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595B1 - 온실 재배용 작업차 - Google Patents

온실 재배용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595B1
KR102488595B1 KR1020200095898A KR20200095898A KR102488595B1 KR 102488595 B1 KR102488595 B1 KR 102488595B1 KR 1020200095898 A KR1020200095898 A KR 1020200095898A KR 20200095898 A KR20200095898 A KR 20200095898A KR 102488595 B1 KR102488595 B1 KR 10248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ntrol unit
actuator
greenhouse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639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20009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5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거동이 불편한 작업자를 작업이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주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배영역과 작업영역으로 구분되는 온실 바닥 중 작업영역에 설치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에 있어서, 작업영역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 상단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착석하는 시트; 상기 이동체와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좌우 위치와 회전각도와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과 상기 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실 재배용 작업차{Working car for greenhouse culture}
본 발명은 온실 재배용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온실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온실 재배용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 고령화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많은 노인들이 요양병원에 입원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노인 요양병원은 일반병원에 비해 평균 입원기간이 길기 때문에 노인 환자들은 집처럼 편안하고 익숙한 공간에서 적절한 치료받으며 일상생활을 영위 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치유환경을 고려한 노인 요양병원들은 대부분 내부 인테리어의 고급화에 머무르고 있으며, 치유환경을 위한 공간인 내부 중정이나 옥상정원은 단순히 존재만 할뿐 이용자들의 적극적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노인 요양병원의 선택 결정에 중요한 변수요인으로는 실내정원 공간을 통한 심리적 치유환경, 재활 치유 프로그램 등의 다양성을 통해 노인환자와 가족들의 배려 공간을 구성하여 기능적 치료 공간 등을 들들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라만 보는 정원을 넘어 돌봄 치유농업을 통해 질병의 회복을 돕는 치유환경을 보유하고 있는냐 여부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입원 환자들 또는 환자의 보호자들은 요양 병원의 내부 시설과 더불어 실내 환경에서 직접 농사 체험이 가능한 것을 치유농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실내 환경에서 농사는 대부분 수경 재배로 작물을 기르는 것으로, 유리 온실이나 비닐 하우스 또는 식물 공장 형태이며, 내부 환경과 가격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온실 재배 방식이 치요농업이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하다.
상기와 같은 온실 재배용 온실은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0-0006042호에는 내부에 3,4중의 비닐 층이 구비되고 전면에 비닐이 씌워지는 돔형의 터널형태로 마련된 단동식의 온실골격과; 상기 온실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2중으로 된 돔형의 골조와; 상기 온실골격의 외부상측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 되게 마련된 천장 창으로 구성된 단동식 온실, 또는 지주에 의해 지지되도록 지붕이 다수개 마련되고 내부에 3,4중의 비닐 층이 구비된 연동식의 온실골격과; 상기 온실골격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양쪽지붕형의 골조와; 상기 지붕의 상단양측을 덮어주기 위해 덮개가 마련된 빗물유입방지수단과; 상기 빗물유입방지수단이 형성된 각 지붕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천장 창이 마련된 개폐장치; 상기 각 지붕의 끝단부분에 물받이가 마련된 빗물받이장치와; 상기 빗물받이장치의 하부 지주사이에 수로가 마련된 이슬처리수로로 구성된 연동식 온실로 구성된 원예식물 재배용 온실을 들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3-0104039호에는 벽체와 바닥이 황토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투광지붕이 형성된 재배실과, 재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용기를 지지하는 지지트레이와, 재배실의 벽체 및 바닥을 가열하여 상기 재배실 내부로 원적외선을 방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수단을 구비한 식물 재배온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온실의 경우, 바닥에 적절히 포장되어 있으며, 수경 재배 방식을 기본으로 채용하여 우수한 식물 재배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나,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요양병원 환자들이 직접 식물을 재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실제 환자들의 이동과 작업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는 별도의 작업용 작업차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온실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거동이 불편한 작업자를 작업이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주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배영역과 작업영역으로 구분되는 온실 바닥 중 작업영역에 설치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에 있어서, 작업영역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 상단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착석하는 시트; 상기 이동체와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좌우 위치와 회전각도와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과 상기 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체는: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에 접촉하는 복수의 휠; 상기 휠을 구동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이동체의 진행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길이 가이드와 상기 길이 가이드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길이 이송체와 상기 길이 이송체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길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길이 이송체 상단에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인 측면 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 가이드와 상기 측면 가이드에 의하여 측면 방향으로 이송되는 측면 이송체와 상기 측면 이송체를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측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측면 이송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이송체와 상기 회전 이송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회전 이송체 상단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의 수용구에 삽입되어 시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 가이드와 상기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는 수용구가 형성되어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탑승자가 탑승하는 착석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는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부와 접이식 작업대와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 측면 액추에이터, 회전 액추에이터 및 수직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액추에이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운행 조작부, 위치 조작부 및 회전높이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조작부는 이동체의 이동을 조절하고, 상기 위치 조작부는 상기 시트의 전후좌우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회전높이 조작부는 시트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조작부는 상기 시트 몸체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조이스틱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구동 방향으로 시트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높이 조작부는 상기 시트 몸체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조이스틱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경우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전후방향을 향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시트를 회전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재배용 작업차는 온실 바닥 중 작업 영역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앉는 시트의 위치와 자세를 조정하는 조절장치와 상기 이동체와 상기 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거동이 불편한 작업자들도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농작물 관리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재배용 작업차가 설치되는 온실 바닥면의 일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재배용 작업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체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절장치 중 길이 이송체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절장치 중 측면 이송체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조절장치 중 회전 이송체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조절장치 중 회전 이송체와 시트의 결합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시트에 장착되는 조작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재배용 작업차(100)는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온실(1) 내부에서 설치되는 레일(5)과 상기 레일(5)을 따라 이동한다.
먼저 상기 온실(1)은 유리나 비닐 소재 등과 같은 투명소재와 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공간을 밀폐시켜 온실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의 바닥부는 재배영역(2)과 상기 작업영역(3)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재배영역(2)은 별도의 장치들을 구비하여 실제 식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며, 상기 작업영역(3)은 바닥이 포장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레일(5)은 상기 작업영역(3)에 설치되며, 통상의 기차 레일처럼 2개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성이며, 작업차(100)가 왕복하는 형태의 왕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작업차(100)가 순환할 수 있는 순환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레일(5)과 작업차(100)는 AGV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레일(5)은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 라인과 상기 작업차(100)는 상기 안내 라인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차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5)은 위치 정보로, 상기 작업차(100)는 GPS를 내장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하는 자동화 작업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재배용 작업차(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5)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0), 상기 이동체(10) 상단에 설치되는 조절장치(20), 상기 조절장치(20)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장치(20)에 의하여 높이와 각도가 변경되는 시트(80), 상기 이동체(10)의 이동과 상기 조절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동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와 상기 레일(5)에 접촉하는 휠(12)과 상기 횔(12)을 구동하는 구동장치(13), 상기 구동장치(1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 상기 베이스(11) 상단 일면에 부착되는 저장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는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12)은 상기 베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2개의 축에 각각 2개 결합하여 전체 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축은 구동장치(13)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며, 상기 구동장치(13)는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휠(12)에 전달하는 체인과 체인스프로켓 등과 같은 전동장치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13)는 배터리(14)에 의하여 구동하며, 상기 베터리(14)는 미가동 시 충전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3)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90)는 탑승자의 지시에 의하여 상기 구동장치(13)를 제어한다.
상기 베이스(11) 상단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작업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15)가 부착되며, 상기 저장부(15)는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11)에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절장치(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 상면에 형성된 길이 가이드(22)와 상기 길이 가이드(22)에 이하여 베이스(11)의 길이 방향(레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길이 이송체(21)와 상기 길이 이송체(21)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길이 액추에이터(23)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는 선형 동작이 수행되는 어떠한 액추에이터도 적용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고 동작부가 상기 길이 이송체(21)에 결합하여 동작시 상기 길이 이송체(21)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하고 상기 길이 이송체(21)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의 동작에 따라 상기 길이 이송체(21)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한다.
한편, 상기 조절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이송체(21)의 상면에 측면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 가이드(32)와 상기 측면 가이드(32)에 의하여 길이 이송체(21)의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측면 이송체(31)와 상기 측면 이송체(31)를 측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측면 액추에이터(33)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33) 역시 선형 동작이 수행되는 어떠한 액추에이터도 적용 가능하며, 일측이 길이 이송체(21)에 고정되고 동작부가 상기 측면 이송체(31)에 결합하여 동작시 상기 측면 이송체(31)를 측면 방향으로 이송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하고 상기 측면 이송체(31)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33)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3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측면 이송체(31)가 측면 방향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와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33)의 동작을 조절하면, 상기 측면 이송체(31)의 평면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장치(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이송체(31) 상단에 회전축(42)에 의하여 회전결합하는 회전 이송체(41)와 상기 회전 이송체(41)를 회전시키는 회전 액추에이터(4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측면 이송체(31) 상면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회전 이송체(41)가 상기 회전축(42)에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대로 상기 회전축(42)이 상기 회전 이송체(41)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측면 이송체(31)와 상기 회전축(42)이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43)는 상기 회전 이송체(4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이송체(41)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 이송체(31)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43)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43)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 이송체(41)의 자세(각도)가 변화되며, 상기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와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33) 및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43)를 제어하면, 상기 회전 이송체(41)의 평면상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장치(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이송체(41) 상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가이드(52)와 상기 회전 이송체(4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액추에이터(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52)는 상기 시트(80)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용구(81)와 결합하고,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53)의 작동부는 상기 시트(80)의 하단에 결합한다.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53)는 선형 액추에이터이며, 상기 시트(8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터와 스크류 그리고 상기 시트(80)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가이드(52)는 상기 시트(80)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원형 단면 형태로 4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53)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33),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43) 및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53)를 제어하면, 상기 시트(80)의 평면상의 위치, 각도 및 높이를 최종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장치(20)는 4개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80)의 평면상의 위치와 해당 위치에서의 높이 그리고 해당 위치에서 시트(8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80)는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착석하는 것으로, 상하 이송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용구(81)를 포함하고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부(82)와 실제 작업자가 착석하는 착석부(83), 작업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84), 전면에 접철식으로 형성되는 작업대(85), 전면 하단에 형성되는 발판부(86) 그리고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82)는 전체 구조와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구(81)는 다른 요소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82) 측면에는 작업용 공구들이 보관되는 보관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83)와 상기 등받이부(84)는 적절한 쿠션 특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85)는 시트(80)에 작업자가 착석 시 방해되지 않는 어떠한 형태의 접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 상으로 이동체(10)를 이동하는 구동장치(13), 길이 방향으로 시트(80)를 이송하는 길이 액추에이터(23), 측면 방향으로 시트(80)를 이송하는 측면 액추에이터(33), 상기 시트(80)를 회전하는 회전 액추에이터(43) 마지막으로 상기 시트(80)를 상하로 이송하는 수직 액추에이터(53)를 각각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작업자가 전체 작업차(100)를 운전하기 위한 조작부(91)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91)는 각각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개별 조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실제 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운행 조작부(92), 위치 조작부(93) 및 회전높이 조작부(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운행 조작부(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13)의 동작을 지시한다. 중립을 기본으로 전방으로 조작하는 경우 전진, 후방으로 위치하는 경우 후진으로 설정하며, 상기 시트(80)의 몸체부(82)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조작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행 조작부(92)의 경우 시트(80)가 회전된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안전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위치 조작부(93)는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와 측면 액추에이터(33)의 동작을 지시한다. 상기 위치 조작부(93)는 4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평면 조이스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트(80)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한다.
상기 시트(80)는 회전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위치 조작부(93)는 상기 시트(80)와 같이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 조작부(93)를 전면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90)는 시트(80)의 회전 각도를 기초로 상기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23)와 측면 액추에이터(33)와 동시에 동작시켜 상기 위치 조작부(93)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시트(80)가 이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회전높이 조작부(94) 역시 4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평면 조이스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트(90)의 측면 중 위치 조작부(93)가 설치된 반대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이스틱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53) 해당 방향으로 동작시키고, 조이스틱을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하여 시트(80)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작부(91)를 통하여 작업차(100)를 직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누구든지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엑추에이터들은 스트로크를 인식하는 센서들을 포함하여 최대치나 최소치로 동작이 수행된 경우 최대치 이상 또는 최소치 이하로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기능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10)가 정지된 경우에는 안전을 위하여 외부 하중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장치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재배용 작업차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온실 2: 재배영역
3: 작업영역 5: 레일
10: 이동체 11: 베이스
12: 휠 13: 구동장치
14: 베터리 15: 저장부
20: 조절장치 21: 길이 이송체
22: 길이 가이드 23: 길이 액추에이터
31: 측면 이송체 32: 측면 가이드
33: 측면 액추에이터 41: 회전 이송체
42: 회전축 43: 회전 액추에이터
52: 수직 가이드 53: 수직 액추에이터
80: 시트 81: 수용구
32: 몸체부 83: 착석부
84: 등받이부 85: 작업대
86: 발판부 87: 안전벨트
90: 제어부 91: 조작부
92: 운행 조작부 93: 위치 조작부
94: 회전높이 조작부 100: 온실 재배용 작업차

Claims (12)

  1. 재배영역과 작업영역으로 구분되는 온실 바닥 중 작업영역에 설치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에 있어서,
    작업영역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 상단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착석하는 시트;
    상기 이동체와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좌우 위치와 회전각도와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과 상기 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는: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에 접촉하는 복수의 휠;
    상기 휠을 구동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이동체의 진행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길이 가이드와 상기 길이 가이드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길이 이송체와 상기 길이 이송체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길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길이 이송체 상단에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인 측면 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 가이드와 상기 측면 가이드에 의하여 측면 방향으로 이송되는 측면 이송체와 상기 측면 이송체를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측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측면 이송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이송체와 상기 회전 이송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회전 이송체 상단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의 수용구에 삽입되어 시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 가이드와 상기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액추에이터, 측면 액추에이터, 회전 액추에이터 및 수직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액추에이터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조작부는 운행 조작부, 위치 조작부 및 회전높이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조작부는 이동체의 이동을 조절하고, 상기 위치 조작부는 상기 시트의 전후좌우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회전높이 조작부는 시트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수용구가 형성되어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탑승자가 탑승하는 착석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부와 접이식 작업대와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작부는 상기 시트 몸체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조이스틱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구동 방향으로 시트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높이 조작부는 상기 시트 몸체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조이스틱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경우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전후방향을 향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시트를 회전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재배용 작업차.





KR1020200095898A 2020-07-31 2020-07-31 온실 재배용 작업차 KR10248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98A KR102488595B1 (ko) 2020-07-31 2020-07-31 온실 재배용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98A KR102488595B1 (ko) 2020-07-31 2020-07-31 온실 재배용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39A KR20220015639A (ko) 2022-02-08
KR102488595B1 true KR102488595B1 (ko) 2023-01-13

Family

ID=8025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98A KR102488595B1 (ko) 2020-07-31 2020-07-31 온실 재배용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5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6949A (ja) * 2005-10-26 2007-05-17 Mie Prefecture 走行型作業椅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設栽培ハウ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30B1 (ko) * 2005-09-21 2007-05-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휠체어
KR101224022B1 (ko) * 2010-12-01 2013-01-24 대한민국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6949A (ja) * 2005-10-26 2007-05-17 Mie Prefecture 走行型作業椅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設栽培ハウ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39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885B2 (en) Multifunctional critical c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065686B1 (en) Robotic mobile modifiable bed
US7690057B2 (en) Folding frame motorized prone cart
US10881567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KR102488595B1 (ko) 온실 재배용 작업차
CN205494220U (zh) 一种自动更换尿布的护理床
KR20170126124A (ko) 농업용 전동 작업차
US88264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KR102249233B1 (ko) 고설재배베드 시스템
JP5392556B2 (ja) 栽培システム
KR102185675B1 (ko) 승강식 작업발판을 구비한 다단 재배대
KR101945642B1 (ko) 이앙기
JP3130840U (ja) 超低式電動健康べッド
KR101493153B1 (ko) 농업용 작업기
KR20220064578A (ko) 높낮이조절형 재배장치
KR102569580B1 (ko) 자율주행형 전동 편의 작업기
KR20020094881A (ko) 척추관리기를 겸한 수면용 매트
JPH07110162B2 (ja) イチゴ等の栽培管理装置
CN113802696A (zh) 园艺种植模块化作业台的移动棚架
KR102288527B1 (ko) 이동식 작물 재배 장치
CN204586894U (zh) 舒适度可调座椅靠背及安装该座椅靠背的火车座椅
CN220193383U (zh) 护理机器人
KR102033007B1 (ko) 온실용 대차 레일 및 이를 포함한 온실
KR20240095094A (ko) 간이 식물 생장 장치
KR102194000B1 (ko) 환자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