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667B1 -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 Google Patents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667B1
KR102489667B1 KR1020210111943A KR20210111943A KR102489667B1 KR 102489667 B1 KR102489667 B1 KR 102489667B1 KR 1020210111943 A KR1020210111943 A KR 1020210111943A KR 20210111943 A KR20210111943 A KR 20210111943A KR 102489667 B1 KR102489667 B1 KR 102489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arphone
insertion housing
central axi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닛
Priority to KR102021011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수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되며, 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제1수용홈을 구비하고, 착용 시 이갑개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삽입 하우징과,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제1수용홈과 대향되는 제2수용홈을 구비하고, 착용 시 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하우징과, 삽입 하우징 노출 하우징 사이 공간에서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1수용홀을 구비하는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 삽입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 노출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EARPHONE HAVING WITH IMPROVED WEARABILITY FOR MANAGING EXERCISE DATA}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내부에 컨트롤러를 수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되며, 전자 디바이스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해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전자 디바이스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블루투스를 이용해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무선 이어폰과, 선을 이용해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유선 이어폰으로 구분되며, 그 형태에 따라 이도에 삽입하는 형태의 커널형 이어폰과, 귓바퀴에 걸쳐 착용하는 형태의 오픈형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오픈형 이어폰은 외이도의 입구 부분에 걸쳐 고정되는 구조로, 착용 시 귀에 이물감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접점 부위에 통증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귀에 대한 안착성이 떨어져 사용자의 격렬한 움직임에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커널형 이어폰은 팁에 의해 외이도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착용 시 귀에 통증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나, 귀에 이물감이 동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귀를 압박하지 않아 장시간 착용에도 이물감 및 통증이 없으며, 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격렬한 움직임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이어폰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62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귀를 압박하지 않아 장시간 착용에도 이물감 및 통증이 없으며, 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격렬한 움직임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수용홈을 구비하고, 착용 시 이갑개(Concha)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삽입 하우징과,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제1수용홈과 대향되는 제2수용홈을 구비하고, 착용 시 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하우징과, 삽입 하우징과 노출 하우징 사이 공간에서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1수용홀을 구비하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삽입 하우징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중앙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노출 하우징 단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 하우징을 포함하고, 착용 시 삽입 하우징이 이갑개에 안착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 이격 공간에 대주(Antitragus)와 이주(Tragus)가 삽입됨에 따라, 귀에 위치 고정되며, 내부에 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수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하우징은 난형으로 형성되는 접촉면과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으로 구성되며, 접촉면은 제1곡률반경을 갖는 제1원호부와, 제1곡률반경보다 큰 제2곡률반경을 가지며, 제1원호부와 공통외접선으로 연결되는 제2원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하우징은 이주의 최고 돌출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1접선과, 대주의 최고 돌출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2접선과, 제1접선과 이륜기시부(Helical root)가 만나는 지점을 지나며 제2접선과 주상와(Scapha)에서 교차하는 가상의 제3접선이 형성하는 삼각형에 내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원호부의 곡률중심점과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1연결선과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과 중앙부의 중심축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2연결선이 이루는 각도는 87° 내지 9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하우징과 제1연결부를 합한 높이는 3mm 내지 7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삽입 하우징이 이갑개에 안착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 이격 공간에 대주와 이주가 삽입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를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어 격렬한 움직임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아 착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RM센서를 통해 심박수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운동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서 삽입 하우징과 연결 하우징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서 삽입 하우징의 크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귀의 형상과 각 부위의 명칭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어폰(1)은 사용자의 귀에 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내부에 컨트롤러(40) 및 배터리(50)를 수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삽입 하우징(10), 노출 하우징(20) 및 연결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40)는 각종 센서, 스피커, 및 프로세서가 실장되는 제어보드(41)와 블루투스 칩이 실장되는 통신보드(42)로 구분될 수 있다.
삽입 하우징(10)은 귀에 착용 시 이갑개(Concha)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접촉면(11) 및 접촉면(11)의 가장자리로부터 곡면으로 연장되어 접촉면(11)과 함께 오목한 형상의 제1수용홈(13)을 형성하는 연장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홈(13)은 일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보드(41)를 수용할 수 있다.
접촉면(11)은 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곡률반경(R1)을 갖는 제1원호부(111), 제2곡률반경(R2)을 갖는 제2원호부(112) 및 제1원호부(111)와 제2원호부(112)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공통외접선(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곡률반경(R1)은 제2곡률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접촉면(11)은 중심부에 심박수를 모니터링하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41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삽입홀(14)과 이격되어 접촉 센서(412)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HRM 센서(411) 및 접촉 센서(412)는 제어보드(41)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연장면(12)은 외측면에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단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6)의 중심부에는 이어폰 내부에서 발생한 소리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출력홀(16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보드(41)는 출력홀(1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피커(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노출 하우징(20)은 귀에 착용 시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로서,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과 그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출 하우징(20)은 노출면(21) 및 노출면(2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노출면(21)과 함께 제2수용홈(23)을 형성하는 연장면(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서리가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수용홈(23)은 타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수용홈(13)과 대향될 수 있으며, 통신보드(42)를 수용할 수 있다.
노출면(2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의 개방홀(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24)은 출력홀(161)과 함께 이어폰(1) 전후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사용자가 감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연장면(22)은 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단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하우징(30)은 삽입 하우징(10)과 노출 하우징(2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삽입 하우징(10) 및 노출 하우징(20)과 이격 배치되는 중앙부(31), 중앙부(31)와 삽입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32) 및 중앙부(31)와 노출 하우징(2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1)는 삽입 하우징(10)과 노출 하우징(20) 사이 공간에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앙부(31)는 내부에 양단이 개구된 제1수용홀(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수용홀(313)은 배터리(5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31)는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나눠진 두 개의 분체(311, 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분체(311, 312)는 단턱과 결합돌기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제1연결부(32)는 중앙부(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삽입 하우징(10)의 연장면(12)의 단부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되며, 연장면(12)의 단부와 연결되어 제1수용홈(13)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32)는 제1수용홀(313)과 연결되는 제2수용홀(321)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단부의 둘레를 따라 단턱(121)과 결합되는 결합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33)는 중앙부(3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노출 하우징(20)의 연장면(22)의 단부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되며, 연장면(22)의 단부와 연결되어 제2수용홈(23)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33)는 제1수용홀(313)과 연통되는 제3수용홀(331)이 내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단부의 둘레를 따라 단턱(221)과 결합되는 결합돌기(33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폰(1)은 제1연결부(32) 및 제2연결부(33)가 연결 하우징(3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 하우징(30)을 구성하는 중앙부(31)가 분리 가능한 두 개의 분체(311, 31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컨트롤러(40) 및 배터리(50)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삽입 하우징(10)과 제1연결부(32)를 합한 높이(H)는 3mm 내지 7mm일 수 있다. 삽입 하우징(10)과 제1연결부(32)를 합한 높이(H)가 3mm미만인 경우, 삽입 하우징(10)이 이갑개(e1)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7mm를 초과한 경우, 삽입 하우징(10)이 이갑개(e1)를 과도하게 압박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이어폰(1)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데이터 획득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보드(41) 및 휴대 단말기(미도시)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드(41)는 HRM 센서(411), 접촉 센서(412), 스피커(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가 실장된 기판일 수 있으며, 삽입 하우징(1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HRM 센서(411)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며, 측정된 심박수 데이터를 프로세서로 송신할 수 있다. 접촉 센서(412)는 사용자와 이어폰(1) 간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접촉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로 송신할 수 있다. 스피커는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HRM 센서(411), 접촉 센서(412), 스피커 및 배터리(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접촉 센서(412)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와 HRM 센서(4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터리(50)를 제어할 수 있고, HRM 센서(411)로부터 측정된 심박수 데이터를 블루투스 칩을 통해 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칩을 통해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스피커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접촉 센서(412)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스피커와 HRM 센서(41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배터리(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접촉 센서(412), 프로세서, 및 블루투스 칩은 배터리(50)로부터 항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신보드(42)는 블루투스 칩(미도시)이 실장된 기판일 수 있으며, 노출 하우징(20)에 안착되어 제어보드(41)와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칩은 휴대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구비되어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심박수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 및 저장부를 구비하며, 이어폰(1)으로부터 수신한 심박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 여부 및 운동 강도를 파악하고 이를 도식화하여 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운동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에서 삽입 하우징(10)과 연결 하우징(3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삽입 하우징(10)의 제1원호부(111), 연결 하우징(30)의 중앙부(31) 및 삽입 하우징(10)의 돌출부(16)는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A1)을 중심으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원호부(111)의 곡률중심점(P1)과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A1)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1연결선(CL1)과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A1)과 중앙부(31)의 중심축(A2)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2연결선(CL2)이 이루는 각도(θ1)는 87° 내지 93° 일 수 있다.
제1연결선(CL1)과 제2연결선(CL2)이 이루는 각도(θ1)가 87°미만이거나 93°를 초과한 경우, 중앙부(31)가 대이륜(e6)을 향해 이갑개(e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원호부(111)는 주간절흔(e7)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이어폰(1)은 사용자의 귀(E)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없다.
또한,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A1)과 돌출부(16)의 중심축(A3)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3연결선(CL3)과 제1원호부(111)의 곡률중심점(P1)과 삽입 하우징(10)의 중심축(A1)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1연결선(CL1)이 이루는 각도(θ2)는 18° 내지 22°일 수 있다.
제1연결선(CL1)과 제3연결선(CL3)이 이루는 각도(θ2)가 18°미만이거나 22°를 초과한 경우, 중앙부(31)가 대이륜(e6)을 향해 이갑개(e1)에 안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6)는 외이도(e8)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귀(E)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소리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에서 삽입 하우징(10)의 크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은 귀(E)의 형상과 각 부위의 명칭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삽입 하우징(10)은 사용자의 귀(E)에서 이주(e3)의 최고 돌출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1접선(TL1), 대주(e2)의 최고 돌출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2접선(TL2), 제1접선(TL)과 이륜기시부(e4)가 만나는 지점을 지나며 제2접선(TL2)과 주상와(e5)에서 교차하는 가상의 제3접선(TL3)이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에 내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접선(TL)과 이륜기시부(e4)가 만나는 지점은 이갑개(e1)와 이륜기시부(e4)가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제2접선(TL2)과 제3접선(TL3)이 교차하는 지점은 주상와(e5)와 대이륜(e6)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한편, 노출 하우징(20)은 삽입 하우징(10) 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출 하우징(20)의 직경은 삽입 하우징(10) 최대 직경의 1.08 내지 1.12 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이어폰(1)은 사용자의 귀(E)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에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어폰(1)은 착용 시 삽입 하우징(10)이 이갑개(e1)에 안착되고, 제1연결부(32)와 제2연결부(33) 사이 이격 공간(S)에 대주(e2)와 이주(e3)가 적어도 일부 삽입되며, 돌출부(16)가 외이도(e8)로 삽입되고, 제1원호부(111)가 주간절흔(e7)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1)은 귀(E)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귀(E)를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귀(E)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어, 격렬한 움직임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오른쪽 귀에 착용되는 우측 이어폰을 도시하였으나, 왼쪽 귀에 착용되는 좌측 이어폰은 우측 이어폰과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이어폰
10 : 삽입 하우징
20 : 노출 하우징
30 : 연결 하우징
40 : 컨트롤러
50 : 배터리

Claims (5)

  1. 내부에 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수용하며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어폰으로서,
    제1수용홈을 구비하고, 착용 시 이갑개(Concha)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삽입 하우징과,
    상기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홈과 대향되는 제2수용홈을 구비하고, 착용 시 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하우징과,
    상기 삽입 하우징과 상기 노출 하우징 사이 공간에서 상기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1수용홀을 구비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 하우징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중앙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노출 하우징 단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 하우징을 포함하고,
    착용 시 상기 삽입 하우징이 이갑개에 안착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 이격 공간에 대주(Antitragus)와 이주(Tragus)가 삽입됨에 따라, 귀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하우징은,
    난형으로 형성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은,
    제1곡률반경을 갖는 제1원호부와,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큰 제2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1원호부와 공통외접선으로 연결되는 제2원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하우징은,
    이주의 최고 돌출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1접선과, 대주의 최고 돌출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2접선과, 상기 제1접선과와 이륜기시부(Helical root)가 만나는 지점을 지나며 상기 제2접선과 주상와(Scapha)에서 교차하는 가상의 제3접선이 형성하는 삼각형에 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부의 곡률중심점과 상기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1연결선과 상기 삽입 하우징의 중심축과 상기 중앙부의 중심축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제2연결선이 이루는 각도는 87° 내지 9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하우징과 상기 제1연결부를 합한 높이는, 3mm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210111943A 2021-08-24 2021-08-24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KR10248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43A KR102489667B1 (ko) 2021-08-24 2021-08-24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43A KR102489667B1 (ko) 2021-08-24 2021-08-24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67B1 true KR102489667B1 (ko) 2023-01-17

Family

ID=8511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43A KR102489667B1 (ko) 2021-08-24 2021-08-24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2682A (ja) * 2011-04-12 2012-11-12 Tetsuhiro Tanaka 骨伝導イヤホン
KR20140068629A (ko)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라온소닉 무통증 이어폰
JP2019525601A (ja) * 2016-09-27 2019-09-05 安克創新科技股▲ふん▼有限公司Anker Innovations Technology Co.,Ltd. イヤホン
KR20200134326A (ko) * 2019-04-23 2020-12-01 섹티오 아우레아 에이에스 이어폰
KR102227134B1 (ko) * 2019-11-13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귀 외부 접점을 가지는 무선 이어버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2682A (ja) * 2011-04-12 2012-11-12 Tetsuhiro Tanaka 骨伝導イヤホン
KR20140068629A (ko)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라온소닉 무통증 이어폰
JP2019525601A (ja) * 2016-09-27 2019-09-05 安克創新科技股▲ふん▼有限公司Anker Innovations Technology Co.,Ltd. イヤホン
KR20200134326A (ko) * 2019-04-23 2020-12-01 섹티오 아우레아 에이에스 이어폰
KR102227134B1 (ko) * 2019-11-13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귀 외부 접점을 가지는 무선 이어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2043B2 (ja) 耳介用装置を備える眼鏡
CN212696192U (zh) Tws骨传导耳机
CN110636401B (zh) 入耳式耳机
WO2021218901A1 (zh) 声学输入输出设备
CN111527645A (zh) 声音输出装置
JP2020120372A (ja) 聴覚装置用イヤピース
CN112218199A (zh) 无线耳机以及耳机组件
EP3892014B1 (en) Ear-wearable device having tunnel with electrical contact pins
CN118765506A (zh) 一种耳机
CN208017485U (zh) 生理信号量测装置
KR102489667B1 (ko)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WO2013123992A1 (en) Left-right side-indifferent hearing aid connector
JP2020522756A (ja) バイオセンサを有する眼鏡
EP4213497B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CN217116360U (zh) 一种夹耳式无线耳机
EP3509319B1 (en) Sound output device
CN118679753A (zh) 一种耳机
CN213818113U (zh) 无线耳机以及耳机组件
CN212677353U (zh) 一种耳机及颈戴耳机
WO2020114211A1 (zh) 耳机
CN216132559U (zh) 耳内声压测定装置和护听器
CN218648929U (zh) 一种tws耳机
CN220422011U (zh) 一种提高音质的耳机配合部及耳机
US20240244373A1 (en) Sound pickup device
CN220422005U (zh) 一种改善音质的耳机出声部及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