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786B1 -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 Google Patents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786B1
KR102489786B1 KR1020210190693A KR20210190693A KR102489786B1 KR 102489786 B1 KR102489786 B1 KR 102489786B1 KR 1020210190693 A KR1020210190693 A KR 1020210190693A KR 20210190693 A KR20210190693 A KR 20210190693A KR 102489786 B1 KR102489786 B1 KR 10248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trigger
screw body
slide
impact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선
최규섭
박재우
윤지훈
오민아
Original Assignee
(주)코네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네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코네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9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5Analysing solids by imparting shocks to the workpiece and detecting the vibrations or the acoustic waves caused by the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2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in which the tool is connected to an impuls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55Switches
    • B25D2250/265Trigger mechanism in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61Use of screws or thread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88Time or 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4Resonance or resonant frequ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는, 본체, 본체 내에 위치한 슬라이드 충격대, 슬라이드 충격대의 후단에 형성된 충격대 나사체, 충격대 나사체와 맞물려 충격대 나사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나사체, 회전 나사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회전 나사체와 모터를 연결하는 연결체, 방아쇠가 동작함에 따라 연결체를 승강시키는 격발장치, 전단이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 설치체에 결속되고, 후단은 슬라이드 충격대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 및 슬라이드 충격대의 전단부에 결합된 임팩트 해머를 포함하고, 장전 모드에서, 회전 나사체가 회전하여 충격대 나사체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슬라이드 충격대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인장 스프링은 인장되고, 격발 모드에서, 방아쇠가 당겨져서 격발장치는 연결체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충격대 나사체는 회전 나사체와 떨어지며, 인장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충격대 나사체 및 임팩트 해머는 전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IMPACT HAMMER TOOL OF ROTATING SCREW TYPE}
본 발명은 기기의 고유진동수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충격해머시험에 사용하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에 관한 것이다.
기기의 고유진동수 등을 확인하는 실험에는 충격해머시험이 있다. 충격해머시험은 순간적인 타격으로 FFT를 이용하여 물체의 고유 특성을 보는 시험인데 가속도계를 설치하고 임의 위치를 타격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기기의 임의 위치를 타격하기 위해 임팩트 해머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임팩트 해머는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설정할 수 없고, 시험 과정에서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한국등록특허 제10-1410404호 참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설정하여, 시험 과정에서 설정된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조정 버튼으로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설정하여, 시험 과정에서 설정된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는, 본체, 본체 내에 위치한 슬라이드 충격대, 슬라이드 충격대의 후단에 형성된 충격대 나사체, 충격대 나사체와 맞물려 충격대 나사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나사체, 회전 나사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회전 나사체와 모터를 연결하는 연결체, 방아쇠가 동작함에 따라 연결체를 승강시키는 격발장치, 전단이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 설치체에 결속되고, 후단은 슬라이드 충격대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 및 슬라이드 충격대의 전단부에 결합된 임팩트 해머를 포함하고, 장전 모드에서, 회전 나사체가 회전하여 충격대 나사체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슬라이드 충격대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인장 스프링은 인장되고, 격발 모드에서, 방아쇠가 당겨져서 격발장치는 연결체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충격대 나사체는 회전 나사체와 떨어지며, 인장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충격대 나사체 및 임팩트 해머는 전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 버튼으로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설정하여, 시험 과정에서 설정된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가 장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가 격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가 장전되는 과정 및 격발되는 과정에서의 방아쇠 및 격발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가 장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가 격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210)는, 자동으로 장전 및 격발이 이루어지는 임팩트 해머 공구(210)이다.
이러한 임팩트 해머 공구(210)는, 본체(10), 슬라이드 충격대(20), 충격대 나사체(30), 회전 나사체(40), 모터(60), 연결체(50), 격발장치(110), 방아쇠 당김장치, 인장 스프링(70), 임팩트 해머(140), 조정 버튼(170) 및 표시장치(18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틀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부품들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의 전방에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방아쇠(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본체(10)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구멍(2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발이나 장전 시에 본체(10) 내의 공기의 흐림이 막혀 작동 과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구멍(200)은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으나, 형성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충격대(20)는, 본체(10) 내에 위치한 부품으로서, 후단에는 충격대 나사체(30)가 형성될 수 있고, 전단에는 임팩트 해머(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충격대(20)는 나사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한 후, 후술하는 인장 스프링(70)의 압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임팩트 해머(140)가 타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드 충격대(20)는 본체(10) 내에 고정 설치된 충격대 지지체(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충격대 나사체(30)는, 슬라이드 충격대(2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회전 나사체(40)에 의해 회전되고, 그 결과 슬라이드 충격대(2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나사체(40)는, 충격대 나사체(30)와 맞물려 충격대 나사체(30)를 회전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회전 나사체(40)는 충격대 나사체(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충격대 나사체(30)와 맞물려서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관계 하에서,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장전 모드에서, 모터(6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은 회전 나사체(40)는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 나사체(40)와 맞물린 충격대 나사체(30)도 역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충격대 나사체(30)와 결합된 슬라이드 충격대(20) 역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격발 모드에서, 회전 나사체(40)는 격발장치(110)에 의해 하강되어 충격대 나사체(30)와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격대 나사체(30)와 연결된 슬라이드 충격대(20)가 인장 스프링(70)의 압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모터(60)는, 회전 나사체(40)를 회전시키는 부품이며, 본체(1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배터리(190)에 의해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60)의 회전축은 후술하는 연결체(50)와 결속될 수 있고, 모터(60)는 연결체(50)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60)로는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팩트 해머(140)의 충격량과 타격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모터(60)에 컨트롤 칩을 부착할 수도 있다.
연결체(50)는, 회전 나사체(40)와 모터(6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체(50)는 모터(6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모터(60)에 의해 회전하고, 연결체(50)와 결합된 회전 나사체(40) 역시 회전을 할 수 있다.
격발장치(110)는, 방아쇠(120)가 동작함에 따라 연결체(50)를 승강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격발장치(110)는, 연결체(50)와 접하는 캠(80), 캠(80)을 지지하는 캠 지지대(90), 및 캠 지지대(90)와 방아쇠(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캠(80)은 볼록 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캠(80)은 회전 나사체(40)와 접하면서 회전 나사체(40)를 지지할 수 있고, 캠(80)의 하부에는 캠 지지대(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캠 지지대(90)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캠 지지대(9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대(100)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대(100)는 방아쇠(120)와 결합할 수 있다.
방아쇠(120)가 당겨질 경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속된 방아쇠(120)는 후방으로 선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방아쇠(120)에 연결된 연결대(100)는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이후, 연결대(100)와 일체를 이루는 캠 지지대(9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선회할 수 있고, 캠 지지대(90)와 연결된 캠(80)은 전방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캠(80)이 하강함에 따라 연결체(50)가 하강하고, 연결체(50)와 결합된 회전 나사체(40) 및 모터(60)가 하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전 나사체(40)는 충격대 나사체(30)로부터 이격되어 충격대 나사체(30)가 인장 스프링(7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방아쇠 당김장치는, 자동으로 방아쇠(120)를 동작시키는 장치로서, 자동으로 방아쇠(120)를 당기거나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아쇠 당김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해머 공구(210)는 자동으로 장전 및 격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격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일 형태로서, 방아쇠 당김장치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130)일 수 있다.
방아쇠(120)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130)의 동작봉에 결속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130)가 동작함에 따라 동작봉은 전후진하며, 그에 따라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방아쇠(120)는 당겨지거나 복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방아쇠(120)와 연결된 연결대(100)가 후방으로 밀리고,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캠 지지대(90)가 선회하면서, 캠(80)은 캠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캠(80)이 지지하는 연결체(50)가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체(50)의 승강으로 인하여, 회전 나사체(40)는 충격대 나사체(30)와 맞물리거나 충격대 나사체(3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인장 스프링(70)은, 슬라이드 충격대(20)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인장 스프링(70)은, 전단이 본체(10) 내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 설치체(150)에 결속될 수 있고, 후단은 슬라이드 충격대(20)에 고정될 수 있다.
장전 모드에서, 회전 나사체(40)에 의해 충격대 나사체(30)가 회전하고, 충격대 나사체(30)와 결합된 슬라이드 충격대(20)가 후진함에 따라 인장 스프링(70)은 인장될 수 있다.
이후, 격발 모드에서, 회전 나사체(40)가 하강하고, 회전 나사체(40)로부터 떨어진 충격대 나사체(30) 및 슬라이드 충격대(20)는 인장 스프링(70)의 압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임팩트 해머(140)는, 슬라이드 충격대(2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타격 대상에 충격을 가하는 부품이다.
조정 버튼(17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60) 및 방아쇠 당김장치를 제어하여, 임팩트 해머(140)가 가하는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조정하는 버튼이다.
우선, 임팩트 해머(140)의 충격량 제어를 보면, 사용자는 조정 버튼(170)을 통해 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이렇게 모터(60)를 제어함에 따라 회전 나사체(40)와 충격대 나사체(30)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충격대 나사체(30)에 연결된 슬라이드 충격대(20)의 후퇴량이 조정될 수 있고, 동시에 인장 스프링(70)의 인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인장 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인장 정도에 따라 임팩트 해머(140)의 충격량이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임팩트 해머(140)의 타격 시간 간격 제어를 보면, 사용자는 조정 버튼(170)을 통해 방아쇠 당김장치를 제어하여 방아쇠(120)가 자동으로 당겨지는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임팩트 해머(140)의 타격횟수 제어를 보면, 사용자는 조정 버튼(170)을 통해 모터(60)의 작동 횟수를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임팩트 해머(140)의 타격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 버튼(170)을 조작함으로써, 임팩트 해머(140)가 가하는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다양한 수치로 조정할 수 있고, 이들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방아쇠(120)를 당기는 대신에, 자동으로 방아쇠 당김장치가 방아쇠(120)를 당김으로써, 타격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210)를, 기기의 고유진동수를 확인하는 충격해머시험에 사용할 경우, 일정한 충격량, 일정한 타격 시간 간격 및 정해진 타격 횟수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시험의 정확성을 높여 기기의 정확한 고유진동수를 알 수 있다.
표시장치(180)는, 조정 버튼(170)으로 조정된 임팩트 해머(140)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가 표시되는 장치이다.
이를 통해, 임팩트 해머(140)의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하,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도 1 을 참조하면, 도 1 은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장전 모드를 도시한다.
장전 모드에서, 모터(60)에 의해 회전 나사체(40)가 회전하여 충격대 나사체(30)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슬라이드 충격대(20)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이 스프링 설치체(150)에 결속되고, 후단은 슬라이드 충격대(20)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70)은 인장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도 2 는 임팩트 해머 공구(210)의 격발 모드를 도시한다.
격발 모드에서, 방아쇠 당김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방아쇠(120)가 당겨져서(A 참조), 격발장치(110)의 캠(80)이 선회하고(B 참조), 캠(80)이 선회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연결체(50)는 하강하고, 그에 따라 충격대 나사체(30)는 회전 나사체(40)와 떨어질 수 있다(C 참조).
충격대 나사체(30)가 회전 나사체(40)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충격대 나사체(30)와 연결된 슬라이드 충격대(20)는 전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장 스프링(70)은 압축되면서 슬라이드 충격대(20)의 전방에 설치된 임팩트 해머(140)는 전진하면서 타격 대상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210)를 살펴보았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를 살펴본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가 장전되는 과정 및 격발되는 과정에서의 방아쇠 및 격발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는, 방아쇠 당김장치가 없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방아쇠(120)가 당겨질 수 있다.
그 외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210)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아쇠(120)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당겨진 방아쇠(120)를 복귀시키기 위해서 방아쇠(120)의 후방에 방아쇠(120)에 접하는 복귀 스프링(220)이 설치될 수 있다.
장전 모드 시에, 복귀 스프링(220)은 방아쇠(120)를 전방으로 밀면서 방아쇠(120)가 원위치에 있도록 하고, 방아쇠(120)에 연결된 격발장치(110)는 회전 나사체(40)가 충격대 나사체(30)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나사체(40)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 충격대(20)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인장 스프링(70)은 인장될 수 있다.
격발 모드 시에, 사용자에 의해 방아쇠(120)가 당겨지면, 방아쇠(120)에 연결된 격발장치(110)는 선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 나사체(40)는 하강할 수 있다(E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충격대 나사체(30)와 회전 나사체(40)가 분리되어 인장 스프링(70)의 압축력에 의해 슬라이드 충격대(20)는 전진하고, 동시에 슬라이드 충격대(20)의 전방에 설치된 임팩트 해머(140)는 전진하면서 타격 대상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방아쇠(120)를 당기므로, 조정 버튼(170)에 의해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가 조절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조정 버튼(170)은 모터(60)를 제어하여 슬라이드 충격대(20)의 후퇴량을 조정함으로써 임팩트 해머(140)의 충격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본체 20: 슬라이드 충격대
30: 충격대 나사체 40: 회전 나사체
50: 연결체 60: 모터
70: 인장 스프링 80: 캠
90: 캠 지지대 100: 연결대
110: 격발장치 120: 방아쇠
130: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140: 임팩트 해머
150: 스프링 설치체 160: 충격대 지지체
170: 조정 버튼 180: 표시장치
190: 배터리 200: 배출 구멍
210: 임팩트 해머 공구 220: 복귀 스프링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한 슬라이드 충격대; 상기 슬라이드 충격대의 후단에 형성된 충격대 나사체; 상기 충격대 나사체와 맞물려 상기 충격대 나사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나사체; 상기 회전 나사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회전 나사체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연결체; 방아쇠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연결체를 승강시키는 격발장치; 전단이 상기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 설치체에 결속되고, 후단은 상기 슬라이드 충격대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 충격대의 전단부에 결합된 임팩트 해머를 포함하고, 장전 모드에서, 상기 회전 나사체가 회전하여 상기 충격대 나사체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충격대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인장되고, 격발 모드에서, 상기 방아쇠가 당겨져서 상기 격발장치는 상기 연결체를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충격대 나사체는 상기 회전 나사체와 떨어지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상기 충격대 나사체 및 상기 임팩트 해머는 전진하는 것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는
    자동으로 상기 방아쇠를 동작시키는 방아쇠 당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발장치는,
    상기 연결체와 접하는 캠;
    상기 캠을 지지하는 캠 지지대; 및
    상기 캠 지지대와 상기 방아쇠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방아쇠 당김장치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방아쇠는 상기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의 동작봉에 결속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방아쇠는 당겨지거나 복귀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캠 지지대가 선회하면서 상기 캠은 선회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체가 승강하는 것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충격대의 후퇴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을 조정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임팩트 해머의 타격횟수를 조정하고, 상기 방아쇠 당김장치를 제어하여 타격 시간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 타격 시간 간격 및 타격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수동으로 상기 방아쇠의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방아쇠의 후방에 설치되며, 당겨진 상기 방아쇠를 밀어서 복귀하도록하는 복귀 스프링;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충격대의 후퇴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임팩트 해머의 충격량을 조정하는 조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6. 삭제
  7. 삭제
KR1020210190693A 2021-12-29 2021-12-29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KR10248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693A KR102489786B1 (ko) 2021-12-29 2021-12-29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693A KR102489786B1 (ko) 2021-12-29 2021-12-29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786B1 true KR102489786B1 (ko) 2023-01-18

Family

ID=8510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693A KR102489786B1 (ko) 2021-12-29 2021-12-29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7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954A (ko) * 2009-02-02 2010-08-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가진장치
JP2020528136A (ja) * 2017-12-25 2020-09-17 東北大学Northeastern University 実験モーダルテストに用いられる全自動モーダルインパクトハンマー及びそのテス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954A (ko) * 2009-02-02 2010-08-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가진장치
JP2020528136A (ja) * 2017-12-25 2020-09-17 東北大学Northeastern University 実験モーダルテストに用いられる全自動モーダルインパクトハンマー及びそのテス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23453B1 (no) Festemiddeldrivanordning, og apningslokaliseringsmekanisme for bruk med festemiddeldrivanordning.
US4265453A (en) Automatic golf teeing devices
KR102489786B1 (ko) 회전 나사식 임팩트 해머 공구
US5282629A (en) Automatic golf ball teeing apparatus
US6749526B2 (en) Golf greens speed and contour teaching device
JPH09276490A (ja) 弾球遊技機
US1447458A (en) Amusement device
US1206416A (en) Target-trap.
JPH1028755A (ja) 発射装置
US6106405A (en) Apparatus for golf ball set-up
CN112901022B (zh) 一种自动开闭式排烟窗
GB2223415A (en) Device for the launching and automatic reloading of clay pigeons
US7121964B1 (en) Hockey puck face-off method and apparatus
GB2029239A (en) Ball launcher
US7441489B1 (en) Mortar bomb positioning apparatus
US4333651A (en) Ball striking game
JP3040913B2 (ja) 弾球遊技機の遊技球供給装置
JPS6043255B2 (ja) ベアリングカツプ供給装置
JP2933140B2 (ja) 弾球遊技機
JPH05277225A (ja) 弾球遊技機の打球発射装置
US244897A (en) Ball-trap
JPS60158875A (ja) 野球のノツク用ボ−ル投擲機
JP2001095988A (ja) パチンコ玉の打撃点を調整し得るパチンコ機
JP2000312741A (ja) パチンコ機用発射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199890A (ja) パチンコ機の球発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