차단 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토큰을 차감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에 상기 토큰을 입금하는 계약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일회용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건물 등에 대한 관리 기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형태로 기록되므로, 출입 기록의 반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하고, 악의적인 사용자가 출입 기록을 위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출입 기록을 쉽게 열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출입 이벤트 발생 시점의 CCTV 등 영상 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사이드 체인(side chain)에 업로드함으로써, 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 크기에 따른 제한을 받지 않고 출입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면서, 종래와 같이 CCTV 영상이 제한된 보관 기간 후 유실되어 버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출입 기록의 저장 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출입 기록에 포함시킴으로써,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같은 질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방문자 목록의 작성 등에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이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이 건물에 적용된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에서 출입 이벤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에 저장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이 건물에 적용된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은 촬영부(10), 조작부(20), 및 통신부와 제어부 등이 포함된 관리 서버(3)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0)는 집합시설(1)에 설치되어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20)는 집합시설(1)에 출입하는 사용자가 집합시설(1)의 출입에 대한 차단 시설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조작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조작부(20)는 출입문의 키패드나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된 잠금 장치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와 제어부는, 촬영부(10) 및 조작부(2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관리 서버(3)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복수의 노드(200) 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와 통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제어부는 출입시설(1)에 대한 사람의 출입에 상응하는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출입 이벤트 정보와 출입 시점의 촬영부(10)의 촬영 영상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관리 서버(3)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영부(10), 조작부(2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리 서버(3)는 집합시설(1)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3)와 촬영부(10), 조작부(20), 하나 이상의 센서(4) 및/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 사이의 통신 방법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와 촬영부(10), 조작부(20), 하나 이상의 센서(4)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 사이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촬영부(10), 조작부(20), 통신부(3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센서부(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인증부(70)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6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각 부(unit)의 일부 또는 전부는 관리 서버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100)과 이에 포함된 각 부(unit)(10, 20, 30, 40, 50, 60, 7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출입 통제 시스템(100)과 이에 포함된 각 부(10, 20, 30, 40, 50, 60, 70)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출입 통제 시스템(100)의 각 부, 특히, 통신부(30), 센서부(40), 제어부(50), DB(60), 인증부(70) 등은 출입 통제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부(30), 센서부(40), 제어부(50), DB(60), 인증부(70)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촬영부(10)는 집합시설(1)의 출입 경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10)는 집합시설(1)의 출입문 부근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촬영부(1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합시설(1)은 아파트, 오피스텔, 공장 등 다수의 사람들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시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부(10)는 이러한 집합시설(1)에 사람이나 차량 등이 출입하는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예컨대 CC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10)에 의한 출입 경로의 촬영은 상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조작부(20)의 조작이나 센서(미도시)에 의한 출입자의 감지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입 경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작부(20)는 집합시설(1)에 출입하는 차단 시설의 개폐나 출입 사실의 등록 등을 위해 조작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조작부(20)는 건물의 출입문에 구비되며 키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또는 지문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조작부(20)의 조작에 의해 개방 및/또는 폐쇄되는 차단 장치는 집합시설(1)의 출입에 연관된 임의의 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차단 장치는 출입문 자체이거나, 출입문에 설치된 잠금 장치이거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차단봉이거나, 또는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0)의 조작은 반드시 물리적인 차단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예컨대,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장치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집합시설(1)에 출입하는 출입자는 자신의 출입 사실을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작부(2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합시설(1)이 회사의 근무 공간일 경우, 회사의 임직원들이 자신의 출근 여부와 시간 또는 퇴근 여부와 시간 등의 등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가 조작부(2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조작부(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집합시설(1)에 사용자가 출입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조작부(20)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입 이벤트 정보에는 출입일시와 조작부(2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입자가 자신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지문, 집합시설 내에서 출입자가 사용하는 호수 번호, 출입자의 사원번호 등)를 조작부(20)에 입력하였을 경우, 출입 이벤트 정보에는 출입자의 식별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생성된 출입 이벤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함으로써, 출입 이벤트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분산원장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출입 이벤트 정보의 출입 시점에 상응하여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출입 영상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제어부(50)가 통신부(30)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해쉬(hash)값을 생성하고, 출입 이벤트 정보를 해쉬값을 포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출입 이벤트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의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출입 이벤트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분산원장에 의하여 그 거래 내역이 기록 및 관리되는 토큰(token)의 입출금에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정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출입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출입 영상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의 메인넷(main net)이 아닌 사이드체인(sidechain)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할 수 있다. 출입 영상을 사이드체인에 업로드하는 경우, 권한 증명(Proof of Authority; POA)과 같은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사이드체인을 도입하여 트랜젝션 처리 속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수수료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사이드체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부담하도록 하고, 트랜젝션의 서명이 쉽도록 사용 편의성이 높은 서드파티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의 서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출입 영상을 그대로 사이드체인에 업로드하는 경우 트랜젝션의 처리 성능이 떨어지고, 사이드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수수료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출입 영상은 출입 통제 시스템의 DB(60)와 같은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고, DB(60)상의 출입 영상의 저장 위치 정보만을 트랜잭션에 담아 사이드체인에 업로드함으로써 트랜잭션을 경량화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40)는 집합시설(1)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4)를 이용하여 집합시설(1) 내의 사람의 유무 또는 위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4)는 집합시설(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각 호실이나 구역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호실이나 구역 내의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센서(4)는 집합시설(1) 내부의 조명 기구 등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4)는 사람의 유무 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고,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40)에 의하여 집합시설(1) 내의 사람의 유무 및/또는 위치가 감지되었을 경우, 제어부(50)는 센서부(40)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는 상태에서 발생된 출입 이벤트와 센서부(40)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된 출입 이벤트를 서로 상이한 종류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정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0)에 의해 사람이 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상의 출입 이벤트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이를 통상과 다른 종류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조작부(20)를 이용하여 집합시설(1)에 출입하는 출입자가 있을 경우 출입자의 사용자 장치(미도시) 와의 통신을 통하여 출입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또는/또한 출입자의 출입 권한을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0)에 출입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 조작부(20)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예컨대,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받고, 인증부(70)는 해당 사용자 장치에 일회용 인증정보(예컨대, 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인증부(70)는 출입자에게 전송된 일회용 인증정보와 동일한 일회용 인증정보가 조작부(20)에 입력될 경우에만 차단 장치를 개방함으로써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집합시설(1)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출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예컨대, 휴대전화 번호)가 조작부(20)에 입력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집합시설(1)의 출입자 명단과 기록을 관리할 수 있고, 출입 이벤트 정보에 해당 식별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자가 입력한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출입자가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의 DB(60)에는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인증부(70)는 조작부(20)에 입력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와 DB(60)의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출입을 요청하는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고, 출입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 의하여 출입이 요청되었을 경우 출입 요청을 거절하도록 조작부(20) 및 집합시설(1)의 차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권한 없는 사용자에 의한 출입 요청 사실도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한 종류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출입 통제 시스템은 촬영부(10)에 의하여 집합시설(1)의 출입 경로에 대한 출입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1). 일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센서부(40)의 하나 이상의 센서(4)를 이용하여 집합시설(1) 내의 각 호실 또는 구역 내의 사람의 유무나 위치를 탐지할 수도 있다(S2). 이상의 촬영 및 탐지 동작은 상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조작부(20)의 조작과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집합시설(1)에 출입을 희망하는 출입자가 조작부(20)를 조작하여 출입을 요청하면(S3), 출입 통제 시스템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과정에 의해 출입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부(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출입 경로에 대한 차단 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차단 시설은 출입문에 대한 잠금 장치나 차량 진입 차단용 봉 등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조작부(20)를 통해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출입 통제 시스템은 조작부(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출입자를 특정할 수 있다(S4). 이는, 출입자가 집합시설(1)의 출입 시 자신의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예컨대, 휴대전화 번호)나 사전에 설정된 집합시설 내 이용호수, 출입자의 사원번호, 출입자의 지문 등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출입자가 특정되면, 출입 통제 시스템은 해당 출입자의 사용자 장치에 일회용 인증 정보(예컨대,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S5). 이는 출입자가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를 조작부(20)에 입력하였을 경우 입력된 번호에 문자 메시지나 애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사전에 출입 통제 시스템에 사용자 정보가 DB화되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DB(60)의 사용자 정보에서 검색하고 해당 출입자의 사용자 장치로 문자 메시지나 푸시 알림 등을 통해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증 정보를 수신한 출입자가 조작부(20)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면(S6),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자에게 전송된 인증 정보가 조작부(20)에 입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여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 출입 이벤트 정보에는 출입일시와 출입을 요청한 사용자에 관련된 식별정보, 해당 사용자의 출입이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입자에게 전송된 인증 정보와 조작부(20)에 입력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출입 통제 시스템은 해당 출입자가 집합시설(1)에 진입하거나 집합시설(1)에서 나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집합시설(1)의 차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8).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단 시설은 별도의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집합시설(1)의 출입문 자체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출입 통제 시스템에 의한 차단 장치 제어 과정(S8)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전술한 출입 이벤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S9). 일 실시예에서, 출입 이벤트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에서 관리되는 토큰을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을 정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분산 원장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출입 이벤트 정보의 출입일시에 상응하는 시점에 촬영부(10)에 의하여 촬영된 출입 영상도 블록체인 네트워크(2)를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 등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기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분산 원장에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기록되므로, 출입 기록의 반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하고, 악의적인 사용자가 출입 기록을 위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출입 기록을 쉽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출입 이벤트 발생 시 출입자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는 경우,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출입 기록에 포함시킴으로써 출입 통제 시스템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같은 질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방문자 목록의 작성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에서 출입 이벤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분산원장에 의하여 그 거래 내역이 기록되는 토큰의 이동에 관련된 트랜잭션을 정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의 제어부(50)는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들 각각에게 고유의 전자지갑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각 사용자들의 전자지갑 주소에 일정한 주기마다 일정량의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S10). 이는 출입 이벤트의 발생 시 사용자들의 전자지갑 주소를 이용한 토큰의 입금 또는 출금이 발생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정의함으로써, 출입 이벤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토큰 거래와 연동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자가 조작부(20)를 조작하여 출입 이벤트가 발생되면(S11), 제어부(50)는 출입일시, 출입자에 관련된 식별정보(출입 대상 호수 또는 구역의 식별정보, 출입자 개인의 식별정보, 또는 출입자의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 등), 및/또는 출입 허용 여부 등의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로 하여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 또한, 제어부(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에 업로드하기 위하여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해쉬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출입 이벤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함으로써, 출입 이벤트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분산원장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S13).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출입 이벤트 정보의 출입일시에 해당하는 시점의 출입 영상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S14). 출입 영상은 출입 이벤트 정보와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의 메인 넷에 저장되거나,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의 메인 넷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이드체인 상의 데이터 블록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출입 영상 자체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 저장되고, 그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해쉬값 등의 형태로 변환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2)의 사이드체인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 이벤트 정보가 기록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출입자로 식별된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2)에 의해 관리되는 토큰을 차감하거나 또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지급 주소에 출입 통제 시스템의 관리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토큰을 입금하는 계약이며, 출입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이에 따라 토큰의 입출금이 이루어지도록 출입 통제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S15). 이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 의하여 출입 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에 저장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출입 기록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들의 외출 시간 또는 체류 시간을 토큰의 입출금에 기반하여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통제 시스템의 제어부(50)는, 집합시설(1)에 대한 출입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일정 주기(예컨대, 1일) 마다 일괄적으로 동일한 양의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S10). 이후, 특정 사용자의 출입 이벤트가 발생되면, 출입 통제 시스템의 제어부(50)는 동일 사용자의 이전 출입 이벤트의 종류(진입 또는 진출) 및 출입일시와, 금번 출입 이벤트의 종류(진입 또는 진출) 및 출입일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외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출입 이벤트가 15시에 발생한 진출 이벤트이며, 금번 출입 이벤트가 16시에 발생한 진입 이벤트일 경우, 양 출입 이벤트를 비교하면 해당 사용자는 1시간 동안 집합시설(1)로부터 외출한 상태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특정 출입 이벤트와 그 직전 출입 이벤트의 비교를 통하여 사용자가 집합시설(1)을 떠나 있던 외출 시간이 정의되면, 출입 이벤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에 저장할 때, 사용자의 외출 시간에 상응하는 양의 토큰이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출금되어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자의 전자지갑 주소로 입금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형태로 출입 이벤트 정보를 분산원장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권한이 있는 각 사용자에게 매일 100개의 토큰이 지급되며, 출입 이벤트를 통해 1시간의 외출 시간이 인지될 때마다 20개의 토큰이 출입자로부터 운영자에게 이체된다고 상정하면, 각 사용자의 외출 시간이 토큰 이체 금액의 형태로 관리되고 각 사용자는 하루에 최대 5시간까지 외출이 가능하다.
지급된 토큰 수량을 넘는 외출 시간이 발생할 경우, 즉, 외출 시간에 상응하여 이체될 토큰 수량이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에 남아 있는 토큰 잔량보다 많을 경우, 제어부(50)는 해당 사실을 DB(60)에 기록하거나, 조작부(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고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또는 출입 통제 시스템의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에 남아 있는 토큰 잔량보다 많은 토큰의 이동을 요하는 외출 등이 발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출입이 불가능하도록 조작부(20) 또는 집합시설(1)의 출입 경로에 대한 차단 장치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집합시설(1)이 회사이며 각 사용자가 회사의 임직원일 경우 임직원의 외출 시간 관리를 통하여 근무 태도를 관리하기 위한 용도나, 집합시설(1)이 아파트와 같은 집합거주시설이며 각 사용자가 아파트 등의 입주민일 경우 장기간 거주지를 비운 입주민을 특정하여 적절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출입 이벤트의 종류와 출입일시를 통해 외출 시간을 산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집합시설(1) 내의 각 사용자의 체류 시간을 관리할 수 있도록 출입 통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출입자의 전자지갑 주소를 이용한 토큰 거래는 출입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센서에 의하여 집합시설(1) 내의 사람이 탐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거래되는 토큰 수량이나 거래의 형태(즉, 입금 또는 출금)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합시설(1)이 회사 건물일 경우 집합시설(1) 내에 사람이 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출근 시간에 발생된 출입 이벤트는 해당 출입자가 회사 건물에 가장 일찍 출근한 것을 의미하므로, 이에 상응하는 토큰 보상을 출입자의 전자지갑 주소에 지급하는 등 출입 이벤트의 종류에 따른 보상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 상의 토큰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집합시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
    상기 집합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에 설치된 차단 시설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부;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조작부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 및 출입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상응하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출입 영상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해쉬값을 생성하고,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상기 해쉬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며,
    상기 출입 영상을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사이드체인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차단 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토큰을 차감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급 주소에 상기 토큰을 입금하는 계약으로 정의되는 출입 통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작부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용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출입 통제 시스템.
  3. 집합시설에 설치된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집합시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 경로에 설치된 차단 시설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 및 출입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상응하여 촬영된 출입 영상을,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의 해쉬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를 상기 해쉬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출입 영상을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사이드체인 상의 데이터 블록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상기 차단 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토큰을 차감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에 상기 토큰을 입금하는 계약으로 정의되는 출입 통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일회용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71016A 2020-09-25 2020-12-09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9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16A KR102490323B1 (ko) 2020-09-25 2020-12-09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62A KR102222857B1 (ko) 2020-09-25 2020-09-25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71016A KR102490323B1 (ko) 2020-09-25 2020-12-09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62A Division KR102222857B1 (ko) 2020-09-25 2020-09-25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95A KR20220041695A (ko) 2022-04-01
KR102490323B1 true KR102490323B1 (ko) 2023-01-18

Family

ID=751512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62A KR102222857B1 (ko) 2020-09-25 2020-09-25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71016A KR102490323B1 (ko) 2020-09-25 2020-12-09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62A KR102222857B1 (ko) 2020-09-25 2020-09-25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22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3593B (zh) * 2022-01-25 2024-04-16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海量图片采集工作方法
KR20230137671A (ko) 2022-03-22 2023-10-05 (주)스페이스웨이비 블록체인을 이용한 IoT 기반의 모듈러 건축물의 임대 및 숙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494879B1 (ko) 2022-03-22 2023-02-06 (주)스페이스웨이비 블록체인을 이용한 IoT 기반의 모듈러 건축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39674B1 (ko) 2022-10-20 2023-06-02 주식회사 메디씽큐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39691B1 (ko) 2022-10-20 2023-06-02 주식회사 메디씽큐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39676B1 (ko) 2022-10-20 2023-06-02 주식회사 메디씽큐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의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1233A2 (en) 2019-03-04 2019-05-31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perty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blockchain network
KR102096746B1 (ko)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99B1 (ko) 2014-01-22 2014-10-01 이제희 얼굴인식형 스마트 페이퍼출입증 자동 발급 장치 및 방법
KR102497579B1 (ko) * 2018-05-30 2023-02-08 주식회사 씨브이티 생체 인식 기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5837B1 (ko) * 2018-11-15 2019-09-26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이를 활용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1233A2 (en) 2019-03-04 2019-05-31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perty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blockchain network
KR102096746B1 (ko)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857B1 (ko) 2021-03-03
KR20220041695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323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6081859B2 (ja) 入退域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域管理方法
US20140019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unting Alarms Using Identifying Tokens
US201302149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s using token based location
CN104137007B (zh) 用于针对楼宇自动化和控制系统的访问判决评估的系统和方法
CN109003371A (zh) 一种身份识别控制门禁、梯控的方法及其系统
BR112015025282B1 (pt) Sistema para controlar o acesso de indivíduos a uma área fechada
EP3584769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JP2008140024A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KR102480910B1 (ko) 등록이 간편한 얼굴인식 시스템
JP424657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AU2014370501A1 (en) An integrated access control and identity management system
JP6151519B2 (ja) セキュリティカード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カード管理サービス方法
US20230083819A1 (en) Access control for property management
KR20180125729A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CN116012991A (zh) 一种场所访问管理的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102088918B1 (ko)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210023597A (ko) 무인 스터디 카페 입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화 시스템
JP2012063825A (ja) 来訪者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JP2010044619A (ja) アクセス対象に対す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KR101933769B1 (ko) 스마트 출입 인증시스템
TWI476734B (zh) Multiple access control method
WO2022190310A1 (ja) 入場制御装置、入場制御システム、入場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7316982B2 (ja) 顔認証サーバ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530695B1 (ko)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