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803B1 - 발아식물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발아식물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803B1
KR102487803B1 KR1020210144865A KR20210144865A KR102487803B1 KR 102487803 B1 KR102487803 B1 KR 102487803B1 KR 1020210144865 A KR1020210144865 A KR 1020210144865A KR 20210144865 A KR20210144865 A KR 20210144865A KR 102487803 B1 KR102487803 B1 KR 10248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inated plants
germinated
plants
treatment tan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성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성
Priority to KR102021014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발아식물을 세절하는 세절기와; 살균수를 수용하는 처리조, 세절된 발아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로터가 구비된 수세 및 살균기와; 처리가 완료된 발아식물을 처리조로부터 인출하는 인양기와; 인양기에 의해 처리조로부터 인출된 발아식물을 인양기로부터 분리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는 회수호퍼와; 회수호퍼에 의해 분리된 발아식물을 받쳐 이송시키며, 살균수의 일부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아식물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서행컨베이어와; 서행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발아식물을 탈수시키는 탈수기와; 탈수기에서 탈수를 마친 발아식물을 열풍건조시키는 열풍건조기와; 건조된 발아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발아식물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는, 가공 대상물을 세절 건조 및 분쇄시킨 후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하므로, 인력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양호하고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아식물 가공 장치{Germinated plant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발아식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아된 새싹을 세절 건조 및 분쇄시킨 후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하여, 신속하고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발아식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리 씨앗을 발아시켜 얼마간 키운 새싹보리는, 비타민C, 베타카로틴, 생물효소, 칼슘, 철분, 엽록소 등 많은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세포를 재생시키고, 혈당감소, 피부건강 향상, 관절염 치료에 도움을 주며, 이외에도, 혈액 응고 방지, 천식치료, 암 예방, 당뇨 완화, 콜레스테롤 안정화 등의 효과가 있다.
새싹보리는, 보리씨앗을 하루정도 물에 불린 후 물기를 빼고, 물빠짐이 가능한 용기 또는 헝겊이 깔려 있는 평평한 쟁반이나 접시 등에 넓게 펼쳐 파종한 후, 수분을 유지한 상태에서 어두운 환경을 제공하여 쉽게 재배가 가능하다. 가정에서도 쉽게 재배기 가능하며, 재배된 새싹보리는 바로 섭취할 수 있다.가령, 녹즙처럼 갈아 마시거나, 샐러드, 비빔밥 등에 식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새싹보리를 산업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하여, 건강식품의 원료나 의약품의 소재로 사용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대량 재배된 새싹보리를 가공하여 상품화한 제품도 유통되고 있다.
새싹보리를 상품화하는 과정에는, 새싹보리를 건조 및 분쇄하는 과정등의 여러 가지 단계별 공정이 포함된다.
가령,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3549호에는, 새싹보리 분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제조방법은, 6 ~ 10cm의 크기로 자란 새싹보리 75 ~ 80중량%와 1 ~ 5cm의 크기로 자란 발아메밀 15중량% 및 첨가물 5 ~ 10중량%를 서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물에 묻은 불순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한 상기 혼합물을 탈수하는 탈수단계; 탈수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수분 함유량이 8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 또는 일반 건조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동결건조 중 어느 한 과정을 거쳐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및 2차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새싹보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자동화된 전용 장치가 없었다. 이를테면, 각 단계별 공정을 수행하는 단위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전체적인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새싹보리를 세척하고, 세척된 세척물을 건져 올리는 과정에 육체적인 힘이 많이 소요되고, 새싹보리가 손상될 수도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3549호 (새싹보리 분말의 제조방법)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17747호 (새싹보리를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사료)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가공 대상물의 가공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이 양호하고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는, 가공할 발아식물을 일정속도로 공급하는 피딩컨베이어와; 피딩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발아식물을 통과시키며 세절하는 세절기와; 세절된 발아식물을 수세함과 동시에 살균하는 것으로서, 살균제가 혼합된 살균수를 수용하는 처리조, 처리조내에 설치되고 세절된 발아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로터, 교반로터를 구동하는 로터구동부가 구비된 수세 및 살균기와; 상기 처리조내에서의 처리가 완료된 발아식물을 처리조로부터 인출하는 인양기와; 인양기에 의해 처리조로부터 인출된 발아식물을 인양기로부터 분리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는 회수호퍼와; 회수호퍼에 의해 분리된 발아식물을 받쳐 이송시키며, 살균수의 일부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아식물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서행컨베이어와; 서행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발아식물을 전달받아 탈수시키는 탈수기와; 탈수기에서 탈수를 마친 발아식물을 열풍건조시키는 열풍건조기와; 열풍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발아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기를 통과하며 분쇄된 발아식물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자외선 살균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자외선살균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세절기는; 피딩컨베이어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통형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고정되되 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선블레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발아식물을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드럼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의 대응홈을 가지는 받침판과, 상기 대응홈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회전드럼의 회전 시 나선블레이드와의 교차운동에 의해 발아식물을 세절하는 다수의 고정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교반로터는; 처리조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로터구동부에 의해 축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샤프트, 회전샤프트에 고정되고 회전샤프트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환봉형 아암을 구비하고, 처리조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처리조의 바닥에 고정되고, 하류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며, 인출되는 발아식물의 인출 경로를 제공하는 인출유도경사판이 설치되며, 상기 인양기는;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처리조 상부에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 서행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연결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체인,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후크캐리어, 각 후크캐리어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체인의 순환운동에 따라 순환하며 처리조내의 발아식물을 인양하여 회수호퍼측으로 이동시키는 후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후크는; 연결핀을 통해 후크캐리어에 링크된 상태로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아암과, 연장아암의 연장단부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연장단부에 지지핀을 통해 링크되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되 연장아암과의 사이각이 45도 이상으로 유지되고, 상기 인출유도경사판의 상부를 슬라이딩 주행하며 발아식물을 걷어 올리는 크로우와, 연장아암에 고정되며 후크캐리어에 대한 연장아암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호퍼에는; 후크의 이송경로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하는 크로우를 걸어 크로우가 연장아암으로부터 벌어지며 걷어 올린 발아식물이 회수호퍼의 내부로 낙하하게 하는 걸림벽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는, 가공 대상물을 세절 건조 및 분쇄시킨 후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하므로, 인력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양호하고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를 이용한 가공 포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공급컨베이어와 세절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세절기의 세절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수세 및 살균기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인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각도제한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6에 도시한 인출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를 이용한 가공 포장 방식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포장 장치는, 준비된 발아식물을 여러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쇄 포장하는 것으로서, 세절공정(11), 수세 및 살균공정(12), 탈수공정(13), 건조공정(14), 분쇄공정(15), 자외선살균공정(16), 포장공정(17)을 수행한다. 본 설명에서의 발아식물에는 여러 가지 새싹식물이 포함되며 그 중에는 새싹보리도 들어간다.
세절공정(11)은 준비된 발아식물을 잘게 절단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세절기가 사용된다. 세절공정(11)을 통해 세절된 발아식물은 수세 및 살균공정(12)을 거친다. 수세 및 살균공정은, 발아식물을 세척수에 담근 후 교반하는 과정이다. 세척수는 물에 살균제를 희석시킨 것이다. 살균제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예로 들 수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식품의 부패균이나 병원균을 사멸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살균제이다.
수세와 살균이 완료된 후에는 탈수공정(13)과 건조공정(14)을 연속 수행한다. 탈수공정(13)은 세척수를 털어내는 과정이고, 건조공정은 말그대로 발아식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이다. 건조방식은 열풍건조이다.
이어지는 분쇄공정(15)은, 건조된 발아식물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시키는 과정이다. 분쇄입도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진다. 분쇄공정(15)을 통해 분쇄된 발아식물은 자외선살균공정(16)을 통해 다시 한 번 살균된다. 자외선살균을 마친 발아식물은 포장공정(17)에 의해 포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공급컨베이어와 세절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세절기의 세절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수세 및 살균기의 일부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인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각도제한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인출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아식물 가공 포장 장치는, 피딩컨베이어(21), 세절기(23), 수세 및 살균기(30), 인양기(40), 회수호퍼(49), 서행컨베이어(51), 탈수기(53), 열풍건조기(60), 분쇄기(70), 자외선살균기(83)를 포함한다.
피딩컨베이어(21)는, 로딩된 발아식물(100)을 세절기(23) 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업자가, 생장받침판(101)에 대기하고 있는 발아식물(100)을 피딩컨베이어(21)에 올리면, 피딩컨베이더(21)가 발아식물(100)을 세절기(23)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발아식물(100)은 새싹보리로서 생장받침판(101)에 대기하고 있다. 생장받침판(101)은, 평행한 다수의 격벽(101a)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제공하는 공지의 판상부재로서, 발아식물(100)은 격벽 사이의 공간에서 발아 및 생장한다. 생장받침판(101)에서 생장하는 발아식물(100)은 격벽의 이격공간과 같은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취한다. 또한 뿌리에 의해 얽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이어져 있다.
피딩컨베이어(21)는 벨트식 컨베이어로서 발아식물(100)을 수평으로 받친 상태로 세절기(23)로 보낸다. 발아식물(100)은 피딩컨베이어(21)에 의해 일정속도로 이송되며 세절기(23)를 통과한다.
세절기(23)는, 고정프레임(23a), 회전드럼(23d), 나선블레이드(23e), 구동부, 받침판(23p), 고정블레이드(23r)를 갖는다.
고정프레임(23a)은, 피딩컨베이어(21)의 하류측에 고정되는 구조체로서, 회전드럼(23d)과 구동부와 받침판(23p)을 지지한다. 고정프레임(23a)의 모양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회전드럼(23d)은, 고정프레임(23a)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통형 부재이다. 회전드럼(23d)의 회전축(23f)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고정프레임(23a)에 지지된다. 특히 회전드럼(23d)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나선블레이드(23e)가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회전드럼(23d)과 나선블레이드(23e)는 하나의 커터(23c)를 구성한다.
나선블레이드(23e)는 발아식물(100)을 커팅하기 위한 칼날로서, 회전드럼(23d)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말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3d) 외주면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직선(Z)에 대해, 예각(θ)의 사이각으로 틀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사이각 (θ)는 15도 내지 45도 일 수 있다.
구동부는, 커터(23c)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고정프레임(23a)에 고정되는 모터(23m), 구동풀리(23n), 벨트(23k), 종동풀리(23g)를 갖는다. 모터(23m)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풀리(23n)를 회전시킨다. 종동풀리(23g)는 회전축(23f)에 고정되며, 벨트(23k)를 통해 구동풀리(23n)에 연결된다. 모터의 회전력이 벨트(23k)를 통해 커터(23c)에 전달됨은 물론이다.
받침판(23p)은, 커터(23c)의 하부에 설치되고, 커터(23c)와의 사이로 발아식물을 통과시키는 부재로서 상면에 대응홈(23q)을 갖는다. 대응홈(23q)은, 회전드럼(23d)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의 오목한 홈이다. 회전드럼(23d)의 외주면과 대응홈(23q)의 바닥면이 평행한 것이다.
아울러 고정블레이드(23r)는 대응홈(23q)의 내측, 즉 바닥면에 고정되는 칼날이다. 고정블레이드(23r)는 커터(23c)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다. 특히 고정블레이드(23r)는 커터(23c)의 회전 시 나선블레이드(23e)와 교차운동한다.
나선블레이드(23e)가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고정블레이드(23r)가 회전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커터(23c)의 회전 시 고정블레이드(23r)와 나선블레이드(23e)가 만나는 교차점은, 고정블레이드(23r)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교차점이 이동하는 것을 교차운동이라 한다.
커터(23c)와 받침판(23p)의 사이로 진입하는 발아식물(100)은, 나선블레이드(23e)와 고정블레이드(23r)의 사이에서 쓸려, 마치 가위로 잘리는 것처럼, 커팅된다.
세절기(23)를 통과하면서 커팅된 발아식물은 경사판(24)을 타고 미끄러져 수세 및 살균기(30)로 이송된다.
수세 및 살균기(30)는, 세절된 발아식물을 수세함과 동시에 살균하는 것으로서, 처리조(31), 교반로터(33), 로터구동부, 인출유도경사판(31b), 살균제공급기(35)를 포함한다.
처리조(31)는, 살균제가 혼합된 살균수를 수용하며 두 개의 교반로터(33)를 내장한다. 교반로터(33)의 적용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교반로터(33)는, 회전샤프트(33a)와 다수의 아암(33b)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샤프트(33a)는 상호 평행하며 수평으로 연장된 봉형 부재로서 양단부가 처리조(31)의 벽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아암(33b)은, 회전샤프트(33a)에 고정되고 회전샤프트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암(33b)은 세척수에 침지되어 있는 발아식물(100)을 뒤섞어 교반한다. 특히 아암(33b)은, 회전샤프트(3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즉 가늘어진다. 이와 같이 아암(33b)을 테이퍼지게 형성한 이유는, 아암(33b)에 의해 교반되는 발아식물이 아암(33b)에 감겨 고정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발아식물이 아암(33b)에 감긴다 하더라도, 교반로터(33)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아식물은 바로 바로 분리된다.
로터구동부는, 교반로터(33)를 작동하는 것으로서, 교반모터(34), 구동풀리(34a), 종동풀리(34c), 벨트(34e)를 구비한다. 교반모터(34)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풀리(34a)를 회전시킨다. 종동풀리(34c)는 일측 교반로터(33)의 회전샤프트(33a)에 두 개, 나머지 회전샤프트(33a)에 한 개가 끼워진다.
벨트(34e)는 구동풀리(34a)와 종동풀리(34c), 종동풀리(34c)와 종동풀리(34c)를 연결한다. 결국 교반모터(34)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은 체인을 통해 양측 교반로터(33)에 동시 전달된다. 교반로터(33)에 의해 교반되는 발아식물(100)은 인출유도경사판(31b)의 하단부측으로 밀려 이동하며 후크(47)에 걸려 끌려 나간다.
살균제공급기(35)는, 살균제를 수용하며 필요시마다 처리조(31) 내에 살균제를 추가한다. 살균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살균제의 투입시 물도 함께 보충할 수 있다.
인출유도경사판(31b)은, 처리조(31)의 내부에 고정되되, 일단부가 처리조(31)의 바닥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류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판상부재이다. 하류측 방향은, 발아식물(100)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인출유도경사판(31b)의 타단부는 처리조(31)의 벽면 상단에 고정된다.
인출유도경사판(31b)은 인출되는 발아식물의 인출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후술할 후크(47)가, 발아식물을 끌고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이다. 수세와 살균이 완료된 발아식물은 후크(47)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수호퍼(49)로 전달된다. 후크(47)는 인양기(40)의 일부 구성 요소이다.
인양기(40)는, 처리조(31) 내부의 발아식물(100)을 건져내어 회수호퍼(49)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구조체(41), 종동스프로킷(44b), 구동스프로킷(44a), 모터(43), 체인(45), 후크캐리어(46), 후크(47)를 구비한다.
지지구조체(41)는 작업장의 천장(미도시)에 고정되는 지지용 프레임으로서, 인양기(40)를 수세 및 살균기(30)와 회수호퍼(49)와 서행컨베이어(51)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종동스프로킷(44b)은 처리조(31)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종동스프로킷(44b)이 지지구조체(41)에 지지됨은 당연하다. 구동스프로킷(44a)은 종동스프로킷(44b)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서행컨베이어(51)의 상부에 설치된다. 구동스프로킷(44a)과 종동스프로킷(44b)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또한 구동스프로킷(44a)과 종동스프로킷(44b)의 회전축은 수평이다. 모터(43)는 지지구조체(41)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스프로킷(44a)을 회전시킨다.
체인(45)은, 구동스프로킷(44a)과 종동스프로킷(44b)을 연결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 순환 운동하는 동력전달 부재이다.
후크캐리어(46)는, 체인(45)에 고정되는 블록형 부재로서,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후크캐리어(46)는 연결핀(46a)을 통해 후크(47)와 링크되며 후크를 지지한다. 후크(47)는 연결핀(46a)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후크(47)는, 후크캐리어(46)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체인의 순환운동에 따라 순환하며 처리조(31)내의 발아식물을 인양하여 회수호퍼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크(47)는, 연장아암(47a), 토션스프링(47g), 크로우(47c), 각도제한홀더(48)를 갖는다.
연장아암(47a)은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조(31)의 바닥에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연장아암(47a)은 합성수지나 스테인리스스티롤 제작 가능하다.
크로우(47c)는 연장아암(47a)의 단부에 지지핀(47e)을 통해 연결되는 부재로서, 끝부분이 뾰족한 형상을 취한다. 크로우(47c)는, 도 2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며 발아식물(100)을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토션스프링(47g)은 연장아암의 단부에 구비되는 기계요소로서, 크로우(47c)를 화살표 f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크로우(47c)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7g)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부재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장아암(47a)과 45도 내지 60도의 사이각을 유지한다. 토션스프링(47g)의 탄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연장아암(47a)에 대한 크로우(47c)의 사이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크로우(47c)에는 스토퍼(47d)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47d)는 연장아암(47a)의 일측에 걸려 크로우(47c)가 더 이상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각도제한홀더(48)는 후크캐리어(46)에 대한 연장아암(47)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탄력부재이다. 각도제한홀더(48)는 고무나 실리콘으로제작 가능하고 도 7의 형상을 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제한홀더(48)는 연장아암(47a)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48a)을 제공하며, 상단부 양측에 돌출부(48c)를 갖는다. 연장아암(47a)은 관통구멍(48a)에 끼워진 상태로 각도제한홀더(48)에 대한 결합을 유지한다.
돌출부(48c)는, 연장아암(47a)이, 가령, 도 6의 화살표 k방향으로 재껴질 때 후크캐리어(46)의 받침면(46c)에 접하게 되는 부분이다. 돌출부(48c)가 받침면(46c)에 접하면, 연장아암(47a)의 화살표 k방향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상기 후크(47)는 모터(43)가 동작하는 동안 화살표 e방향으로 계속 순환한다. 특히 순환 하는 동안 처리조(31)의 내부를 통과하며 발아식물(100)을 걸어 화살표 c방향으로 인출한다. 발아식물(100)은 크로우에 걸린 상태로 처리조(31)의 외부로 인양된다.
발아식물은 크로우(47c)에 매달린 상태로 회수호퍼(49)에 도달하고, 회수호퍼(49) 내부로 투하된다. 회수호퍼(49)는 발아식물을 받아 서행컨베이어(51)에 올리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수호퍼(49)의 상단부에는 걸림벽(49a)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벽(49a)은 크로우에 걸려 있는 발아식물을 크로우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하는 크로우를 걸어 크로우가 연장아암으로부터 벌어지며, 걸린 상태의 발아식물이 회수호퍼의 내부로 낙하하게 하는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크로우(47c)가 걸림벽(49a)을 넘어 통과하는 동안의 크로우(47c)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발아식물이 걸려 있는 크로우(47c)가 걸림벽(49a)으로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편의상 크로우에 걸리는 발아식물은 도시하지 않았다. 걸림벽(49a)은 크로우(47c)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상태로 크로우(47c)를 기다린다.
크로우(47c)가 걸림벽(49a)에 도달하면, 크로우(47c)는 걸림벽(49a)에 일단 막혀 전진하지 못하고, 후크캐리어(46)는 계속하여 이동한다. 크로우(47c)가 전진하지 못하고 후크캐리어(46)가 전진함에 따라, 연장아암(47a)은 화살표 m방향으로 숙여지고 크로우(47c)는 화살표 n방향으로 상승한다. (도 8b 및 도 8c)
마침내, 연장아암(47a)의 하단부가 걸림벽(49a)을 넘으면, 도 8d와 같이, 크로우(47c)가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한다. 크로우(47c)가 회전하는 이유는, 아직 걸림벽(49a)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크로우가 펼쳐짐에 따라 걸려 있던 발아식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낙하한다. 후크캐리어(46)가 더욱 전진하면 크로우(47c)도 걸림벽(49a)을 넘어 토션스프링의 작용을 받게 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처리조(31) 내부의 발아식물(100)이 회수호퍼(49)로 전달되는 것이다.
회수호퍼(49)의 하부에 구비되는 서행컨베이어(51)는, 회수호퍼를 통과해 하강한 발아식물을 받쳐 이송시키되, 살균수의 일부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아식물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즉, 발아식물(100)을 탈수기(53) 측으로 이동시키되, 이동하는 동안 물이 어느 정도 빠지도록 하는 것이다. 서행컨베이어(51)의 이송거리는 길수록 좋다.
탈수기(53)는 서행컨베이어(51)에 의해 이송되는 발아식물을 전달받아 탈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탈수기(53)는, 케이스(53a), 탈수통(53b), 모터(53c)를 갖는다. 발아식물(100)은 탈수통(53b)에 수용되며 모터(53c)의 구동시 원심력을 받아 탈수된다.
탈수기(53)에서 탈수된 발아식물은 열풍건조기(60)로 보내어져 열풍 건조된다. 열풍건조기(60)는, 선반프레임(62)이 내장된 건조챔버(61), 건조챔버(6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64)를 구비한다. 발아식물은 바구니에 담긴 상태로 선반프레임(62)에 올려지며 열풍의 작용을 받아 건조된다.
열풍건조기(60)에서 건조된 발아식물을 이송컨베이어(67)을 타고 분쇄기(70)로 이송된다. 분쇄기(70)는 건조된 발아식물을 통과시키며 분쇄하는 분쇄부(72)와 분쇄물을 외부로 내보내는 배출부(73)를 구비한다. 이러한 분쇄기(70) 자체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
분쇄기(70)에서 분쇄된 발아식물은 분쇄물컨베이어(81)를 통해 자외선살균기(83)의 호퍼(83a)로 공급된다. 자외선살균기(83)는, 호퍼(83a), 이송하우징(83b), 이송스크류(83f), 모터(83e), 살균램프(83g), 배출구(83c)를 갖는다.
이송하우징(83b)은 이송스크류(83f)를 축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송스크류(83f)는 모터(83e)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호퍼(83a)를 통해 투입된 발아식물을 배출구(83c)측으로 이송시킨다. 살균램프(83g)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램프로서, 이송스크류(83f)에 의해 이송되는 발아식물을 살균한다. 배출구(83c)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물은 모든 가공이 완료된 결과물로서, 별도의 포장장치를 통해 포장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세절공정 12:수세 및 살균공정 13:탈수공정
14:건조공정 15:분쇄공정 16:자외선살균공정
17:포장공정 21:피딩컨베이어 23:세절기
23a:고정프레임 23c:커터 23d:회전드럼
23e:나선블레이드 23g:종동풀리 23f:회전축
23k:벨트 23m:모터 23n:구동풀리
23p:받침판 23q:대응홈 23r:고정블레이드
24:경사판 30:수세 및 살균기 31:처리조
31b:인출유도경사판 33:교반로터 33a:회전샤프트
33b:아암 34:교반모터 34a:구동풀리
34c:종동풀리 34e:벨트 35:살균제공급기
40:인양기 41:지지구조체 43:모터
44a:구동스프로킷 44b:종동스프로킷 45:체인
46:후크캐리어 46a:연결핀 46c:받침면
47:후크 47a:연장아암 47c:크로우
47d:스토퍼 47e:지지핀 47g:토션스프링
48:각도제한홀더 48a:관통구멍 48c:돌출부
49:회수호퍼 49a:걸림벽 51:서행컨베이어
53:탈수기 53a:케이스 53b:탈수통
53c:모터 60:열풍건조기 61:건조챔버
62:선반프레임 64:열풍기 67:이송컨베이어
70:분쇄기 72:분쇄부 73:배출부
81:분쇄물컨베이어 83:자외선살균기 83a:호퍼
83b:이송하우징 83c:배출구 83e:모터
83f:이송스크류 83g:살균램프 100:발아식물
101:생장받침판 101a:격벽

Claims (4)

  1. 가공할 발아식물을 일정속도로 공급하는 피딩컨베이어와; 피딩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발아식물을 통과시키며 세절하는 세절기와; 세절된 발아식물을 수세함과 동시에 살균하는 것으로서, 살균제가 혼합된 살균수를 수용하는 처리조, 처리조내에 설치되고 세절된 발아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로터, 교반로터를 구동하는 로터구동부가 구비된 수세 및 살균기와; 상기 처리조내에서의 처리가 완료된 발아식물을 처리조로부터 인출하는 인양기와; 인양기에 의해 처리조로부터 인출된 발아식물을 인양기로부터 분리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는 회수호퍼와; 회수호퍼에 의해 분리된 발아식물을 받쳐 이송시키며, 살균수의 일부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아식물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서행컨베이어와; 서행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발아식물을 전달받아 탈수시키는 탈수기와; 탈수기에서 탈수를 마친 발아식물을 열풍건조시키는 열풍건조기와; 열풍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발아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기를 통과하며 분쇄된 발아식물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자외선 살균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자외선살균기를 구비하고,
    상기 세절기는; 피딩컨베이어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통형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고정되되 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선블레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발아식물을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드럼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의 대응홈을 가지는 받침판과, 상기 대응홈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회전드럼의 회전 시 나선블레이드와의 교차운동에 의해 발아식물을 세절하는 다수의 고정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발아식물 가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로터는;
    처리조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로터구동부에 의해 축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샤프트, 회전샤프트에 고정되고 회전샤프트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환봉형 아암을 구비하고,
    처리조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처리조의 바닥에 고정되고, 하류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며, 인출되는 발아식물의 인출 경로를 제공하는 인출유도경사판이 설치되며,
    상기 인양기는;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처리조 상부에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 서행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연결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체인,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후크캐리어, 각 후크캐리어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체인의 순환운동에 따라 순환하며 처리조내의 발아식물을 인양하여 회수호퍼측으로 이동시키는 후크를 포함하는,
    발아식물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연결핀을 통해 후크캐리어에 링크된 상태로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아암과,
    연장아암의 연장단부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연장단부에 지지핀을 통해 링크되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되 연장아암과의 사이각이 45도 이상으로 유지되고, 상기 인출유도경사판의 상부를 슬라이딩 주행하며 발아식물을 걷어 올리는 크로우와,
    연장아암에 고정되며 후크캐리어에 대한 연장아암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호퍼에는;
    후크의 이송경로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하는 크로우를 걸어 크로우가 연장아암으로부터 벌어지며 걷어 올린 발아식물이 회수호퍼의 내부로 낙하하게 하는 걸림벽이 형성된,
    발아식물 가공장치.




KR1020210144865A 2021-10-27 2021-10-27 발아식물 가공장치 KR10248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65A KR102487803B1 (ko) 2021-10-27 2021-10-27 발아식물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65A KR102487803B1 (ko) 2021-10-27 2021-10-27 발아식물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803B1 true KR102487803B1 (ko) 2023-01-12

Family

ID=8492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65A KR102487803B1 (ko) 2021-10-27 2021-10-27 발아식물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2690A (zh) * 2023-11-27 2023-12-29 山西心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品类菌包打眼分类包装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930A (ko) * 1988-06-30 1990-01-31 존 에이 페니 전도성플라스틱 물품의 제조방법 및 전도성 폴리아세탈 물품의 제조방법
KR20010018175A (ko) * 1999-08-17 2001-03-05 이상윤 생고추의 연속적인 살균·건조에 의한 위생·건조고추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6345708A (ja) * 2005-06-13 2006-12-28 Yamaura Corp 発芽大豆加工食品および前記食品の製造方法
KR101917747B1 (ko) 2018-04-25 2018-11-13 김병천 새싹보리를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사료
KR20190003246A (ko) * 2017-06-30 2019-01-09 김진우 건조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조식품 제조방법
KR20190083549A (ko) 2018-01-04 2019-07-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애 새싹보리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930A (ko) * 1988-06-30 1990-01-31 존 에이 페니 전도성플라스틱 물품의 제조방법 및 전도성 폴리아세탈 물품의 제조방법
KR20010018175A (ko) * 1999-08-17 2001-03-05 이상윤 생고추의 연속적인 살균·건조에 의한 위생·건조고추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6345708A (ja) * 2005-06-13 2006-12-28 Yamaura Corp 発芽大豆加工食品および前記食品の製造方法
KR20190003246A (ko) * 2017-06-30 2019-01-09 김진우 건조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조식품 제조방법
KR20190083549A (ko) 2018-01-04 2019-07-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애 새싹보리 분말의 제조방법
KR101917747B1 (ko) 2018-04-25 2018-11-13 김병천 새싹보리를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사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2690A (zh) * 2023-11-27 2023-12-29 山西心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品类菌包打眼分类包装机
CN117302690B (zh) * 2023-11-27 2024-02-02 山西心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品类菌包打眼分类包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7965B2 (ja) 食用植物料理品等の脱液乾燥装置及びその方法
CN108020063A (zh) 一种粪便干燥设备
KR102487803B1 (ko) 발아식물 가공장치
KR102013347B1 (ko) 이물선별 및 살균 기능이 개선된 고추 살균건조기
CN208286148U (zh) 一种畜牧养殖用喂食装置
CN208002068U (zh) 一种用于鸡饲料的存储、加工装置
KR100940418B1 (ko) 채소수확기
KR20220031621A (ko) 곤충-기반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58085B1 (ko)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방법을 이용한 식용곤충 선별 건조 자동화시스템
CN108934495A (zh) 一种大型秸秆粉碎揉丝一体机
KR100372319B1 (ko) 버섯의 재배장치
KR100711543B1 (ko) 위생 고추분말의 제조설비 및 세척살균장치
KR101574467B1 (ko) 화식 사료 제조기
US20030099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sing and/or pasteurising growth media
KR20020067318A (ko) 생고추의 연속적인 살균건조에 의한 위생건조고추의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18175A (ko) 생고추의 연속적인 살균·건조에 의한 위생·건조고추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5830586B (zh) 马铃薯拌种机
CN212999409U (zh) 一种食品加工混合搅拌装置
KR102044122B1 (ko)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KR10037570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설비
KR100458454B1 (ko) 유기물의 멸균 및 건조시스템
KR200145919Y1 (ko) 음식쓰레기의 염분을 제거한 유기비료 대량 생산장치
KR20020076831A (ko) 오존을 이용한 곡물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216164887U (zh) 坚果包装前自动灭菌灭虫装置
CN209565057U (zh) 一种有机肥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