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691B1 -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691B1
KR102539691B1 KR1020220135530A KR20220135530A KR102539691B1 KR 102539691 B1 KR102539691 B1 KR 102539691B1 KR 1020220135530 A KR1020220135530 A KR 1020220135530A KR 20220135530 A KR20220135530 A KR 20220135530A KR 102539691 B1 KR102539691 B1 KR 10253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image
surgery
server
deta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지우
김나영
정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씽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씽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씽큐
Priority to KR102022013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691B1/ko
Priority to KR1020230069283A priority patent/KR2024005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691B1/ko
Priority to PCT/KR2023/014133 priority patent/WO20240854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6Segmentation of patterns in the image field; Cutting or merging of image elements to establish the pattern region, e.g. clustering-based techniques; Detection of occl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서버,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영상 조각 관리 서버,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술 단계 결정 서버, 및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OF SURGICAL STEP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수술 영상을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에 관한 기술이 급진적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됨에 따라, 의료 분야에서도 환자들에 대한 수술 장면을 녹화영상으로 제작하여 의사들이 의학 관련 학회에서 발표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수술 기록과 만약 생길 수 있는 의료 분쟁의 방어용으로 수술영상을 촬영하거나, 관절 등의 수술 시에 내시경 수술을 통해 초소형 카메라를 통해 육안으로 병변을 확인하면서 진단과 치료를 하는 경우도 많으며, 최근 대부분의 의료 장비에 영상 촬영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수술 영상 촬영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녹화된 수술 영상들은 다른 의사나 환자, 연구자 등에게 다양한 활용의 가치가 있다. 특히, 수술 영상에 다양한 의료 정보가 더해진다면 그 활용 및 자산가치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영상 기록의 변조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관 및 거래를 중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수술 진행 시에 의료 영상을 끊김 없이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수술 진행 시에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나 의료진들이 참고할 수 있는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2857호
본 발명은 예컨대 수술 장면을 촬영한 녹화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분리하고, 각 조각 영상의 연결 링크 정보 및 구간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함으로써 수술 영상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수술 진행 순서에 대한 기록 조작이나 수술 기록이 폐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녹화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쪼개고, 이를 연결 링크 정보 및 구간 정보의 조합을 이용하여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블록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면서 수술 녹화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거래를 통해 녹화된 수술 영상의 사용 및 거래를 투명하게 관리하고 이를 통한 수익화를 창출가능하게 하는 의료 영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나 의료진들이 참고할 수 있는 영상 재생 시 버퍼링을 줄이고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영상이 분할된 복수의 조각 영상을 지연 없이 사용자 단말기로 안정적인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는 캐시 서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행하는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술 영상을 생성하고 추천할 수 있는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거 수술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술의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술 환자에 알맞은 최적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고 이에 기초한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을 순차적으로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서버;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영상 조각 관리 서버;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술 단계 결정 서버; 및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는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복수의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는 성별, 나이, 수술 시기, 기저질환, 타수술 이력, 수술 후 예후 및 수술 회복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는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제1 이전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와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제2 이전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조합하여 상기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는 인공 지능을 이용한 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조각 관리 서버로부터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캐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시 서버는 복수의 캐시 서버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시 서버는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캐시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영상 조각에 대해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조각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서버에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영상 조각 관리 서버에서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저장하는 단계;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수술 장면을 촬영한 녹화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분리하고, 각 조각 영상의 연결 링크 정보 및 구간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함으로써 수술 영상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수술 진행 순서에 대한 기록 조작이나 수술 기록이 폐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녹화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쪼개고, 이를 연결 링크 정보 및 구간 정보의 조합을 이용하여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블록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면서 수술 녹화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거래를 통해 녹화된 수술 영상의 사용 및 거래를 투명하게 관리하고 이를 통한 수익화를 창출가능하게 하는 의료 영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나 의료진들이 참고할 수 있는 영상 재생 시 버퍼링을 줄이고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영상이 분할된 복수의 조각 영상을 지연 없이 사용자 단말기로 안정적인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는 캐시 서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행하는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술 영상을 생성하고 추천할 수 있는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과거 수술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술의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술 환자에 알맞은 최적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고 이에 기초한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을 순차적으로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의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조각 영상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된 블록에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헤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세부 수술 단계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의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의료 영상 관리 시스템은 의료 영상 촬영부(100),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의료 영상 촬영부(100)는 병원 내 수술실, 치료실이나 진료실 등 공간에서 수술, 치료, 진료 등과 관련된 영상을 녹화하고, 이와 같이 녹화된 의료 영상을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로 전송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촬영부(100)는 예컨대 의사 등 의료진이 착용가능한 형태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카메라, 수술실 내 설치된 카메라, 내시경 수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카메라 등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카메라나 CCTV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수술실 내 설치된 카메라는 천장에 설치되어 최초 실시간 영상에서 객체별 좌표를 지정하여 최초 위치를 파악하고, 수술 장면 및 수술 집도의의 동작 등을 파악하여 이동추적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되는 수술 도구 등의 모든 객체에 대해,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수술 장면을 자동으로 촬영 및 녹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의료 영상 촬영부(100)를 이용하여 수술 또는 치료와 관련되어 녹화된 의료 영상을 수신하고, 의료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블록을 생성하고, 의료 영상과 관련된 신규 데이터에 기초하여 블록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의료 영상을 수신하고 관리하기 위해 구성되는 각 모듈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 및 명령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 대응되는 서버이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P2P(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소규모 데이터들이 체인 형태로 무수히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block)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블록에는 해당 블록이 발견되기 이전에 사용자들에게 전파되었던 모든 거래 내역 또는 상태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P2P 방식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이 전송되므로 거래 내역 또는 상태 정보 등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누락시킬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통해 저장 및 업데이트되는 의료 영상 관리를 위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묶음을 '블록(block)'라고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분할부(220), 연결 링크 관리부(230), 블록 생성 처리부(240), 블록 업데이트 처리부(250) 및 계약 처리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상에 물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 이상의 루틴(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프로그램(program), 오브젝트(object), 콤포넌트(component), 명령(instructions),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및 특정 작업(task)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영상 수신부(210)는 의료 영상 촬영부(100)를 이용하여 수술 또는 치료와 관련되어 녹화된 의료 영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촬영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영상 분할부(220)는 의료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이와 같이 분할된 복수의 조각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블록 생성 처리부(240)를 통해 각 조각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차례대로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분할부(220)는 의료 영상 내에서 각 구간별 설정된 타임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의료 영상에서 복수의 조각 영상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타임스탬프 정보는 수술을 진행한 집도의 또는 의료진 등에 의해 수술 내 세부 절차 별로 구분되어 각 단계별로 설정되거나, 인공지능 기술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각 영상은 녹화된 수술 영상에 삽입된 태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태그 정보는 수술 주체, 수술 상황과 관련된 코멘트, 수술 시퀀스, 수술 도구 및 수술 관련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태그 정보는 각 타임스탬프 정보와 연관되어 의료진 등에 의해 입력되거나 인공지능 기술 등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블록 생성 처리부(240)는 의료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의 조각 영상에 대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블록의 헤더는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에 접속가능한 연결 링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블록의 헤더는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구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업데이트 처리부(250)는 생성된 블록에 대해 태그 정보 등에 기초하여 블록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조각 영상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 추가 정보, 열람 내역, 거래 내역, 사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조각 영상의 연결 링크를 통해 접속한 접속자 정보, 접속 IP 정보 및 접속 시간 정보를 로그 기록으로 추적하고, 이와 같은 접속 정보를 해당 조각 영상에 대응하는 블록의 바디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계약 처리부(260)는 의료 영상의 이용을 위한 다양한 거래 계약을 체결하고 관련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이와 같은 거래 계약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거래 조건에 따라 비용이 정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약 처리부(26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해 의료 영상의 이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의료 영상의 이용 기간 정보, 즉 시작일과 종료일에 대한 정보, 해당 영상의 접근 및 편집 권한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조각 영상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된 블록에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컨대 스텐트(stent) 시술 또는 수술과 관련된 의료 영상은 각 단계, 즉 1) 수술 준비 및 마취, 2) 카테터 삽입, 3) 풍선 팽창, 4) 카테터 제거 및 스텐트 장착의 4단계에 따라서 4개의 조각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고, 각 조각 영상은 타임 스탬프 정보로서 t1~t2, t2~t3, t3~t4, t4~t5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과 관련된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된 각 조각 영상에 대해 서로 상이한 접속가능한 연결 링크가 할당되어 각 조각 영상에 대응되는 연결 링크와 관련된 정보인 연결 링크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 영상이 순차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에 대해 각각 연결 링크 정보 및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헤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블록의 구조는 크게 블록의 식별자 역할을 하는 블록 해쉬(hash)와, 기본 정보를 갖는 헤더(header)와, 거래 정보등을 갖는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더는 일반적으로 버전, 이전 블록 해시, 머클루트, 타임, 난이도 목표, 논스(nonce)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헤더에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에 접속가능한 연결 링크와 관련된 연결 링크 정보 및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구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 구조를 통해 조각나서 분산된 원장별로 수술영상 조각이나 스틸컷에 접근가능한 링크 정보를 매칭하여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기록함으로써 의료 영상의 기록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링크 정보를 암호화하고, 해당 영상 또는 스틸컷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수정 불가하도록 판독 전용(read-only)으로 설정함으로써 접속 장소의 해당 영상을 변경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수술 녹화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쪼개고, 이를 연결 링크 정보 및 구간 정보의 조합을 이용하여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블록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면서 수술 녹화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술 이력이 저장 기간 만료로 폐기되거나, 관련 수술 관련 주요 내용이 변조되는 경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의료 영상 촬영부(100)를 통해 촬영 및 녹화된 의료 영상이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의 영상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S510)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영상 분할부(220)를 통해 의료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순차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S520)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연결 링크 관리부(230)를 통해 복수의 조각 영상에 대해 연결 링크를 생성하고, 각 조각 영상에 대한 구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30)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블록 생성 처리부(240)를 통해 복수의 조각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에 차례대로 기록할 수 있다.(S540) 이때 블록의 헤더는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에 접속가능한 연결 링크와 관련된 연결 링크 정보 및 복수의 조각 영상 각각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블록 업데이트 처리부(250)를 통해 복수의 조각 영상과 관련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550) 예컨대, 각 조각 영상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 추가 정보, 열람 내역, 거래 내역, 사용 내역 등에 기초하여 해당 블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관리 서버(200)는 접속자 정보, 접속 IP 정보 및 접속 시간 정보를 로그 기록으로 추적할 수 있다.(S560) 이와 같이 해당 링크를 통해 접속한 접속 관련 정보를 추적함으로써 접속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블록을 업데이트하여 접속 기록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수술, 치료, 진료 등을 진행하는 의사 또는 의료진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여 예컨대 콘텐츠 서버(600), 캐시 서버(700) 및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 등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텔레비전(televis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HMD(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AI(인공지능)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의료 영상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다양한 서버, 예컨대 콘텐츠 서버(600), 캐시 서버(700) 및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네트워크(500)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복수의 서버(600, 700, 80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네트워크가 무선 통신망일 경우, 셀룰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G(5th Gener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후 개발되는 무선 통신의 기술도 포함될 것이다.
다음으로 콘텐츠 서버(600)는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의료 영상 촬영부(100)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통해 병원 내 수술실, 치료실이나 진료실 등 공간에서 수술, 치료, 진료 등과 관련되어 녹화된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시 서버(700)는 콘텐츠 서버(600)로부터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 중 해당 수술과 관련된 수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참고 영상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로 수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캐시 서버(700)는 복수의 캐시 서버 중 해당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가장 유리한 캐시 서버로 선택될 수 있다.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수술 일시 및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600)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 중 해당 수술과 관련된 수술 영상을 결정하고, 관련된 수술 영상을 미리 결정된 용량 이하의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복수의 조각 영상은 해당 수술 영상 내에서 각 구간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되고,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앞부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각 영상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미리 결정된 수술 일시에 기초하여 수술 일시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조각 영상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해당 수술 일시의 1일 전 또는 1시간 전에 해당 조각 영상을 미리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여 캐시 서버(700) 내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이전에 사용하였던 참고 영상 정보와의 유사도 판단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600)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 중 관련된 수술 영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이전에 참고하였거나 검색하였던 과거 히스토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수술 시에 참고할 가능성이 높은 수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각 영상 중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스트리밍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조각 영상을 참고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캐시 서버(700)는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에 해당 조각 영상 중 앞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조각 영상을 요청하여 수신 및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캐시 서버(700)에 미리 나머지 조각 영상을 저장해 놓음으로써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해당 수술 영상의 스트리밍 시청 시에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각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모두 스트리밍되는 경우, 캐시 서버(700)는 전송된 수술 영상의 다음 차례에 해당하는 제2 수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술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조각 영상 또는 전체 조각 영상 중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스트리밍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2 수술 영상 중 해당 조각 영상을 참고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캐시 서버(700)는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에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위의 앞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조각 영상을 요청하여 수신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인공지능 기술 등을 통해 복수의 조각 영상의 영상 분석을 통해 수술 도구의 움직임, 피의 발생량 및 해당 수술과 관련된 장기의 변화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조각 영상을 결정하고,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주요 조각 영상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주요 조각 영상을 결정하고 해당 주요 조각 영상만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함으로써 캐시 서버(700)의 한정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수술 정보 수신부(810), 수술 영상 결정부(820), 영상 분할 처리부(830) 및 영상 전송 처리부(8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에 포함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상에 물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 이상의 루틴(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프로그램(program), 오브젝트(object), 콤포넌트(component), 명령(instructions),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및 특정 작업(task)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수술 정보 수신부(810)는 사용자 단말기(400) 또는 기타 수술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또는 단말로부터 수술 일시, 수술 대상, 수술 장소 위치 및 수술 종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술 영상 결정부(82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수술 참고 영상으로 제공할 수술 영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수신된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600)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 중 관련된 수술 영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 영상 결정부(82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이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해당 수술 종류와 관련하여 이전에 사용하였던 참고 영상 정보와의 유사도 판단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600)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 중 관련된 수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영상 결정부(820)는 인공지능 기술 또는 작업자의 처리를 통해 복수의 조각 영상의 영상 분석을 이용하여 수술 도구의 움직임, 피의 발생량 및 해당 수술과 관련된 장기의 변화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조각 영상을 결정하고,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주요 조각 영상만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주요 조각 영상을 결정하고 해당 주요 조각 영상만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함으로써 캐시 서버(700)의 한정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의료진 입장에서 한정된 시간에 주요 조각 영상만을 참고하여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영상 분할 처리부(830)는 수술 영상 결정부(820)에서 결정된 관련된 수술 영상을 미리 결정된 용량 이하의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조각 영상은 수술 영상 내에서 각 구간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되고,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의 조각 영상 중 앞부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각 영상을 영상 전송 처리부(840)를 통해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전송 처리부(840)는 캐시 서버(700)로 전달할 영상의 전송 처리 및 전송 스케줄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각 캐시 서버의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와 연결되는 하나의 캐시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송 처리부(840)는 수술 관련 정보에 포함된 수술 일시 정보에 기초하여 수술 일시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조각 영상을 캐시 서버(7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컨대, 예정된 수술은 2가지 종류의 수술을 포함하고 있고, 제1 수술과 관련된 제1 수술 영상과 제2 수술과 관련된 제2 수술 영상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수술과 관련되어 참고 영상으로 결정된 제1 수술 영상은 5개의 영상 조각이 각 구간의 타임스탬프 정보 (t1~t6)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고, 먼저 앞부분에 해당하는 제1 영상 조각 및 제2 영상 조각은 캐시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예컨대 t2의 시점을 넘어 제1 영상 조각이 모두 스트리밍되어 시청 완료된 경우, 캐시 서버(700)에서 이후의 영상 조각, 예컨대 제3 영상 조각, 제4 영상 조각 및 제5 영상 조각을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영상 조각들의 시청 여부에 따라 미리 이후의 영상 조각들을 캐시 서버(700)에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대상이 되는 수술 영상에 대해 지연 없이 영상이 시청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미리 결정된 기준인 t2의 시점 이전에 영상 스트리밍이 종료되면, 해당 참고 영상은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캐시 서버(700)에서 이후의 영상 조각, 예컨대 제3 영상 조각 이후의 영상 조각을 요청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캐시 서버(700)에서 저장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영상 스트리밍이 일정 시점 이전에 종료된 해당 영상 조각들은 해당 사용자의 관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모두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제1 수술 영상의 스트리밍 시청이 모두 완료되는 경우, 캐시 서버(700)는 다음 차례에 해당하는 제2 수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로서 앞부분의 영상 조각을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캐시 서버(700)에 제2 수술 영상의 앞부분의 영상 조각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컨대 제1 수술 영상의 시청이 종료되기 전에 예컨대 t4 또는 t5의 시점에서 캐시 서버(700)에서 제2 수술 영상의 앞부분의 영상 조각을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콘텐츠 서버(600)에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S910) 이때 수술 영상은 해당 수술의 종류, 수술 대상, 구간별 타임스탬프 정보와 태그 정보 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수술 정보 수신부(810)를 통해 수술 일시 및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20)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수술 영상 결정부(820)를 통해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된 수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S930)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영상 분할 처리부(830)를 통해 수술 영상을 복수의 조각 영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S940) 예컨대 수술 영상은 복수의 영상 조각이 각 구간의 타임스탬프 정보 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영상 전송 처리부(8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각 캐시 서버의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와 연결되는 하나의 캐시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S950)
결정된 캐시 서버(700)에서 관련된 수술 영상 중 일부 조각 영상을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960)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술 참고 영상 요청 시에 결정된 캐시 서버(700)를 통해 일부 조각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다.(S970)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일부 조각 영상에 이어 나머지 조각 영상을 요청하여 캐시 서버(700)를 통해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다.(S980)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해당 수술 영상의 앞부분의 복수의 조각에 대해 특정 비율을 넘을 때까지 스트리밍되는 경우, 캐시 서버(700)에서 이후의 나머지 영상 조각을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지연 없이 전체 영상이 시청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의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성에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가 추가된 형태이다.
여기서, 콘텐츠 서버(600)는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는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600)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는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는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복수의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는 성별, 나이, 수술 시기, 기저질환, 타수술 이력, 수술 후 예후 및 수술 회복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세부 수술 단계 결정 시에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환자와 유사한 조건에서 좋은 예후와 회복 기간을 갖는 수술 단계 및 조건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는 복수의 이전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조합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제1 이전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와 현재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제2 이전 수술 환자의 서로 다른 세부 수술 단계를 조합하여 현재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는 인공 지능을 이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이전 환자들의 기록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환자의 유사한 조건에서 최상의 예후와 회복 기간을 갖는 세부 수술 단계를 도출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공 지능 학습 모델을 통해 현재 수술 환자에게 최적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시 서버(700)는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로부터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 각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의 요청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캐시 서버(700)는 복수의 캐시 서버 중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최적의 위치에 있는 캐시 서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캐시 서버(700)는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에서 결정된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 캐시 서버(700)에 저장되지 않은 영상 조각에 대해 수술 환자의 수술 스케줄에 기초하여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로부터 해당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캐시 서버(700)는 해당 수술 환자의 수술 일시 이전에, 예컨대 1시간 또는 하루 이전에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은 영상 조각에 대해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로 요청하여 수술 일시 이전에 미리 해당 영상 조각들을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하나의 수술은 여러 개의 단계의 세부 수술 단계로 구분할 수 있고, 각 세부 수술 단계마다 영상 조각을 분할해 놓을 수 있다. 도 11에서 환자 1, 환자 2, 환자 3은 동일한 종류의 수술을 이전에 진행한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 4는 동일한 종류의 수술을 진행 예정인 경우를 가정한다.
예컨대, 환자 1의 이전 수술 기록을 살펴보면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의 3 단계로 구성된 세부 수술 단계를 갖고 있으며, 환지 2의 이전 수술 기록은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 D 단계가 추가되어 총 4 단계의 세부 수술 단계를 갖고 있다. 또한, 환자 3의 이전 수술 기록에서는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 이후에 E 단계가 추가되어 총 4 단계의 세부 수술 단계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수술의 경우에도 환자의 상황 및 수술의 상황에 따라 일부 세부 수술 단계가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와 같은 수술 데이터가 축적됨으로써 세부 수술 단계의 결과에 대한 확률적 판단이 가능해진다.
환자 1 내지 환자 3과 동일한 종류의 수술을 예정중인 환자 4에게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에 의해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는 환자 1 내지 환자 3의 세부 수술 단계가 조합된 형태로, A 단계, D 단계, B 단계, C 단계 및 E 단계로 구성된 총 5 단계의 세부 수술 단계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5 단계에 대응되는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이 의료진에게 참고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부 수술 단계의 추천 제안 및 결정은 예컨대 인공 지능을 이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이전 환자들의 기록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환자의 유사한 조건에서 최상의 예후와 회복 기간을 갖는 세부 수술 단계를 도출해낼 수 있으며, 동일 성별, 유사 나이, 유사 기저 질환 등의 환자 환경 조건에서 최상의 예후 및 회복 조건을 갖는 세부 수술 단계 조건을 찾아내 추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세부 수술 단계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술 단계 결정 서버(900)에서 결정된 환자 4의 세부 수술 단계가 환자 1의 수술 영상으로서 A 단계 영상, B 단계 영상, C 단계 영상을 포함하고, 또한, 환자 2의 수술 영상 중 D 단계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캐시 서버(700)는 해당 수술 환자의 수술 일시 이전에, 환자 1의 수술 영상과 환자 2의 수술 영상 중 D 단계의 영상의 저장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2에서와 같이 환자 1의 수술 영상인 A 단계 영상, B 단계 영상, C 단계 영상을 모두 저장하고 있었으나, 환자 2의 수술 영상 중 참고할 세부 수술 단계로 결정된 D 단계 영상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캐시 서버(700)는 영상 조각 관리 서버(800)로 환자 2의 수술 영상 중 D 단계 영상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환자 4의 수술 스케줄에 기초하여 수술 일시 이전에 캐시 서버(700)에서 환자 2의 D 단계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도록 영상 전송 일시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구체적인 다양한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의료 영상 촬영부
200: 의료 영상 관리 서버
300: 블록체인 네트워크
400: 사용자 단말기
500: 네트워크
600: 콘텐츠 서버
700: 캐시 서버
800: 영상 조각 관리 서버
900: 수술 단계 결정 서버

Claims (8)

  1.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서버;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영상 조각 관리 서버;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술 단계 결정 서버; 및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조각 관리 서버로부터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캐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시 서버는 복수의 캐시 서버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캐시 서버는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캐시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영상 조각에 대해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일시 이전에 상기 영상 조각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는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복수의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수술 환자의 기록 정보는 성별, 나이, 수술 시기, 기저질환, 타수술 이력, 수술 후 예후 및 수술 회복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는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제1 이전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와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와 동일한 수술을 진행하였던 제2 이전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조합하여 상기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는 인공 지능을 이용한 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수술 환자의 세부 수술 단계를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술 단계 영상 전송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서버에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영상 조각 관리 서버에서 수술 종류를 포함하는 수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수술 영상을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저장하는 단계;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수술 환자의 수술 종류에 기초하여 세부 수술 단계를 결정하고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세부 수술 단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캐시 서버에서 상기 영상 조각 관리 서버로부터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세부 수술 단계 영상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 조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시 서버는 복수의 캐시 서버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의 인접성 또는 응답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캐시 서버에서 상기 수술 단계 결정 서버에서 결정된 각 세부 수술 단계와 관련된 각각의 영상 조각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캐시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영상 조각에 대해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수술 환자의 수술 일시 이전에 상기 영상 조각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영상 조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KR1020220135530A 2022-10-20 2022-10-2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3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30A KR102539691B1 (ko) 2022-10-20 2022-10-2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230069283A KR20240055624A (ko) 2022-10-20 2023-05-3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CT/KR2023/014133 WO2024085467A1 (ko) 2022-10-20 2023-09-19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30A KR102539691B1 (ko) 2022-10-20 2022-10-2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283A Division KR20240055624A (ko) 2022-10-20 2023-05-3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691B1 true KR102539691B1 (ko) 2023-06-02

Family

ID=867554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530A KR102539691B1 (ko) 2022-10-20 2022-10-2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230069283A KR20240055624A (ko) 2022-10-20 2023-05-3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283A KR20240055624A (ko) 2022-10-20 2023-05-30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39691B1 (ko)
WO (1) WO20240854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67A1 (ko) * 2022-10-20 2024-04-25 주식회사 메디씽큐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786A (ko) * 2008-11-25 201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0705A (ko) * 2018-05-23 2019-07-08 (주)휴톰 수술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81161A (ko) * 2018-12-27 2020-07-07 (주)아이앤아이소프트 컨텐츠 스트리밍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222857B1 (ko) 2020-09-25 2021-03-03 정안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9983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엠티이지 도구 인식 기반의 수술 동영상 간 유사도 비교 장치 및 방법
KR20210104190A (ko) * 2020-02-14 2021-08-25 주식회사 아이버티 수술 분석 장치, 수술영상 분석 및 인식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891B1 (ko) * 2018-05-29 2019-10-23 (주)휴톰 수술보조 영상 표시방법, 프로그램 및 수술보조 영상 표시장치
KR102539691B1 (ko) * 2022-10-20 2023-06-02 주식회사 메디씽큐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786A (ko) * 2008-11-25 201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0705A (ko) * 2018-05-23 2019-07-08 (주)휴톰 수술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81161A (ko) * 2018-12-27 2020-07-07 (주)아이앤아이소프트 컨텐츠 스트리밍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9983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엠티이지 도구 인식 기반의 수술 동영상 간 유사도 비교 장치 및 방법
KR20210104190A (ko) * 2020-02-14 2021-08-25 주식회사 아이버티 수술 분석 장치, 수술영상 분석 및 인식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22857B1 (ko) 2020-09-25 2021-03-03 정안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67A1 (ko) * 2022-10-20 2024-04-25 주식회사 메디씽큐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624A (ko) 2024-04-29
WO2024085467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wan et al. Unplanned reoperations in magnetically controlled growing rod surgery for early onset scoliosis with a minimum of two-year follow-up
US20180167200A1 (en) Obtaining a medical record stored on a blockchain from a wearable device
JP7224288B2 (ja) 医療アシスタント
Akins et 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30-day readmissions after instrumented spine surgery in 14,939 patients: 30-day readmissions after instrumented spine surgery
CA3091637A1 (en) Engagement and education of patients for endoscopic surgery
Nakashima et a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open-door laminoplasty versus French-door laminoplasty in cervical compressive myelopathy
McCutcheon et al. Thirty-day perioperative outcomes in spinal fusion by specialty within the NSQIP database
KR102539691B1 (ko) 수술 단계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39674B1 (ko) 캐시 서버를 이용한 수술 영상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3967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의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hmed et al. 5-year reoperation risk and causes for revision after idiopathic scoliosis surgery
Haginomori et al. Residual cholesteatoma: incidence and localization in canal wall down tympanoplasty with soft-wall reconstruction
Cox et al. Long-term hearing results after ossiculoplasty
US20160119305A1 (en) Electronic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security for digital medical treatment room
Lee et al. Predictors for unfavorable projection of the constructed auricle following ear elevation surgery in microtia reconstruction
US20120131011A1 (en) Intelligent query routing for federated pacs
Omura et al. Evaluation of posterior long fusion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 progressive rheumatoid cervical spine
US20170206318A1 (en) Medical system and medical device
Schwam et al. Outcomes in revision stapes surgery
CN110909242A (zh) 一种数据推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60217254A1 (en) Image insertion into an electronic health record
KR20140033892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alley et al. Diagnostic criteria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 of total ankle arthroplasty
Baron et al. A comparison of outcomes for spinal trauma patients at level I and level II centers
Malik et al. 30-Day postoperative morbidity and readmission following revisio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