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606B1 - 모터용 버스바 유닛 - Google Patents

모터용 버스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606B1
KR102488606B1 KR1020200089947A KR20200089947A KR102488606B1 KR 102488606 B1 KR102488606 B1 KR 102488606B1 KR 1020200089947 A KR1020200089947 A KR 1020200089947A KR 20200089947 A KR20200089947 A KR 20200089947A KR 102488606 B1 KR102488606 B1 KR 10248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acer
bus bar
motor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272A (ko
Inventor
서영우
박종빈
임정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606B1/ko
Priority to US17/101,619 priority patent/US11955859B2/en
Priority to CN202011502628.3A priority patent/CN113964992A/zh
Priority to DE102020133913.5A priority patent/DE102020133913A1/de
Publication of KR2022001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용 버스바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제1터미널; 제1터미널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2터미널;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에 적층되는 제3터미널; 제2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에 적층되는 제4터미널; 및 제1터미널, 제2터미널,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를 간소화하고,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용 버스바 유닛{BUS BAR UNIT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용 버스바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자동차로 불리우는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 자동차는 전기 에너지로 회전력을 얻는 전기모터(이하에서는 '구동모터' 라고 한다)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구동모터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자, 및 고정자의 내부에 일정 공극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고정자는 전기 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고정자 코어, 및 고정자 코어에 권선되는 고정자 코일을 포함한다.
고정자의 상부에는 버스바가 마련되며, 고정자 코일은 버스바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버스바는 링형의 홀더의 내부에 복수개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터미널은 U상, V상, W상의 전원이 연결되는 3개의 상터미널과, 상터미널을 연결하는 중성터미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버스바는 고정자의 축 방향을 따라 고정자의 상부에 배치되고, 버스바의 두께(고정자의 축 방향을 따른 두께)가 증가할수록 모터의 전체 높이(고정자의 축 방향 높이) 역시 증가하게 되므로, 모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버스바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버스바를 구성하는 4개의 터미널(U상 터미널,V상 터미널,W상 터미널,중성터미널)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됨에 따라, 버스바의 전체 높이(상하 방향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버스바의 두께를 아무리 줄이더라도 고정자의 상부에는 버스바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높이)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모터의 전체 높이를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4개의 터미널 별로 전기적 절연을 위한 오버몰드층을 개별적으로 형성(각 터미널의 둘레를 감싸도록 오버몰드층을 형성)해야 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오버몰드층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오버몰드 하우징을 추가적으로 형성해야 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터미널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오버몰드층의 두께가 일정 이상 확보될 수 있어야 하나, 오버몰드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버스바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오버몰드층의 두께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버스바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형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스바 유닛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모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적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은, 제1터미널; 제1터미널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2터미널;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에 적층되는 제3터미널; 제2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에 적층되는 제4터미널; 및 제1터미널, 제2터미널,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이는, 버스바 유닛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버스바는 고정자의 축 방향을 따라 고정자의 상부(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버스바의 두께(고정자의 축 방향을 따른 두께)가 증가할수록 모터의 전체 높이(고정자의 축 방향 높이) 역시 증가하게 되므로, 모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버스바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버스바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터미널(U상 터미널,V상 터미널,W상 터미널,중성터미널)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됨에 따라, 버스바의 전체 높이(상하 방향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버스바의 두께를 아무리 줄이더라도 고정자의 상부에는 버스바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높이)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모터의 전체 높이를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제1방향으로 배열하고,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에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을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제1터미널 내지 제4터미널을 2×2 행렬로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버스바 유닛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자의 상부 영역의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제어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버스바 유닛이 탑재됨에 따른 모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고 모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터미널, 제2터미널,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터미널은, 제1바디, 및 제1바디에서 연장되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제2터미널은, 제2바디, 및 제2바디에서 연장되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고, 제3터미널은, 제3바디, 및 제3바디에서 연장되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3단자부를 포함하고, 제4터미널은, 제4바디, 및 제4바디에서 연장되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4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버몰드층, 및 오버몰드층과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버몰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 하나의 오버몰드층과 오버몰드 하우징으로 홀더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홀더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존에는 4개의 터미널 별로 전기적 절연을 위한 오버몰드층을 개별적으로 형성(각 터미널의 둘레를 감싸도록 오버몰드층을 형성)해야 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오버몰드층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오버몰드 하우징을 추가적으로 형성해야 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오버몰드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버스바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오버몰드층의 두께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 2번의 사출 공정(오버몰드층 사출 공정, 오버몰드 하우징 사출 공정)에 의해 홀더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절연 성능을 보장하면서, 홀더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은,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층에 배열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제2층에 배열되는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것에 의하여,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의 사이에 충분한 이격 간격을 보장하면서, 제2터미널과 제4터미널의 사이에 충분한 이격 간격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 간의 전기적 절연 성능 및 제2터미널과 제4터미널 간의 전기적 절연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제2터미널과 제4터미널) 간의 절연 불량을 최소화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페이서는, 오버몰드층과,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은, 스페이서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오버몰드층에 형성되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버몰드층의 상부에 스페이서를 안착할 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수용(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오버몰드층에 대한 스페이서의 회전 및 이동을 억제하고, 스페이서의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오버몰드층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오버몰드층에 대해 스페이서가 정위치에 정렬(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만 오버몰드층의 상부에 스페이서가 안착(밀착)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의 조립 정확도를 높이고, 스페이서의 오조립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돌기는,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기, 및 스페이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돌기와 이격되며 스페이서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홈은, 제1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에는,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가 통과 가능하게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제3터미널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제4터미널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에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의 안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는 스페이서의 상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사이에는 경계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경계를 따라 경계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에 안착된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의 안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 간의 전기적 절연 성능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은, 홀더의 상부에 마련되며 고정자의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지지부에는 코일이 수용되는 코일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유닛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모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제1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제2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제3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제4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오버몰드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스페이서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스페이서에 안착된 제3터미널 및 제4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오버몰드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으로서, 코일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10)은, 제1터미널(110); 제1터미널(11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2터미널(120);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에 적층되는 제3터미널(130); 제2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120)에 적층되는 제4터미널(140); 및 제1터미널(110), 제2터미널(120),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을 지지하는 홀더(2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버스바 유닛(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모터에 장착될 수 있으며, 모터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유닛(10)이 적용되는 모터는 친환경 자동차에서 전기 에너지로 구동력을 얻는 하이브리드 차량 및/또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는 내전형(inner rotor type) 동기모터로서, 모터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미도시), 고정자의 내측에 일정 공극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유닛(10)은 고정자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자는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고정자에는 회전자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한 코일(60)이 권선된다.
일 예로, 고정자는 상호 협조적으로 링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분할 코어(미도시), 및 복수개의 분할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서포트링(미도시)을 포함한다.
분할 코어의 개수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분할 코어의 개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할 코어는 회전자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전기 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 분할 코어의 둘레에는 보빈(미도시)(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이 형성되며, 보빈의 둘레에는 코일(도 15의 60 참조)이 권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자를 단 하나의 코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자는 고정자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회전자는 회전자 코어(미도시)와 마그넷(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개의 원형 플레이트를 적층한 구조로 제공되거나, 하나의 통 형태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자의 중심에는 샤프트가 결합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 코어의 외주면에는 마그넷을 가이드하는 돌기(미도시)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넷은 회전자 코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회전자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자는 마그넷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마그넷을 이탈을 억제하는 캔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유닛(10)은 제1터미널(110) 내지 제4터미널(140), 및 홀더(200)를 포함하고, 고정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터미널(110) 내지 제4터미널(140)은 고정자의 코일(60)과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터미널(110) 내지 제4터미널(140)은 U상, V상, W상의 전원과 연결되는 상터미널(U상 터미널,V상 터미널,W상 터미널)과, 상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성터미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터미널(110)은 U상 터미널이고, 제2터미널(120)은 중성터미널이고, 제3터미널(130)은 V상 터미널이고, 제4터미널(140)은 W상 터미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터미널을 여타 다른 터미널(예를 들어, 중성터미널, V상 터미널,W상 터미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터미널(110)은 홀더(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바디(112), 제1바디(112)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홀더(2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단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12)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바디(112)는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소정 직경을 갖는 링 형태(또는 호 형태)의 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를 절곡된 부위를 갖는 이중층 구조(복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단자부(114)는 제1바디(112)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1단자부(114)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제1단자부(114)에는 고정자의 코일(60)이 연결(퓨징)될 수 있다.
제1단자부(114)는 코일(6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단자부(114)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단자부(114)에는 코일(6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략 'U'자 형태의 단자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60)의 단부가 단자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60)의 단부는 제1단자부(114)에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연결(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1터미널(110)은 제1바디(112)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제1전원단자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단자부(116)는 제1바디(112)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홀더(2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1전원단자부(116)에는 대응하는 상(예를 들어, U상)의 외부 전원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터미널(120)은 제1터미널(11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일 예로, 제2터미널(120)은 제1터미널(110)의 반경 방향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제1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에 대해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터미널(110)의 반경 방향이 수평 방향을 향하고, 수평 방향이 제1방향으로 정의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방향 또는 여타 다른 방향을 제1방향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터미널(120)은 홀더(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바디(122), 제2바디(12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홀더(2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단자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122)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바디(122)는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제1바디(11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태(또는 호 형태)의 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를 절곡된 부위를 갖는 이중층 구조(복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단자부(124)는 제2바디(122)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2단자부(124)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제2단자부(124)에는 고정자의 코일(60)이 연결(퓨징)될 수 있다.
제2단자부(124)는 코일(6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단자부(124)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2단자부(124)에는 코일(6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략 'U'자 형태의 단자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60)의 단부가 단자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60)의 단부는 제2단자부(124)에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연결(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3터미널(130)은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에 적층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3터미널(130)이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에 적층된다 함은, 제3터미널(130)이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제3터미널(130)은 제1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의 상부(도 4 기준)에 적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터미널(130)은 홀더(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3바디(132), 제3바디(132)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홀더(2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3단자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바디(132)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바디(132)는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소정 직경을 갖는 링 형태(또는 호 형태)의 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바디(132)는 제1바디(11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바디를 절곡된 부위를 갖는 이중층 구조(복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단자부(134)는 제3바디(132)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3단자부(134)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제3단자부(134)에는 고정자의 코일(60)이 연결(퓨징)될 수 있다.
제3단자부(134)는 코일(6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단자부(134)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3단자부(134)에는 코일(6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략 'U'자 형태의 단자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60)의 단부가 단자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60)의 단부는 제3단자부(134)에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연결(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3터미널(130)은 제3바디(132)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제3전원단자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전원단자부(136)는 제3바디(132)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홀더(2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3전원단자부(136)에는 대응하는 상(예를 들어, V상)의 외부 전원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터미널(140)은 제2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120)에 적층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4터미널(140)이 제2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120)에 적층된다 함은, 제4터미널(140)이 제2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제4터미널(140)은 제1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을 따라 제2터미널(120)의 상부(도 4 기준)에 적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터미널(140)은 홀더(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4바디(142), 제4바디(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홀더(2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4단자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바디(142)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4바디(142)는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소정 직경을 갖는 링 형태(또는 호 형태)의 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4바디(142)는 제2바디(12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바디를 절곡된 부위를 갖는 이중층 구조(복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단자부(144)는 제4바디(142)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4단자부(144)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제4단자부(144)에는 고정자의 코일(60)이 연결(퓨징)될 수 있다.
제4단자부(144)는 코일(6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4단자부(144)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4단자부(144)에는 코일(6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략 'U'자 형태의 단자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60)의 단부가 단자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60)의 단부는 제4단자부(144)에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연결(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4터미널(140)은 제4바디(142)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제4전원단자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전원단자부(146)는 제4바디(142)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홀더(2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4전원단자부(146)에는 대응하는 상(예를 들어, W상)의 외부 전원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을 제1방향으로 배열하고,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의 상부에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을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제1터미널(110) 내지 제4터미널(140)을 2×2 행렬로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버스바 유닛(10)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스바 유닛(10)이 배치되는 고정자의 상부 영역의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제어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버스바 유닛(10)이 탑재됨에 따른 모터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고 모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홀더(200)는 제1터미널(110) 내지 제4터미널(140)의 배치 상태를 지지하고, 제1터미널(110) 내지 제4터미널(140)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마련된다.
홀더(200)의 재질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홀더(200)의 재질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홀더(200)는 중공의 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에 의한 몰드물(예를 들어, 절연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200)는,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버몰드층(210), 및 오버몰드층(210)과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버몰드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오버몰드층(210)은 제1방향으로 배열된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버몰드층(210)은 제1바디(112) 및 제2바디(122)의 둘레를 일체로 감싸는 중공의 링 형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제1단자부(114) 및 제2단자부(124)는 오버몰드층(21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오버몰드 하우징(220)은 오버몰드층(210)의 상부에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이 적층된 상태에서, 오버몰드층(210)과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버몰드 하우징(220)은 오버몰드층(210)과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둘레를 일체로 감싸는 링 형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제1단자부(114), 제2단자부(124), 제3단자부(134) 및 제4단자부(144)는 오버몰드 하우징(22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 하나의 오버몰드층(210)과 오버몰드 하우징(220)으로 홀더(200)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홀더(200)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존에는 4개의 터미널 별로 전기적 절연을 위한 오버몰드층을 개별적으로 형성(각 터미널의 둘레를 감싸도록 오버몰드층을 형성)해야 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오버몰드층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오버몰드 하우징을 추가적으로 형성해야 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오버몰드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버스바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오버몰드층의 두께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 2번의 사출 공정(오버몰드층 사출 공정, 오버몰드 하우징 사출 공정)에 의해 홀더(20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절연 성능을 보장하면서, 홀더(200)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 도 9,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10)은,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과,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제1터미널(110)과 제3터미널(130)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 및 제2터미널(120)과 제4터미널(140)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제1층에 배열되는 제1터미널(110) 및 제2터미널(120)과, 제2층에 배열되는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사이에 스페이서(300)를 개재하는 것에 의하여, 제1터미널(110)과 제3터미널(130)의 사이에 충분한 이격 간격을 보장하면서, 제2터미널(120)과 제4터미널(140)의 사이에 충분한 이격 간격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제1터미널(110)과 제3터미널(130) 간의 전기적 절연 성능 및 제2터미널(120)과 제4터미널(140) 간의 전기적 절연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터미널(110)과 제3터미널(130)(제2터미널과 제4터미널) 간의 절연 불량을 최소화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스페이서(300)는 중공의 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에 의한 몰드물(예를 들어, 전기 절연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페이서(300)는, 오버몰드층(210)과,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몰드층을 형성하기 전에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의 상부에 스페이서를 마련하고, 제1터미널, 제2터미널 및 스페이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오버몰드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10)은, 오버몰드층(210)의 상면을 마주하는 스페이서(3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 및 오버몰드층(210)의 상면에 형성되며 가이드돌기(310)가 수용되는 가이드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10) 및 가이드홈(212)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310) 및 가이드홈(212)의 구조 및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오버몰드층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오버몰드층(210)의 상부에 스페이서(300)를 안착할 시, 가이드돌기(310)가 가이드홈(212)에 수용(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오버몰드층(210)에 대한 스페이서(300)의 회전 및 이동을 억제하고, 스페이서(300)의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00)에 가이드돌기(310)를 형성하고 오버몰드층(210)에 가이드홈(21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오버몰드층(210)에 대해 스페이서(300)가 정위치에 정렬(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만 오버몰드층(210)의 상부에 스페이서(300)가 안착(밀착)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300)의 조립 정확도를 높이고, 스페이서(300)의 오조립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돌기(310)는, 스페이서(300)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기(310a), 및 스페이서(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돌기(310a)와 이격되며 스페이서(30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기(310b)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홈(212)은, 제1가이드돌기(310a)가 수용되는 제1가이드홈(212a), 및 제2가이드돌기(310b)가 수용되는 제2가이드홈(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제1가이드돌기(310a) 및 제2가이드돌기(310b)가, 제1가이드홈(212a) 및 제2가이드홈(212b)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오버몰드층(210)에 대한 스페이서(300)의 회전 및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00)에는, 오버몰드층(210)의 상부로 노출(돌출)되는 제1단자부(114) 및 제2단자부(124)가 통과 가능하게 통과홀(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오버몰드층(210)의 상부에 스페이서(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단자부(114) 및 제2단자부(124)는 통과홀(320)을 통해 스페이서(30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00)는, 제3터미널(130)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350), 및 제4터미널(140)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350) 및 제2안착부(330)는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안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안착부(350) 및 제2안착부(33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안착부(350) 및 제2안착부(330)는 스페이서(300)의 상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를 스페이서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 중 어느 하나만을 스페이서의 상면에 함몰(또는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1안착부(350)와 제2안착부(330)의 사이에는 경계리브(34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경계리브(340)는 제1안착부(350)와 제2안착부(330)의 경계를 따라 연속적인 링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안착부(350)와 제2안착부(330)의 경계를 따라 경계리브(34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안착부(350) 및 제2안착부(330)에 안착된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의 안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제3터미널(130) 및 제4터미널(140) 간의 전기적 절연 성능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용 버스바 유닛(10)은, 홀더(200)의 상부에 마련되며 고정자의 코일(60)을 지지하는 코일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지지부(230)는 고정자에 권선된 코일(60)의 단부를 제1단자부(114)(또는 제2단자부, 제3단자부, 제4단자부)를 향해 포밍(고정자의 반경 방향으로 포밍)할 시, 코일(60)을 정확한 방향과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코일지지부(230)는 고정자의 코일(6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지지부(23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코일지지부(230)에는 코일(60)이 수용되는 코일수용홈(232)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일지지부(230)는 제1바디(11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1단자부(114)(또는 제2단자부, 제3단자부, 제4단자부)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코일지지부(230)가 제1바디(11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1단자부(114)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함은, 제1바디(11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코일지지부(230)와 제1단자부(114)가 대략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제1바디(11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1단자부(114)에 대응되게 코일지지부(2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60)의 단부를 제1단자부(114) 측으로 보다 정확하게 안내 및 지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버스바 유닛
60 : 코일
110 : 제1터미널
112 : 제1바디
114 : 제1단자부
116 : 제1전원단자부
120 : 제2터미널
122 : 제2바디
124 : 제2단자부
130 : 제3터미널
132 : 제3바디
134 : 제3단자부
136 : 제3전원단자부
140 : 제4터미널
142 : 제4바디
144 : 제4단자부
146 : 제4전원단자부
200 : 홀더
210 : 오버몰드층
212 : 가이드홈
212a : 제1가이드홈
212b : 제2가이드홈
220 : 오버몰드 하우징
230 : 코일지지부
232 : 코일수용홈
300 : 스페이서
310 : 가이드돌기
310a : 제1가이드돌기
310b : 제2가이드돌기
320 : 통과홀
330 : 제2안착부
340 : 경계리브
350 : 제1안착부

Claims (15)

  1. 제1터미널;
    상기 제1터미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2터미널;
    상기 제1터미널 및 상기 제2터미널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버몰드층;
    상기 수평 방향에 수직한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오버몰드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스페이서;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오버몰드층 및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 만큼 상기 제1터미널로부터 이격되는 제3터미널;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오버몰드층 및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 만큼 상기 제2터미널로부터 이격되는 제4터미널; 및
    상기 오버몰드층과, 상기 제3터미널 및 상기 제4터미널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버몰드층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제1터미널, 상기 제2터미널, 상기 제3터미널, 및 상기 제4터미널을 지지하는 홀더를 구성하는 오버몰드 하우징;
    을 포함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오버몰드층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가이드홈;
    을 포함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기, 및 상기 스페이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이격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전기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 마련되며, 상기 제3터미널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스페이서에 마련되며, 상기 제4터미널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
    를 포함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사이에는 경계리브가 마련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터미널은,
    제3바디, 및 상기 제3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3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터미널은,
    제4바디, 및 상기 제4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홀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4단자부를 포함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가 통과 가능하게 통과홀이 형성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홀더의 상부에 마련되며, 고정자의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지지부를 포함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지지부에는 상기 코일이 수용되는 코일수용홈이 마련되는 모터용 버스바 유닛.
  15. 삭제
KR1020200089947A 2020-07-21 2020-07-21 모터용 버스바 유닛 KR10248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47A KR102488606B1 (ko) 2020-07-21 2020-07-21 모터용 버스바 유닛
US17/101,619 US11955859B2 (en) 2020-07-21 2020-11-23 Busbar unit for motor
CN202011502628.3A CN113964992A (zh) 2020-07-21 2020-12-17 用于马达的母线单元
DE102020133913.5A DE102020133913A1 (de) 2020-07-21 2020-12-17 Sammelschieneneinheit für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47A KR102488606B1 (ko) 2020-07-21 2020-07-21 모터용 버스바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272A KR20220011272A (ko) 2022-01-28
KR102488606B1 true KR102488606B1 (ko) 2023-01-13

Family

ID=7917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47A KR102488606B1 (ko) 2020-07-21 2020-07-21 모터용 버스바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5859B2 (ko)
KR (1) KR102488606B1 (ko)
CN (1) CN113964992A (ko)
DE (1) DE102020133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557A (ko) * 2019-08-23 2021-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일체형 구조를 갖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0203A (ja) * 2010-12-17 2012-07-05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2012143019A (ja) * 2010-12-28 2012-07-26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バスバー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1573A (ja) * 2011-04-25 2012-11-22 Piolax Inc 配電用部材および配電用部材の製造方法
JP2017085756A (ja) * 2015-10-27 2017-05-18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2633A (ja) 2011-08-19 2013-02-28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EP2562915B1 (en) * 2011-08-24 2015-05-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entral power supply membe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WO2013129377A1 (ja) * 2012-02-27 2013-09-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集中配電部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900502B1 (ko) 2012-04-18 2018-09-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5661161B1 (ja) 2013-10-07 2015-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KR102218007B1 (ko) * 2013-12-30 2021-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그에 포함되는 전동기 및 전동기의 제조 방법
JP6972482B2 (ja) * 2017-06-26 2021-11-24 Kyb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473243B1 (ko) 2017-08-31 2022-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구동모터용 버스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JP6496794B1 (ja) * 2017-09-28 2019-04-10 Kyb株式会社 部品実装体及び電子機器
JP2020056336A (ja) * 2018-09-28 2020-04-09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電動ポンプ装置
JP7218861B2 (ja) * 2018-12-18 2023-02-07 Kyb株式会社 回転電機
KR102202065B1 (ko) 2019-01-18 2021-01-12 다산명가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JP7487638B2 (ja) * 2020-10-29 2024-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及び電機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0203A (ja) * 2010-12-17 2012-07-05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2012143019A (ja) * 2010-12-28 2012-07-26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バスバー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1573A (ja) * 2011-04-25 2012-11-22 Piolax Inc 配電用部材および配電用部材の製造方法
JP2017085756A (ja) * 2015-10-27 2017-05-18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33913A1 (de) 2022-01-27
US11955859B2 (en) 2024-04-09
US20220029493A1 (en) 2022-01-27
KR20220011272A (ko) 2022-01-28
CN113964992A (zh)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4528B2 (en) Motor
CN111527667B (zh) 定子及包括该定子的电机
US11855516B2 (en) Motor with simplified structure for insulating a terminal
JP2015046960A (ja) 集配電部材の保持構造、電動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US11764633B2 (en) Busbar unit for motor
EP2031735B1 (en) Stator and electric motor
WO2018092209A1 (ja) 回転電機
US11303185B2 (en) Motor
CN216056720U (zh) 电连接到电机的汇流条单元
KR102488606B1 (ko) 모터용 버스바 유닛
JP5181627B2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20220014068A1 (en) Busbar unit for motor
US11863028B2 (en) Busbar unit for motor
CN215419805U (zh) 用于电机的汇流排单元
JP2012130203A (ja) 回転電機のバスバーモジュール
US11817762B2 (en) Motor
JP2018137959A (ja) ステータおよびコイル固定具
KR20220109963A (ko) 모터용 터미널 블록
JP2018153040A (ja) 回転電機
CN117895676A (zh) 定子铁芯、定子组件、直线电机、悬架装置及车辆
KR20220091198A (ko) 모터
KR20220011405A (ko) 모터용 버스바 유닛
KR20240036861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