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892A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892A
KR20140033892A KR1020120100396A KR20120100396A KR20140033892A KR 20140033892 A KR20140033892 A KR 20140033892A KR 1020120100396 A KR1020120100396 A KR 1020120100396A KR 20120100396 A KR20120100396 A KR 20120100396A KR 20140033892 A KR20140033892 A KR 2014003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smart device
electronic chart
cloud serv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수
Original Assignee
송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철수 filed Critical 송철수
Priority to KR102012010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892A/ko
Publication of KR2014003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상기 환자의 소정 폴더로 업로드/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하고,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입력/요청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저장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의료 전자 차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요청된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수행하는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진료 중 녹취/촬영한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의료 전자 차트로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술 중인 의사가 터치없이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상기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ELETRONIC CHART USING SMRAT DEVICE}
본 발명은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병원에서는 PC 기반에서 환자의 예약 접수 및 수납 등을 수행하고, 의사 역시 PC에 기반하거나 수기 차트를 운용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관리가 이원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한 환자에 대한 병원의 진료 기록이나 수납/예약 등에 대한 관리의 이원화로 일관성 있는 자료 구축이 제한되어 있다. 특히, 수기 차트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영구적인 저장 및 관리에 제한이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진료 기록의 보존성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
또한, 병원에서 PC에 기반하여 진료를 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대하여 다면적으로 생생한 기록을 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대형 병원에서 회진을 하는 경우에는 한 번에 수많은 환자의 상태를 살펴보지만, 생생하게 환자의 상태나 그 소견을 기록하기 힘들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아이패드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의 구현이 요청된다.
그런데, 특히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의 아이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메모리나 OS의 한계 등으로 인해 이미지나 파일의 동기화나 공유를 위해 최종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막고 있다. 이에,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방안이 강구된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의료 차트를 생성하는 경우, 펜 차트를 그림판 등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생성할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 웹 환경의 펜 차트는 아직 구현되고 있지 않다. 즉, 그림판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차트를 그린 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는 있지만, 웹 환경의 펜 차트 즉, 서버에 저장된 펜 차트를 그대로 실시간으로 수정하고 타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펜 차트의 특성상 여러 사용자가 조회하고 수정하더라도 동시에 여러 사용자의 수정/변경은 방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다운로드한 펜 차트를 수정하여 업로드하는 기능은 있었으나, 실시간으로 그리는 이미지를 웹 환경에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술 중인 경우, 수술 경과를 비디오 녹화하는 경우는 있으나, 환자의 수술 경과를 환자의 진료 기록과 일체화하거나 연계시키는 기술은 없다. 수술 중이든 회진 중이든 왕진이든 언제든지 의사가 환자의 진료 소견을 기록하고, 예약, 수납도 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은,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상기 환자의 소정 폴더로 업로드/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하고,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입력/요청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저장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의료 전자 차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요청된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수행하는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진료 중 녹취/촬영한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의료 전자 차트로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술 중인 의사가 터치없이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상기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의료 전자 차트가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펜 차트인 경우, 상기 펜 차트를 웹 상에서 실행하여 그려지는 이미지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는,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포맷의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발급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방법은,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가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포맷의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발급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 또는 추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환자 진료/수술 예약 등록 또는 수납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전자 차트를 추가하기 위해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전자 차트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 또는 추가하는 단계는, 진료 중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녹취/촬영하여 의료 전자 차트로 생성하거나, 수술 중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하거나, 상기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하거나,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을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전자 차트가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기 저장된 펜 차트인 경우, 상기 펜 차트를 웹 상에서 실행하여 그려지는 이미지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관리하고 예약/수납 역시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수기 차트나 PC 위주의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에서 탈피하여 환자에 대한 모든 관리가 일원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 전자 차트 및 예약/수납 등을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서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료 기록을 영구 보존하고, 기존의 수기 차트는 촬영 이미지를 보존하도록 함으로써, 기록 보존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촬영 이미지 등을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 상의 특정 주소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환자의 특정 폴더 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의료 전자 차트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의사의 회진/왕진/수술 중에도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생하게 환자 상태나 소견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 전자 차트가 펜 차트로 생성된 경우에 펜 차트의 이미지를 바이너리 형태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펜 차트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다른 사용자의 동시 접근이나 수정을 막고 데이터를 기록/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술 중에는 의사가 수술 장갑을 낀 상태에서 음성 인식 명령이나 모션 인식 기술을 통해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나 이미지나 동영상의 촬영/녹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 차원에서 매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자 관리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자 정보 현황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진료 유형 입력 및 의료 전자 차트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예약 및 수납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100)(이하,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스마트 디바이스(110),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110)를 이용하여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관리하고 예약/수납 역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무선/유선 통신을 통해 의료 전자 차트 등을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에 업로드/다운로드하거나 동기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의료 전자 차트의 작업 또는 예약/수납은 실질적으로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환자가 많거나 자료가 많은 경우에는 이와 같이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존의 수기 차트는 스마트 디바이스(110)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영구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의 회진/왕진/수술 중에도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생하게 환자 상태나 소견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디바이스(110)의 이동성으로 인해 회진/왕진/수술 중 언제 어디서나 환자 상태를 촬영하거나 그 소견을 기록하거나 녹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진/왕진 중에도 환자 예약이나 수납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촬영 이미지 등을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 상의 특정 주소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환자의 특정 폴더 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의료 전자 차트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의료 전자 차트가 펜 차트로 생성된 경우에 펜 차트의 이미지를 바이너리 형태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 iOS 환경에서는 메모리나 OS 기능 한계로 인해 구현될 수 없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에, 타 사용자의 동시 접근이나 수정을 막고 데이터를 기록/보존할 수 있다.
특히, 수술 중인 경우에는 의사가 수술 장갑을 낀 채로 스마트 디바이스(110)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음성 인식 명령이나 모션 인식 기술을 통해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업로드/다운로드 등과 수술 이미지 촬영/동영상 녹화 등 다양한 작업을 터치없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하여 업로드/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하고,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입력/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와 연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10)에 직접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 역시 스마트 디바이스(110)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진료 중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녹취/촬영하여 의료 전자 차트로 부가하여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 중인 경우에는 의사가 터치없이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인식 기술은 모션 UI 기술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디바이스(110)의 카메라를 통해서 의사의 동작을 인식하여 새로운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것인지 의료 전자 차트를 조회하는 것인지 동영상 촬영을 하라는 것인지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스스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의료 전자 차트가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저장된 펜 차트인 경우, 웹 상에서 직접 펜 차트 수정이나 실시간 동기화 즉 저장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그림판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수정, 업로드의 순서로 파일 수정을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펜 차트를 웹 상에서 직접 실시간 수정하고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그림판에서는 현재 실시간으로 그려지는 이미지를 수정할 수 없었으나, 스마트 디바이스(110)에서는 현재 실시간으로 그려지는 이미지를 각각 바이너리 데이터의 배열로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로 송신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려지는 이미지는 바이너리 데이터의 배열로 저장되므로, 그려진 이미지를 UNDO/REDO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는 스마트 디바이스(110)에서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저장하거나 스마트 디바이스(110)의 요청에 따라 의료 전자 차트를 전송하고, 스마트 디바이스(110)로부터 입력/요청된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는 어느 하나의 병원에서 전용으로 사용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여러 병원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는 병원 별 또는 의사 별로 로그인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자료의 보안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110)가 iOS 환경의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인 경우에는 메모리 한계 등으로 인해 OS 상에서 특정 파일 업로드에 제한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다른 노드를 통해 우회하여 먼저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최종 저장 또는 수정 명령이 입력되면,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에 기 수신된 파일을 최종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의료 전자 차트는 특정 주소가 아니라 특정 환자 그리고 그 환자의 특정 폴더에 지정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안 상의 관점에서 볼 때, 의료 전자 차트는 환자의 신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의사들에게만 접근이 허락되어야 한다. 특히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도 사용하는 기기이므로, 단순히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으로는 부족하다. 이에, 2차적인 수단으로서 인증 코드가 요구된다.
이때, 기존과 달리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는 특정 스마트 디바이스(110)에 대하여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포맷의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쿠키 포맷으로 인증 코드를 생성하되,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코드를 발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발급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자 관리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의사명을 입력하여 의사 리스트가 관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자 정보 현황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환자 정보 현황을 위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환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고, 도 3b는 환자 성명, 환자 연락처, 환자 생일, 환자 주민번호 등 환자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e는 환자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서, 환자의 기본 정보, 진료 등의 이력 현황, 각종 차트 현황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진료 유형 입력 및 의료 전자 차트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먼저 도 4a는 X-ray 사진 등을 등록/수정하기 위한 그림 차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b는 환자의 차트 기본 정보, 그림 차트 현황, 펜 차트 현황을 일괄적으로 나타내는 화면이다. 그리도 도 4c는 타이핑 차트를 입력/저장하기 위한 화면이며, 도 4d는 펜차트를 입력/저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예약 및 수납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환자의 접수 처리/접수 현황을 나타내는 화면이 나타나 있다. 이때, 환자의 접수 현황과 관련하여 환자의 의료 전자 차트가 연계되어 조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가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110)에 대하여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포맷의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한다(S101). 이러한 인증 코드는 먼저 아이디/패스워드를 통한 접속 이후 2차적 보안 인증 단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는 쿠키 포맷 형태로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임의로 생성함으로써, 그 특정 디바이스만 접속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10)가 앞서 발급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한다(S102). 이때, 쿠키 포맷에서는 접속 경로 등이 포함되므로 자동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10)가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 또는 추가한다(S103). 이때, 의료 전자 차트의 추가는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한 환자 진료 기록에 추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의사가 진료 중이라면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녹취/촬영하여 의료 전자 차트로 생성할 수 있고, 수술 중이라면 스마트 디바이스(110)는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사의 터치없이 스마트 디바이스(11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하거나,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을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션 인식 기술은 모션 UI 기술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10)가 앞서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로 업로드/동기화한다(S104).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상기 의료 전자 차트가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펜 차트인 경우, 상기 펜 차트를 웹 상에서 실행하여 그려지는 이미지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다음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10)가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로 요청한다(S105).
다음으로,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가 상기 요청에 따라 환자 진료/수술 예약 등록 또는 수납 처리를 수행한다(S106).
다음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10)가 의료 전자 차트를 추가하기 위해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120)로부터 의료 전자 차트를 다운로드한다(S107).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상기 환자의 소정 폴더로 업로드/동기화하거나 다운로드하고,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입력/요청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저장하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의료 전자 차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요청된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수행하는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진료 중 녹취/촬영한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의료 전자 차트로 생성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술 중인 의사가 터치없이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상기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의료 전자 차트가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펜 차트인 경우, 상기 펜 차트를 웹 상에서 실행하여 그려지는 이미지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는,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포맷의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발급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4.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가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포맷의 디바이스 별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발급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 또는 추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 진료/수술 예약 또는 수납을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환자 진료/수술 예약 등록 또는 수납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전자 차트를 추가하기 위해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전자 차트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전자 차트를 생성 또는 추가하는 단계는,
    진료 중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의 음성/이미지/동영상을 녹취/촬영하여 의료 전자 차트로 생성하거나, 수술 중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의료 전자 차트의 생성/조회/동기화/삭제를 수행하거나, 상기 모션 인식 기술 또는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수술 중 수술 경과에 대한 의사의 음성을 녹취하거나, 수술 과정에 대한 이미지/동영상을 촬영/저장/업로드/동기화/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된 의료 전자 차트를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전자 차트가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에 기 저장된 펜 차트인 경우, 상기 펜 차트를 웹 상에서 실행하여 그려지는 이미지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상기 의료 관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방법.
KR1020120100396A 2012-09-11 2012-09-11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3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396A KR20140033892A (ko) 2012-09-11 2012-09-11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396A KR20140033892A (ko) 2012-09-11 2012-09-11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892A true KR20140033892A (ko) 2014-03-19

Family

ID=5064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396A KR20140033892A (ko) 2012-09-11 2012-09-11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8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45A (ko) 2018-05-17 2019-11-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눈 움직임 정보 제공 방법
KR20200025736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투곰스 클라우드기반 병원고객관리 시스템
KR20200068992A (ko) * 2018-12-06 2020-06-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45A (ko) 2018-05-17 2019-11-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눈 움직임 정보 제공 방법
KR20200025736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투곰스 클라우드기반 병원고객관리 시스템
KR20200068992A (ko) * 2018-12-06 2020-06-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69911B2 (en) Providing access to a cloud 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on a mobile device
US20180137246A1 (en) Multimode mobi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EP2813065B1 (en) Camera system controlled by a tablet computer
US8665337B2 (en) Image sharing system, image manag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20120290981A1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operation method by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US20120215882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torage device, and non-transistory content manage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235535B2 (en) Transmitting medical data records
JP6152797B2 (ja) 画像閲覧システム、受信側携帯端末、画像サーバ、および画像閲覧方法
KR20170097980A (ko) 전자 장치의 컨텐트 그룹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98714B1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615832A (zh) 医疗影像数据采集方法及装置
KR102121327B1 (ko) 이미지 획득 방법, 피제어 기기 및 서버
CA3172794A1 (en) Intelligent meta pacs system and server
KR20140033892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전자 차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550504B (zh) 一种移动医疗信息系统及医疗信息处理方法
WO2014156901A1 (ja) 医用情報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可搬型端末
US20140071259A1 (en) Echo-video-image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image distribution system
CN207690510U (zh) 医学影像管理系统
JP6190517B1 (ja) 通信端末、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65551B2 (ja) 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KR20130104464A (ko) 고객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79384B1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Hiroyasu et al. Distributed PACS using distributed file system with hierarchical meta data servers
JP2011204080A (ja) ストレージ装置
JP2021026691A (ja) 画像送信プログラム、画像送信方法及び画像送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